KR20210133473A -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473A
KR20210133473A KR1020200052117A KR20200052117A KR20210133473A KR 20210133473 A KR20210133473 A KR 20210133473A KR 1020200052117 A KR1020200052117 A KR 1020200052117A KR 20200052117 A KR20200052117 A KR 20200052117A KR 20210133473 A KR20210133473 A KR 2021013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r
unit
records
blockchai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수
박병주
김현연
최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05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3473A/ko
Publication of KR2021013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473A/ko
Priority to KR1020220110187A priority patent/KR10260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8Medical equip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앱을 통해 개인키가 전달되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가입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PHR 공급기관 컴퓨터는 사용자(환자)의 진료기록, 검사기록, 입/퇴원기록, 수술기록, 투약기록, 과거병력, 가족병력 등의 자료를 포함한 의료기록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에 전송하는 제 2 단계(의료기록 전송단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포함한 원장(Ledger)을 배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원장을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 및 PHR 이용기관 컴퓨터가 수신하는 제 4 단계, PHR 이용기관 컴퓨터가 개인의료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이하 PHR이라 칭함) 색인 및 저장위치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PHR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Personal Health Record Share Method Using Blockchain And PKI Technic}
본 발명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KI 기반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뛰어나며, 개인의료기록의 공유시에도 암호화가 가능하여 공유환경 구축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헬스케어(Health car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데이터 플랫폼 등의 의료IT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기업들은 데이터 및 환자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의료정보 해킹 사고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또한, 관련 서비스의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해킹 시에 유출되는 의료정보의 규모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보안성을 향상시켜서 해킹에 의한 사용자(또는 환자)의 의료정보 유출을 방지하면서 각 병원 간의 의료정보를 공유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보안을 위하여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서, 공개키 알고리즘이 있다.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는 공개키 알고리즘을 통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적인 보안 시스템 환경을 말한다. 즉, 암호화와 복호화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해 송수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디지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은 크게 공개키(비대칭키)와 비밀키(대칭키)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밀키 암호 시스템이 송수신자 양측에서 똑같은 비밀키를 공유하는 데 반해 공개키는 암호화와 복호화키가 다르다.
따라서 공개키방식은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다시 풀 수 있는 열쇠가 다르기 때문에 거의 완벽한 데이터 보안이 가능하고 정보 유출의 가능성은 그만큼 적어진다.
공개키 암호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키의 생성과 인증이 필요하며 이런 것들의 분배와 안전한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한데, 이런 시스템을 PKI라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공개키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하는 '인증기관', 사용자들의 인증서 신청시 인증기관 대신 그들의 신분과 소속을 확인하는 '등록기관', 인증서와 사용자 관련 정보, 상호 인증서 쌍 및 인증서 취소 목록 등을 저장·검색하는 장소인 '디렉토리', 또한 다양한 응용에서 공개키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생성하고 검증하며 데이터에 대한 암호, 복호를 수행하는 사용자 등이 포함된다.
