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822B1 - 직물용 그림 패드 - Google Patents

직물용 그림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822B1
KR102489822B1 KR1020210115119A KR20210115119A KR102489822B1 KR 102489822 B1 KR102489822 B1 KR 102489822B1 KR 1020210115119 A KR1020210115119 A KR 1020210115119A KR 20210115119 A KR20210115119 A KR 20210115119A KR 102489822 B1 KR102489822 B1 KR 10248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uter frame
fabric
target surfac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라
Original Assignee
유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라 filed Critical 유혜라
Priority to KR102021011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면의 후면에 상부 표면이 밀착되는 내부 그림판넬, 상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에 내면이 밀착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내부 그림판넬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에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설정하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상부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고정시키는 마찰면이 부가되어 있는 직물용 그림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물용 그림 패드 {Drawing Pad for Texture}
본 발명은 그림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류나 패브릭 가방 등 직물지 표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데 유용한 새로운 그림 패드를 제안한다.
셔츠나 앞치마, 커튼, 장식용 수건, 패브릭 가방 등 각종 직물지로 제작되는 의류, 소품 등은 그 형태와 기능 뿐만 아니라, 직물 표면에 구현된 디자인에 의해 그 가치가 상승하고 제품의 구매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상업적으로는 의류 제조업체 등에서 전문 디자이너에 의해 개발된 디자인을 공업용 인쇄기로 대량 인쇄하여 디자인된 의류를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의 개성이 중요시되고 각 개인의 창작 의욕이 높아지면서 의류나 가방 등에 직접 본인이 개발한 디자인을 화체시키거나 나만의 디자인된 의류를 소유하려는 욕구가 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직접 의류에 전사하여 최종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도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교육적 효과나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의류 등에 직접 그림을 그려 자신만의 제품을 소유하고자 하는 활동이 대두되고 있다.
자신의 디자인을 의류 등에 전사하기 위해서 열전사 필름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2003-0061757호에 따르면, 개인이 프린터기를 사용하여서 출력된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자가 원하는 셔츠, 액세서리 등에 발포인쇄를 할 수 있는 발포전사지에 관한 것으로서, 프린트로 출력된 그림을 인쇄를 할 수 있는 발포전사지는 먼저 이형지가 구비되고, 상기 이형지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폴리에스테르가 도포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층의 상부에 특정문양을 이루도록 발포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발포제층;과 상기 발포제층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부에 또 하나의 이형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나 사진을 프린터로 출력을 하고, 원하는 셔츠나 액세서리 등에 다리미를 이용하여서 발포 전사할 수 있게 되므로서, 각각의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독특한 그림이나 사진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1-0062422호에 따르면, 부직포의 표면에 인쇄를 원하는 자필서명이나 이름 및 상호를 기재하거나, 다양한 문양이나 그림을 직접 표현하여 이를 타월이나 티셔츠와 같은 섬유제품에 그대로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글씨가 기재되거나 그림을 표현한 섬유제품을 기념품으로 직접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비닐지의 상면에 반합성 섬유의 레이온성분으로 되고 섬유들의 엉킴을 이용하여 서로 접합한 구조에 따라 기공성이 양호한 얇은 두께의 부직포를 접합하여 부직포(20)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합지단계와;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전사잉크펜을 이용하여 자필서명, 이름 내지는 상호를 직접 기재하거나 그림 내지는 각종 문양을 그리는 작성단계와; 상기 부직포의 이면에 합지된 비닐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를 피인쇄물의 섬유제품 인쇄할 부분에 위치시키고 다리미로 가열시키는 가열단계와; 가열에 의한 인쇄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사 필름을 이용하는 기술은 대부분 열전사 필름에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디자인 작업을 실시하고, 컴퓨터 소프트에어로부터 자동 커팅기로 해당 디자인을 전송하여 열전사 필름을 커팅기로 재단하게 된다. 이후 열전사 프레스 등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열전사 필름의 디자인을 의류 등에 전사한다. 이와 같이 열전사 필름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디자인 프로그램, 열전사 필름 커팅 장치, 열전사 필름 전사용 프레스 장치 등이 필요하며, 일련의 과정에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단품의 의류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디자인된 의류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개개인의 상상 속에서 창작한 다양한 디자인을 의류 등의 직물지에 전사하려면 창작 디자인을 광학 기구 등으로 캡쳐 내지 스캔하고 얻어진 자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단계가 더 필요하여 유치원이나 공공 교육기관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열전사 방식의 불편함 및 고가의 장비 구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티셔츠 등 의류 표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작업은 쉽지 않다. 