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319B1 -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319B1
KR102491319B1 KR1020220079453A KR20220079453A KR102491319B1 KR 102491319 B1 KR102491319 B1 KR 102491319B1 KR 1020220079453 A KR1020220079453 A KR 1020220079453A KR 20220079453 A KR20220079453 A KR 20220079453A KR 102491319 B1 KR102491319 B1 KR 10249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user
user terminal
information
data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레스트256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레스트256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레스트256
Priority to KR102022007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58Change logging, detection, and no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METHOD FOR SUPPORTING BUSINESS CARD INFORMATION EXCHANGE AND MANAGEMENT BETWEEN USER TERMINAL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명함(Business Card)을 주고받는 행위는 매우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명함은 종이로 작성되었으며, 상대방을 만날 때 명함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가 명함을 휴대하여야 하였다. 또한, 보유하고 있는 명함을 여러 사람에게 배포하고 나면 명함을 새로 만들어야 하고, 명함이 부족하여 명함을 상대방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또한,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종이 형태의 명함에 기재된 정보를 핸드폰에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로 수작업으로 명함 정보를 핸드폰에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명함의 연락처를 핸드폰에 입력한 이 후에 상대방이 회사를 옮기거나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이러한 상대방의 변경 정보가 핸드폰에 저장된 명함에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아 상대방과 연락이 단절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한편, 최근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전자 명함을 인터넷으로 교환 배포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자 명함에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을 우려 때문에 전자 명함을 수신하기 꺼릴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전자 명함을 받은 이후에 상대방의 연락처가 변경된 경우에는 상대방의 연락처를 확인하지 못하며, 자신의 연락처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전자 명함을 상대방에게 다시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8309호(2022.04.1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상기 명함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 상기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상기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전달받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제2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상기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명함 ID는 16개 내지 32개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HEX 코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상기 명함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전자 명함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상기 제2 사용자의 명함 ID를 전달받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명함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해 생성된 전자 명함첩에 상기 제2 사용자의 명함 ID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된 명함 정보를 편집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명함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넷 데이터 센터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들 상호 간에 명함 정보를 교환하고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관리, 운용할 수 있는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서로 명함 ID 만을 교환하여 명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명함 ID를 주고받은 이후에 명함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된 명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명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명함 정보를 등록하는 필드들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기들 간에 명함 ID를 교환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광 통신을 통해 명함 ID를 수신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QR 코드 스캔을 통해 명함 ID를 수신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와,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명함 정보 전달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형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랩탑, 노트북 등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명함 ID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명함 ID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대방 단말기로 명함 ID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 또는 바코드/QR 코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먼저 각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명함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 연락처 정보 등)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사전 등록하고, 이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부터 각 사용자의 고유한 명함 ID를 발급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되는 명함 정보에는 각 사용자의 이름(국문 이름, 영문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E-Mail) 등 연락에 핵심이 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되는 명함 정보에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 주요 경력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부터 발급받는 사용자의 명함 ID는 전체 사용자들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긴 길이의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명함 ID는 예를 들어, 16개 ~ 32개의 문자로 구성되는 HEX 코드로 제공될 수 있다.