PKI는 광범위한 기업 응용프로그램에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다. 솔루션은 웹 보안, 전자우편 보안, 원격접속, 전자문서,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PKI를 도입하여 전자상거래를 할 경우, 전자상거래를 위해 전자서명을 한 뒤 공인인증기관의 인증을 받아 상대에게 제시하여 거래가 이뤄짐으로써 개인정보나 거래정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한편, 개인 의료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이라 칭함)은 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진료·검사 정보와 스마트폰 등으로 수집한 활동량 데이터를 말한다. 이러한 PHR 데이터를 수집 및 공유하는데 있어서 보안성이 강화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63827호(2017년07월26일 등록)(발명의 명칭: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PKI 기반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뛰어나며, 개인의료기록의 공유시에도 암호화가 가능하여 공유환경 구축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은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앱을 통해 개인키가 전달되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가입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PHR 공급기관 컴퓨터는 사용자(환자)의 진료기록, 검사기록, 입/퇴원기록, 수술기록, 투약기록, 과거병력, 가족병력 등의 자료를 포함한 의료기록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에 전송하는 제 2 단계(의료기록 전송단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포함한 원장(Ledger)을 배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원장을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 및 PHR 이용기관 컴퓨터가 수신하는 제 4 단계,
PHR 이용기관 컴퓨터가 개인의료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이하 PHR이라 칭함) 색인 및 저장위치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PHR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마스터 앱) 앱을 통해 PHR 공급기관컴퓨터에는 동의서가 제출되며, PHR 이용기관 컴퓨터에는 공개키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원장(Ledger)배포시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는 상기 PHR 이용기관 컴퓨터에 PKI방식으로 암호화된 PHR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제 3 단계에서 원장 배포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은 이엠알(Electronic Medicatl Record, 전자 의료기록, 이하 EMR이라 칭함) 수집부, EMR 변환부, 블록체인처리부, 오픈 API부를 포함하고, 상기 EMR 수집부는 에이치아이에스(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엘아이에스(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컴퓨터를 통해 EMR 및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 건강 기록)를 조회 및 검색하여 얻은 자료를 수집하며,
상기 EMR 변환부는 의료진료기록 수집부, 용어표준 가치 설정(Value Set)부를 통해 수집된 EMR자료 데이터를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진료 서식 구조) 표준 스키마를 통해 처리한 후, 변환부(Serialize)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블록체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HR 이용기관 컴퓨터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은 블록체인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가 PHR 조회/변환부를 거쳐 저장부에 전송되고, 이후 레거시(Legacy)서버 저장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PHR 조회/변환부에서는 복호화(공개키)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원장 자료가 복호화되고, PHR 데이타 파싱부에 의해 파싱되고, 이후 의료진료기록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어(이때 PHR 색인 및 저장위치가 추출된다) 저장부에 저장되고 이후 레거시(Legacy)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서버는 PHR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부, 인증부를 포함하는 OPEN API 모듈부가 구비되고, PHR 처리부, 수집부, 데이터관리부, 및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고,
수집부는 블록체인 피어(peer)부를 가진 블록체인 처리부, HL7 핸들러(hanlder)를 가진 HL(High Level)7 처리부를 포함하고,
PHR 처리부는 HL7 핸들러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개인키로 사이닝하여 암호화하고 그 자료를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전송하고,
상기 PHR 처리부는 HL 7 핸들러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에서 색인을 추출하여 원장(Ledger)을 작성하여 블록체인 피어부로 전송하고,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에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의료기록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의하면, PKI 기반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뛰어나며, 개인의료기록의 공유시에도 암호화가 가능하여 공유환경 구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의 개인의료기록 공유 서비스 시나리오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의료기관 진료기록 수집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라이프로그 수집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건강검진기록 수집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공유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과 관련된 서비스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수집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공유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관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의 개인의료기록 공유 서비스 시나리오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의료기관 진료기록 수집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라이프로그 수집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건강검진기록 수집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공유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과 관련된 서비스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수집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에서 개인의료기록 공유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시스템(100)은, 사용자용 앱 모듈(10), 개인의료기록(이하, PHR이라 칭함)기반 건강관리서비스 컴퓨터(20), PHR 공급기관 컴퓨터(30), PHR 디바이스(40),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50), PHR 이용기관 컴퓨터(60)를 포함한다.
사용자용 앱 모듈(10)은 표준 SDK를 구비한 고령자 앱 모듈, 표준 SDK를 구비한 만성질환자 앱 모듈, 표준 SDK를 구비한 암환자 앱 모듈, 표준 SDK를 구비한 임산부 앱 모듈, 및 표준 SDK를 구비한 기타 앱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 앱 모듈은(10)은 PHR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컴퓨터(20)와 연결된다.
PHR기반 건강관리서비스 컴퓨터(20)는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 모듈, 고위험군 건강관리 서비스 모듈, 환자 건강관리 서비스 모듈, 임산부 건강관리 서비스 모듈, 및 기타 건강관리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PHR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컴퓨터(20)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50)와 연결된다.
