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024B1 -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024B1
KR102491024B1 KR1020210010475A KR20210010475A KR102491024B1 KR 102491024 B1 KR102491024 B1 KR 102491024B1 KR 1020210010475 A KR1020210010475 A KR 1020210010475A KR 20210010475 A KR20210010475 A KR 20210010475A KR 102491024 B1 KR102491024 B1 KR 10249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wood
wood layer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264A (ko
Inventor
김승호
이건규
곽성복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는 모재, 접착층 및 우드층을 포함한다. 모재는 휘거나 접힐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접착층은 모재의 상면에 배치된다. 우드층은 접착층의 상면에 접하여 접착층을 매개로 모재와 접착되며, 미리 정해진 무늬를 갖는 표면에 레이저가공을 통해 조각되는 마킹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3D-PATTERN INTERIOR METERIAL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천연재료의 질감 및 입체 패턴을 지닌 자동차의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는 다양한 재료로 마감된다.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좌석, 차량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및 패달,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 정보의 표시 및 명령이 입력되는 센터페시아 등 다양한 형태의 설비들이 설치된다. 자동차의 실내는 탑승자가 머무는 공간으로서 기능적인 측면과 함께 심미적인 측면도 중요하다.
따라서, 자동차의 도어 내측, 대시보드, 센터페시아, 계기판 등을 고급스럽게 꾸미기 위한 기술이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재는 그 표면에 일련의 무늬나 패턴을 갖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8102호(이하, '관련기술1'이라 함.)는 '리얼우드 제품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관련기술1은 나무질감의 내장재를 위해 내장재의 표면을 감쌀 수 있는 리얼우드 시트를 개시한다.
리얼우드 시트는 나뭇결 무늬의 시트를 모재에 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리얼우드 시트는 나무 무늬를 지니긴 하지만, 자연스럽지 못하여 저가의 소재로 인식되기 쉬웠다.
또한, 친환경 이미지와 거리가 멀었으며, 단조로운 표면의 형상으로 인해 심미감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제안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고급스러운 질감 및 패턴을 지닌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종래 자동차 내장재가 단조로운 표면 무늬를 지녀 심미감이 떨어졌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나무재질의 내장재를 곡면이나 휘어지는 부분에 적용하기 힘들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는 모재, 접착층 및 우드층을 포함한다. 모재는 휘거나 접힐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접착층은 모재의 상면에 배치된다. 우드층은 접착층의 상면에 접하여 접착층을 매개로 모재와 접착되며, 미리 정해진 무늬를 갖는 표면에 레이저가공을 통해 조각되는 마킹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모재의 저면에는 스코어링이 형성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마킹부는 우드층의 표면에 파여서 형성되는 음각패턴 및 우드층의 표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양각패턴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음각패턴 및 양각패턴은 우드층의 표면에 문자나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는 음각패턴 및 양각패턴의 표면을 덮는 투명한 재질의 코팅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우드층은 나뭇결 무늬를 갖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우드층은 미리 정해진 길이의 장홈으로 형성되는 스티치홈, 스티치홈을 따라 바느질 무늬를 형성하는 스티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미감이 있고 고급스러운 자동차 내장재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무재질의 표면에 레이저가공을 통해 양각 또는 음각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급스러운 나무재질의 표면을 지니면서도, 곡면이나 휘어진 부분 등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모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자동차 실내에서 내장재가 사용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표면에 레이저가공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가 곡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마킹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표면에 텍스트가 표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우드층에 스티치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우드층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자동차 실내에서 내장재가 사용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에는 다양한 내장재가 사용된다. 도어의 안쪽, 대시보드, 센터페시아, 콘솔박스, 기어박스 등 여러 곳이 각각 용도에 맞춘 내장재로 마감이 된다.
내장재로는 여러가지 물성 및 질감을 가진 재료들이 사용된다. 내장재는 크게 딱딱한 표면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1타입내장재(10),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부품을 감쌀 수 있는 제2타입내장재(20)로 나눌 수 있다.
제1타입내장재(10)는 대체로 나무재질, 카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타입내장재(20)는 직물, 가죽 등으로 이루어진다. 나무나 카본 재질은 상대적으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지만, 넓은 면적이나 곡면, 휘어진 곳 등에 두루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직물이나 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내장재는 다양한 외형을 지니는 자동차 실내에 적용할 수 있으나, 심미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는 고급스러운 무늬 및 질감의 내장재를 종래의 시트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는,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을 포함한다.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은 적층 된다. 모재(100)는 넓은 면적을 지닌 직물(fabr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재(100)는 미리 정해진 폭을 지니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말아서 보관될 수 있다.
