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670B1 -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670B1
KR102490670B1 KR1020200084749A KR20200084749A KR102490670B1 KR 102490670 B1 KR102490670 B1 KR 102490670B1 KR 1020200084749 A KR1020200084749 A KR 1020200084749A KR 20200084749 A KR20200084749 A KR 20200084749A KR 102490670 B1 KR102490670 B1 KR 10249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ms
vehicle
payment
user terminal
paymen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839A (ko
Inventor
송인의
Original Assignee
송인의
주식회사 액손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의, 주식회사 액손시스 filed Critical 송인의
Priority to KR102020008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6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결제 요청 장치가,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된 TPMS 모듈로부터 수신한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 장치가,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PAYMENT METHOD THROUGH CERTIFICATION OF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PAYMENT REQUEST DEVICE THEREFOR, AND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로 폐쇄하고 있다가 이용객이 주차장 입구에서 차량을 일단 정차한 상태에서 주차권을 뽑거나, RF 태그를 확인한 경우에만 차단기를 개방시킨다. 또한, 차량이 출차할 경우에도 운전자가 주차권을 제시하여 주차요금을 지불하거나 주차요금이 정산된 주차권을 차단기에 넣어야만 출구를 개방한다.
이러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폐쇄형 방식으로서 차량이 입차할 때 일단 차량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차량이 일시에 몰릴 경우 주차장의 입구는 물론 주차장 진입로의 혼잡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주차장을 나갈 때에도 주차 요금을 지불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차량의 출차가 지체됨에 따라 일시에 차량이 몰릴 경우 주차장 내 혼잡이 발생되고 운전자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차권 없이 무정차로 주차장을 출입하도록 하는 출입문 개방형 주차관리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장 출입구의 차단기를 항시 개방하고 차량이 입차 및 출차할 때 감지기에 의해 차량의 입차 및 출차시각과 차량종류를 자동 감지함과 동시에 카메라로 차량번호판을 자동 인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입구차단기(2), 차량의 입차시각과 차량종류를 자동 인식하는 입구감지기(3), 차량의 번호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입구차량번호인식기(4), 주차장의 입출차와 주차요금정산을 종합 관리하는 주차장제어컴퓨터(5), 면제차량, 정기차량, 할인차량 등의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관리하는 차량번호데이터베이스(6), 사전에 정기 이용권이나 무료 이용권에 등록하거나 주차장에 설치된 정산기에서 주차요금을 미리 정산하는 사전정산기(7), 차량의 출차시각과 차량종류를 자동 인식하는 출구감지기(8),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출구차량번호인식기(4a), 주차요금을 신속히 결제할 수 있는 출구정산기(9), 차량의 주차장 진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출구차단기(10)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출차 시 주차장 출구에서 출구감지기(8)에 의해 차량을 인식하고 출구정산기(9)에서 주차요금을 결제해야 하므로, 운전자의 측면에서는 주차요금 결제 시까지 대기시간이 존재하였으며 완전한 무정차 출구 시스템을 구현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사전정산기(7)를 이용한다고 해도 사전에 정기 이용권이나 무료 이용권에 등록하거나 주차장에 설치된 정산기에서 주차요금을 미리 정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95388호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헤드유닛(무선 통신모듈 탑재 - 휴대폰과 동일한 3G, LTE, 5G 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모듈)과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원격지 결제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동시에 해당 위치에 도착하면 자동 결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25733호에는 차량 위치 및 점포의 보안 등급을 확인하고, 지불 수단 및 인증 레벨을 결정하며, 결정된 레벨에 따라 인증한 후, 결정된 지불 수단에 의하여 결제하는 차량 내에서의 주문 결제 및 인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두 가지 종래기술은 GPS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GPS는 오차가 클 뿐만 아니라, 터널 안, 산간 지역 또는 숲이 우거진 길, 절벽에 가까운 도로, 빌딩 밀집 지역, 및 기타 이동통신사의 통신망 커버리지 정책에 따른 음역 지역에서는 사용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대기하지 않고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영 지역에서도 차량을 특정하여 대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는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운용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되어,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신호를 전송하는 TPMS 모듈; 대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대금을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 요청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적외선 이미지를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취득하고,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식별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접속하여 차량번호의 전체 또는 일부를 검색하고, 검색한 차량번호의 전체 또는 일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결제 단말로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 요청 장치는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다른 결제 단말의 결제 승인을 대기한 후, 상기 결제 단말에 의해 결제 승인된 경우, 영수증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영수증 정보를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접속하여 영수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영수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결제 단말로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핸드폰, 차량의 헤드 유닛(Head Unit), POS(Point Of Sale)기, 및 키오스크(kiosk)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결제 요청 장치는,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모듈로부터 수신한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은, 결제 요청 장치가,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된 TPMS 모듈로부터 수신한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 장치가,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의하면,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TPMS 모듈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대기하지 않고 대금을 결제할 수 있고, 음영 지역에서도 차량을 특정하여 대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및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한 차량 식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PMS 인증을 통한 주차요금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PMS 식별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차장에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방식으로 운용되는 주유소, 병원, 매장, 자동차 극장, 및 톨게이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PMS 인증은 결제 이외에 물건이나 금품(예컨대, 현금, 또는 사이버 포인트, 할인율)을 지급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특정 장소에 도착하면 TPMS 인증을 통해 사람 또는 시설이 물건 또는 금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운용 시스템의 일례로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모듈(100), 통신망(200), 사용자 단말(300), 및 주차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TPMS 모듈(100)은 타이어 공기압 자동감지시스템, 타이어 압력 감지시스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타이어가 터지거나 차량이 쉽게 미끄러져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료 소모량이 많아져 연비가 악화되고, 타이어 수명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승차감과 제동력도 많이 떨어진다.
