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784B1 - 강설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설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784B1
KR102490784B1 KR1020200154328A KR20200154328A KR102490784B1 KR 102490784 B1 KR102490784 B1 KR 102490784B1 KR 1020200154328 A KR1020200154328 A KR 1020200154328A KR 20200154328 A KR20200154328 A KR 20200154328A KR 102490784 B1 KR102490784 B1 KR 10249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nowfall
snow removal
detection senso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755A (ko
Inventor
변영재
Original Assignee
(주)퓨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맥스 filed Critical (주)퓨맥스
Priority to KR102020015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7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6Wipes
    • B08B1/1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강설 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강설 감지시스템는 계측실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이동 감지정보와 계측실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 감지정보 및 온, 습도 센서 정보를 복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장에서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강설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특히, 자동제설부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어 지속 강설에 따른 자동제설부의 간헐적인 작동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0), 이동감지센서부(20), 바닥감지센서부(30), 클리닝부(40), 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설 감지시스템 {Snow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강설 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계측실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이동 감지정보와 계측실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 감지정보 및 온, 습도 센서 정보를 복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장에서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강설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특히, 자동제설부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어 지속 강설에 따른 자동제설부의 간헐적인 작동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강설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적설량은 땅 위에 쌓여 있는 눈의 양으로, 적설계로 깊이를 측정하거나 초음파 적설 심도계로 재어서 센티미터(cm)로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적설량의 측정방법은 적설판을 사용하여 판의 면과 지면이 같아지도록 수평하게 설치해 두고 그 위에 쌓인 눈의 깊이를 자로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겨울철 대부분을 차지하는 적설은 노면 결빙으로 이어지면서 교통사고로 직결됨에 따라 적설량에 대응하여 적절한 시점에 제설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관측지점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측시설의 무인화 및 자동화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는바, 적설 관측시설의 무인화 및 자동화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동 적설계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 제10-1487745호에서, 영상 촬영을 위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해 빛을 입사 받아 적설된 눈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수직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 및 이동부를 감싸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 적설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눈이 쌓이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케이스 안의 이물질을 날려보내주는 팬(Fan);과 상기 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내보내는 환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광원과 카메라가 적설 된 눈이 감지될 때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하여 적설량을 측정하려는 것이나, 종래와 같은 영상기반의 제설량 측정 장치의 경우 도로의 특성상 먼지가 많은 곳에 설치되므로 렌즈에 먼지가 누적되어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또, 카메라와 이를 분석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OS가 탑재된 소프트웨어로 구성으로 인해 고가이면서 눈과 비를 구분하지 못하여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허다하며, 특히, 지속 강설시에는 반복 작동이 불가능하여 염수분사장치나 도로 융빙 열선을 포함하는 제설장치의 재작동 판단용 데이터로 활용함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계측실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이동 감지정보와 계측실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 감지정보 및 온, 습도 센서 정보를 복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장에서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강설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특히, 자동제설부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어 지속 강설에 따른 자동제설부의 간헐적인 작동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강설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계측실(11)을 형성하고, 온도센서(16), 습도센서(18)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측판부(12)에 설치되어, 계측실(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이동감지센서부(20); 상기 바닥판부(14)에 설치되어, 계측실(11) 내부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바닥감지센서부(3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 표면을 세정하도록 구비되는 클리닝부(40); 및 상기 온도센서(16) 검출정보, 습도센서(18) 검출정보, 이동감지센서부(20)를 통한 유입물 감지정보, 바닥감지센서부(30)를 통한 유입물 감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연산하여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감지센서부(20)는, 계측실(11) 내부에 서로 대향하는 측판부(12) 상에 제 1광출력부(21)와 제 1광수신부(2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광출력부(21) 광원이 제 1광수신부(22)로 수신되는 중에 유입물에 의해 제 1광수신부(22)로 전달되는 광원이 차단되면 유입물 이동 신호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감지센서부(30)는, 계측실(11) 내부 측판부(12)에 제 2광출력부(31)가 설치되고, 제 2광출력부(31)와 대응하는 바닥판부(14) 상에 제 2광수신부(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광출력부(31) 광원이 제 2광수신부(32)로 수신되는 중에 바닥판부(14) 