명함 교환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들(10) 상호 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는 정보는 전체 명함 정보가 아닌, 사용자의 명함 ID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E-Mail) 등의 명함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들(10) 상호 간에 직접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들(10) 간에 그러한 구체적인 명함 정보를 제외하고 사용자의 명함 ID 정보만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들(10) 간에 명함 ID가 전송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된 LED 후레쉬와 LED 이미지 센서를 통한 전송 방식,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 인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대방의 명함 ID를 직접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명함 ID를 교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의 후레쉬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명함 ID 발신 장치가 되고, 상대방 휴대폰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명함 ID 수신 장치가 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받은 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상대방의 명함 ID를 받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해당 사용자의 상대방의 명함 ID를 사용자 자신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명함 ID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10)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명함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 고유한 전자 명함첩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과 명함을 교환한 다른 사용자(상대방)의 명함 ID를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된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2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은 상대방의 명함 정보는 포함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전달받은 명함 ID들로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받아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의 연락처(전화번호부)에 자동 등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에 등록되는 연락처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와 명함을 교환한 명함 ID만 포함되도록 하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연락처에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부터 전달받은 상대방의 명함 정보가 모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명함 정보가 변경 또는 업데이트되는 경우,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해당 변경 또는 업데이트 정보만 등록하면, 해당 사용자의 명함 정보 변경 전에 사용자의 명함 ID를 전달받은 상대방(타 사용자)일지라도 사용자의 변경 또는 업데이트된 정보를 명함 ID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저장된 전자 명함첩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된 연락처 또한 자동으로 변경 또는 업데이트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명함 정보에 변동 사항이 생기더라도, 명함 ID를 교환한 사용자들 간에 연락이 서로 두절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적인 방법에 의해서 명함을 주고받음으로써 명함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들(10) 상호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양이 적기 때문에 명함 정보를 교환하는데 소요되는 정보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명함 정보 등록부(11), 명함 ID 저장부(12), 명함 ID 전달부(13), 명함 ID 수신부(14), 명함 ID 송신부(15), 및 전자 명함 조회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정보 등록부(11), 명함 ID 저장부(12), 명함 ID 전달부(13), 명함 ID 수신부(14), 명함 ID 송신부(15) 및 전자 명함 조회부(1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됨)에서 메모리(memory)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정보 등록부(11)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E-Mail), 얼굴 사진, 주요 이력 등을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입력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ID 저장부(12)는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서 발급되어 전송받은 사용자(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저장할 수 있다.
명함 ID 전달부(13)는 다른 사용자(제2 사용자)에게 사용자(제1 사용자) 자신의 명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제1 사용자의 명함 ID(제1 명함 ID)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명함 ID 전달부(13)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된 통신부(도시 생략됨)를 이용하여 명함 ID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명함 ID 수신부(14)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의 명함 ID(제2 명함 ID)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명함 ID 수신부(14)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된 통신부(도시 생략됨)를 이용하여 명함 ID를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의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패드)를 통해 직접 명함 ID를 입력할 수 있다.
명함 ID 송신부(15)는 제2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2 사용자의 명함 ID(제2 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ID 송신부(15)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직접 입력된 상대방의 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송신할 수 있다.
명함 ID는 두 사용자 상호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명함 ID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고, 제2 사용자의 명함 ID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명함 ID를 전달받은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제2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추가하도록, 제1 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명함 ID를 전달받은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제2 사용자의 명함 ID를 추가하도록, 제2 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명함 조회부(16)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제2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는 제2 사용자의 제2 명함 ID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제2 명함 ID를 통해 제2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는 제1 사용자의 제1 명함 ID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명함 ID를 통해 제1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Cloud Data Center)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와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명함 정보 입력부(21), 명함 ID 생성부(22), 명함 ID 전송부(23), 명함 ID 입력부(24), 및 전자 명함첩 관리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정보 입력부(21)는 명함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제1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ID 생성부(22)는 명함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ID는 전체 사용자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16개 ~ 32개의 문자로 구성되는 HEX 코드로 제공될 수 있다.
명함 ID 전송부(23)는 명함 등록을 요청한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명함 ID 전송부(23)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구비된 통신부(도시 생략됨)를 이용하여 명함 ID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명함 ID 입력부(24)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명함 ID를 전달받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수신하여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함 ID 입력부(24)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구비된 통신부(도시 생략됨)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명함 ID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명함첩 관리부(25)는 제2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제2 사용자의 명함첩에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제1 사용자의 명함 ID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방법은 명함 정보 등록 및 명함 ID 생성 단계(S10), 명함 ID 교환 단계(S20), 및 명함 ID 등록 및 명함 정보 조회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명함 정보 등록 및 명함 ID 생성 단계(S10)에서, 다수의 사용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a, 10b)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명함 정보 등록을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요청할 수 있다(S11, S12).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a)에 대해 제1 명함 ID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 전송하고(S13, S14), 제2 사용자 단말기(10b)에 대해 제2 명함 ID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S15, S16).
