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805B1 -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805B1
KR102491805B1 KR1020210084040A KR20210084040A KR102491805B1 KR 102491805 B1 KR102491805 B1 KR 102491805B1 KR 1020210084040 A KR1020210084040 A KR 1020210084040A KR 20210084040 A KR20210084040 A KR 20210084040A KR 102491805 B1 KR102491805 B1 KR 10249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ter
pipe
discharge w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313A (ko
Inventor
김일복
김상배
조동숙
Original Assignee
김일복
김상배
엔비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복, 김상배, 엔비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일복
Priority to KR102021008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에서 음식 고형물과 분리된 배출수를 수처리하여 음식 고형물의 제거율을 더욱 개선함은 물론 배출수에 압축 공기를 주입 및 혼합하여 배출함으로써 배출수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여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악취을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관로의 유속 역시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Smart recycling system's discharge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고액분리장치를 통해 분리되는 배출수를 처리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제거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배출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인간 생활에 수반하여 필수적으로 대량 발생되는 폐기물로, 대한민국의 경우 하루에 약 1만여 톤 이상이 발생 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함유량이 약 80∼85% 정도를 구비하고 대부분 유기질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부패할 뿐 아니라 악취와 오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주거지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을 분쇄하고,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하여, 음식폐기물의 부피, 무게 그리고 부패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음식폐기물 고액분리 시스템이 설치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음식폐기물 고액분리 시스템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878911호(참고문헌 1)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관통되어 배치되고,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드럼의 안쪽에 쏟아내도록 하는 이송 파이프; 상기 드럼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분을 받는 수분 드레인 호퍼; 및 상기 드럼의 바깥쪽 하측에 배치되어 고형물을 받는 고형물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받아들이는 도입부; 미세 홀이 형성되어 수분을 바깥쪽으로 통과시키는 분리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과 분리된 고형물이 배출되는 종단부; 및 상기 분리부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구간에서 단절되어 불연속으로 형성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는, 고형물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고형물이 배출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분리부의 표면에 대하여 제1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현재 설치된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고액분리장치를 통해 음식 고형물을 분리하여 배출수를 분리 배출할 수 있지만 환경부 배출기준에 적합하도록 음식 고형물을 80% 이상 제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아울러, 이와 같은 고액분리장치를 통해 분리 배출하는 배출수는 여전히 고형물이 섞여있어 배출수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없어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오수관로의 수질 악화를 가속화하는 원인이 된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87891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에서 분리되는 음식 고형물의 제거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배출수를 처리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차로 내부필터링시스템을 통하여 음식 고형물의 제거율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배출수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여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악취방지 또는 저감시켜 최종적으로 오수관로로 배출되는 배출수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고액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배출수가 이동하는 배출수 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수를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수를 필터링 시 발생하는 부착물을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으로 배출하는 배출수 필터링 장치와, 상기 배출수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수에 공기를 혼합하여 오수관로와 연결되는 최종처리수 배출배관으로 배출하는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와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 및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를 제어하는 자동운전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와 배출수 필터링 장치 사이에는 필터청소용 공기 주입배관이 연결되어 필터 청소를 위해 공기를 배출수 필터링 장치로 주입하며,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는 링블로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의 입구측 배출수 유입배관에는 배출수 투입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의 하단에는 필터망 내부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역세 침전물 배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역세 침전물 배관의 타단은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고액분리장치와 음식물 발효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음식물 발효장치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 침전물 배관에는 침전물 배출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수 유입배관과 배출수 필터링 장치 사이에는 역세수 개폐 밸브가 구비되는 역세수 처리배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에는 플로우 스위치가 구비되며 자동운전 제어반은 상기 플로우 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수 투입 밸브와 침전물 배출 밸브를 개폐제어하여 배출수를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수를 필터링 시 발생하는 부착물을 설정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는 