상에 안착되는 유입물에 의해 제 2광수신부(32)로 전달되는 광원이 차단되면 유입물 안착 신호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감지센서부(30)의 제 2광수신부(32)는 바닥판부(14)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소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광수신부(32) 총 개수를 기준으로 광원 차단에 의한 유입물 안착 신호가 검출되는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검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40)는, 와이퍼(42), 세정액 노즐(4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액 노즐(4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액은 물 100 중량부 대비 부동액 10 ~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액은 자동제설부(100)를 통하여 분사되는 제설용 염수와 동일한 빙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50)은 온도센서(16) 검출 정보가 영상 1℃ 이하, 습도센서(18)로 검출된 상대습도가 75% 이상인 조건에서 이동감지센서부(20) 및 바닥감지센서부(30)를 통하여 유입물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강설 상황으로 인식하고, 강설 상황 조건에서 바닥감지센서부(30)에 의한 적설량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클리닝부(40)를 on 작동하며, 상기 클리닝부(40)가 off 작동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과정을 재실행하여 이후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 재출력 시점을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측실(11) 입구 내주면에 루프플레이트(11a)가 돌출되거나, 계측실(11)이 하부로 갈수록 사이즈가 확장되는 상협하광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계측실(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에 의해 측판부(12)가 보호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계측실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이동 감지정보와 계측실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 감지정보 및 온, 습도 센서 정보를 복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장에서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강설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특히, 계측실 내부 환경이 자동제설부에 의해 제설용 염수가 분사된 노면 조건과 특히, 자동제설부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어 지속 강설에 따른 자동제설부의 간헐적인 작동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바닥감지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이동감지센서부의 광원 출력, 수신 방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제어모듈에 의한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계측실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바닥감지센서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이동감지센서부의 광원 출력, 수신 방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설 감지시스템의 계측실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강설 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강설 감지시스템는 계측실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의 이동 감지정보와 계측실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 감지정보 및 온, 습도 센서 정보를 복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장에서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강설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특히, 자동제설부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어 지속 강설에 따른 자동제설부의 간헐적인 작동 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0), 이동감지센서부(20), 바닥감지센서부(30), 클리닝부(40), 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계측실(11)을 형성하고, 온도센서(16), 습도센서(18)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도로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계측실(11)은 외부환경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실(11) 바닥에는 배수라인이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 배수 및 후술하는 클리닝부(40)의 세정액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계측실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는 후술하는 이동감지센서부(20) 및 바닥감지센서부(30)의 광원이 투과됨과 더불어 클리닝부(40)의 와이퍼(42) 작동에 의해 표면 세정이 가능하도록 투명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5 (a)와 같이 상기 계측실(11) 입구 내주면에 루프플레이트(11a)가 돌출되거나, 도 5 (b)처럼 계측실(11)이 하부로 갈수록 사이즈가 확장되는 상협하광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계측실(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 중에 측판부(12)와 인접하게 하강하는 유입물이 루프플레이트(11a) 또는 상협구조의 계측실(11) 입구에 막혀 계측실(11) 내부로 유입이 차단되면서 측판부(12)가 보호되고, 이로 인해 유입물에 의한 측판부(12) 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감지센서부(20)는 상기 측판부(12)에 설치되어, 계측실(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동감지센서부(20)는, 계측실(11) 내부에 서로 대향하는 측판부(12) 상에 제 1광출력부(21)와 제 1광수신부(2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광출력부(21) 광원이 제 1광수신부(22)로 수신되는 중에 유입물에 의해 제 1광수신부(22)로 전달되는 광원이 차단되면 유입물 이동 신호로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광출력부(21)와 제 1광수신부(22)는 서로 대향하는 측판부(12)에 설치되어 직선방향으로 감지라인이 형성거나, 도 3 (a)와 같이 어느 일측 측판부(12)에 제 1광출력부(21)가 설치되고, 그 외 복수의 측판부(12)에 제 1광수신부(22)에 배치되어 감지라인이 직선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복합 형성되거나, 도 3 (b)와 같이 도 3 (a)의 배치구조를 서로 대칭구조로 배치하여 감지라인이 2개의 직선방향과 4개의 사선방향으로 편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감지센서부(30)는 상기 바닥판부(14)에 설치되어, 계측실(11) 내부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닥감지센서부(30)는, 계측실(11) 내부 측판부(12)에 제 2광출력부(31)가 설치되고, 제 2광출력부(31)와 대응하는 바닥판부(14) 상에 제 2광수신부(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광출력부(31) 광원이 제 2광수신부(32)로 수신되는 중에 바닥판부(14) 상에 안착되는 유입물에 의해 제 2광수신부(32)로 전달되는 광원이 차단되면 유입물 안착 신호로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서, 상기 바닥감지센서부(30)의 제 2광수신부(32)는 바닥판부(14)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소에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제 2광수신부(32)로 수신되는 광원이 차단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강설 감지 정확도를 높이고, 나아가 적설량을 검출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 