PHR 공급기관 컴퓨터(30)는 표준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병원 컴퓨터, 보건소 컴퓨터, 건강검진센터 컴퓨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컴퓨터, 및 타 헬스케어플랫폼 컴퓨터를 포함한다. PHR기반 공급기관 컴퓨터(30)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50)와 HL7/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에 의해 연결된다.
PHR 디바이스(40)는 표준 SDK를 구비한 PHR 게이트웨이, 및 표준 SDK를 구비한 PHR 센서를 포함한다. PHR 디바이스(40)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50)와 HL7/FHIR에 의해 연결된다.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50)는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 모듈, 데이터 관리모듈, 질병정보 및 환자표본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레이트(lake) 모듈이 구비되며, 오픈 에이피아이(API) 모듈로서, 데이터 수집모듈, PHR 정보 모듈, 서비스 알고리즘 모듈을 포함하고, 마켓 모듈로서, 서비스 컨텐츠(식이, 운동) 모듈을 포함하고, 기술지원 포탈 모듈로서, 기술지원 가이드(이용신청) 모듈, 데이터 샌드박스(Sandbox)모듈이 구비된다.
PHR 이용기관 컴퓨터(60)는 표준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며, 헬스케어사업자 컴퓨터, 의료기기 제조기업 컴퓨터, 제약회사 컴퓨터, 건강관련기업 컴퓨터, 및 공공기관/지자체 컴퓨터를 포함한다. PHR 이용기관 컴퓨터(60)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50)와 HL7/FHIR에 의해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시스템의 개인의료기록 공유 서비스 시나리오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공급기관 및 이용기관의 PHR 데이터 수집 연동과 블록체인 기반의 PHR 정보가 공유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환자)(10)가 PHR 기반 건강관리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개인키가 전달된다. 이때 PHR 공급기관컴퓨터(30)에는 정보가 제공되고 동의서가 제출되며, PHR 이용기관 컴퓨터(60)에는 공개키가 전달된다.
이후 PHR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컴퓨터(20)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50)에 가입요청신호를 전달하고 가입자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개인키도 같이 전송된다.
한편,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30)는 사용자(환자)(10)의 진료기록, 검사기록, 입/퇴원기록, 수술기록, 투약기록, 과거병력, 가족병력 등의 자료를 포함한 의료기록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50)에 전송한다.
이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포함한 원장(Ledger)을 배포하고, 이 원장을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30) 및 PHR 이용기관 컴퓨터(60)가 수신하게 된다. 상기 원장(Ledger)배포시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함께 전송하게 된다.
이후, PHR 이용기관 컴퓨터(60)는 PHR색인, 및 저장위치를 추출하게 된다.
이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50)는 상기 PHR 이용기관 컴퓨터(60)에 PHR을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과 PKI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건강기록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 및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구현하였다.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30)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은 이엠알(Electronic Medicatl Record, 전자 의료기록, 이하 EMR이라 칭함) 수집부, EMR 변환부, 블록체인처리부, 오픈 API부를 포함한다. 상기 EMR 수집부는 에이치아이에스(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엘아이에스(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컴퓨터를 통해 EMR 및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 건강 기록)를 조회 및 검색하여 얻은 자료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 EMR 변환부는 의료진료기록 수집부, 용어표준 가치 설정(Value Set)부를 통해 수집된 EMR자료 데이터를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진료 서식 구조) 표준 스키마를 통해 처리한 후, 변환부(Serialize)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블록체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상기 PHR 이용기관 컴퓨터(60)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은 블록체인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가 PHR 조회/변환부를 거쳐 저장부에 전송되고, 이후 레거시(Legacy)서버 저장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PHR 조회/변환부에서는 복호화(공개키)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원장 자료가 복호화되고, PHR 데이타 파싱부에 의해 파싱되고, 이후 의료진료기록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어(이때 PHR 색인 및 저장위치가 추출된다) 저장부에 저장되고 이후 레거시(Legacy)서버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서버(50)는 PHR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부, 인증부를 포함하는 OPEN API 모듈부가 구비되고, PHR 처리부, 수집부, 데이터관리부, 및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한다.