이러한 타이어의 결함을 막기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안전장치가 TPMS 모듈(100)이다. TPMS 모듈(100)은 타이어에 부착된 전파식별(RFID) 센서로서, 타이어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한 뒤, 이 정보를 운전석으로 보내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타이어의 내구성, 승차감, 제동력 향상은 물론, 연비도 높일 수 있고, 주행 중 차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
통신망(200)은 사용자 단말(300) 및 주차 관리 서버(4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초광대역 무선(Ultra Wideband : UWB),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주차 관리 서버(400)의 주차요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장치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두 가지 방식으로 주차 관리 서버(400)에 결제 단말로 등록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주차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차량번호의 전체 또는 일부를 검색하고, 검색한 차량번호의 전체 또는 일부가 존재하는 경우, 주차 관리 서버(400)에 결제 단말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주차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숫자/바코드, QR 코드, 텍스트, 이미지 촬영 또는 입력 등을 통해 입력된 영수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영수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주차 관리 서버(400)에 결제 단말로 등록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지 두 가지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뿐이며, 다른 방식도 얼마든지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 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smart watch), 글라스형 단말(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주차 관리 서버(400)는 결제 요청 장치의 일례로서,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와 사용자 단말(300)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결제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300)을 등록하기 위해 차량번호와 TPMS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다른 결제 단말에 의해 결제 승인된 경우, 영수증 정보를 취득하고, 영수증 정보와 TPMS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의 입출차 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식별값을 추출하고,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 예를 들면, TPMS 신호를 분석하여 제2 식별값을 추출하며,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식별된 차량에 대하여 입출차 시간을 기록하고, 기록된 입출차 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며,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300)에게 주차요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주차 관리 서버(400)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적외선 카메라(410), 안테나(420a), 무선 통신부(420), 제어부(430), 저장부(4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410)는 차량에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의 적외선을 조사하면서 차량의 외형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적외선 카메라(410)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복수의 적외선 LED(412) 및 복수의 적외선 LED(412)를 통해 발산되는 적외선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면 이를 촬영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외선 촬영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카메라(410)는 적외선 780nm, 840nm, 940nm를 투광하여 피사체의 재질 및 색상에 따라서 각각의 파장대역별 반사 특성의 고유값을 촬영하여 이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이전의 색상값과 비교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400)는 가시광과 같이 정확한 색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안테나(420a)는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된 무선 통신기기(예를 들면,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카오디오, 및 휴대폰 등)에서 무선 통신연결을 위해 발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주차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전송받아 외부로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차량의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에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안테나(420a)는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의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특정 방향으로만 지향성의 특성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주파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광대역 안테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20)는 안테나(420a)를 통해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된 무선 통신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4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NFC 모듈(421),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423), RF 통신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5), IR 통신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7), 및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4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통상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및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4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저장부(4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주차 관리 서버(4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30)는 기존의 로컬 서버를 대신하여 적외선 카메라(410)를 이용하여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 및 무선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저장부(440)에 저장한 후, 저장부(440)에 저장된 적외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식별값을 추출하고, 저장부(440)에 저장된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제2 식별값을 추출하며,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한다. 