원통형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트위스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출수와 공기를 혼합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에서 음식 고형물과 분리된 배출수를 수처리하여 음식 고형물의 제거율을 더욱 개선함은 물론 배출수에 압축 공기를 주입 및 혼합하여 배출함으로써 배출수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여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악취을 방지 또는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배출수를 추가로 필터링하여 고형물 제거율을 85 ~ 90%로 개선함은 물론 이후 배출수에 공기를 혼합하여 최종 배출함으로 인해 배출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관로의 유속 역시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수 필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에서 음식 고형물과 분리되는 배출수의 처리를 통해 음식 고형물의 제거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우선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은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 각각의 장소에 배치되는 디스포저(disposer) 등에서 슬러지 형태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음식 고형물과 배출수를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10)와, 상기 고액분리장치(10)에서 분리된 음식 고형물을 발효 처리시키는 음식물 발효장치(20)와, 상기 고액분리장치(10)에서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수 처리 시스템(100)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수 배수펌프(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액분리장치(10)와 음식물 발효장치(20)는 음식물 발효장치 공급배관(40)으로 연결되어 고액분리장치(10)에서 배출수가 제거된 상태의 음식 고형물이 음식물 발효장치(20)로 투입되어 발효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액분리장치(10)에서 분리된 배출수는 배출수 배수펌프(30)의 구동에 의해 본 발명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100)으로 이송되어 수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의 고액분리장치(10)에서 분리된 배출수가 이동하는 배출수 유입배관(101)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수를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102)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수를 필터링 시 발생하는 부착물을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으로 배출하는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에서 필터링되어 배출수 배출배관(102)으로 배출되는 배출수에 공기를 혼합하여 오수관로(2)와 연결되는 최종처리수 배출배관(103)으로 배출하는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와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와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 및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운전 제어반(14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처리 시스템(100)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의 고액분리장치(10)에서 분리된 배출수가 배출수 배수펌프(30)의 구동시 배출수 유입배관(101)을 통해 유입되며, 유입된 배출수에 혼합된 잔여 음식물을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102)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와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 사이에는 필터청소용 공기 주입배관(104)이 연결되어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필터 청소를 위해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는 사이클론 형식으로서 필터망(예를 들어 메쉬 20)에 의해 배출수 유입배관(101)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수를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102)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필터망 내부에 고형물이 증가하여 차압발생시 배출수 유입배관(101)에 구비되는 배출수 투입 밸브(150)를 차단하고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에서 필터청소를 위한 공기를 주입하여 필터망에 부착된 잔여 음식물을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의 음식물 발효장치(20)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입구(110a)측 배출수 유입배관(101)에는 배출수 투입 밸브(150)를 구비하여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로 유입되는 배출수를 제어한다.
물론,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출구(110b)측에도 배출수 배출 밸브(151)를 구비하여 필터 청소를 위한 공기를 주입시에는 상기 배출수 투입 및 배출 밸브(150,151)를 모두 패쇄(차단)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 유입배관(101)과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 사이에는 역세수 처리배관(105)이 더 연결되고 상기 역세수 처리배관(105)에는 역세수 개폐 밸브(152)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하단(110c)에는 필터망 내부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역세 침전물 배관(106)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역세 침전물 배관(106)의 타단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의 고액분리장치(10)와 음식물 발효장치(20) 사이에 구비되는 음식물 발효장치 공급배관(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필터망 내부에 부착된 고형물은 음식물 발효장치(20)로 회수된다.
이때, 역세 침전물 배관(106)에는 침전물 배출 밸브(153)가 구비되며 개방(오픈)시 부착물을 음식물 발효장치(20)로 투입(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밸브들(150,151,152,153)의 개폐 제어는 자동운전 제어반(14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입구측 배출수 유입배관(101)에는 플로우 스위치(160)가 구비되어 자동운전 제어반(140)은 플로우 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들(150,151,152,153)을 타이머 등을 이용해 설정시간 개폐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밸브들(150,151,152,153)은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는 플로우 스위치(160)의 신호입력에 따라 정상 상태에서는 배출수 투입 및 배출 밸브(150,151)가 개방되고 역세수 개폐 밸브(152)와 침전물 배출 밸브(153)를 차단시 배출수 유입배관(101)을 통해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의 고액분리장치(10)에서 분리된 배출수가 유입되면 배출수에 혼합된 잔여 음식물을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102)으로 배출하며, 배출수가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이 사이클론 형식의 필터망에 부착하며 필터망 내부에 고형의 침전물이 증가하여 차압이 발생하면 자동운전 제어반(140)은 배출수 투입 밸브(150)를 차단(폐쇄)하고 필터청소용 공기를 주입하면서 역세수 개폐 밸브(152)를 개방하여 역세수를 투입하고 침전물 배출 밸브(153)를 개방(오픈)하여 침전물을 음식물 발효장치(20)로 이송시킨다.
