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787B1 -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787B1
KR102491787B1 KR1020220132474A KR20220132474A KR102491787B1 KR 102491787 B1 KR102491787 B1 KR 102491787B1 KR 1020220132474 A KR1020220132474 A KR 1020220132474A KR 20220132474 A KR20220132474 A KR 20220132474A KR 102491787 B1 KR102491787 B1 KR 10249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waste
drum
circumferential surface
clip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3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G21F9/36Disposal of solid waste by packaging; by b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2Compressing or comp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는 방사성폐기물이 투입되는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드럼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가압본체;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Pressing-locked plate member of the compactor system for radioactive waste volume reduction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d reducing radioactive waste volu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준위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처리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 적재된 내용물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하여 적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잡고체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중 면류, 비닐류 등의 압축성 폐기물이 전체 폐기물발생량의 약 50%를 차지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0331호에는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폐기되는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을 유리화시켜 처리하기 위한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처리시스템에 관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압축성폐기물은 압축기로 압축 후 뚜껑을 체결하여 드럼을 밀봉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로는 압축된 폐기물의 부풀음 현상으로 인해 드럼내 폐기물의 적재량을 늘릴 수 없고 드럼뚜껑 체결에도 지장을 받아 약 20% 부피의 폐기물 장입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압축 수용된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일시적인 고정력을 발휘하여, 폐기물 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 감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성폐기물이 투입되는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가압본체;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본체는 원판상이되 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통기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는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인접되는 양 클립부는 측면이 'V'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복부는 탄성수지재질이며 상기 클립부에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클립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결합되는 피복부는 클립부의 단부가 억지끼움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클립부의 단부에 다수의 돌조가 형성되거나 또는 역삼각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럼의 내부에 방사성폐기물을 투입한 후 상부로부터 압축기가 상기 드럼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상부로부터 상기 압축기가 하강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하는 단계;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상기 드럼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방사성폐기물을 눌러서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하는 단계; 또다른 방사성폐기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추가로 투입한 후 상부로부터 압축기가 상기 드럼 내에 삽입되어 하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상부로부터 상기 압축기가 하강하여 상기 또다른 방사성폐기물을 압축시키는 단계; 및 또다른 상기 누름걸림부재를 상기 드럼 내에 삽입하고 가압시켜 상기 또다른 방사성폐기물을 눌러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의 내주면에 삽입된 후 압축기에 의해 가압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다음 클립부의 벌어지려는 탄성에 의해 피복부가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압축 적재된 내용물(저준위방사성폐기물)이 부풀어 오르지 않으므로 압축률과 적재량이 증대될 수 있고,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서 피복부의 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공정의 예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에서 피복부의 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공정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A)는,
방사성폐기물(500)이 투입되는 드럼(D)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압본체(100), 클립부(200) 및 피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가압본체(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드럼(D)의 내주면에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드럼(D)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의 (b)를 참조하면, 가압본체(100)는 원판상이되 격자형(가압본체가 통기성을 갖도록 하면 되므로 격자형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의 통공(120)이 다수 형성되어 통기성을 갖도록 하여 방사성폐기물(500)을 압축시 발생되는 공기가 통공(1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압축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부피를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클립부(200)는 상기 가압본체(100)의 외주연에 연결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가압본체(100)를 드럼(D)의 내주면에 압입하면 클립부(200)가 오므려졌다가 외향 지지력에 의해 클립부(200)의 끝단이 드럼(D)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클립부(200)는 가압본체(10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인접되는 양 클립부(200)는 측면이 'V'자 형상의 홈(250)이 형성되어 클립부(200)들이 오므려졌을 때 인접된 클립부(200)들끼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클립부(200)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클립부(200)들의 오므려짐이 원활해지고 클립부(200)들 간의 충돌을 막아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피복부(300)는 상기 클립부(20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피복부(300)는 드럼(D)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마찰력에 의해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가압본체(100)가 압축 적재된 내용물의 부풀음에 의해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피복부(300)는 탄성수지재질 즉 우레탄, 천연고무,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져 마찰력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피복부(300)는 클립부(200)에 코팅되거나 또는 클립부(200)에 끼움결합되어 일체화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립부(200)에 끼움결합되는 피복부(300)는 클립부(200)의 단부가 억지끼움되도록 결합홈(320)이 형성되고, 클립부(200)의 단부에 다수의 돌조(230)가 형성(도 4의 (a) 참조)되거나 또는 역삼각 돌기(270)가 형성(도 4의 (b) 참조)된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따르는 피복부(300)는 클립부(200)의 단부에 억지끼움되거나 또는 클립부(200)를 성형몰드에서 성형가공할 때 피복부(300)를 성형몰드에 삽입하여 함께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공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S1)) 도 5의 (a)를 참조하면, 드럼(D)의 내부에 방사성폐기물(500)을 투입한 후 상부로부터 압축기(P)가 드럼(D)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강을 준비한다.
2단계(S2))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압축기(P)가 하강하여 방사성폐기물(500)을 압축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압축기(P)가 상승된 후 방사성폐기물(500)이 다시 부풀어오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3단계(S3)) 도 5의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A1)를 드럼(D)의 내부에 삽입하여 방사성폐기물(500)을 눌러서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한다.
4단계(S4)) 도 5의 (e)를 참조하면, 또다른 방사성폐기물(500')을 드럼(D)의 내부에 추가로 투입한 후 상부로부터 압축기(P)가 드럼(D) 내에 삽입되어 하강을 준비한다.
5단계(S5)) 도 5의 (f)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압축기(P)가 하강하여 또다른 방사성폐기물(500')을 압축시킨다.
도 5의 (g)를 참조하면, 압축기(P)가 상승된 후 방사성폐기물(500')이 다시 부풀어오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6단계(S6)) 5단계(S5) 이후 도 5의 (h)를 참조하면, 또다른 누름걸림부재(A2)를 드럼(D) 내에 삽입하고 가압시켜 방사성폐기물(500')을 눌러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다단으로 삽입된 누름걸림부재(A1,A2)가 각각의 압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축률과 적재량을 높여 대량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가압본체 120 : 통공
200 : 클립부 230 : 돌조
250 : 홈 270 : 역삼각 돌기
300 : 피복부 A, A1, A2 : 누름걸림부재