명함 ID 교환 단계(S20)에서, 사용자들은 상호 간에 명함 ID를 교환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의 제1 명함 ID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 전송되고(S21), 제2 사용자의 제2 명함 ID는 제2사용자 단말기(10b)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 전송될 수 있다(S2).
명함 ID 등록 및 명함 정보 조회 단계(S30)에서,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2 명함 ID를 전송받고(S31),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부터 제1 명함 ID를 전송받을 수 있다(S32).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부터 전송받은 제1 명함 ID를 제2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하고(S33),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전송받은 제2 명함 ID를 제1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할 수 있다(S34).
각 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명함 ID를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S35, S36).
도 5는 명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명함 ID와, 명함 정보(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E-Mail, 소속, 직위, 주소, 자기소개, 옵션 등)를 포함하는 명함 등록 정보(30), 및 각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40)을 저장할 수 있다.
명함 ID는 전세계 인구를 커버하도록 Hex 문자 16~32개 정도의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앱을 이용하여 웹을 통해 가입하여 등록된 사용자 개인의 기본 연락 정보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될 수 있다.
어떤 사용자가 타 사용자로부터 명함 ID를 전달받아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송신하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된 사용자 자신의 명함첩에 타인으로부터 전달받은 명함 ID가 저장되고, 업데이트 날짜가 기록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명함 정보를 등록하는 필드들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정해진 필드(Field)에 정보를 입력하여 명함 정보의 등록을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 명함 정보 입력 후 명함 등록 항목을 입력하면, 입력된 명함 정보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로 전송되며, 사용자에 대해 생성된 명함 ID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되고,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기들 간에 명함 ID를 교환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b)는 후레쉬(10c)와 이미지 센서(10d)가 대향하는 상태로 명함 ID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a)는 후레쉬(10c)를 통해 광을 출력하여 명함 ID를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10b)는 이미지 센서(10d)에 의해 광을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전송된 명함 ID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 제1 사용자의 명함 ID(제1 명함 ID)가 전송되면, 이어서 제2 사용자 단말기(10b)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기(10a)로 제2 사용자의 명함 ID(제2 명함 ID)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사용자들 상호 간에 명함 ID가 교환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b)는 동시에 상호 간에 명함 ID를 교환할 수도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기(10a)의 후레쉬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b)의 이미지 센서가 대향하는 동시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a)의 이미지 센서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b)의 후레쉬가 대향하도록 제1 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b)를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들(10a, 10b) 상호 간에 동시에 명함 ID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광 통신을 통해 명함 ID를 수신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의 후레쉬와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이미지 센서 간에 LED 광 데이터 통신을 통해 명함 ID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 후레쉬를 비추는 쪽이 데이터를 보내는 쪽이 되며, 역할을 바꾸면 주고받는 것이 반대가 된다.
이때 어느 한 사용자 단말기의 후레쉬는 계속 데이터를 보내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이미지 센서는 데이터를 받으며, 병렬로 2개의 일을 스마트폰이 계속 수행하여 두 사용자 단말기들 간에 자연스럽게 명함 ID를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받은 명함 ID는 즉시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업데이트되고(즉, 명함 ID가 사용자 단말기의 연락처에 등록됨), 동시에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전송될 수 있다.