여기서, 제1 식별값은 차량번호, 번호판, 차량의 외형, 차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외형은 외장색상, 내장색상, 블랙박스 외형, 전조등 디자인, 후미등 디자인, 비상등 전멸간격, 유리 생산년월, 휠디자인, 그릴 디자인, 및 차량 엠블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식별값은 무선 신호의 파형, 무선 신호의 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예를 들면, 무선 통신기기의 ID), 및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기반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MCNN(Multi-Sca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법을 이용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차량을 검출하고, 화질 개선, 색상 개선, 노이즈 개선, 이미지 변환, 및 가변 임계치 병렬처리 등을 통해 이미지를 전처리한 후, 에지 검출, 부분 유추, 및 특징벡터 추출을 통해 번호판을 추출하며, 추출된 번호판에서 번호 부분을 블랍(Blob) 추출한 후, 매칭 인식, AI(비지도, 준지도 및 강화학습) 인식, 레이트(Rate) 처리, 및 보팅(Voting) 처리 등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번호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객체 선별 방법에 그리드 방식을 적용하여 번호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입출차 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여 번호판 내의 정보(예를 들면, 차량번호 및 국가 지역 등)를 분류한 후, 번호판 형태 및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번호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30)는 적외선 이미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번호판 색상 차이를 구분 가능하다. 이처럼, 제어부(430)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번호판 객체 인식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브젝트 디텍션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객체 선별 방법에 그리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부동소수점 연산을 개선하여 속도 면에서 최적화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차량의 외형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객체 선별 방법에 그리드 방식을 적용하여 차량의 외형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30)는 차량의 입출차 시 차량 전면부(번호판 제외), 후면부의 디자인 및 각종 부착물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조사, 차종, 연식, 및 배기량 등으로 분류함으로써, 차량의 외형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차량의 외형을 이용하여 제1 식별값으로서, 차종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강화 학습 기능을 이용한 객체 인식으로 차종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2 식별값으로서, 무선 신호의 파형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로부터 제2 식별값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2 식별값으로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30)는 복수의 무선 통신기기로부터 복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무선 통신기기 각각의 맥 어드레스의 일부를 통합하여 식별값을 만들 수 있다.
한편, 무선 신호는 차량의 TPMS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30)는 TPMS 모듈(100)을 깨우는(wake up)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TPMS 모듈(100)을 깨워서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TPMS 신호에서 식별값으로서, TPMS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차량의 각 타이어에 장착된 4개의 TPMS 모듈(100)의 TPMS 식별 정보의 일부를 통합하여 식별값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TPMS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시켜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차량번호를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사용자 단말(300) 또는 다른 결제 단말에 의해 주차요금에 대한 결제가 승인된 경우, 영수증 정보를 취득하고, 영수증 정보를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430)가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을 이용하더라도 차량을 식별하지 못한 경우, 운전자는 1번 또는 2회 연속 등 다양한 횟수로 차량 리모컨의 특정 버튼(예컨대, 문잠금 해제, 문잠금, 트렁크 잠금 또는 잠금해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 버튼)을 눌러서 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430)가 이를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차량의 출차 시 TPMS 모듈(100)을 깨워서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300)에게 주차요금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적외선 카메라(410)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 및 무선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44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TPMS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 차량번호, 및 영수증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주차 관리 서버(4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440)는 주차 관리 서버(4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주차 관리 서버(4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440)에 저장되고, 주차 관리 서버(4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430)에 의하여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0)는 주차 관리 서버(4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 등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및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한 차량 식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의 외형을 인식한다(S410). 여기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적외선 분광 기법을 통해 차량의 외형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적외선 780nm, 840nm, 940nm를 투광하여 피사체의 재질 및 색상에 따라서 각각의 파장대역별 반사 특성의 고유값을 촬영하여 이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이전의 색상값과 비교 가능하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의 외형을 분석하여 제1 식별값을 추출한다(S420).