Claims (6)

  1. 방사성폐기물이 투입되는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가압본체;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본체는 원판상이되 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통기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인접되는 양 클립부는 측면이 'V'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4. 방사성폐기물이 투입되는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가압본체;
    상기 가압본체의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피복부는 탄성수지재질이며 상기 클립부에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클립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되는 피복부는 상기 클립부의 단부가 억지끼움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의 단부에 다수의 돌조가 형성되거나 또는 역삼각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6.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사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드럼의 내부에 방사성폐기물을 투입한 후 상부로부터 압축기가 상기 드럼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상부로부터 상기 압축기가 하강하여 상기 방사성폐기물을 압축하는 단계;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상기 드럼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방사성폐기물을 눌러서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하는 단계;
    또다른 방사성폐기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추가로 투입한 후 상부로부터 상기 압축기가 상기 드럼 내에 삽입되어 하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상부로부터 상기 압축기가 하강하여 상기 또다른 방사성폐기물을 압축시키는 단계; 및
    또다른 상기 누름걸림부재를 상기 드럼 내에 삽입하고 가압시켜 상기 또다른 방사성폐기물을 눌러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KR1020220132474A 2022-10-14 2022-10-14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KR10249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474A KR102491787B1 (ko) 2022-10-14 2022-10-14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474A KR102491787B1 (ko) 2022-10-14 2022-10-14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787B1 true KR102491787B1 (ko) 2023-01-27

Family

ID=8510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474A KR102491787B1 (ko) 2022-10-14 2022-10-14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7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00A (ja) * 1986-07-09 1988-01-2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固体廃棄物の圧縮減容装置
JPH1039091A (ja) * 1996-07-25 1998-02-13 Kobe Steel Ltd 放射性物質の収納容器及び放射線遮蔽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00A (ja) * 1986-07-09 1988-01-2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固体廃棄物の圧縮減容装置
JPH1039091A (ja) * 1996-07-25 1998-02-13 Kobe Steel Ltd 放射性物質の収納容器及び放射線遮蔽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2095A (en) Bag with means for vacuuming an internal space thereof
US5022901A (en) Compression seal canister
JPH06511070A (ja) ばね装填樹脂製シール装置
KR102491787B1 (ko) 방사성폐기물 압축감용시스템용 누름걸림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압축감용하는 방법
JPS6360270B2 (ko)
AU2023992A (en) Composite elastomeric spring and mounting apparatus
KR100331589B1 (ko) 의치 어태치먼트와 그 고정방법 및 고정용 스페이서
JP2010124072A (ja) 筐体の防水機構、筐体組立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1986296B1 (ko) 화장품 용기
FI76629B (fi) Faestande av stela insatser i ett elastiskt material.
CA2021787A1 (en) Pressure vessel with diaphragm compression seal
KR101395609B1 (ko) 밀폐용기의 가스배출용 체크밸브
EP0025647A3 (e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particle entrapment
US4468095A (en) Sight glass assembly
US11590005B2 (en) Method for connecting at least two structural parts of an orthopedic component and orthopedic component having at least two structural parts
WO2002074187A3 (fr) Dispositif favorisant et renforcant l'erection de la verge
DE60004029D1 (de) Behälterverschluss
ES2158530T3 (es) Adhesivo.
KR20140013979A (ko) 성형형, 주머니상체 및 흑연 재료의 제조 방법
US10464279B2 (en) Injection molded part having a base part and a thereto fastened cushioning shaped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34083B1 (ko) 마이크로 펌프 용기
JPH0293155A (ja) ダンパープーリ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0201B1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JP3732624B2 (ja) 化粧料容器
AU562873B2 (en) Vibration-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