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523B1 -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 Google Patents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1523B1 KR102491523B1 KR1020220119595A KR20220119595A KR102491523B1 KR 102491523 B1 KR102491523 B1 KR 102491523B1 KR 1020220119595 A KR1020220119595 A KR 1020220119595A KR 20220119595 A KR20220119595 A KR 20220119595A KR 102491523 B1 KR102491523 B1 KR 102491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ylinder head
- vertical
- inner space
- vertical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5/00—Crowbars or le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 등의 이동 장치가 구비되는 설비를 미세하게 밀수 있도록 바닥에 배치시킨 뒤 그 위로 지렛대의 하단을 접속시키고 지렛대의 상단을 밀어 설비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에 관한 것으로,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 패드; 상기 안착 패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패드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후단 및 양측 테두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 및 양측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비의 미세 이동을 위한 지렛대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전단에 단턱을 형성시키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 등의 이동 장치가 구비되는 설비를 미세하게 밀수 있도록 바닥에 배치시킨 뒤 그 위로 지렛대의 하단을 접속시키고 지렛대의 상단을 밀어 설비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퀴가 부착되지 않은 무거운 하중체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팔렛트 위에 안치되어 지게차 또는 기중기 등으로 들어올려 져 자리를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하중체가 이동되는 거리가 비교적 짧은 이동거리일 경우에는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이동하여 사용하기에는 그 비용이 과다하여 여러 명이 합심하여 들어올려 이동하는 등의 수고로움을 동반하게 되었다.
또한, 다수의 인원으로도 하중체를 들어올리지 못할 경우에는 쇠지렛대를 사용하여 하중체의 일측을 들어올린 후 하중체의 바닥에 로울러로 사용될 파이프 등을 받쳐 하중체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였고 근거리 이동 후에도 정확한 위치선정을 위해서는 쇠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약간씩 움직여 가며 위치를 선정하는 작업을 하였으나 이와 같은 작업은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요하게 되고, 또한 작업중 부상을 입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바퀴 등의 이동 장치가 구비되는 설비를 미세하게 밀수 있도록 바닥에 배치시킨 뒤 그 위로 지렛대의 하단을 접속시키고 지렛대의 상단을 밀어 설비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 패드; 상기 안착 패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패드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후단 및 양측 테두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 및 양측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비의 미세 이동을 위한 지렛대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전단에 단턱을 형성시키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패드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지렛대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전진 이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패드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실린더 설치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실린더 헤드;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하측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에 삽입 설치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로드;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지지 로드의 상측을 지지하는 로드 지지 스프링;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압축 공기를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직 지지 로드와 상기 전진 이동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공기 전달 배관으로 배출시켜 주고,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다시 하강할 경우에는 차단되어 상기 압축 공기 전달 배관으로부터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는 제1 체크 밸브; 및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강할 경우에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를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주고,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경우 차단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압축 공기의 유출을 차단시켜 주는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진 이동 실린더는, 상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경사 실린더 헤드;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하측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에 삽입 설치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 로드;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 지지 로드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크 밸브와 상기 압축 공기 전달 배관에 의해 연통 형성되어 상기 압축 공기 전달 배관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전달될 경우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공기의 상기 압축 공기 전달 배관으로의 유출을 차단시켜 주는 제3 체크 밸브; 및 상기 경사 지지 로드가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강할 경우에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를 차단 시켜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압축 공기의 유출을 차단시켜 주고, 상기 경사 지지 로드가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경우 개방되어 상기 경사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제4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거나, 사용자가 발바닥으로 눌러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퀴 등의 이동 장치가 구비되는 설비를 미세하게 밀수 있도록 바닥에 배치시킨 뒤 그 위로 지렛대의 하단을 접속시키고 지렛대의 상단을 밀어 설비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사용상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전진 이동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사용상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전진 