수집부는 블록체인 피어(peer)부를 가진 블록체인 처리부, HL7 핸들러(hanlder)를 가진 HL(High Level)7 처리부를 포함한다.
PHR 처리부는 HL7 핸들러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개인키로 사이닝하여 암호화하고 그 자료를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전송한다. 또한, 상기 PHR 처리부는 HL 7 핸들러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에서 색인을 추출하여 원장(Ledger)을 작성하여 블록체인 피어부를 전송한다.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에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의료기록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기타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하다.
한편, HL7 표준에 대해 참고로 설명한다. HL7 표준은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이다. 1987년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현재 북아메리카에서는 의료정보의 전자적 교환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다. HL 7 표준은 전 세계적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핀란드,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세계 중심국들이 회원으로 가입하여 의료분야에 적극 적용하고 있다. 의료기관의 유형 또는 규모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의료업무(Patient Management, Laboratories, Pharmacies, System management 등)의 서비스 요구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HL 7표준은 사용자, 시스템공급자 및 기타 의료정보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합동으로 개발된 합의표준이다. HL7 표준은 주요 의료정보 표준화 기구들과도 공식적 합의를 이루고 있으며, ISO TC215(의료정보)에서 대표적 발언권을 가지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PHR(개인의료 데이터) 수집 및 공유과정의 일예를 설명한다. 의료기관(3))은 사용자(마스터 앱)(10)에 의한 의료기록 조회요청에 따라(오프라인 요청, 온라인 요청도 가능함) 진료기록을 조회하게 된다.
즉, 일반의료기관은 진료기록 조회 신호를 송신하고, EMR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진료기록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자(마스터 앱)(10)은 생성된 진료기록 파일을 오프라인으로 수신하고(온라인 수신도 가능함) 진료기록 등록요청을 PHR 플랫폼 서버(50)에 하게된다. PHR 플랫폼은 진료기록을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며, 이후 다시 사용자(마스터 앱)(10)에 원장(Ledger)업데이터를 요청하게 되며, 업데이트 된 원장(Ledger)은 PHR 플랫폼 서버에 전달되어 진료기록이 공유되도록 하며, 사용자(마스터 앱)(10)은 등록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제휴 의료기관은 사용자(마스터 앱)(10)으로부터 의료기록 공유 요청이 온라인으로 접수되면, 본인 확인을 하고 EMR 데이터베이스에서 진료기록 조회 및 파일을 생성하고, 진료기록 공유를 위해 원장(Ledger)을 업데이트하며, 사용자(마스터 앱)(10)은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수신하고, 진료기록 등록을 PHR 플랫폼 서버(50)에 요청하되 복호화 키를 함께 전달한다. PHR 플랫폼 서버는 진료기록조회과정에서 원장(Ledger)조회과정을 수행하며, 진료기록을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고, 사용자(마스터 앱)(10)은 등록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PHR(개인의료데이터) 수집 및 공유과정의 일예로서 라이프로그 수집과정을 설명한다.
PHD(개인의료기기)를 통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서비스 앱(10)에 전달하고 서비스앱(10)은 PHR 플랫폼 서버(50)에 라이프 로그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PHR 플랫폼 서버는 라이프로그를 수신하고 라이프 로그를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PHR 플랫폼 서버는 서비스 앱(10)에 원장(Ledger)업데이트를 요청하게 되고, 서비스 앱(10)에서 업데이트된 자료는 PHR 플랫폼 서버에서 라이프로그 공유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마스터 앱)(10)은 라이프로그 공유 등록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PHD(개인의료기기)가 아닌 서비스 앱(10)에서 사용자 입력(음식, 운동, 취침등)과정의 예를 살펴본다. 서비스 앱(10)에서 라이프로그 입력을 선택하고, 라이프로그 등록을 PHR 플랫폼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PHR 플랫폼서버는 라이프로그를 수신하고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저장 후, PHR 플랫폼 서버는 서비스 앱(10)에 원장(Ledger)업데이트를 요청하게 되고, 서비스 앱(10)에서 업데이트된 자료는 PHR 플랫폼 서버에서 라이프로그 공유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마스터 앱)(10)은 라이프로그 공유 등록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PHR(개인의료데이터) 수집 및 공유과정의 일예로서 건강검진기록 수집과정을 설명한다.