명함 ID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는 데이터 송수신 항목(101), 명함 조회 항목(102), 명함 등록 항목(103), 광 통신 선택 항목(104), QR 코드 선택 항목(105), 수신 데이터 표시 영역(106), 명함 ID 표시 영역(107), 오류 체크 영역(108), 명함 ID 수동 입력 항목(109)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데이터 송수신 항목(101)을 입력하면,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ID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명함 ID가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명함 조회 항목(102)을 입력하면,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ID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송신되고, 송신된 명함 ID에 해당하는 타 사용자의 명함 정보가 조회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명함 등록 항목(103)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명함 정보를 최초 등록하거나, 수정/업데이트/삭제 등의 편집을 할 수 있으며, 편집된 명함 정보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어 해당 사용자의 명함 정보가 편집된 명함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대방 명함 ID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되고, 상대방 명함 ID에 의해서 등록된 상대방 개인 정보가 클라우드 내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변경된 명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들의 명함 정보가 자동 업데이트되어 항상 최신의 정보를 유지하므로, 상대방의 명함 정보가 바뀌더라도 상대방과 연락이 두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광 통신 선택 항목(104)과, QR 코드 선택 항목(105)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광 통신을 통해 명함 ID를 수신하거나, QR 코드를 통해 명함 ID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데이터 표시 영역(106)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명함 ID 표시 영역(107)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명함 ID가 표시될 수 있다.
오류 체크 영역(108)에는 명함 ID의 정상 수신 여부, 수신 실패 등의 오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명함 ID 수동 입력 항목(109)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명함 ID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직접 명함 ID를 입력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는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가 임의의 명함 ID를 입력하여 해당 명함 ID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명함 ID를 입력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명함 ID와 함께 상대방의 식별 정보도 입력하도록 하여, 임의의 명함 ID 입력을 통해 명함 정보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명함 ID를 직접 입력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는 경우에, 명함 ID와 함께 입력되는 상대방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상대방의 성명이나 닉네임, 전화번호, 또는 그밖에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된 식별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명함 ID 수신시, 이와 함께 전송되는 상대방의 식별 정보를 해당 명함 ID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상대방의 명함 ID를 등록할 수 있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명함 ID 수신시, 이와 함께 전송되는 상대방의 식별 정보가 해당 명함 ID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상대방의 명함 ID를 등록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기로 상대방의 식별 정보가 불일치하여 명함 ID가 등록되지 않았음을 알릴 수 있다.
태양광이 강한 곳에서는 LED의 불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일 때는 서로 Hex 값을 알려줌으로써 명함 ID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수동으로 명함 ID가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될 수 있다.
명함 ID는 전화번호 정도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명함 ID가 32 비트(bit)에 해당하는 8자리의 Hex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4,294,967,296 개의 명함 ID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Hex 상위 값은 국가 등을 나타내도록 지정하면, 전 세계의 모든 사용자들에게 상이한 명함 ID를 지정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QR 코드 스캔을 통해 명함 ID를 수신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a)의 수신 데이터 표시 영역(110)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10b)로부터 스캔한 QR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a)의 QR 코드 표시 영역(111)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10b)에서 스캔할 수 있도록, 자신의 QR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의 친밀도를 판단하여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의 상호간에 조회하는 명함정보를 단계별로 오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하고,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하는 제1단계; 인터넷 데이터 센터(20)가 제1명함 ID를 생성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10a)에 전송하고, 제2명함 ID를 생성하여 제2사용자 단말기(10b)에 전송하는 제2단계;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1명함 ID를 제2사용자 단말기(10b)에 전송하고,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2명함 ID를 제1사용자 단말기(10a)에 전송하는 제3단계;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전송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가 제2명함 ID를 제1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하고,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1명함 ID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전송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가 제1명함 ID를 제2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하는 제4단계;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명함 ID를 선택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를 통해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하고,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1명함 ID를 선택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를 통해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하는 제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는 제1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제1사용자의 사적 정보를 포함하고, 제1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제1사용자의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얼굴 사진이고 제1사용자의 사적 정보는 제1사용자의 생년월일, 가족관계, 취미, 선호하는 문화생활, 주요 이력이다.
