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745B1 -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745B1
KR101487745B1 KR20140056236A KR20140056236A KR101487745B1 KR 101487745 B1 KR101487745 B1 KR 101487745B1 KR 20140056236 A KR20140056236 A KR 20140056236A KR 20140056236 A KR20140056236 A KR 20140056236A KR 101487745 B1 KR101487745 B1 KR 10148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ight source
snowfall
snow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철
Original Assignee
다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5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과 카메라가 적설된 눈이 감지될 때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이동하여 적설량을 측정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촬영을 위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해 빛을 입사 받아 적설된 눈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광원을 수직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카메라와 광원과 이동부를 감싸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적설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 Snowfall measurement device using light and camera }
본 발명은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과 카메라가 적설된 눈이 감지될 때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이동하여 적설량을 측정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설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정해진 규격의 적설 판 위에 쌓인 눈의 깊이를 CM자로 직접 측정하는 방법과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 둘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는데, 사람이 직접 측정하는 방법은 바람 등의 원인으로 적설 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유용한 측정이 될 수 있지만,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또는 자의 눈금을 읽는 각도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기계를 이용한 자동 관측은 1분이든 10분이든 우리가 원하는 간격으로 설정하여 연속적인 관측이 가능하고 기계의 설치 장소만 확보된다면 원거리에서도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 적설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 적설 관측은 바람 등에 의한 적설 면의 불균일함, 강설 강도, 측정지점 지면의 상태 등 외부의 조건에 따른 오차의 발생 가능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현재 적설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레이저, 초음파, 광학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113053호는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설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노상에 매설되고 소정 간격의 일정 눈금으로 표시되어 적설량을 표시하는 기준 자, 기준 자로부터 소정 거리에 설치되어 기준 자의 영상을 촬영하되 렌즈를 줌 인/아웃하여 특정 영역의 영상을 주/야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 카메라의 렌즈의 줌 인/아웃 및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분석된 적설량, 적설 강도 및 일정 시간에 따른 적설 수치 변화를 연산하며, 연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설 측정 서버, 적설 측정 서버를 원격 제어하고, 적설 측정 서버로부터 전송된 적설량 데이터 및 적설 영상을 제공받아 특정 지역의 적설량을 원격 감시함과 아울러 특정 지역에 따른 적설량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및 적설 측정 서버에서 연산 된 적설량 및 디지털화된 영상자료를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메인서버의 제어신호를 적설 측정 서버로 전송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과 적설량데이터를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원격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적설량을 신속하게 수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도를 향상시킨 하나의 CCD 카메라로 기준 자를 모든 영역을 관측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관측이 가능함과 아울러 하나의 카메라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작업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야간촬영도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발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CCD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설 표면에 노출된 적설 자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적설 자 표면에 눈이 뭉칠 경우 눈금을 읽는 것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적설 자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적설 높이만을 국부적으로 측정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렌즈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게 되면 선명한 화질을 보여주지 못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카메라가 흔들릴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11305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과 카메라가 동시에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이동하면서 눈이 쌓여 있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카메라의 이동거리만큼을 측정하고 다시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적설량을 측정하여 오차율을 줄이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볼스크류와 LM가이드의 미세하고도 견고한 이동에 따라 적설된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내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을 이용하여 케이스 안의 쌓이는 이물질을 날려보내고 전열기로 눈을 녹여 새로운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및 기존 적설에 의한 오류를 줄여 정확한 적설량을 측정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에서 영상 촬영한 눈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읽어내고 평균값을 연산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의 적설에 의한 오차를 감소시켜 평균적인 적설량을 얻어낼 수 있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는 영상 촬영을 위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해 빛을 입사 받아 적설된 눈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수직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 및 이동부를 감싸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적설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의 상기 이동부는 이동부의 수직이동을 위해 동력을 얻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광원과 카메라를 수직이동 하기 위해서 수직이동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외주면에 너트가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수직이동 축을 따라서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직이동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의 몸체부는 눈이 쌓이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케이스 안의 이물질을 날려보내주는 팬(Fan)과 상기 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내보내는 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의 상기 케이스는 하부에 설치되며 눈을 녹여 주어 새로운 적설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평균값과 초음파센서에 의한 평균값을 비교 연산하여 오차율이 5% 이상일 경우 다시 초음파 센서로 재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의하면 광원과 카메라가 동시에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이동하면서 눈이 쌓여 있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카메라의 이동거리만큼을 측정하고 다시 초음파 센서를 통해 적설량을 측정하여 오차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의하면 볼스크류와 LM가이드의 미세하고도 견고한 이동에 따라 적설된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의하면 팬을 이용하여 케이스 안의 쌓이는 이물질을 날려보내고 전열기로 눈을 녹여 새로운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및 기존 적설에 의한 오류를 줄여 정확한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의하면 제어부에서 영상 촬영한 눈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읽어내고 평균값을 연산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의 적설에 의한 오차를 감소시켜 평균적인 적설량을 얻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에 대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부에 따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구성 블록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과 카메라가 적설된 눈이 감지될 때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이동하여 적설량을 측정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촬영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부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는 광원(100)과 카메라(200) 및 초음파 센서(300)에 의해 적설량을 측정하는 특징이 있다. 광원(100)과 카메라(200)는 케이스(501)의 상부에서부터 영상 촬영을 시작하여 적설된 지점까지 촬영을 하기 위해 하부로 이동된다.
