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051B1 - 유입수 필터 - Google Patents

유입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051B1
KR102491051B1 KR1020220059650A KR20220059650A KR102491051B1 KR 102491051 B1 KR102491051 B1 KR 102491051B1 KR 1020220059650 A KR1020220059650 A KR 1020220059650A KR 20220059650 A KR20220059650 A KR 20220059650A KR 102491051 B1 KR102491051 B1 KR 10249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outlet
influent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5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하면이 개방된 필터 커버, 상기 필터 커버의 개방된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유입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 커버, 필터 하우징,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수의 온도, 유량 및 필터의 교체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유출구 또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의 일측에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입수 필터{Influent Filter}
본 발명은 차량용 유입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고, 유입수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유입수의 유량, 유속, 온도 등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유입수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입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 내부에 생활용수가 담수되는 수조가 매달려 설치되며, 수도관을 통해 수조내로 공급되는 생활용수를 설정된 세탁 프로그램에 따라 수조 측으로 소정 용량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밸브가 세탁기의 상단부에서 설치된다.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방법이 현대사회의 각 가정에서 행하고 있는 세탁방법의 주가 되면서부터 이에 따른 세탁물에 대한 세척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여로 종류의 세척제 및 표백제 등이 끊임없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제 및 표백제 등은 세탁물에 대한 전처리 과정일 뿐 세탁의 마무리 작업인 헹굼 행정 시 생활용수의 수질에 따라 세탁물의 효과가 증감되게 된다.
즉, 급수밸브의 배관이 녹슬거나 용수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탱크의 오염도로 인해 생활용수 중에 모래나 돌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세탁기의 수조내로 유입되어 세탁물을 훼손시키는 등 세탁효과를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생활용수에 함유되어 있는 철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미세한 무기물에 의해 흰 세탁물의 경우에는 변색되는 등 옷의 질감을 크게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다양한 필터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기존의 필터 장치는 단순히 돌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뿐, 철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물을 용이하게 여과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필터장치는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고, 필터 사용 중 교체 시기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교체 역시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0146593 20(1999.02.27. 등록)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의 교체 및 결합이 용이하고, 유입수 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유입수의 유량, 유속, 온도 등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유입수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입수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입수 필터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하면이 개방된 필터 커버, 상기 필터 커버의 개방된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유입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 커버, 필터 하우징,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수의 온도, 유량 및 필터의 교체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유출구 또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의 일측에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인접한 상기 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입수로 첨가물을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물 공급부는, 상기 첨가물을 수용하는 수용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로 공급되는 첨가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조절유닛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기 첨가물의 종류 및 투입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은 내부가 격벽으로 분리되거나,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의 분리 또는 복수 구비된 영역은 각각 독립적인 상기 공급 조절유닛이 구비되고, 각각의 공급 조절유닛은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용유닛의 뚜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유닛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폐 기능을 통해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첨가물을 교체 또는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측정결과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에서 제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입수 필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필터 커버와 필터 하우징이 착탈형으로 구성되어 필터 하우징의 분리를 통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모래 또는 돌 등과 같은 이물질 뿐만 아니라 철분, 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질까지 여과시키는 필터를 사용하여 세탁기, 세면대, 샤워기 등 다양한 장치에 안정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필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선홈 또는 나선형 격벽을 설치하여 유입수가 필터 하우징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향상시켜 유입수가 안정적인 여과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 내부에 와류를 형성시켜 유입수의 배출 압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유입수의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유입수의 유량, 유속, 온도 등을 센서부로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공급되는 유입수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필터 하우징 내부의 오염도 역시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첨가물 공급부가 구비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 등으로 공급되는 유입수의 유량, 유속, 온도 등에 따라 적정 용량의 첨가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며 공급하기 때문에 세제, 섬유유연제 등 다양한 첨가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디스플레이부 및 첨가물 공급부가 결합되는 연결유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연결유로를 필터 커버 및 급수라인에 호스 커넥터 등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 및 첨가물 공급부를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및 첨가물 공급부와 필터 커버 및 필터 하우징을 각각 개별적으로 보수 또는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통신부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세탁기와 떨어져 있더라도 유입수 및 필터의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통신부를 통해 세탁기 등의 장치와 상호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기의 프로그래밍에 대응되어 유입수 및 첨가물의 용량 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의 단면도; 및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가 다양한 장치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를 통과하는 유입수 및 첨가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입수 필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필터 커버(100), 필터 하우징(200), 필터부(300), 센서부, 디스플레이부(400), 첨가물 공급부(500) 및 통신부로 구성된다.