이동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10)는, 안착 패드(100), 제1 플레이트(200) 및 제2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안착 패드(10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패드(100)는, 바닥면에서의 밀림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0)는, 지렛대(L)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금속 평판 형태로 제작되며, 안착 패드(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패드(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2 플레이트(300)는, 지렛대(L)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금속 평판 형태로 제작되며, 제1 플레이트(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제1 플레이트(200)보다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후단 및 양측 테두리가 제1 플레이트(200)의 후단 및 양측과 일치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비의 미세 이동을 위한 지렛대(L)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전단에 단턱(C)을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10)는, 안착 패드(100), 제1 플레이트(200) 및 제2 플레이트(300)는 다수 개의 볼트(B-1 내지 B-N)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10)는, 바퀴 등의 이동 장치가 구비되는 설비를 미세하게 밀수 있도록 바닥에 배치시킨 뒤 그 위로 지렛대의 하단을 접속시키고 지렛대(L)의 상단을 밀어 설비를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20)는, 안착 패드(100), 제1 플레이트(200), 제2 플레이트(300),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400) 및 전진 이동 실린더(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 패드(100), 제1 플레이트(200) 및 제2 플레이트(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400)는, 제1 플레이트(20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제1 플레이트(200)를 지지하며, 지렛대(L)에 의해 제1 플레이트(200)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개별적으로 전진 이동 실린더(50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패드(100)는,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4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실린더 설치홀(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진 이동 실린더(500)는, 제1 플레이트(200)의 후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1 플레이트(200)의 후단을 지지하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4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신장되어 제1 플레이트(200)를 전진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20)는, 지렛대(L)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압축된 후 신장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전진 이동 실린더(500)가 신장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진 이동시켜 줄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전진 이동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400)는, 수직 실린더 헤드(410), 수직 지지 로드(420), 로드 지지 스프링(430), 제1 체크 밸브(440) 및 제2 체크 밸브(450)를 포함한다.
수직 실린더 헤드(410)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1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수직 지지 로드(420)는,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하측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수직 실린더 헤드(410)에 삽입 설치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어 수직 실린더 헤드(410)를 지지한다.
로드 지지 스프링(430)은,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 지지 로드(42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1 체크 밸브(440)는,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수직 지지 로드(420)가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형성되는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의 압축 공기를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수직 지지 로드(420)와 전진 이동 실린더(500)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공기 전달 배관(A)으로 배출시켜 주고, 수직 지지 로드(420)가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다시 하강할 경우에는 차단되어 압축 공기 전달 배관(A)으로부터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준다.
제2 체크 밸브(450)는, 수직 지지 로드(420)가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강할 경우에 수직 실린더 헤드(410)를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주고, 수직 지지 로드(420)가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경우 차단되어 수직 실린더 헤드(4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압축 공기의 유출을 차단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400)는, 지렛대(L)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압축 공기를 전진 이동 실린더(50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전진 이동 실린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진 이동 실린더(500)는, 경사 실린더 헤드(510), 경사 지지 로드(520), 받침대(530), 제3 체크 밸브(540) 및 제4 체크 밸브(550)를 포함한다.
경사 실린더 헤드(510)는, 상단이 제1 플레이트(20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경사 지지 로드(520)는,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하측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경사 실린더 헤드(510)에 삽입 설치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어 경사 실린더 헤드(510)를 지지하며, 제3 체크 밸브(540)를 통해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하강하면서 경사 실린더 헤드(510)를 전진 이동시켜 준다.
받침대(53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단이 경사 지지 로드(520)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30)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거나, 사용자가 발바닥(S)으로 눌러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체크 밸브(540)는,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체크 밸브(440)와 압축 공기 전달 배관(A)에 의해 연통 형성되어 압축 공기 전달 배관(A)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전달될 경우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의 공기의 압축 공기 전달 배관(A)으로의 유출을 차단시켜 준다.