즉, 주차 관리 서버(400)는 OCR을 이용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MCNN과 RNN 기법을 이용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을 검출하고, 화질 개선, 색상 개선, 노이즈 개선, 이미지 변환, 및 가변 임계치 병렬처리 등을 통해 이미지를 전처리한 후, 에지 검출, 부분 유추, 및 특징벡터 추출을 통해 번호판을 추출하며, 추출된 번호판에서 번호 부분을 블랍(Blob) 추출한 후, 매칭 인식, AI(비지도, 준지도 및 강화학습) 인식, 레이트(Rate) 처리, 및 보팅(Voting) 처리 등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번호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주차 관리 서버(400)는 객체 선별 방법에 그리드 방식을 적용하여 번호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입출차 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여 번호판 내의 정보(예를 들면, 차량번호 및 국가 지역 등)를 분류한 후, 번호판 형태 및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번호판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적외선 이미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번호판 색상 차이를 구분 가능하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제1 식별값으로서, 차량의 외형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주차 관리 서버(400)는 객체 선별 방법에 그리드 방식을 적용하여 차량의 외형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입출차 시 차량 전면부(번호판 제외), 후면부의 디자인 및 각종 부착물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조사, 차종, 연식, 및 배기량 등으로 분류함으로써, 차량의 외형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차량의 외형을 이용하여 제1 식별값으로서, 차종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주차 관리 서버(400)는 강화 학습 기능을 이용한 객체 인식으로 차종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된 무선 통신기기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S430).
이어서, 주차 관리 서버(400)는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제2 식별값을 추출한다(S440).
즉, 주차 관리 서버(400)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2 식별값으로서, 무선 신호의 파형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로부터 제2 식별값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무선 신호로부터 제2 식별값으로서, 맥 어드레스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관리 서버(400)는 복수의 무선 통신기기로부터 복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무선 통신기기 각각의 맥 어드레스의 일부를 통합하여 식별값을 만들 수 있다.
한편, 무선 신호는 차량의 TPMS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차 관리 서버(400)는 TPMS를 깨우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TPMS 모듈(100)을 깨워서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TPMS 신호에서 식별값으로서, TPMS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차량의 각 타이어에 장착된 4개의 TPMS 모듈(100)의 TPMS 식별 정보의 일부를 통합하여 식별값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TPMS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시켜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차량번호를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사용자 단말(300) 또는 다른 결제 단말에 의해 주차요금에 대한 결제가 승인된 경우, 영수증 정보를 취득하고, 영수증 정보를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450),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한다(S460).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제1 식별값 및 제2 식별값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 가능하지 못하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S452),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을 식별한다(S454). 예를 들면, 운전자는 1번 또는 2회 연속 등 다양한 횟수로 차량 리모컨의 특정 버튼(예컨대, 문잠금 해제, 문잠금, 트렁크 잠금 또는 잠금해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 버튼)을 눌러서 신호를 발생하고, 주차 관리 서버(400)는 이를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PMS 인증을 통한 주차요금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의 출차 시 차량에 탑재된 TPMS 모듈(100)을 깨워서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한다(S510).
주차 관리 서버(400)는 수신한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3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20),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30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과 다른 결제 단말에게 주차요금의 결제를 요청한다(S522).
주차 관리 서버(400)는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300)이 존재하는 경우, 사전 결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30), 사전 결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결제할 내용을 등록한 후(S532), 사용자 단말(300)에게 주차요금의 결제를 요청한다(S540).
주차 관리 서버(400)는 사전 결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게 주차요금의 결제를 요청한다(S540).
한편, 주차 관리 서버(400)는 주차요금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알림 내용을 거절하거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반응이 없는 경우, 단계 S510으로 돌아가 일정 시간 동안 거절 내용에 대해 동일 알림 보류를 등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PMS 식별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의 출차 시 차량에 탑재된 TPMS 모듈(100)을 깨우고(S610),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주차 관리 서버(400)는 TPMS 모듈(100)로부터 TPM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계 S610으로 돌아가서 다시금 TPMS 모듈(100)을 깨운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TPMS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TPMS 신호를 디코딩하여 TPMS 신호에 TPMS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30), TPMS 신호에 TPMS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한 TPMS 신호를 저장한 후(S632), 단계 S610으로 돌아간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저장된 TPMS 신호의 파형을 차후 수신되는 TPMS 신호의 파형과 비교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TPMS 신호에 TPMS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TPMS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640).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TPMS 모듈 200: 통신망
300: 사용자 단말 400: 주차 관리 서버
410: 적외선 카메라 412: 적외선 LED
414: 적외선 촬영부 420: 무선 통신부
420a: 안테나 421: NFC 모듈
423: WLAN 모듈 425: RF 모듈
427: IR 모듈 429: 블루투스 모듈
430: 제어부 440: 저장부
4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Claims (8)

  1.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되어,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신호를 전송하는 TPMS 모듈;
    대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대금을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요청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번호판, 외장색상, 내장색상, 블랙박스 외형, 전조등 디자인, 후미등 디자인, 휠디자인, 그릴 디자인 및 차량 엠블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추출한 제1 식별값과 무선통신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무선 신호의 파형 또는 무선통신 기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추출한 제2 식별값을 모두 이용하더라도 차량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의 리모컨이 발생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각 타이어에 장착된 복수의 TPMS 모듈에서 발생하는 무선신호 중 맥 어드레스의 일부들을 통합하여 생성된 식별값을 제2 식별값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시스템.