물론, 이러한 역세 작업은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후 정상가동을 위해 배출수 투입 및 배출 밸브(150,151)를 개방하고 역세수 개폐 밸브(152)와 침전물 배출 밸브(153)를 차단한다.
이러한 역세 자동운전 방식은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차압이 증가하면 플로우 스위치(160)와 타이머에 의해 하부의 침전물 배출 밸브(153)가 개방되어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로 정상 유입되는 배출수의 흐름이 역방향으로 바뀌면서 필터망에 부착된 고형의 침전물을 제거하고 역세수를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의 음식물 발효장치(20) 또는 유량저장조까지 압송 배출시킨다.
이때, 추가로 역세용 공기를 주입하는 배관과 음식물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온수공급배관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를 통과하며 잔여 음식물을 필터링한 배출수는 배출수 배출배관(102)으로 배출되어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로 유입된다. 이러한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와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 사이에는 혼합용 공기 주입배관(107)이 연결되어 상기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를 통과하는 배출수에 공기가 혼합된 상태(최종처리수)로 최종처리수 배출배관(103)으로 배출되어 오수관로(2)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는 원통형의 파이프(121) 내부에 지그재그 또는 트위스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날개(122)가 구비되는 구조로서 유입되는 배출수와 공기를 내부에서 회전혼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는 파이프믹서(Pipe Mix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파이프믹서(Pipe Mixer)의 입력단 일측에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의 공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혼합용 공기 주입배관(107)을 연결하고, 상기 파이프믹서(Pipe Mixer)의 출력단에는 최종처리수 배출배관(103)이 연결된다.
상기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에 의해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를 통과하며 잔여 음식물이 필터링된 배출수에 공기를 주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배출수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여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악취방지 또는 저감시켜 최종적으로 오수관로로 배출되는 배출수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는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에 혼합용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수 필터링 장치에 역세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모터에 체결되는 정교하게 가공된 링(Ring)식 임펠러(IMPELLER)와 케이싱(CASING)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이면서 높은 토출압과 흡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송풍기의 일종으로서, 임펠러가 회전하면 흡입구 공기는 임펠러의 원심력으로 압력이 상승하면서 토출구로 고압의 공기가 흐르고, 이 공기는 케이싱에 눌려 임펠러 날개와 날개 사이에서 와류 운동이 발생하여 토출구까지 반복하므로 강한 흡입과 토출을 병행할 수 있고 터보(TURBO) 블로워보다 7 ~ 8배의 고압의 압축공기를 얻을 수 있는 효율이 높은 링블로워(Ring Blower)로 구성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의 구동 예를 설명한다.
슬러지 형태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1)에 유입되면 고액분리장치(10)에서 음식 고형물과 배출수를 분리한다. 이에 음식 고형물은 고액분리장치(10)에서 음식물 발효장치 공급배관(40)을 통해 음식물 발효장치(20)로 이동하여 발효 처리되며, 배출수는 배출수 배수펌프(30)의 구동에 의해 본 발명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100)으로 강제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수 배수펌프(3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배출수는 배출수 유입배관(101)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에 유입되어 배출수 내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필터링하여 배출된다. 이 경우 자동운전 제어반(140)은 배출수 유입배관(101)에 구비되는 플로우 스위치(160)의 신호입력시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의 필터망 내부에 고형의 침전물이 증가하여 차압이 발생하여 역세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배출수 투입 밸브(150)를 차단(폐쇄)하고 필터청소용 공기를 주입하면서 역세수를 투입하고 침전물 배출 밸브(153)를 개방(오픈)하여 침전물을 음식물 발효장치(20)로 이송하여 필터를 세척하게 되고 침전물 역시 회수하게 되므로 일 예로 고형물 제거율을 85 ~ 90% 정도로 개선 가능하다.