또한 광원(100)과 카메라(200)에 의해 적설량을 측정한 후 상부에 존재하는 초음파센서(300)가 다시 적설량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두 번 적설량을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단일 장치로만 적설량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 그 값이 더욱 정교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0)과 카메라(200)는 A방향(601)의 적설 표면을 영상 촬영하여 적설량을 측정하고 초음파센서는 B방향(602)의 적설 표면을 측정한다.
먼저, 초음파 센서에 의한 적설량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방향(602)에 따라 초음파 센서(300)가 이동하며 일정한 거리 간격을 두고서 3곳 이상(a,b,c...)을 무작위로 측정한다. 초음파를 위쪽에서 발사하여 적설면으로부터의 반사시간을 측정하여 눈이 없는 기준면으로부터의 반사시간과의 차를 취함으로써 적설량을 측정한다.
종래 초음파 센서에 의한 적설량의 측정에서는 적설된 부분 중 가장 높은 곳만을 측정하는 방식이라 눈의 특성상 표면이 고르지 않는 특성 때문에 적설량 측정이 다소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초음파 센서(300)의 움직임을 통해 적설 표면을 여러 번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기 때문에 그 값이 더욱 정밀하다.
또한, 광원(100)과 카메라(200)에 의한 적설량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0)은 카메라(200)가 영상 촬영을 할 때 빛을 조사해주며 눈이 적설된 부분과 적설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명암대비가 생기도록 하여 적설된 부분과 적설되지 않는 부분을 구분하게 해준다. 명암 대비에 의해 눈이 쌓인 부분은 음영(703)이 지게 되고 이때 생긴 음영(703)은 적설된 눈의 표면을 따라 수평선(704)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카메라(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이동하면서 촬영을 시작하여 음영(703)이 진 수평선(704)까지 촬영한다. 카메라(200)는 렌즈배율에 따라 음영(703)이 진 수평선(704)을 더욱 넓게 영상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00)가 A방향(601)으로 영상 촬영을 하기 때문에 B방향(602)에 대한 적설량 측정이 어려웠다. 하지만 초음파 센서(300)에 의해서 B방향(602)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상호보완하여 더욱 정확한 적설량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에서는 광원(100)과 카메라(200)에 의한 측정값과 초음파 센서(300)에 의한 측정값을 연산한다.
광원(100)과 카메라(200)에 의한 측정값은 카메라의 이동거리(705)만큼을 연산한다. 음영(703)으로 인해 생긴 수평선(704)의 표면을 고려해 적설의 최소값(701)과 최대값(702)을 읽어낸다. 즉 카메라의 최장이동거리는 적설의 최소값(701)이고 최단이동거리는 적설의 최대값(702)이다. 또한 최소값(701)과 최대값(702)의 평균값을 연산한다.
Figure 112014044101537-pat00001
초음파센서(300)에 의한 측정값은 일정 간격을 두고 3곳 이상(a,b,c...)을 무작위로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을 연산한다.