또한,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는 제2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제2사용자의 사적 정보를 포함하고, 제2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제2사용자의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얼굴 사진이고 제2사용자의 사적 정보는 제2사용자의 생년월일, 가족관계, 취미, 선호하는 문화생활, 주요 이력이다.
또한, 제1사용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된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제2사용자는 제2사용자 단말기(10b)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20)에 등록된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나아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명함 ID를 선택하여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 시, 1)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에 관계가 없이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2)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면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미만이면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만 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20)는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1명함 ID를 선택하여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 시, 1)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에 관계가 없이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2)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면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미만이면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만 조회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에 접속하여 통화 기록과 문자 기록과 위치 좌표 수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하고,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하는 제1단계;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제1명함 ID를 생성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제2명함 ID를 생성하여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1명함 ID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2명함 ID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명함 ID를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여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제2명함 ID를 제1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1명함 ID를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전송하여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가 제1명함 ID를 제2사용자의 전자 명함첩에 등록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명함 ID를 선택하여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통해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1명함 ID를 선택하여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통해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는 제1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제1사용자의 사적 정보를 포함하고, 제1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제1사용자의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얼굴 사진이고 제1사용자의 사적 정보는 제1사용자의 생년월일, 가족관계, 취미, 선호하는 문화생활이고,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는 제2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제2사용자의 사적 정보를 포함하고, 제2사용자의 기본 정보는 제2사용자의 이름, 소속, 직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얼굴 사진이고 제2사용자의 사적 정보는 제2사용자의 생년월일, 가족관계, 취미, 선호하는 문화생활이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된 제1사용자의 명함정보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데이트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등록된 제2사용자의 명함정보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데이트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명함 ID를 선택하여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 시,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에 관계가 없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만 조회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1명함 ID를 선택하여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조회 시,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에 관계가 없이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특정 기간동안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상호간에 이루어진 통화 횟수와 문자 횟수의 합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와 사적 정보를 모두 조회하도록 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제2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좌표가 특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시간이 특정 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가 제1사용자의 명함 정보 중 기본 정보만 조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9453A 2022-06-29 2022-06-29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KR10249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53A KR102491319B1 (ko) 2022-06-29 2022-06-29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53A KR102491319B1 (ko) 2022-06-29 2022-06-29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319B1 true KR102491319B1 (ko) 2023-01-26

Family

ID=8511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453A KR102491319B1 (ko) 2022-06-29 2022-06-29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3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309A (ko) * 2020-10-12 2022-04-19 주식회사 가산기술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309A (ko) * 2020-10-12 2022-04-19 주식회사 가산기술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88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rvice provision
EP1199856A2 (en) Electronic bulletin board
CN104508678A (zh) 商业数据系统中针对承租人的安全和数据隔离
CN108769229A (zh) 信息定制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2197364A (zh) 用于在网络计算环境中管理打印机设置的系统和方法
JP2017215982A5 (ko)
CN109088812B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8104218A (zh) 通信平台上的集成工作空间
JP2020526953A (ja) 個人情報の転送方法
AU2016100635A4 (en) Software creation system
KR100775567B1 (ko) 주소록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204271A (ja) 互いに異なるユーザ識別体系を利用して登録されたユーザを識別するサーバ間のサービス連動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6516314A (ja) 電話番号連動基盤の電子名刺伝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5453072A (zh) 以用户为中心的数据维护
US20030220937A1 (en) Portable computer with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CN113596226B (zh) 界面显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52879B1 (ko) 명함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KR20200081892A (ko)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51576A (ko) 명령어 코드로 입력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491319B1 (ko) 사용자 단말기 간에 명함 정보 교환과 관리를 지원하는 방법
KR102518228B1 (ko) 전자 명함 전달 및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277499B (zh) 通信终端
KR20090002252A (ko) 협업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JP6972417B2 (ja) 携帯端末、システム、アクセ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25962B1 (ko) 전자 명함 기반 웹 수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