제4 체크 밸브(550)는, 경사 지지 로드(520)가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강할 경우에 경사 실린더 헤드(510)를 차단 시켜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의 압축 공기의 유출을 차단시켜 주고, 경사 지지 로드(520)가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경우 개방되어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진 이동 실린더(500)는,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하였던 경사 지지 로드(520)가 압축공기에 의해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강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도록 경사 실린더 헤드(5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노출 스프링(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100: 안착 패드
200: 제1 플레이트
300: 제2 플레이트
100: 안착 패드
200: 제1 플레이트
300: 제2 플레이트
Claims (3)
-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 패드;
상기 안착 패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패드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후단 및 양측 테두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 및 양측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비의 미세 이동을 위한 지렛대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전단에 단턱을 형성시키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패드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지렛대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압축 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전진 이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패드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다수 개의 실린더 설치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 실린더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실린더 헤드;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하측으로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에 삽입 설치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로드;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 지지 로드의 상측을 지지하는 로드 지지 스프링;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의 압축 공기를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직 지지 로드와 상기 전진 이동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공기 전달 배관으로 배출시켜 주고,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다시 하강할 경우에는 차단되어 상기 압축 공기 전달 배관으로부터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는 제1 체크 밸브; 및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하강할 경우에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를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주고, 상기 수직 지지 로드가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할 경우 차단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 헤드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압축 공기의 유출을 차단시켜 주는 제2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9595A KR102491523B1 (ko) | 2022-09-21 | 2022-09-21 |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9595A KR102491523B1 (ko) | 2022-09-21 | 2022-09-21 |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1523B1 true KR102491523B1 (ko) | 2023-01-20 |
Family
ID=8510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9595A KR102491523B1 (ko) | 2022-09-21 | 2022-09-21 |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152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0548A (ja) * | 2003-12-09 | 2005-06-30 | Koji Aigase | 重量物持上げ治具 |
US20060108570A1 (en) * | 2004-11-23 | 2006-05-25 | Del Favero Michael L | Adjustable fulcrum member for use with a pry bar |
KR101386334B1 (ko) | 2013-09-27 | 2014-04-17 | 제이엔엠코리아 주식회사 | 하중체 이동용 지렛대 |
US20200307979A1 (en) * | 2019-03-29 | 2020-10-01 | Robert Bosch Gmbh | Pry Bar Attachment having Adjustable Fulcrum |
US20210323801A1 (en) * | 2008-06-18 | 2021-10-21 | Glenn Hironaga | Stake Removal Apparatus |
-
2022
- 2022-09-21 KR KR1020220119595A patent/KR1024915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0548A (ja) * | 2003-12-09 | 2005-06-30 | Koji Aigase | 重量物持上げ治具 |
US20060108570A1 (en) * | 2004-11-23 | 2006-05-25 | Del Favero Michael L | Adjustable fulcrum member for use with a pry bar |
US20210323801A1 (en) * | 2008-06-18 | 2021-10-21 | Glenn Hironaga | Stake Removal Apparatus |
KR101386334B1 (ko) | 2013-09-27 | 2014-04-17 | 제이엔엠코리아 주식회사 | 하중체 이동용 지렛대 |
US20200307979A1 (en) * | 2019-03-29 | 2020-10-01 | Robert Bosch Gmbh | Pry Bar Attachment having Adjustable Fulcr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83190A1 (en) | An arrangement for handling a load | |
KR20120101963A (ko) |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 |
KR102491523B1 (ko) | 설비 미세 이동을 위한 받침 패드 | |
US3724602A (en) | Automobile hoist | |
US2684164A (en) | Pipe nestling apparatus | |
US3048237A (en) | Motor vehicle support | |
US3536161A (en) | Portable servicing lift for vehicle | |
US4964617A (en) | Removable extension for a hydraulic floor jack | |
CN107401484A (zh) | 风塔组装方法 | |
CN208532111U (zh) | 一种自动化升降机构 | |
KR101635367B1 (ko) | 운반장치 | |
KR101546926B1 (ko) |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솔리드형 타이어 조립장치 | |
US5486083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vehicle frame | |
CN207498837U (zh) | 一种公路桥梁施工支撑托架 | |
CN108298457A (zh) | 一种自动顶升设备 | |
CN110857211B (zh) | 带伸缩轮的升降机底座 | |
US1684607A (en) | Hoist | |
JPS5851508B2 (ja) | 物品搬送仲介装置 | |
US5904235A (en) | Spreader | |
JP6302535B1 (ja) | エレベータの重量物揚重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重量物揚重方法 | |
US20190202599A1 (en) | Easy lift spreader beam rack | |
US20190202598A1 (en) | Easy lift rack | |
CN211110923U (zh) | 一种用于高井口的维修装置 | |
US4014515A (en) | Snubber for one end lift jacks | |
US1426068A (en) | Automobile j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