필터 하우징(200)은 내부에 필터부(300)가 삽입되고, 유입수에 포함된 불순물 및 미세 무기물 등이 필터부(30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필터 하우징(200)은 필터부(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유입수의 유입, 유출 및 필터링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필터 하우징(200)은 내부에 필터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필터 커버(100)와 결합되어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 바닥면의 중심 일측에는 필터부(3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된 필터부(300)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고정 돌기(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220)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필터부(300) 또는 하부 캡(32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200)의 외주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상부면과 대응되는 종단부 외주면 일측에 필터 커버(10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결합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서는 외주면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필터 커버(10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원터치 방식의 결합장치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200)의 내주면 일측에는 유입수가 필터 하우징(200) 내부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터부(300)의 일측을 집중적으로 통과하지 않고, 필터부(300)의 전면적을 통해 고르게 통과하며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선홈 또는 나선형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나선홈 또는 나선형 격벽이 형성됨에 따라 필터 커버(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필터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며 나선홈 또는 나선형 격벽을 따라 회전하며 필터 하우징(200)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필터 하우징(200) 내부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수용되며, 필터부(300)의 전면적을 통해 고르게 통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와류에 의한 내부 압력이 향상되어 유입수의 배출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터 하우징(200)의 외주면 하부 일측, 즉, 개방된 상면과 대향되는 종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부재(210)는 돌출된 돌기 또는 홈과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거나, 별도의 고무패드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패드형 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필터 커버(100)와 착탈을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경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필터 커버(100)는 필터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어 필터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필터 커버(100)는 필터 하우징(200)과 결합을 위하여 필터 하우징(200)과 대응되도록 하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유입수가 유입되어 필터 하우징(200) 내부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유입구(110) 및 필터 하우징(200)을 통과한 유입구(110)가 배출되는 유출구(12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출구(120) 및 유입구(110)의 구성은 필터부(300)의 구조 및 필터링하기 위한 유체의 흐름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수가 필터부(3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되며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구조의 필터부(300)를 사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유입구(110)와 유출구(120)의 구성 역시 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유입구(110)는 외부의 호스 등과 같은 유로를 통해 유입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종단에 외부 유로와 연결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필터 하우징(20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200) 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 하우징(200) 방향으로 절곡된 종단부는 필터 하우징(200)의 외측, 즉, 필터부(300)의 외주면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좋다.
유출구(120)는 필터 하우징(200)으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것으로서, 필터부(300)의 외측에서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필터 커버(100)의 중심 일측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유출구(120)의 내측 종단, 즉, 필터 커버(100)의 중심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은 필터부(300)와의 결합을 위하여 필터부(300)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것이 좋다.
전술한 필터 커버(100) 및 필터 하우징(200)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유입수가 유동하고, 필터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하우징(200)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버(100) 및 필터 하우징(200)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필터 하우징(200)에 형성되고, 필터 하우징(200)의 일측에 개폐가능한 뚜껑 형식의 필터 커버(10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필터 하우징(200)의 구성은 전술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적이진 않다.
필터부(300)는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필터 하우징(200) 및 필터 커버(10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되어 세탁기(1100), 세면대(1300) 또는 샤워기(1200) 등으로 공급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이물질뿐만 아니라, 유입수에 포함된 철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미세한 무기물을 효율적으로 여과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필터부(300)는 설치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필터의 종류 및 구성은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다.
