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388B1 -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388B1
KR102492388B1 KR1020220150511A KR20220150511A KR102492388B1 KR 102492388 B1 KR102492388 B1 KR 102492388B1 KR 1020220150511 A KR1020220150511 A KR 1020220150511A KR 20220150511 A KR20220150511 A KR 20220150511A KR 102492388 B1 KR102492388 B1 KR 102492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late
outer core
core
seating portion
in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566A (ko
Inventor
황복현
김기범
이근탁
Original Assignee
영림임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림임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림임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3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with an internal foursid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82Plastic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부 골격을 구성하는 사각틀 구조의 외부심재와, 상기 외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내부골격을 형성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손잡이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심재의 전후면이 동시에 스테이플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각각 절단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로 이루어진 외부심재(11)와, 상기 외부심재(11)의 세로외부심재(11b)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와, 상기 내부심재(12)의 안쪽에는 위치되도록 안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심재(13)가 각각 안착이 이루지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로 구성된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저면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하부타카건(300)과; 상기 하부타카건(300)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과;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상부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상부타카건(400)과; 상기 상부타카건(400)이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좌우 양측단부가 고정프레임(500)에 연결되어있는 상부이동프레임(600)과;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 상부타카건(400) 하부타카건(300), 하부이동프레임(700), 안착부(100), 고정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C)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11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1정반(111) 제2정반(112) 제3정반(113)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정반(111)은 제1수평바(7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수평바(7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정반(111)과 제2정반(112)의 간격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4정반(114) 제5정반(115) 제6정반(116)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4정반(114)은 제2수평바(8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평바(8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4정반(114)과 제5정반(115)의 간격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도어프레임 제작장치{Door frame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부 골격을 구성하는 사각틀 구조의 외부심재와, 상기 외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내부골격을 형성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손잡이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심재의 전후면이 동시에 스테이플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목재 도어(door)는 습기에 약하여 사용 중 뒤틀리거나 썩는 문제가 발생하고, 내구성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습기에도 강하고, 부패와 부식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도어가 개발되어 목재 도어를 대체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도어의 도어프레임은 도어의 외부 골격을 구성하는 사각틀 구조의 외부심재와, 상기 외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내부골격을 형성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손잡이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심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제작시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각각 절단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를 사각틀형상으로 결합되도록 일착적으로 스태이플 작업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외부심재(11)의 상부면을 결합시킨 후 상기 외부심재(11) 안쪽에 내부심재(1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재차 스테이플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심재(11)에 스테이플 작업이 이루어진 내부심재(12)의 안쪽에는 손잡이심재(13)를 위치신 킨 후 재차 스테이플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와 같이 전면에 스테이플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를 사각틀형상으로 결합된 외부심재(11)와, 상기 외부심재(11) 안쪽에 스테이플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진 내부심재(12) 및 상기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스테이플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손잡이심재(13)가 결합된 도어프레임(10)을 일차적으로 조립시킨 후 상기 도어프레임(10)을 뒤집어서 하면에도 동일하게 외부심재(11)와 내부심재(12) 및 손잡이심재(13)가 재차 결합되도록 스테이플 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함으로써, 상기 도어프레임(10)을 제작시 많은 제작시간과 많은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972호(등록일자 2004년04월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외부 골격을 구성하는 사각틀 구조의 외부심재와, 상기 외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내부골격을 형성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의 안쪽에 결합되어 손잡이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손잡이심재의 전후면이 동시에 스테이플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각각 절단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로 이루어진 외부심재(11)와, 상기 외부심재(11)의 세로외부심재(11b)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와, 상기 내부심재(12)의 안쪽에는 위치되도록 안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심재(13)가 각각 안착이 이루지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로 구성된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저면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하부타카건(300)과; 상기 하부타카건(300)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과;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상부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상부타카건(400)과; 상기 상부타카건(400)이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좌우 양측단부가 고정프레임(500)에 연결되어있는 상부이동프레임(600)과;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 상부타카건(400) 하부타카건(300), 하부이동프레임(700), 안착부(100), 고정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C)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11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1정반(111) 제2정반(112) 제3정반(113)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정반(111)은 제1수평바(7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수평바(7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정반(111)과 제2정반(112)의 간격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4정반(114) 제5정반(115) 제6정반(116)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4정반(114)은 제2수평바(8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평바(8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4정반(114)과 제5정반(115)의 간격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는 가로외부심재(11a)의 길이에 따라 이동부재(900)를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하부타카건(300)은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타카건(300)이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은 고정프레임(500)을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의 전후부에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타카건(400)이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타카건(400)은 전후부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이동프레임(600)에 설치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안착부에 제2안착부의 상부면에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각각 절단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와 세로외부심재로 이루어진 외부심재와, 상기 외부심재의 세로외부심재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의 안쪽에는 위치되도록 안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심재를 각각 작업자가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어부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상부이동프레임, 상부타카건, 하부타카건, 하부이동프레임, 안착부, 고정부재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도어프레임이 제작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프레임을 제작시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하고자 하는 도어프레임의 크기나 도어손잡이의 위치등이 포함된 정보를 바코드등을 이용해 작업자가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것에 의해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간격 및 제1정반 제2정반 제3정반 및 제4정반과 제5정반 정6정반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정되면서 가로외부심재와 세로외부심재로 이루어진 외부심재와, 상기 외부심재의 세로외부심재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와, 상기 내부심재의 안쪽에는 위치되도록 안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심재를 각각 안착시킬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프레임을 제작시에도 많은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됨은 물론, 제작단가가 절감되어 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프레임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도어프레임 제작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도어프레임 제작장치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프레임을 보인 정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도어프레임 제작장치를 보인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도어프레임 제작장치를 보인 평면도 이다.