  2. 삭제
  3. 차량에 장착 또는 탑재되어,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신호를 전송하는 TPMS 모듈;
    대금의 결제 요청에 따라 대금을 결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TPMS 신호에 포함된 TPMS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요청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적외선 이미지를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취득하고, 상기 TPMS 모듈로부터 상기 TPMS 식별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접속하여 차량번호의 전체 또는 일부를 검색하고, 검색한 차량번호의 전체 또는 일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결제 단말로 등록되고
    상기 결제 요청 장치는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다른 결제 단말의 결제 승인을 대기한 후, 상기 결제 단말에 의해 결제 승인된 경우, 영수증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영수증 정보를 상기 TPMS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접속하여 영수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영수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장치에 결제 단말로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핸드폰 및 차량의 헤드 유닛(Head Uni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번호판, 외장색상, 내장색상, 블랙박스 외형, 전조등 디자인, 후미등 디자인, 휠디자인, 그릴 디자인 및 차량 엠블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추출한 제1 식별값과 무선통신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무선 신호의 파형 또는 무선통신 기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추출한 제2 식별값을 모두 이용하더라도 차량을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의 리모컨이 발생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각 타이어에 장착된 복수의 TPMS 모듈에서 발생하는 복수의 무선신호 중 맥 어드레스의 일부를 통합하여 생성된 식별값을 제2 식별값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84749A 2020-07-09 2020-07-09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KR10249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49A KR102490670B1 (ko) 2020-07-09 2020-07-09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49A KR102490670B1 (ko) 2020-07-09 2020-07-09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39A KR20220006839A (ko) 2022-01-18
KR102490670B1 true KR102490670B1 (ko) 2023-01-20

Family

ID=8005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49A KR102490670B1 (ko) 2020-07-09 2020-07-09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6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1320A (ja) * 2003-11-04 2005-06-02 Honda Motor Co Ltd 車両側自動料金収受用設備及び道路側自動料金収受用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41B1 (ko) * 2016-12-22 2020-07-08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1320A (ja) * 2003-11-04 2005-06-02 Honda Motor Co Ltd 車両側自動料金収受用設備及び道路側自動料金収受用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39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4003B1 (en) Border inspection with aerial cameras
JP4667377B2 (ja) 動的な遠隔バイオメトリック照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212929A1 (en) Verifying Vehicle Authenticity
US10846809B2 (en) Automated border inspection
JP2009527804A (ja) 複数の顔認識システム(frs)に適合する分散スタンドオフid照合
CN107533645A (zh) 双嵌入式光学字符识别(ocr)引擎
TW201327413A (zh) 臉部認證或辨識系統及方法
CN111404874A (zh) 出租车嫌疑车辆甄别分析体系架构
TWI716087B (zh) 基於燈光的車輛端通信方法
KR102490670B1 (ko) Tpms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 요청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운용 시스템
US20180082281A1 (en) Vehicle settlement system and method
CN111489455B (zh) 融合北斗etc有源射频识别的三合一车载单元
US10497193B2 (en) Tracked ticket validation and feedback system
KR102553597B1 (ko) 이미지 및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한 차량 식별 방법 및 장치
Arokianathan et al. Automated toll booth and theft detection system
KR102583397B1 (ko) 데이터 및 무선 신호 분석을 통한 차량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163504B1 (ko) 고속도로 제한 차량 단속 시스템에서 면탈 차량 검출을 위한 통행료 면탈 방지 시스템
Kalaiselvi et al. Smart Car Parking System
KR20240040325A (ko) 주차관리 방법 및 시스템
OGUTA INTERFACING MICRO-CONTROLLER AND RFID TOWARDS A SECURE EMBEDDED CAR PARKING MODEL
Krishna et al. 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for public transport corpora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with help of UIDAI
Bharambe et al. Automated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NFC And Theft Vehicle Detection
RU2724936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посадочного и послепосадочного контроля пассажиров
US20210192658A1 (en) In-vehicle biometric collection and verification
Singh Automatic Gate Authentication System for RFID Tags and Thai ID C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