의류 등의 직물지는 종이나 캔버스 처럼 고정된 형태를 제공하지 않으며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의류 표면이 밀리거나 삐뚤어지게 되어 완성도 높은 디자인이 구현되지 않는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 노인 등의 경우에는 의류 표면이 밀리고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정확한 그림을 그리는데 더 어려움을 느끼게 되며, 원하는 위치에 그림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만족스런 의류 디자인을 직접 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사 과정이 없이도 의류나 에코백, 기타 직물지 표면에 쉽게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새로운 그림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셔츠 등 의류 표면에 직접 그림을 그릴 때 의류 표면이 밀리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원하는 위치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그림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교나 교회, 기타 각종 모임 및 단체에서 여러 명이 동시에 그림 그리기 작업을 진행하기에 용이하도록 의류와 그림 판넬이 결합되어 세트화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면의 후면에 상부 표면이 밀착되는 내부 그림판넬, 상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에 내면이 밀착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내부 그림판넬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에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설정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상부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고정시키는 마찰면이 부가되어 있고,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주면은 동일한 형태이며,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은 나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포맥스, 아크릴,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그림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표면 일부분 및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표면 일부분에는 정렬용 마킹부가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은 하나의 판넬의 내부를 재단하고 분리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박형의 외부 프레임, 외부 프레임의 내면에 장입되는 박형의 내부 그림판넬,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상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제공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후방으로 접혀져 배치되는 직물지를 포함하는 직물용 그림 패드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박형의 외부 프레임, 외부 프레임의 내면에 장입되는 박형의 내부 그림판넬,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상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제공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후방으로 접혀져 배치되는 직물지, 상기 내부 그림판넬 상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직물지의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 위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 상면에 배치되는 먹지를 포함하는 직물용 그림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에 쉽게 그림을 그려 자신만의 디자인이 구현된 의류를 소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나 에코백 등 생활용품에 스스로 창안한 디자인을 직접 시각화함으로써 생각이나 정서를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단체 활동을 통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림 그리기 체험 활동을 넘어서, 문화적으로 전시 활동이나 공연 활동으로 연계하여 교육 기관 등에서 다양한 체험 이벤트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그림 패드 구조를 보인 사진
도 2는 그림 패드가 삽입된 의류 사진
도 3은 그림 패드 제작의 예를 보인 모식도
도 4a 내지 4d는 그림 패드와 의류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사진
도 5a 내지 5d는 의류에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보인 사진
도 6a 및 6b는 그림 패드 분리 과정을 보인 사진
도 7은 그림이 완성된 의류 사진
본 발명은 새로운 직물용 그림 패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그림 패드는 의류나 직물 가방 등과 세트화될 수 있으며, 의류용 그림 키트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대량으로 제조되어 교육 기관이나 종교시설, 기타 다양한 모임에서 동시에 여러 명이 직접 그림 그리기 체험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림 패드는 티셔츠나 언더웨어, 기타 의류에 직접 그림을 그려 장식미나 시각적 가치를 부여할 때 의류 천이 밀리지 않도록 측면 테두리를 고정하여 잡아주며, 그림이 그려지는 천 부분에 상하 및 좌우 방향 등 전체적으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어 작업자(그림 그리는 개인)가 그림 그리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그림 패드는 나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포맥스, 아크릴, 종이 등의 재질로 제조된 경질 판넬로 구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박형의 외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내면에 장입되는 판넬 형상의 내부 그림판넬을 포함한다.
내부 그림판넬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면에는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표면처리되거나 또는 마찰력을 부여하는 레이어가 부가되어 있고, 이러한 표면층으로 인하여 그림 대상인 직물 표면이 내부 그림판넬 상면에 접촉하여 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의 내부 형태와 내부 그림판넬의 외부 형태는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이거나 원형, 타원형 등의 곡선 도형 등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프레임에 내부 그림판넬이 장입된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의 내면과 내부 그림판넬의 외면 사이에는 간격이나 틈이 없이 꼭 맞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내부 그림판넬에 직물의 일부분(그림 대상면)이 접촉한 상태로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의 결합부에 직물의 다른 부분을 장입시켜 고정되도록 하며, 직물의 그림 대상면이 밀리지 않고 팽팽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그림 패드의 기술적 구성 및 활용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그림 패드(100) 사진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박형의 외부 프레임(110)과 외부 프레임의 내면에 장입되는 박형의 내부 그림판넬(120)을 보이고 있다.
내부 그림판넬은 직물의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면의 후면에 상부 표면이 밀착된다. 내부 그림판넬의 상부 표면에는 직물의 그림 대상면의 후면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고정시키는 마찰면(125)이 부가되어 있다. 이 마찰면은 예를 들어 사포층과 같이 부가적인 레이어를 내부 그림판넬 상면에 부착할 수도 있고, 내부 그림판넬 상면을 기계적으로 마모시키거나 표면처리하여 마찰면을 부여할 수도 있다.