일실시예로, 필터부(300)는 교체용 필터 몸체(310), 필터 몸체(3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캡 및 하부 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몸체(310)는 세탁용수 등과 같이, 세탁기(1100), 세면대(1300) 또는 샤워기(1200)로 유입되는 수돗물과 같은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돌 또는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 및 철분 또는 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물 중 적어도 일부를 여과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필터 몸체(310)는 사용양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 및 구조 역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2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공인 기둥형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공인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하부 캡(320)은 필터 몸체(310)의 하단면에 구비되어 유입수가 필터 몸체(310)를 통과하지 않고 중공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 몸체(310)가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결합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하부 캡(320)은 필터 몸체(3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필터 몸체(310)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필터 몸체(310)의 중공부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상되는 제1결합 돌기(321)가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 캡(320)은 별다른 결합장치 없이 제1결합 돌기(321)를 필터 몸체(310)의 일단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누구나 용이하게 필터 몸체(310)에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캡(320)의 제1결합 돌기(321)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는 필터 하우징(200)의 고정 돌기(220)와 대응되는 고정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홈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필터 하우징(200)의 고정 돌기(2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필터 하우징(200)의 고정 돌기(220) 및 하부 캡(320)의 고정 홈은 유입수의 흐름에 의해 필터부(300)가 흔들림 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크기 및 개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부 캡은 필터 몸체(310)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유입수가 필터 몸체(310)를 통과하지 않고 중공 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 커버(100)의 내측으로 연결된 유출구(120)에 필터 몸체(3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유입수가 유출구(120)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부 캡은 필터 몸체(3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 캡(320)의 제1결합 돌기(321)와 대응되는 제2결합 돌기(331)가 일면에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필터 몸체(310)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2결합 돌기(331)가 돌출 형성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 중심 일측에는 필터 커버(100)의 내측으로 연결된 유출구(120)에 삽입 가능한 제3결합 돌기(3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3결합 돌기(332)는 유입수가 유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3결합 돌기(332)는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에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유출구(120)와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만약, 유출구(120)와 비교하여 제3결합 돌기(332)의 단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유출구(120)가 필터링 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결합 돌기(33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333)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완벽한 실링을 위하여 제3결합 돌기(332)의 돌출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의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333)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센서부는 필터 커버(100), 필터 하우징(200),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10)를 통과하는 유입수의 유량, 온도를 측정하고, 필터 몸체(310)의 오염도 등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센서부는 온도센서, 유량센서 및 오염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센서의 종류 및 배치 위치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기능에 따른 센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를 어떠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센서부는 디스플레이부(400)와 유, 무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측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필터 커버(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측정 결과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센서부에서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센서부 및 첨가물 공급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패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터치가 가능한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에는 유입수 필터(10)의 상황을 소리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부(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400)의 내부 일측에는 배터리가 구비되거나,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전원선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첨가물 공급부(5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일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400)를 첨가물 공급부(500)의 커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가물 공급부(500)는 유출구(12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유출구(120)와 결합 가능한 별도의 연결유로(540)를 더 구비하고, 연결유로(54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유출구(120)와 착탈 가능한 연결유로(540)를 더 구비하고, 첨가물 공급부(500)를 연결유로(540)와 연결되도록 구비함에 따라 첨가물 수용부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연결유로(540)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첨가물 공급부(500)는 내부에 소정 용량의 섬유유연제, 세제 등과 같은 세탁 첨가물을 수용하고,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유입수의 유량, 온도, 유입수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정 용량의 첨가물을 유입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첨가물 공급부(500)는 소정의 부피가 요구되며, 유로의 흐름을 방해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유로(540)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좋다.