모재(100)는 설치될 부분의 형상에 맞춰 미리 재단될 수도 있다. 모재(100)는 휘거나 접힐 수 있는 유연한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모재(100)의 일면에는 접착층(200)이 배치된다. 접착층(200)은 모재(100)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일 수 있다. 또는, 접착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모재(1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이 접착성을 갖는 접착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접착층(200)이 형성된다.
접착층(200)이 적층 되는 모재(100)의 일면과 반대쪽 면에는 스코어링(scoring)이 형성될 수 있다. 스코어링은 모재의 저면이 부착 대상에 잘 접착될 수 있도록 한 스크래치나 흠집으로 이루어진다.
접착층(200)에는 우드층(300)이 적층된다. 도면을 참고하여, 모재(100)의 상면에 접착층(200)이 형성되고, 접착층(200)의 상면에 우드층(300)이 적층된다.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은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공정을 거쳐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우드층(300)은 베니어(vene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니어는 색상이 풍부한 나무나 장식 모양으로 잘라서 붙일 수 있도록 만든 아주 얇은 판이다. 우드층(300)은 얇은 판상의 부재로서 나무의 질감을 가지나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성질을 갖는다.
우드층(300)의 표면에는 마킹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마킹부(310)는 레이저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일련의 패턴일 수 있다. 마킹부(310)는 레이저가공을 통해 우드층(300)의 표면 일부를 파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마킹부(310)는 미리 정해진 간격 및 너비로 파낸 홈으로써, 장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킹부(310)가 형성된 우드층(300)의 표면에는 코팅층(400)이 더 입혀질 수도 있다. 코팅층(400)은 투명한 재질로서, 마킹부(310)에 형성된 패턴을 보다 선명하게 함과 아울러 마킹부(310)가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덮어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표면에 레이저가공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이 접착된 후 우드층(300)의 표면에는 레이저가공을 통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다. 우드층(300)이 매우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기는 하나 목재의 성질을 갖는 재료이기에 휘거나 접히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레이저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패턴은 이러한 우드층(300)의 유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우드층(300)의 표면은 레이저가공기(30)를 통해 가공되고, 레이저가공기(30)는 정해진 패턴을 우드층(300)의 표면에 형성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가 곡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우드층(300)에 형성된 마킹부(310)는 우드층(300)이 보다 유연하게 휠 수 있게 한다.
우드층(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킹부(310)는 레이저가공을 통해 다수 개의 음각된 홈이나 골로 이루어진다. 마킹부(310)의 음각된 홈이나 골은 우드층(300)이 휘어짐에도 부러지거나 파괴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모재(100) 및 접착층(200)과 함께 휘어지도록 한다.
또한, 우드층(300)의 표면을 덮는 코팅층(400)이 우드층(30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지닌 자동차의 실내 표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내장재를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마킹부(3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부(310)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패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킹부(310)는 양각패턴(312) 및 음각패턴(314)을 포함한다. 양각패턴(312)은 우드층(300)의 표면보다 돌출된 부분들로 이루어진다. 이는 우드층(300)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레이저가공을 통해 깎아 형성할 수 있다.
음각패턴(314)은 우드층(300)의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우드층(300)의 표면에서 움푹 패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킹부(310)는 양각패턴(312) 및 음각패턴(314)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양각패턴(312) 및 음각패턴(314)은 우드층(300) 표면에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역들을 형성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을 지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의 표면에 텍스트가 표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부(310)의 양각패턴(312) 및 음각패턴(314)은 서로 조합되어 우드층(300)의 표면에 일련의 입체적인 무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림이나 문자 등을 표현할 수 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우드층(300)에 스티치홈(32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드층(300)은 스티치(322) 무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치(322)는 바느질된 무늬로서,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재의 심미감을 높인다. 우드층(300)은 스티치홈(320)을 포함한다. 스티치홈(320)은 우드층(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장홈으로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티치(322)는 스티치홈(320)에 수용되어 모재(100), 접착층(200) 및 우드층(300)을 관통해 바느질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스티치홈(320)에 스티치(322)가 접착되어 스티치(322)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는 조명과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장재의 일측 또는 우드층(300)의 일부에 조명이 구비되고, 우드층(300) 표면에 형성된 양각패턴(312) 및 음각패턴(314)으로 인해 발생하는 그림자를 이용해 미리 정해진 형상을 우드층(300)에 투영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에서 우드층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드층(300)의 표면은 코팅층(400)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40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건조되어 굳어도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모재(100)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제1타입내장재 20: 제2타입내장재
30: 레이저가공기
100: 모재 200: 접착층
300: 우드층 310: 마킹부
312: 양각패턴 314: 음각패턴
320: 스티치홈 322: 스티치
400: 코팅층