2광수신부(32) 총 개수를 기준으로 광원 차단에 의한 유입물 안착 신호가 검출되는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검출하도록 구비되고, 적설량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제어모듈(50)에 의한 자동제설부(100) 작동타이밍을 결정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광수신부(32)의 배치 간격은, 도로의 특성에 따른 투수성, 융설효율, 주변 기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10 ~ 60mm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때 제 2광수신부(32)는 배치간격 타입별로 복수의 교체형 센서플레이트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0) 바닥판부(14) 상면에 슬롯홈을 형성하고, 본체(10) 설치 환경에 따라 센서플레이트모듈을 교체가능하게 적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부(4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 표면을 세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클리닝부(40)는, 와이퍼(42), 세정액 노즐(4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클리닝부(40)는 와이퍼(42) 및 세정액 노즐(44)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세정액 노즐(4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액은 물 100 중량부 대비 메탄올, 에탄올, 부동액 중 어느 1종 이상의 혼합물 10 ~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정액은 자동제설부(100)를 통하여 분사되는 제설용 염수와 동일한 빙점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 노즐(44)을 통하여 세정액이 분사되는 시점은 후술하는 자동제설부(100)를 통한 제설용 염수 분사 시점과 일치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50)은 상기 온도센서(16) 검출정보, 습도센서(18) 검출정보, 이동감지센서부(20)를 통한 유입물 감지정보, 바닥감지센서부(30)를 통한 유입물 감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연산하여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은 온도센서(16) 검출 정보가 영상 1℃ 이하, 습도센서(18)로 검출된 상대습도가 75% 이상인 조건에서 이동감지센서부(20) 및 바닥감지센서부(30)를 통하여 유입물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강설 상황으로 인식하고, 강설 상황 조건에서 바닥감지센서부(30)에 의한 적설량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클리닝부(40)를 on 작동한다.
이후, 상기 클리닝부(40)가 off 작동된 시점으로부터 온도센서(16), 습도센서(18), 이동감지센서부(20) 및 바닥감지센서부(30)에 의해 강설 상황을 재 검출하여 이후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 재출력 시점을 결정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부(40)가 off 작동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과정을 재실행하여 이후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 재출력 시점을 결정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도 6처럼 상기 자동제설부(100)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11)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므로, 2 ~ N 차 제설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제설부(100) 작동타이밍이 정확하게 검출되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20: 이동감지센서부
30: 바닥감지센서부 40: 클리닝부
50: 제어모듈

Claims (8)

  1.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계측실(11)을 형성하고, 온도센서(16), 습도센서(18)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측판부(12)에 설치되어, 계측실(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이동감지센서부(20);
    상기 바닥판부(14)에 설치되어, 계측실(11) 내부 바닥에 안착된 유입물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바닥감지센서부(3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측판부(12)와 바닥판부(14) 표면을 세정하도록 구비되는 클리닝부(40); 및
    상기 온도센서(16) 검출정보, 습도센서(18) 검출정보, 이동감지센서부(20)를 통한 유입물 감지정보, 바닥감지센서부(30)를 통한 유입물 감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연산하여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클리닝부(40)는, 와이퍼(42), 세정액 노즐(4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정액 노즐(4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액은 자동제설부(100)를 통하여 분사되는 제설용 염수와 동일한 빙점으로 설정되고,
    상기 세정액 노즐(44)을 통하여 세정액이 분사되는 시점은 후술하는 자동제설부(100)를 통한 제설용 염수 분사 시점과 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자동제설부(100)를 통한 제설용 염수가 도포되는 시점과 연계되어 세정액이 분사되고, 세정액이 분사된 조건에서 계측실(11) 내부 적설 정보가 검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센서부(20)는, 계측실(11) 내부에 서로 대향하는 측판부(12) 상에 제 1광출력부(21)와 제 1광수신부(2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광출력부(21) 광원이 제 1광수신부(22)로 수신되는 중에 유입물에 의해 제 1광수신부(22)로 전달되는 광원이 차단되면 유입물 이동 신호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감지센서부(30)는, 계측실(11) 내부 측판부(12)에 제 2광출력부(31)가 설치되고, 제 2광출력부(31)와 대응하는 바닥판부(14) 상에 제 2광수신부(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광출력부(31) 광원이 제 2광수신부(32)로 수신되는 중에 바닥판부(14) 상에 안착되는 유입물에 의해 제 2광수신부(32)로 전달되는 광원이 차단되면 유입물 안착 신호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감지센서부(30)의 제 2광수신부(32)는 바닥판부(14)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소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광수신부(32) 총 개수를 기준으로 광원 차단에 의한 유입물 안착 신호가 검출되는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검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노즐(4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액은 물 100 중량부 대비 메탄올, 에탄올, 부동액 중 어느 1종 이상의 혼합물 10 ~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은 온도센서(16) 검출 정보가 영상 1℃ 이하, 습도센서(18)로 검출된 상대습도가 75% 이상인 조건에서 이동감지센서부(20) 및 바닥감지센서부(30)를 통하여 유입물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강설 상황으로 인식하고, 강설 상황 조건에서 바닥감지센서부(30)에 의한 적설량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클리닝부(40)를 on 작동하며, 상기 클리닝부(40)가 off 작동된 시점으로부터 온도센서(16), 습도센서(18), 이동감지센서부(20) 및 바닥감지센서부(30)에 의해 강설 상황을 재 검출하여 이후 자동제설부(100) 구동신호 재출력 시점을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11) 입구 내주면에 루프플레이트(11a)가 돌출되거나, 계측실(11)이 하부로 갈수록 사이즈가 확장되는 상협하광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계측실(11)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물에 의해 측판부(12)가 보호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설 감지시스템.