첨가물 공급부(500)는 소정 용량의 첨가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형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첨가물 공급부(500)는 연결유로(540)를 통과하는 유입수로 센서부의 측정값에 대응되는 용량의 첨가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첨가물 공급부(500)는 수용유닛(510) 및 공급 조절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유닛(510)은 내부에 소정 용량의 섬유유연제, 세탁제 등과 같은 다양한 첨가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유닛(510)은 소정 용량의 첨가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구조는 제한적이지 않다. 하지만, 첨가물을 충진하고, 수용중인 첨가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박스 형상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용유닛(510)은 두 개 이상의 첨가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 구비되거나, 하나의 수용유닛(510) 내부를 격벽으로 구획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유닛(510)은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의 외면 또는 유출구(120)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유로(540)의 외주면 일측에 수용유닛(510)의 개방된 일측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수용유닛(510)에 수용된 첨가물을 유로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급 조절유닛(520)은 수용유닛(510)이 유로와 결합된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유닛(510)에서 유로로 공급되는 첨가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때, 공급 조절유닛(520)은 센서부 또는 디스플레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으로 첨가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배출한다. 이처럼, 수용유닛(510)에 수용 중인 첨가물의 용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유입수가 수용유닛(5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첨가물만 공급할 수 있도록 원-웨이 밸브와 같은 장치로 개폐 면적 또는 개폐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수용유닛(510)이 복수 구비되거나, 하나의 수용유닛(510)이 구획된 경우에는 각각의 수용유닛(510) 또는 각각 구획된 영역에 별도로 공급 조절유닛(5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구비되는 공급 조절유닛(520)은 개별적으로 조작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전술한 구성을 갖는 공급 조절유닛(520)은 유로를 유동하는 유입수에 빠르게 혼합되기 위하여 분사방식으로 첨가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른 실시예로, 공급 조절유닛(520)이 복수 구비되거나, 여러 구역으로 구획됨에 따라 면적이 확장되는 경우, 연결유로(540)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면은 공급 조절유닛(52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고, 하면은 연결유로(540)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상광하협한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투입유닛(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급 조절유닛(520)에는 원-웨이밸브 등으로 역류를 방지하는 장치만 구비되고, 투입유닛(530)에 별도의 분사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수용유닛(510)에 구비된 공급 조절유닛(520)이 센서부의 측정에 개방되면, 해당 수용유닛(510)에 수용 중인 첨가물이 공급 조절유닛(520)을 통해 투입유닛(530)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투입유닛(530)에 공급된 첨가물을 분사장치를 통해 연결유로(540)를 통과하는 유입수로 분사하며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수용유닛(510)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수용유닛(510) 내부에 수용 중인 첨가물이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며, 개폐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00)는 수용유닛(510)이 복수 구비되는 경우, 복수 구비되는 수용유닛(510)의 면적의 합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것이 좋다. 즉, 수용유닛(510)이 복수 구비되더라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400)가 모든 수용유닛(510)의 커버 역할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를 수용유닛(510)의 커버로 활용함에 따라 첨가물 공급부(500) 및 디스플레이부(400)의 설치 면적을 감소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감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첨가물 공급부(500)는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첨가물 수용 용량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첨가물 공급부(500)의 수용유닛(510)과 호스 등을 통해 연결되어 수용유닛(510)으로 첨가물을 재 충진하기 위한 보충 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충 탱크는 수용부에 수용되는 첨가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보충 탱크가 구비되는 경우, 수용유닛(510)은 1회 공급되는 첨가물의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하여 첨가물 공급부(500)의 부피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통신부는 센서부, 첨가물 공급부(500)와 연결되도록 필터 하우징(200), 필터 커버(100) 또는 디스플레이부(4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세탁기(11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첨가물 공급부(500)의 공급 조절유닛(520)의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부는 주변의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송, 수신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유입수 필터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유입수 필터(10)의 사용양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가 다양한 장치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10)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100), 세면대(1300) 또는 샤워기(1200) 등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의 일측에 설치한다. 필터 커버(100)의 유입구(110)를 급수라인과 결합하고,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 또는 유출구(120)와 연결되는 연결유로(540)를 장치와 연결되는 유로와 연결한다. 급수라인과 필터 커버(100)의 결합은 급수라인의 종류, 굵기 등을 고려하여 이와 대응되는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유입수의 유출이 없도록 결합한다.