외부 프레임은 직물의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전면에 배치되고,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121)에 내면이 밀착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내부 그림판넬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키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에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설정한다.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121)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주면(111)은 동일한 형태이고,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은 나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포맥스, 아크릴,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프레임의 표면 일부분 및 내부 그림판넬의 표면 일부분에는 정렬용 마킹부(112, 122)가 부가될 수 있다. 마킹부는 외부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을 상호 결합하여 직물의 그림 대상면을 고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본 발명의 그림 패드를 이용하여 직물 표면에 그림 그리기 작업을 할 때 유용하다.
본 발명의 그림 패드에 있어서, 내부 그림판넬은 직물의 그림 대상면 후면에 배치되고 외부 프레임은 직물의 그림 대상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다. 도 2는 그림 패드가 삽입된 의류 사진으로서, 직물지(130)는 내부 그림판넬의 상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132)을 제공하는 한편, 나머지 부분은 외부 프레임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직물지의 그림 대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외부 프레임 후방에 접힌 상태로 마감하여 포장할 수 있으며, 직물지와 그림 패드를 결합한 상태로 키트화하여 각종 기관이나 단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화된 직물용 그림 패드는 외부 프레임 및 내부 그림 판넬에 더하여 직물지 표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기 전에 밑그림을 전사하기 위한 먹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그림판넬 상부에 노출되는 직물지의 그림 대상면 위에 보호 필름을 부가한 상태로 먹지를 적층하여 하나의 직물용 그림 키트로 세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은 하나의 판넬의 내부를 재단하고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은 동일한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좋으며, 하나의 판넬에 대해 내부를 재단하여 (절단 또는 절개) 재단된 내부 판넬을 내부 그림판넬으로 사용하고 내부가 재단된 나머지 판넬을 외부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그림 패드 제작의 예를 보인 모식도로서, 하나의 박형 판넬(P)을 준비하고, 외부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을 구분할 재단선(L)을 판넬 표면에 기입한 후, 재단선을 따라 절개하여 외부 프레임(110)과 내부 그림판넬(12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판넬을 재단하여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을 제공함으로써 프레임의 재단된 내면과 그림판의 재단된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단된 부분, 특히 모서리 면 등은 사포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마감 처리하여 어린이들이 그림 그리는 작업이나 그림 판넬 결합 과정에서 손을 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외부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의 결합 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그림 패드는 티셔츠나 앞치마, 바지 등 각종 직물지와 결합되어 그림 대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세트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 사이에 직물지를 삽입함에 있어서 직물지의 일부분이 그림판넬 전면(상면)에 접촉한 채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그림판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접어서 마감 처리한다.
도 4a 내지 4d는 그림 패드와 직물의 예로서 의류(티셔츠)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사진이다. 먼저, 외부 프레임과 내부 그림판넬이 분리된 상태에서, 의류 내부에 그림판넬을 삽입한다. 그림판넬의 사포면 등 마찰면이 의류의 그림 대상면 부위에 배치되도록 위치를 잘 정렬시킨다(도 4a). 의류의 그림 대상면 위치를 정렬함에 있어서, 그림판넬의 위치를 적절하게 높낮이, 좌우 등 조절하여 배치한다.
그 다음, 정렬 마스킹을 참조하여, 외부 프레임을 의류 표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의류 내부에 배치된 그림판넬과 결합시킨다(도 4b). 이후 전체 그림 패드를 뒤집어 외부 프레임이 후면에서 의류의 나머지 부분을 접어서 그림 패드 모양에 맞게 정렬한다(도 4c). 의류를 접는 방식은 그림 패드 전체의 모양과 동일하거나 작은 면적이 되도록 접어서 정렬시키는 것이 그림 패드와 의류를 하나의 세트로 키트화시키고 포장하기에 용이하다.