KR1020200154328A 2020-11-18 2020-11-18 강설 감지시스템 KR10249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28A KR102490784B1 (ko) 2020-11-18 2020-11-18 강설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28A KR102490784B1 (ko) 2020-11-18 2020-11-18 강설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755A KR20220067755A (ko) 2022-05-25
KR102490784B1 true KR102490784B1 (ko) 2023-01-20

Family

ID=8179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28A KR102490784B1 (ko) 2020-11-18 2020-11-18 강설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008B1 (ko) * 2023-02-16 2023-06-26 명성기업 주식회사 지능형 강설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용액 자동살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40B1 (ko) * 2009-10-20 2011-06-30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3차원 무선 복합 기상 측정모듈을 통한 강우량·강설량연산용 단면적 데이터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36722B1 (ko) * 2010-06-10 2013-02-26 대한민국 3차원 레이저 어레이부가 구비된 강수입자 밀도관측 시스템
KR101408112B1 (ko) * 2014-05-01 2014-07-03 (주)에스알디코리아 적설감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제설제 살포시스템
KR101487745B1 (ko) * 2014-05-12 2015-01-29 다온 주식회사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KR101933688B1 (ko) * 2018-03-23 2018-12-28 (주)에스알디코리아 영상감지형 액상제설제 살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0396A (ja) * 1987-08-11 1990-04-23 Tsuuden:Kk 降雪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40B1 (ko) * 2009-10-20 2011-06-30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3차원 무선 복합 기상 측정모듈을 통한 강우량·강설량연산용 단면적 데이터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36722B1 (ko) * 2010-06-10 2013-02-26 대한민국 3차원 레이저 어레이부가 구비된 강수입자 밀도관측 시스템
KR101408112B1 (ko) * 2014-05-01 2014-07-03 (주)에스알디코리아 적설감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제설제 살포시스템
KR101487745B1 (ko) * 2014-05-12 2015-01-29 다온 주식회사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KR101933688B1 (ko) * 2018-03-23 2018-12-28 (주)에스알디코리아 영상감지형 액상제설제 살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755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7810B1 (en) Wind measurement device and lidar device
KR102490784B1 (ko) 강설 감지시스템
CN110406544A (zh) 雨雾场景下的车辆感知系统及方法
KR101181405B1 (ko) 이물질 제거 및 광 차단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100698585B1 (ko) 안개 방재 시스템
CN108128466B (zh) 图像式结冰探测器及结冰探测方法
JP7318291B2 (ja) 屋外構造物表面浄化装置及び屋外構造物表面浄化装置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80002997U (ko) 자동 청결 감시 카메라
CN209166892U (zh) 一种实现实时样品数据采集的多功能降水降尘采样器
JP2016217777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
KR102371462B1 (ko) 기상정보를 활용한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CN208918147U (zh) 一种用于激光雷达观测的智能天窗装置
JP3175722U (ja) 止水装置用警報システム
US20110010045A1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KR101224270B1 (ko) 강수량 측정장치
KR101788219B1 (ko) 차량을 이용한 기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102435673B1 (ko) 차량형 이동식 강우 관측 장치
KR101025220B1 (ko) 투명판 세척수단을 갖는 무인감시장치
KR102440636B1 (ko) 자율운전 가능한 수문 시스템
KR101004477B1 (ko) 김서림감지 겸용 프리즘형 레인센서
JP6503825B2 (ja) 太陽光発電装置、センシング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208313219U (zh) 无轨电动伸缩门及其偏移检测装置
KR102547008B1 (ko) 지능형 강설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용액 자동살포시스템
KR20100020104A (ko) 저류조 수문 관리 시스템
KR20100059008A (ko) 레인 센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