이때, 필터 커버(100)와 필터 하우징(200)을 결합한 상태로 급수라인과 연결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여부는 현장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필터 커버(100), 필터 하우징(200) 및 필터의 결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터 몸체(310)의 상면 및 하면에 상부 캡 및 하부 캡(320)을 결합한다. 필터 몸체(310)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은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의 용도, 해당지역의 수질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의 필터 몸체(3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필터 몸체(310)는 돌, 모래 등의 이물질 뿐만 아니라 세탁물을 훼손할 수 있는 무기질 역시 여과할 수 있는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재질을 제한적이지 않다. 하부 캡(320)의 제1결합 돌기(321) 및 상부 캡의 제2결합 돌기(331)는 각각 필터 몸체(310)의 중공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압력을 통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캡 및 하부 캡(320)이 필터 몸체(310)의 상면 및 하면을 봉쇄하기 때문에 여과되는 유입수는 필터 몸체(310)의 측면부를 통해서만 유동 가능하며 충분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캡 및 하부 캡(320)이 결합된 필터 하우징(200)을 필터 커버(100) 및 필터 하우징(200)에 삽입한다. 이때, 필터 하우징(200) 및 필터 커버(100) 중 어떠한 장치에 먼저 결합하여도 무관하다.
일실시예로, 필터 하우징(200)에 먼저 결합하는 경우에는 하부 캡(3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 홈을 필터 하우징(20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220)에 삽입하여 결합 및 고정한다. 다음으로, 필터 하우징(200)을 필터 커버(100)와 결합하면 상부 캡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3결합 돌기(332)를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에 삽입되며 결합이 완료된다.
다른 실시예로, 필터 커버(100)에 먼저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부 캡의 제3결합 돌기(332)를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에 삽입한 후 필터 커버(100) 및 필터 하우징(200)을 결합하면 하부 캡(320)의 고정 홈에 필터 하우징(200)의 고정 돌기(220)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캡의 제3결합 돌기(332) 및 하부 캡(320)의 고정 홈은 각각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 및 필터 하우징(200)의 고정 돌기(220)와 대응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어느 하나를 먼저 결합하여 고정 후 필터 하우징(200) 및 필터 커버(100)를 결합하면 나머지 하나 역시 원활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200) 및 필터 커버(100)가 결합됨에 따라 필터 하우징(200)을 상부 및 하부에서 압착하게 되고, 제3결합 돌기(332) 및 고정 돌기(220)가 그 배치 위치를 고정하기 때문에 유입수가 필터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와류를 형성하거나, 유입수의 유입 압력이 강하더라도 필터 하우징(200)은 그 배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하우징(200) 및 필터 커버(100)의 결합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을 이용한 나사결합 방식을 사용하거나, 원터치 결합 구조를 이용한 원터치 결합 방식 등 다양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에 디스플레이부(400) 및 첨가물 공급부(500)를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 및 첨가물 공급부(500)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400)가 첨가물 공급부(500)의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00) 및 첨가물 공급부(500)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400)가 첨가물 공급부(500)의 뚜껑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첨가물 공급부(500)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첨가물 공급부(500)의 하단에는 연결유로(54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540)를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에 커넥터 또는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한다.