제휴검진센터의 경우, 사용자 마스터앱(10)으로부터 검진기록 공유 요청이 온라인으로 입력되면, 검진센터/건강보험공단 컴퓨터는 본인 확인과정을 수행한 후, 검진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진기록 조회 및 파일을 생성하고, 이후 진료기록 공유를 위한 원장(Ledger)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사용자마스터앱은 업데이트된 원장의 진료기록 즉 검진기록을 PHR 플랫폼서버에 등록요청을 하고 복호화키를 함께 전송한다. PHR 플랫폼 서버는 검진기록 조회과정을 통해 원장(Ledger)을 조회하고 검진기록을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마스터 앱)(10)은 라이프로그 공유 등록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건강보험공단 검진기록과정의 경우, 사용자 마스터앱에서 검진기록 요청을 오프라인으로(온라인으로도 가능함) 검진센터/건강보험공단 컴퓨터에 요청하게 되면, 이후 검진기록을 조회하고, 검진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진기록 파일을 생성하고, 이후 사용자마스터앱은 생성되니 검진기록 파일을 오프라인으로 수신(온라인으로도 수신가능함)하고, 검진기록을 PHR 플랫폼서버에 등록요청을 한다. PHR 플랫폼 서버는 검진기록을 수신한 후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PHR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마스터 앱)(10)에 원장 업데이트를 요청하게 되고, PHR 플랫폼 서버는 원장 업데이트결과를 수신하여 진료기록을 공유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마스터앱은 건강검진기록 등록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PHR(개인의료데이터) 수집 및 공유과정의 일예로서 PHR공유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마스터 앱)(10)에서 정보제공 동의서를 복호화 키를 의료기관 혹은 보험사 컴퓨터로 전달하게 되면, 의료기관 혹은 보험사 컴퓨터는 본인확인과정을 수행한 후, 진료, 검진, 라이프로그(Lifelog)와 같은 원장(Ledger) 조회과정을 수행하고, PHR 다운로드를 PHR 플랫폼 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PHR 플랫폼 서버는 PHR 데이터베이스로부터 PHR을 자료 검색하여 의료기관 또는 보험사 컴퓨터에 전달하게 되고, 의료기관 또는 보험사 컴퓨터는 수신된 PHR 자료를 복호화 하여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마스터앱(10)은 PHR 복호화 및 저장 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PHR(개인의료데이터) 수집 및 공유과정의 일예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조직관리에 있어서, 플랫폼 운영자 컴퓨터는 PHR 플랫폼 서버에 조직 정보 등록/수정을 요청하게 되면, PHR 플랫폼 서버는 수신된 조직 정보를 등록/수정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리턴하여 플랫폼 운영자 컴퓨터가 등록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플랫폼 운영자 컴퓨터에서 조직 정보 조회요청이 있게 되면, PHR 플랫폼서버에서는 등록/수정 처리된 조직 정보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조직정보 조회 처리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처리결과를 리턴하여 플랫폼 운영자 컴퓨터가 등록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원장 조회과정에 있어서는, 플랫폼 운영자 컴퓨터에서 원장(Ledger)조회 요청을 하게 되면, PHR 플랫폼 서버에서는 원장(Ledger)조회 처리과정을 수행하되 ㅂ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리턴하여 플랫폼 운영자 컴퓨터가 등록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PHR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서비스 사용자(서비스앱) 및 건강관리 서비스 사업자는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서버를 통해 PHR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서버는 PHR 데이터베이스로부터 PHR을 조회하여 제공하게 된다.
PHR 데이터베이스는 공급기관 컴퓨터를 통해 PHR을 수집부를 거쳐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PHR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는 PHR 공유 컴퓨터를 통해 PHR을 조회하여 이용기관 컴퓨터를 통하여 공유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PHR 수집과정을 설명한다.