본 발명인 도어프레임 제작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각각 절단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로 이루어진 외부심재(11)와, 상기 외부심재(11)의 세로외부심재(11b)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와, 상기 내부심재(12)의 안쪽에는 위치되도록 안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심재(13)가 각각 안착이 이루지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로 구성된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저면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하부타카건(300)과; 상기 하부타카건(300)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과;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상부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상부타카건(400)과; 상기 상부타카건(400)이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좌우 양측단부가 고정프레임(500)에 연결되어있는 상부이동프레임(600)과;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 상부타카건(400) 하부타카건(300), 하부이동프레임(700), 안착부(100), 고정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C)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는 가로외부심재(11a)의 길이에 따라 이동부재(900)를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11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1정반(111) 제2정반(112) 제3정반(113)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3정반(113)은 제1수평바(7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바(7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2정반(112)과 제1정반(111)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정반(111)과 제2정반(112)의 간격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의 간격이 제어부(C)에 입력된 도어프레임의 크기 및 도어손잡이가 설치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안착부(12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4정반(114) 제5정반(115) 제6정반(116)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6정반(116)은 제2수평바(8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수평바(8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5정반(115)과 제4정반(114)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4정반(114)과 제5정반(115)의 간격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의 간격이 제어부(C)에 입력된 도어프레임의 크기 및 도어손잡이가 설치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부타카건(300)은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타카건(300)이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은 고정프레임(500)을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의 전후부에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타카건(400)이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타카건(400)은 전후부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이동프레임(6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하고자 하는 도어프레임(10)의 크기나 도어손잡이의 위치등이 포함된 정보를 바코드등을 이용해 작업자가 제어부(C)에 입력시키면,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간격이 제어부(C)에 입력된 거리와 일치되도록 제2안착부(120)가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이동됨과 동시에 제2정반(112)과 제1정반(111) 및 제5정반(115)과 제4정반(114)이 각각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격이 조정된다.
이때, 상기 제2안착부(120)가 전후진 되면서 벌어지면서 발생된 거리만큼 하부이동프레임(700)이 고정프레임(500)을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하부타카건(300)과 하부타카건(300)이 이격되면서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상부에는 상부이동프레임(600)의 후부에 설치된 상부타카건(400)이 전후부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상부에 상부타카건(400)이 위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간격이 제어부(C)에 입력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벌어진 후에는 작업자가 상기 정반(111,112,113,114,115,116)의 상부면에 각각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로 이루어진 외부심재(11)를 올려놓은 후 상기 외부심재(11)의 세로외부심재(11b) 안쪽에 내부심재(12)를 위치시키고, 상기 내부심재(12)의 안쪽에는 손잡이심재(13)를 위치시키면 제어부(C)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고정부재(200)가 작동되면서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정반(111,112,113,114,115,116)에 고정되게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후에는 하부이동프레임(700)과 상부이동프레임(600)이 각각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어부(C)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부타카건(400)과 하부타카건(300)이 각각 작동되면서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동시에 스테이플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로써, 제어부(C)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인입출되면서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를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저면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하부타카건(300)과; 상기 하부타카건(300)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을 한쌍으로 구성하여, 한공정에서 동시에 두개의 도어프레임(10)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10 : 도어프레임
11: 외부심재
11a: 가로외부심재
11b: 세로외부심재
12 : 내부심재
13 : 손잡이심재
100 : 안착부
110 : 제1안착부
120 : 제2안착부
111 : 제1정반
112 : 제2정반
113 : 제3정반
114 : 제4정반
115 : 제5정반
116 : 제6정반
200 : 고정부재
300 : 하부타카건
400 : 상부타카건
500 : 고정프레임
600 : 상부이동프레임
700 : 제1수평바
800 : 제2수평바
900 : 이동부재

Claims (7)