전술한 공정을 통해 필터 커버(100), 필터 하우징(200), 필터부(300), 디스플레이부(400) 및 첨가물 공급부(5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처럼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10)를 세탁기(1100), 세면대(1300), 샤워기(1200)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라인 또는 수도꼭지에 연결한다. 이러한 결합 과정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10)는 세탁기(1100), 세면대(1300), 샤워기(1200) 및 기타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세탁기(1100)에 적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치가 완료된 유입수 필터(10)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첨가물 공급부(500)의 작동 프로그램을 입력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프로그램을 입력 받거나, 세탁기(1100)와 연결되어 세탁기(1100)에서 다양한 작동 프로그램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첨가물 공급부(500)의 작동 프로그램까지 입력이 완료되면 세탁기(1100)의 작동을 시작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를 통과하는 유입수 및 첨가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세탁기(1100)가 작동되면 급수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유입수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필터(10)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세탁기(1100)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 커버(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유입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200)의 중심이 아닌 테두리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필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홈 또는 나선형 격벽을 따라 필터 하우징(20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유입된다. 이에 따라, 공급되는 유입수는 필터 몸체(310)의 측면 전반부를 통해 고르게 필터 몸체(310)를 통과하며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 몸체(310)는 유입수에 포함된 모래, 돌 등의 이물질 뿐만 아니라, 세탁물을 손상시킬 수 있는 철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미세한 무기물 역시 여과시킨다.
이렇게 필터 몸체(310)를 통과하며 필터 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는 필터 하우징(2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캡의 제3결합 돌기(332)의 중공부를 통해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를 통해 배출된다.
필터 커버(100)의 유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입수는 첨가물 공급부(500)가 결합된 연결유로(540)를 통해 세탁기(1100)와 연결되는 급수라인을 통해 세탁기(1100)로 공급된다.
이때, 필터 하우징(200), 필터 커버(100), 연결유로(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통해 유입수의 유량, 유속, 온도, 필터 하우징(200) 내부의 오염도 등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정보들은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부(400)에 해당 사항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400)에 구비되는 통신부를 통해 세탁기(1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정보들을 전송한다.
또한, 센서부는 첨가물 공급부(500)의 공급 조절유닛(520)과 연결되어 공급 조절유닛(520)은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된다. 이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공급부(500)는 하나의 공간을 하나의 격벽을 통해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공간에 세제 및 섬유유연제가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세탁기(1100)를 작동시키면 유입수 필터(10)를 통과하며 여과된 물이 세탁기(1100)로 공급된다. 이때, 센서부는 공급되는 물의 유량, 유속, 온도 등을 측정한다.
이때, 세탁 초기에는 세제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세탁기(1100)와 전기적 또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어 세척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고,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값에 따라 투입되는 유입수의 유량, 유속, 온도를 고려하여 세제가 수용된 영역에 구비되는 공급 조절유닛(520)의 개폐 면적, 개폐 시간 등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세제양을 조절한다. 이때, 공급 조절유닛(520)은 원-웨이 밸브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유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용유닛(510)에서 공급 조절유닛(520)의 작동에 의해 연결유로(540) 방향으로 공급되지만 유입수가 역류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수용유닛(510)에서 공급 조절유닛(52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제는 투입유닛(530)을 통해 연결유로(540)를 통과하는 유입수로 분사되어 유입수와 혼입되어 세탁기(1100)로 공급된다.
이후, 세탁기(1100)에서 세척 후 헹굼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세탁기(1100)로부터 전달받아 섬유유연제가 수용된 수용유닛(51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급 조절유닛(520)이,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소정 용량의 섬유연제를 투입유닛(530)을 통해 연결유로(540)를 통과하는 유입수로 분사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세탁기(1100)에 별도로 세제 및 섬유유연제를 투입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세탁물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1100)를 반복 사용함에 따라 필터 몸체(310)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여과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필터 하우징(200) 내부의 오염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오염도 측정을 위한 오염도 센서가 이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는 동시에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도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몸체(310)의 교환 신호가 전달되면 사용자는 전술한 필터 하우징(200)의 결합 방법의 역순을 따라 필터 몸체(310)를 교체 후 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물 공급부(500)의 부피를 감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첨가물 탱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세탁기(1100) 주변 선반 등에 첨가물 탱크를 배치하여 수용유닛(510)으로 지속적으로 첨가물을 보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유닛(510)은 1회 사용 용량을 수용할 만큼의 부피로 제작하거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수용유닛(510)을 구비하지 않고, 첨가물 탱크를 수용유닛(510)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입수 필터