Figure 112014044101537-pat0000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0)과 카메라(200)에 의한 평균값과 초음파센서(300)에 의한 각각의 평균값을 얻은 후 다시 카메라(200)에 의한 평균값과 초음파 센서(300)에 의한 평균값을 비교하여 오차율이 5%를 넘을 경우 초음파센서(300)로 재측정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오차율 5%이내의 측정값을 얻었을 때 모든 적설량 측정을 마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광원(100)과 카메라(200)에 의한 적설량의 평균값과 초음파센서(300)에 의한 적설량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또다시 두 개의 평균값을 합하여 둘로 나눈 최종적인 평균값을 연산한다. 이로써 최종적인 적설량 측정값을 얻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200)에 의한 평균값은 영상 촬영을 통하여 최소값(701)과 최대값(702)을 읽어내어 얻은 값으로 최소값(701)과 최대값(702)이 고정되어 더 이상 변화가 없기 때문에 평균값에도 변화가 없다. 하지만 초음파 센서(300)에 의한 평균값은 무작위로 3곳 이상(a,b,c...)을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하는 구간마다 각각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고 매 측정시 다른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평균값이 달라질 수 있어 초음파 센서(300)에 대해서만 재측정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200)의 영상촬영과 초음파 센서(300)에 의한 적설량의 평균값을 구하고 다시 초음파센서(300)로 재측정하여 오차율을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도가 높은 적설량 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과(100)과 카메라를(200) 수직 이동시켜주기 위한 이동부(400)가 다음과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동부(400)의 수직이동을 위해 동력을 얻기 위한 모터(404)와 모터(404)의 동력에 의해 광원(100)과 카메라(200)를 수직이동 하기 위해서 수직이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외주면에 너트(403)가 형성된 볼스크류(402)와 볼스크류(402)의 수직이동 축을 따라서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직이동하는 LM가이드(4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주면에 너트(403)가 형성된 볼스크류(402)는 물체를 이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데 쓰이는 나사의 일종으로 볼스크류의 표면에 있는 나사홈이 나선형상으로 이어져 있으며 너트(403)는 이 홈을 따라서 이동한다. 한 예로 사람이 나선계단을 오르내릴 때와 같은 원리이다. 마모가 적어 정밀한 위치결정을 할 수 있고 미소이동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작동되기 때문에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볼스크류(402)를 따라서 수직이동되도록 하는 LM가이드(401)는 볼스크류(402)와 일정한 위치에서 나란히 설치되며 볼스크류(402)를 견고하게 지지해준다. 또한 광원(100)과 카메라(200)를 흔들림없이 안정되고 부드러운 수직이동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조적 안정감을 주는 LM가이드는 상황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원(100)과 카메라(200)가 이동부(300)에 설치되어 볼스크류(402)의 외주면에 있는 너트(403)의 움직임에 따라 LM가이드(401)가 수직이동을 하며 광원(100)과 카메라(200)가 LM가이드(401)를 수직이동을 따라 적설면의 모든 표면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00)는 적설량 측정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눈이 쌓이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501)와 케이스(501)의 측면에 설치되며 케이스(501) 안의 이물질(2)을 날려보내주는 팬(502)과 팬(502)의 바람을 이용하여 이물질(2)을 외부로 내보내는 환기구(5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00)는 광원(100)과 카메라(200)와 이동부(40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바람이나 충격에 의해 보호되어 안정된 작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설량을 측정하기 위해 눈을 쌓이게 하는 케이스(501)는 적설량 측정시 상부가 개방되어 눈을 쌓이게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폐쇄되는 문을 장착하여 적설량 측정이 필요없을 시에는 케이스(501) 상부가 폐쇄되어 케이스(501)를 외부의 이물질(2)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눈이 적설 되면서 외부로부터 낙엽과 먼지같은 이물질(2)이 유입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여 그 이물질(2)을 외부로 날려 보내주는 팬(502)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502)은 풍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며 케이스(501)의 하부에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팬(502)의 풍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이물질(2)을 날려 보내줄 때 필요한 환기구(50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환기구(503)는 상황에 따라 개방과 폐쇄가 가능하며 정해진 통로를 따라 외부로 이물질(2)을 내보낸다.