Claims (7)

  1. 휘거나 접힐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모재;
    상기 모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모재와 접착되며, 미리 정해진 무늬를 갖는 표면에 레이저가공을 통해 조각되는 마킹부가 형성되는 우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우드층의 표면에 파여서 형성되는 음각패턴; 및
    상기 우드층의 표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양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우드층은,
    미리 정해진 길이의 장홈으로 형성되는 스티치홈;
    상기 스티치홈에 수용되어 상기 모재,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우드층을 관통해 바느질됨으로써 바느질 무늬를 형성하는 스티치; 및
    상기 우드층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음각패턴 및 상기 양각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그림자로 미리 정해진 형상을 상기 우드층에 투영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입체 패턴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저면에 스코어링(scoring)이 형성되는,
    입체 패턴 내장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패턴 및 상기 양각패턴은 상기 우드층의 표면에 문자나 그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입체 패턴 내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패턴 및 상기 양각패턴의 표면을 덮는 투명한 재질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입체 패턴 내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층은 나뭇결 무늬를 갖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입체 패턴 내장재.



  7. 삭제
KR1020210010475A 2021-01-25 2021-01-25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KR10249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75A KR102491024B1 (ko) 2021-01-25 2021-01-25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75A KR102491024B1 (ko) 2021-01-25 2021-01-25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64A KR20220108264A (ko) 2022-08-03
KR102491024B1 true KR102491024B1 (ko) 2023-01-25

Family

ID=8284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5A KR102491024B1 (ko) 2021-01-25 2021-01-25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557A (ja) * 2003-04-28 2004-11-18 Mitsuboshi Belting Ltd 自動車内装部品の製造方法
WO2018208126A1 (ko) * 2017-05-12 2018-11-15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자동차용 데코레이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897A (ko) * 2001-01-18 2002-07-25 성남전자공업주식회사 리튬전지 및 그 제조장치
KR20180088060A (ko) * 2017-01-26 2018-08-03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내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557A (ja) * 2003-04-28 2004-11-18 Mitsuboshi Belting Ltd 自動車内装部品の製造方法
WO2018208126A1 (ko) * 2017-05-12 2018-11-15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자동차용 데코레이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64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0685A (en) Method of making an applique article
US6322866B1 (en) Appliques for garments and methods of making appliques
EP3623168A1 (en) Automobile decor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0128580A1 (ja) 車両の内装材
JP2007050645A (ja) 立体加飾品の製造方法
KR102491024B1 (ko) 자동차의 입체 패턴 내장재
US8597773B2 (en) Decorative element and plastic part provided with a decorative element
JP2007050644A (ja) 立体加飾品
CN206242622U (zh) 用于机动车的装饰零件
WO2015076341A1 (ja) 表皮付き製品の製造方法
KR101336698B1 (ko) 인테리어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
US4157272A (en) Method of making an applique article
US4209354A (en) Method of making an applique article
KR200490956Y1 (ko) 로고 라벨 구조
JPH11348223A (ja) 表面加工品
KR200236211Y1 (ko) 건축내장용 모서리 몰딩
US2144544A (en) Trim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218464Y2 (ko)
US3560321A (en) Decorated electronically processed materials with the die pattern emphasized
US20240181882A1 (en)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JPS5919756Y2 (ja) 装飾用薄物シ_ト
JP3107425U (ja) アルミ缶アート制作用具、アルミ缶アート原板および額入りアルミ缶アート
US2135578A (en) Method of forming trim panels
KR200258948Y1 (ko) 자동차용 시이트 카바
JP3020024B2 (ja) 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