  1.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각각 절단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로 이루어진 외부심재(11)와, 상기 외부심재(11)의 세로외부심재(11b)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와, 상기 내부심재(12)의 안쪽에는 위치되도록 안착이 이루어지는 손잡이심재(13)가 각각 안착이 이루지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로 구성된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저면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하부타카건(300)과; 상기 하부타카건(300)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과;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상부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상부타카건(400)과; 상기 상부타카건(400)이 작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좌우 양측단부가 고정프레임(500)에 연결되어있는 상부이동프레임(600)과;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 상부타카건(400) 하부타카건(300), 하부이동프레임(700), 안착부(100), 고정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C)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11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1정반(111) 제2정반(112) 제3정반(113)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정반(111)은 제1수평바(7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수평바(7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정반(111)과 제2정반(112)의 간격 제2정반(112)과 제3정반(113)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4정반(114) 제5정반(115) 제6정반(116)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4정반(114)은 제2수평바(80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바(800)의 중간부와 타측부에는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4정반(114)과 제5정반(115)의 간격 제5정반(115)과 제6정반(116)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타카건(300)은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타카건(300)이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은 고정프레임(500)을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프레임(600)의 전후부에는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부타카건(400)이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타카건(400)은 전후부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이동프레임(6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공압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내외부로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세로외부심재(11b)와 가로외부심재(11a), 세로외부심재(11b)와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와 손잡이심재(13)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에 안착이 이루어진 가로외부심재(11a)와 세로외부심재(11b), 세로외부심재(11b)의 안쪽에 위치되는 내부심재(12), 내부심재(12)의 안쪽에 위치되는 손잡이심재(13)를 저면에서 스테이플 결합시키는 하부타카건(300)과; 상기 하부타카건(300)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동프레임(700)이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는 가로외부심재(11a)의 길이에 따라 이동부재(900)를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KR1020220150511A 2020-09-21 2022-11-1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KR102492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511A KR102492388B1 (ko) 2020-09-21 2022-11-1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06A KR102492387B1 (ko) 2020-09-21 2020-09-2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KR1020220150511A KR102492388B1 (ko) 2020-09-21 2022-11-1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306A Division KR102492387B1 (ko) 2020-09-21 2020-09-2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566A KR20220153566A (ko) 2022-11-18
KR102492388B1 true KR102492388B1 (ko) 2023-01-30

Family

ID=80995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306A KR102492387B1 (ko) 2020-09-21 2020-09-2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KR1020220150511A KR102492388B1 (ko) 2020-09-21 2022-11-1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306A KR102492387B1 (ko) 2020-09-21 2020-09-21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23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486B1 (ko) * 2006-05-09 2007-03-12 이성규 방충창틀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100758212B1 (ko) * 2006-12-21 2007-09-12 (주)케이티에스씨앤씨 창틀의 압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72Y1 (ko) 2003-12-19 2004-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심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486B1 (ko) * 2006-05-09 2007-03-12 이성규 방충창틀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100758212B1 (ko) * 2006-12-21 2007-09-12 (주)케이티에스씨앤씨 창틀의 압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14A (ko) 2022-03-29
KR102492387B1 (ko) 2023-01-30
KR20220153566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184A (en) Building truss fabrication apparatus
KR101458308B1 (ko) 하이브리드 합성 보의 제작 방법 및 하이브리드 합성보
CN204997781U (zh) 一种木料切割机
CN106541483A (zh) 一种木托盘生产线及木托盘的生产工艺
KR102492388B1 (ko) 도어프레임 제작장치
CN101417452A (zh) 一种木托盘制造方法
EP1810801A1 (de) System zum Herstell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DE43085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Reparatur beschädigter Paletten
EP2681371A1 (de) Verfahren zum fortlaufenden herstellen von verbundschalungs-plattenelementen
US2668788A (en) Method of forming a hollow core plywood door
CN108789681B (zh) 一种生产仿古板的新型工艺以及生产线
CN215149987U (zh) 一种卧式数控木墩条板打钉机
US3026519A (en) Stapling machine
JP4263899B2 (ja) プレカット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256528B1 (ko) 웨더 스트립 복합 커팅머신
US3820704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a structural frame in horizontal position
CN110774297A (zh) 一种型材切割装置
US3877132A (en) Machine for assembling structures such as frames
EP4260998A1 (en) Assembl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panel assembly
CN206718071U (zh) 一种木框架钉装机
CN207447075U (zh) 半自动多孔式桌椅平管冲孔机
CN211682138U (zh) 一种型材切割装置
EP1762353B1 (de) Presssystem für Lamellenprofile
DE19616881C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stellen einer Holzplatte aus Restholz
CN215094224U (zh) 一种用于全自动热压机的出板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