공급기관(의료기간, 검진센터) 컴퓨터를 통해 진료기록이 수집되고, 수집된 진료기록은 변환되며, 이후 PHR 저장부를 통해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공급기관(건강보험공단) 컴퓨터를 통해 검진기록이 수집되고, 수집된 검진기록이 변환되며, 이후 이후 PHR 저장부를 통해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개인휴대의료장치(PHD)를 통해 라이프로그가 수집되어 라이프로그가 변환되며, 이후, PHR 저장부를 통해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PHR 공유과정을 설명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사용자앱을 정보제공동의를 등록하게 되면, 정보제공 동의 정보가 저장되고, 정보제공 동의 정보는 PHR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 서비스 사용자 앱을 통한 정보제공동의 요청은 이용기관(보험사, 지자체등) 컴퓨터에서 PHR 정보제공 동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서비스앱의 동의가 완료된 경우에는, PHR 공유컴퓨터를 통해 PHR이 이용기관(보험사, 지자체등) 컴퓨터에 다운로드되어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용기관(보험사, 지자체 등) 컴퓨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PHR 인덱스를 수신한 후 이후 PHR 공유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의하면, PKI 기반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뛰어나며, 개인의료기록의 공유시에도 암호화가 가능하여 공유환경 구축이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용 앱 모듈
20: PHR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컴퓨터
30: PHR 공급기관 컴퓨터
40: PHR 디바이스
50: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 서버
60: PHR 이용기관 컴퓨터
100: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시스템

Claims (8)

  1.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앱을 통해 개인키가 전달되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가입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PHR 공급기관 컴퓨터는 사용자(환자)의 진료기록, 검사기록, 입/퇴원기록, 수술기록, 투약기록, 과거병력, 가족병력 등의 자료를 포함한 의료기록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에 전송하는 제 2 단계(의료기록 전송단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포함한 원장(Ledger)을 배포하는 제 3 단계,
    상기 원장을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 및 PHR 이용기관 컴퓨터가 수신하는 제 4 단계,
    PHR 이용기관 컴퓨터가 개인의료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이하 PHR이라 칭함) 색인 및 저장위치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PHR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마스터 앱) 앱을 통해 PHR 공급기관컴퓨터에는 동의서가 제출되며, PHR 이용기관 컴퓨터에는 공개키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원장(Ledger)배포시 PHR 색인 및 저장위치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플랫폼서버는 상기 PHR 이용기관 컴퓨터에 PKI방식으로 암호화된 PHR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제 3 단계에서 원장 배포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R 공급기관 컴퓨터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은 이엠알(Electronic Medicatl Record, 전자 의료기록, 이하 EMR이라 칭함) 수집부, EMR 변환부, 블록체인처리부, 오픈 API부를 포함하고, 상기 EMR 수집부는 에이치아이에스(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엘아이에스(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컴퓨터를 통해 EMR 및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전자 건강 기록)를 조회 및 검색하여 얻은 자료를 수집하며,
    상기 EMR 변환부는 의료진료기록 수집부, 용어표준 가치 설정(Value Set)부를 통해 수집된 EMR자료 데이터를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진료 서식 구조) 표준 스키마를 통해 처리한 후, 변환부(Serialize)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블록체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R 이용기관 컴퓨터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은 블록체인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가 PHR 조회/변환부를 거쳐 저장부에 전송되고, 이후 레거시(Legacy)서버 저장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PHR 조회/변환부에서는 복호화(공개키)처리부를 통해 수신된 원장 자료가 복호화되고, PHR 데이타 파싱부에 의해 파싱되고, 이후 의료진료기록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어(이때 PHR 색인 및 저장위치가 추출된다) 저장부에 저장되고 이후 레거시(Legacy)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서버는 PHR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부, 인증부를 포함하는 OPEN API 모듈부가 구비되고, PHR 처리부, 수집부, 데이터관리부, 및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고,
    수집부는 블록체인 피어(peer)부를 가진 블록체인 처리부, HL7 핸들러(hanlder)를 가진 HL(High Level)7 처리부를 포함하고,
    PHR 처리부는 HL7 핸들러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개인키로 사이닝하여 암호화하고 그 자료를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전송하고,
    상기 PHR 처리부는 HL 7 핸들러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에서 색인을 추출하여 원장(Ledger)을 작성하여 블록체인 피어부로 전송하고,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에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의료기록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1020200052117A 2020-04-29 2020-04-29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20210133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17A KR20210133473A (ko) 2020-04-29 2020-04-29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1020220110187A KR102605710B1 (ko) 2020-04-29 2022-08-31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17A KR20210133473A (ko) 2020-04-29 2020-04-29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187A Division KR102605710B1 (ko) 2020-04-29 2022-08-31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73A true KR20210133473A (ko) 2021-11-08

Family