물론, 상기 자동운전 제어반(140)은 설정시간 경과 후에는 정상가동을 위해 배출수 투입 및 배출 밸브(150,151)를 개방하고 침전물 배출 밸브(153)를 차단함으로써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를 통한 배출수 필터링 작업을 다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배출수 필터링 장치(110)를 통해 필터링된 배출수는 배출수 배출배관(102)을 통해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120)를 통과하여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130)의 압축 공기를 혼합용 공기 주입배관(107)을 통해 공급받아 혼합시켜 최종처리수 배출배관(103)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고형물제거율을 85 ~ 90%로 개선할 수 있고, 2차로 압축공기를 배출수에 주입하여 배출수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 등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악취방지 또는 저감시킴은 물론 배출수에 포함된 공기로 인해 배출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배출수가 이동하는 관로의 유속도 개선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2: 오수관로
10: 고액분리장치 20: 음식물 발효장치
30: 배출수 배수펌프 100: 배출수 처리 시스템
110: 배출수 필터링 장치 120: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
130: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 140: 자동운전 제어반

Claims (6)

  1.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고액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배출수가 이동하는 배출수 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수를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으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수를 필터링 시 발생하는 부착물을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으로 배출하는 배출수 필터링 장치와, 상기 배출수 배출배관으로 배출되는 배출수에 공기를 혼합하여 오수관로와 연결되는 최종처리수 배출배관으로 배출하는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와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와,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 및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를 제어하는 자동운전 제어반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의 입구측 배출수 유입배관에는 배출수 투입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의 하단에는 필터망 내부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역세 침전물 배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역세 침전물 배관의 타단은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고액분리장치와 음식물 발효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음식물 발효장치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 침전물 배관에는 침전물 배출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와 배출수 필터링 장치 사이에는 필터청소용 공기 주입배관이 연결되어 필터 청소를 위해 공기를 배출수 필터링 장치로 주입하며, 상기 공기주입용 공기압축기는 링블로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유입배관과 배출수 필터링 장치 사이에는 역세수 개폐 밸브가 구비되는 역세수 처리배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필터링 장치에는 플로우 스위치가 구비되며 자동운전 제어반은 상기 플로우 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수 투입 밸브와 침전물 배출 밸브를 개폐제어하여 배출수를 필터링하여 배출수 배출배관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수를 필터링 시 발생하는 부착물을 설정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공기 혼합장치는 원통형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트위스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출수와 공기를 혼합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KR1020210084040A 2021-06-28 2021-06-28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KR10249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40A KR102491805B1 (ko) 2021-06-28 2021-06-28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40A KR102491805B1 (ko) 2021-06-28 2021-06-28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13A KR20230001313A (ko) 2023-01-04
KR102491805B1 true KR102491805B1 (ko) 2023-01-27

Family

ID=8492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40A KR102491805B1 (ko) 2021-06-28 2021-06-28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8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54B1 (ko) * 2012-05-10 2014-05-09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음식물 쓰레기로 제설제를 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0265B1 (ko) * 2015-03-23 2015-12-24 (주)화인테크워터 무동력 자동급기유닛을 구비한 가압부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044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나우바이오 오존수 및 청정수 제조 장치
KR20110050174A (ko) * 2009-11-06 2011-05-13 이용해 양어장용 산소 보충기
KR101878911B1 (ko) 2017-11-06 2018-09-20 홍정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54B1 (ko) * 2012-05-10 2014-05-09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음식물 쓰레기로 제설제를 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0265B1 (ko) * 2015-03-23 2015-12-24 (주)화인테크워터 무동력 자동급기유닛을 구비한 가압부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13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5684A (zh) 一种防堵塞的环保污水处理装置
KR101935506B1 (ko) 비점오염 처리시설
MXPA96004204A (en) Procedure and installation of separation of sand and decantation physical-chemistry of waters quenecesitan trata
CN108439684A (zh) 一种生活污水处理设备
CN208320129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2491805B1 (ko) 스마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배출수 처리 시스템
CN207031119U (zh) 一种防堵塞的环保污水处理装置
US20210220756A1 (en) Vacuum waste removal system
KR101845243B1 (ko) 필터링 장치,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CN215924664U (zh) 一种曝气沉砂池
CN211536840U (zh) 油水分离机的滤渣结构
KR101729608B1 (ko) 음식물 압축기,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방법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KR20170070844A (ko)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음식물 처리 방법
CN211871594U (zh) 一种固液分离-溶气水微泡释放型景观水治理装置
JP4594106B2 (ja) 厨芥処理システム
CN106746029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一级处理装置
CN208345893U (zh) 水利施工污水处理装置
CN112875806A (zh) 一种模块化多功能固液分离系统
CN211595407U (zh) 一种污泥脱水浓缩池
JPH0824700A (ja) 厨芥処理機
CN211035476U (zh) 一种新型污水处理系统
CN214360599U (zh) 洗车水处理系统
KR102318832B1 (ko) 유수분리조 청소용 차량탑재형 청소장치
CN218951089U (zh) 一种厨余垃圾油水渣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