100: 필터 커버
110: 유입구
120: 유출구
200: 필터 하우징
210: 미끄럼 방지 부재
220: 고정 돌기
300: 필터부
310: 필터 몸체
320: 하부 캡
321: 제1결합 돌기
322: 고정 홈
330: 상부 캡
331: 제2결합 돌기
332: 제3결합 돌기
333: 실링부재
400: 디스플레이부
500; 첨가물 공급부
510: 수용유닛
520: 공급 조절유닛
530: 투입유닛
540: 연결유로
1100: 세탁기
1200: 샤워기
1300: 세면대

Claims (8)

  1.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하면이 개방된 필터 커버;
    상기 필터 커버의 개방된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구로 배출되는 유입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 커버, 필터 하우징, 상기 유입구 또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수의 온도, 유량 및 필터의 교체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필터 커버의 상기 유출구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를 통과하는 유입수로 첨가물을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부; 및
    상기 유출구 또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측에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물 공급부는,
    상기 첨가물을 수용하는 수용유닛;
    상기 수용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로로 공급되는 상기 첨가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유닛; 및
    상면은 상기 연결유로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기 수용유닛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은 상기 수용유닛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상기 연결유로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면 일측에는 상기 공급 조절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첨가물을 상기 연결유로로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투입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용유닛의 뚜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유닛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폐 기능을 통해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첨가물을 교체 또는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수 필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조절유닛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상기 첨가물의 종류 및 투입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수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내부가 격벽으로 분리되거나, 복수 구비되는 유입수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의 분리 또는 복수 구비된 영역은 각각 독립적인 상기 공급 조절유닛이 구비되고, 각각의 공급 조절유닛은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유입수 필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측정결과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에서 제어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유입수 필터.
KR1020220059650A 2022-05-16 2022-05-16 유입수 필터 KR10249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50A KR102491051B1 (ko) 2022-05-16 2022-05-16 유입수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50A KR102491051B1 (ko) 2022-05-16 2022-05-16 유입수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051B1 true KR102491051B1 (ko) 2023-01-20

Family

ID=8510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50A KR102491051B1 (ko) 2022-05-16 2022-05-16 유입수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593Y1 (ko) 1996-09-30 1999-06-15 전주범 세탁기 필터장치의 걸름망
KR200433506Y1 (ko) * 2006-09-07 2006-12-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KR20130085200A (ko) * 2012-01-19 2013-07-29 강효신 세탁기 일체형 세제 및 유연제 공급 장치
KR20190130881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프리모 수질 개선용 필터의 인공지능형 수명 확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593Y1 (ko) 1996-09-30 1999-06-15 전주범 세탁기 필터장치의 걸름망
KR200433506Y1 (ko) * 2006-09-07 2006-12-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KR20130085200A (ko) * 2012-01-19 2013-07-29 강효신 세탁기 일체형 세제 및 유연제 공급 장치
KR20190130881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프리모 수질 개선용 필터의 인공지능형 수명 확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882B1 (ko) 세탁기
US7257969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KR101256136B1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KR20110057303A (ko)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WO2020063495A1 (zh) 家用电器外置储液盒及家用电器
KR20120044427A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제함
KR20120053579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101403957B1 (ko) 세탁기
WO2020063496A1 (zh) 外置储液盒及家用电器
CN109385841B (zh) 洗衣机
JP2010104775A (ja) 洗濯機
KR20120004276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6049971A1 (zh)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KR102491051B1 (ko) 유입수 필터
US9386906B2 (en) Port assembly for use with a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0385496B2 (en) Washing machine
KR101544759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20019101A (ko) 주류 냉각기의 주류 공급장치 및 그 세척장치의 통합 설치대
KR20100081254A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KR100922592B1 (ko) 입욕제가 구비된 연수기
EP2889418B1 (en) Washing machine
CN210886630U (zh) 一种洗衣机排水槽系统
CN216838627U (zh) 配重块组件及洗衣机
KR20100066773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111434839A (zh) 供水投放系统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