또한 상기 케이스(501)의 하부에 설치되며 기존 적설을 녹여 새로운 적설을 할 수 있는 전열기(5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눈이 계속 적설 됨에 따라 케이스(501)의 하부 쪽에 결빙현상이 생기거나 눈의 찌꺼기와 같은 문제점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부터 잘못된 적설량 측정을 방지하는 전열기(501)는 기존 적설에 의한 오류를 줄여 정확한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광원
200 : 카메라
300 : 초음파센서
400 : 이동부
401 : LM가이드
402 : 볼스크류
403 : 너트
404 : 모터

500 : 몸체부
501 : 케이스
502 : 팬(Fan)
503 : 환기구
504 : 전열기
600 : 케이스에 적설된 예
601 : 카메라의 적설면 측정방향(A 방향)
602 : 초음파센서의 적설면 측정방향(B 방향)
700 : 영상 촬영 예
701 : 적설의 최소값
702 : 적설의 최대값
703 : 음영
704 : 수평선
1 : 적설된 눈
2: 이물질

Claims (6)

  1. 영상 촬영을 위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해 빛을 입사 받아 적설된 눈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를 수직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광원과 카메라 및 이동부를 감싸며 상부가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 적설량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눈이 쌓이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케이스 안의 이물질을 날려보내주는 팬(Fan);과
    상기 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내보내는 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부의 수직이동을 위해 동력을 얻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광원과 카메라를 수직이동 하기 위해서 수직이동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너트가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수직이동 축을 따라서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직이동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기존 적설을 녹여 새로운 적설을 할 수 있는 전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적설량을 한번 더 측정하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평균값과 초음파센서에 의한 평균값을 비교 연산하여 오차율이 5% 이상일 경우 다시 초음파 센서로 재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KR20140056236A 2014-05-12 2014-05-12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KR10148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236A KR101487745B1 (ko) 2014-05-12 2014-05-12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6236A KR101487745B1 (ko) 2014-05-12 2014-05-12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745B1 true KR101487745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6236A KR101487745B1 (ko) 2014-05-12 2014-05-12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7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1568A3 (en) * 2016-06-30 2018-02-22 Gill Instruments Limited A precipitation sensor
EP3324220A1 (en) 2016-11-17 2018-05-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empirical snow depth
KR102204206B1 (ko) * 2020-10-08 2021-01-18 문엔지니어링(주) 도로의 적설량 cctv 영상감시 및 자동측정장치
KR20220067755A (ko) * 2020-11-18 2022-05-25 변영재 강설 감지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18B1 (ko) 2009-11-02 2012-06-15 현종훈 적설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0632B1 (ko) * 2011-12-21 2013-12-12 (주) 성우미래산업 적설량 계측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18B1 (ko) 2009-11-02 2012-06-15 현종훈 적설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0632B1 (ko) * 2011-12-21 2013-12-12 (주) 성우미래산업 적설량 계측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1568A3 (en) * 2016-06-30 2018-02-22 Gill Instruments Limited A precipitation sensor
EP3324220A1 (en) 2016-11-17 2018-05-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empirical snow depth
US10337973B2 (en) 2016-11-17 2019-07-0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empirical snow depth
KR102204206B1 (ko) * 2020-10-08 2021-01-18 문엔지니어링(주) 도로의 적설량 cctv 영상감시 및 자동측정장치
KR20220067755A (ko) * 2020-11-18 2022-05-25 변영재 강설 감지시스템
KR102490784B1 (ko) * 2020-11-18 2023-01-20 (주)퓨맥스 강설 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745B1 (ko) 광원과 카메라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 장치.
KR100898061B1 (ko) 하이브리드 터널 스캐닝 장치
JP6466933B2 (ja) 障害物識別及び回避システム並びに方法
KR101613740B1 (ko) 활주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2177675A (ja) 路面欠陥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28060B1 (ko) 열화상 인식을 이용한 전력설비 열화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149916B1 (ko) 산사태 경보시스템
JP2019503302A (ja) 列車の電気導体システム中の不具合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57318B1 (ko) 적설량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01112B2 (ja) 雲粒子観測用顕微鏡
KR101520018B1 (ko) 터널점검장치
JP4177288B2 (ja) 鉄道車両用屋根上機器監視測定装置
KR101165695B1 (ko) 노면상태 검지를 위한 자동제어형 편광필터 및 그 구동 방법
RU2415053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несоконусности лопастей несущего винта вертоле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788219B1 (ko) 차량을 이용한 기상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552949B1 (ko) 적설량 cctv영상감시 및 자동측정장치
JP4244818B2 (ja) 流下ガラス流下速度計測方法および計測装置
KR100893556B1 (ko) 항공사진 촬영장치
CN104010165B (zh) 降水粒子阴影图像自动采集装置
KR100814096B1 (ko) 피사체 자동 추적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JP6482248B2 (ja) 狭隙間点検装置
JP2007025967A (ja) 交通流計測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CN106197660B (zh) 公路隧道照明评估装置及动态评估方法
CN114594533A (zh) 一种基于自适应高斯混合算法的视频雨量监测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