ID=784972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17A KR20210133473A (ko) 2020-04-29 2020-04-29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KR1020220110187A KR102605710B1 (ko) 2020-04-29 2022-08-31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187A KR102605710B1 (ko) 2020-04-29 2022-08-31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334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835B1 (ko) * 2022-07-26 2023-01-3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KR102492837B1 (ko) * 2022-07-26 2023-01-3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의료마이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1466B1 (ko) * 2022-06-13 2023-04-24 주식회사 미스블럭 블록체인 기반 의료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984A (ko) * 2012-08-31 2014-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 시스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101582967B1 (ko) * 2014-03-04 2016-01-06 (주)엠씨씨 병원정보와 연동하는 개인건강기록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건강기록 전달 방법
JP2020010267A (ja) 2018-07-12 2020-0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分散型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医療情報提供サーバー及びプログラム
KR102120942B1 (ko) * 2018-07-27 2020-06-10 (주)가나엔터프라이즈 의료용 블록체인 시스템
KR102170892B1 (ko) * 2018-08-07 2020-10-28 주식회사 유비케어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KR101964733B1 (ko)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2412A (ko) * 2018-09-18 2020-03-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2097622B1 (ko) 2019-05-17 2020-04-06 권성석 개인건강기록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033013B1 (ko) 2019-07-02 2019-10-16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맞춤형 헬스케어 제공 시스템
KR102033010B1 (ko) 2019-07-03 2019-10-16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개인의무기록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66B1 (ko) * 2022-06-13 2023-04-24 주식회사 미스블럭 블록체인 기반 의료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492835B1 (ko) * 2022-07-26 2023-01-3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개인의무기록 마이데이터 활용 방법
KR102492837B1 (ko) * 2022-07-26 2023-01-3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의료마이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5004B1 (ko) * 2022-07-26 2023-04-24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의료마이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건강관리 시스템
KR102545745B1 (ko) * 2022-07-26 2023-06-2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개인데이터 기반의 근거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710B1 (ko) 2023-11-24
KR20220124674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48565B (zh) 基于去中心化标识的数据授权
KR102605710B1 (ko)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US89775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controlled, encrypted, consolidated medical records
Alanazi et al. Meeting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the ERA of high-speed computing
US8275632B2 (en) Privacy compliant consent and data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200701921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an information standard through compatible online access
US20090249076A1 (en) Information server and mobile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130006865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network-accessible patient health records
US86073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nonymisation of sensitive personal data and method of obtaining such data
US20070027715A1 (en) Private health information interchange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Elangovan et al.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KR101925322B1 (ko) 전자인증, 전자서명 및 위변조방지를 포함하는 암호화 기반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방법
US11343330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KR101708774B1 (ko)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6458A (ko)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JP2013537669A (ja) 匿名ヘルスケアおよびレコードシステム
US10216940B2 (en)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runcated, encrypted searching of encrypted identifiers
US20150254423A1 (en) Computer-based prescription system for medicaments
CN11144453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管理平台
KR10227937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개인 권한 기반의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135332A (ko)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Rai et al. Security and privacy issues in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Kim et al. A trusted sharing model for patient records based on permissioned Blockchain
Chen et al. Security privacy and policy for cryptographic based electronic medical information system
CN116028486A (zh) 一种数据存储和数据查询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