추가적으로, 의류가 장입되어 세트화된 그림 패드를 포장할 수 있으며, 포장 전에 보호필름을 그림판넬 상부의 의류 그림 대상면에 부가한 상태로 먹지를 의류 표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4d는 먹지가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부가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직물용 그림 패드는 의류, 그림판넬,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기에 적당하며, 그림 패드와 함께 세트화된 의류에 직접 그림을 그린 후, 그림판과 프레임은 분리하여 회수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다. 의류의 일부분이 그림판넬 전면에 접촉한 상태로 의류 표면에 패브릭 마카 또는 패브릭 크레파스 등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의류 내부의 그림판넬이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물리적인 강도를 제공하여 마치 종이나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는 것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그림판넬이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접촉하고 있어 의류의 뒷면이나 나머지 부분에 그리기 도구가 뭍는 것이 방지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그림 패드가 결합되어 세트화된 의류에 실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먼저 먹지가 부가된 상태로 종이에 스케치하여(도 5a) 밑그림을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전사할 수 있다(도 5b). 그림을 그리는 작업자의 연령이나 수준에 따라 먹지 없이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직접 밑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밑그림을 스케치한 후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덧칠하여 그림 형태를 좀더 명확히 할 수도 있다(도 5c). 밑그림이 스케치된 의류의 그림 대상면에 패브릭 마카 등을 이용하여 색상을 입힐 수 있다. 패프릭 마커를 사용하게 되면 열전사 등의 부가 처리가 필요없고 그림이 완성된 의류를 곧바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 및 6b는 의류에 그림 작업이 종료된 후 그림 패드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먼저, 의류의 그림 대상면 외주에 내부 그림판넬과 결합되어 있는 외부 프레임을 분리한다(도 6a). 그 다음 의류 내부에 장입되어 있는 내부 그림판넬을 의류에서 분리한다(도 6b).
도 7은 그림이 완성된 의류를 보인 사진이다. 상용 의류 제품에 버금가는 미적 디자인이 의류에 체화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그림은 어린이나 노인 등 작업자의 개인적 창작 능력에 따라 다양한 색감과 형태가 구체화되기 때문에 자신만의 의류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고, 해당 의류를 착용하여 생활하면서 정서적인 만족감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림 패드는 개인은 물론 단체 활동에 적합하며, 어린이, 장애인, 노인의 문화 활동이나, 교육 기관이나 각종 모임, 교회 등 종교활동, 여행지에서 체험 활동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소통의 수단으로, 내면의 생각과 정서를 발현시키는 교육적 심리 활동으로 활용되어 미술 활동의 새로운 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 그림 패드 110: 외부 프레임
111: 프레임 내면 112: 마킹부
120: 내부 그림판넬 121: 판넬 외주면
122: 마킹부 125: 마찰면
130: 직물지 132: 그림 대상면
P: 판넬 L: 재단선

Claims (5)

  1.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면의 후면에 상부 표면이 밀착되는 내부 그림판넬,
    상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에 내면이 밀착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내부 그림판넬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에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설정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상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을 제공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외부 프레임 후방으로 접혀져 배치되는 직물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상부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의 후면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고정시키는 마찰면이 부가되어 있고,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주면은 동일한 형태이고,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은 나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포맥스, 아크릴, 종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그림판넬 상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직물지의 그림을 그리는 대상면 위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 상면에 배치되는 먹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그림판넬과 외부 프레임은 하나의 판넬의 내부를 재단하고 분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그림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표면 일부분 및 상기 내부 그림판넬의 표면 일부분에는 정렬용 마킹부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용 그림 패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5119A 2021-08-30 2021-08-30 직물용 그림 패드 KR10248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19A KR102489822B1 (ko) 2021-08-30 2021-08-30 직물용 그림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19A KR102489822B1 (ko) 2021-08-30 2021-08-30 직물용 그림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822B1 true KR102489822B1 (ko) 2023-01-18

Family

ID=8510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19A KR102489822B1 (ko) 2021-08-30 2021-08-30 직물용 그림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8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789U (ko) * 1989-08-21 1991-04-11
JP3037789U (ja) * 1996-11-15 1997-05-20 株式會社エトワール海渡 額 縁
KR200383625Y1 (ko) * 2005-02-22 2005-05-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응 엽서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학습교구 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789U (ko) * 1989-08-21 1991-04-11
JP3037789U (ja) * 1996-11-15 1997-05-20 株式會社エトワール海渡 額 縁
KR200383625Y1 (ko) * 2005-02-22 2005-05-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감응 엽서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학습교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832B1 (en) Fabric decorating system and colorable article of wearing apparel
US6982115B2 (en) Interactive-design garment where the wearer can create and alter the graphic decoration on th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701995B2 (en) Removable clothing patch and associated methods
Hagen Fashion illustration for designers
US11132925B2 (en) Modular apparatus and system for artistic expression
US20060170156A1 (en) Puzzles and other two dimensional visual designs made from distinctively shaped pieces
KR102489822B1 (ko) 직물용 그림 패드
US20100251460A1 (en) Apparatus, kit and method for embellishing and forming apparel
US7036200B2 (en)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object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US5727489A (en) Method of making a child's accessory
US20020164913A1 (en) Composite material
WO2016029176A1 (en) Embroidered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6326640B1 (ja) 生地
Spotts et al. Joya's Dragon
JP3145604U (ja) 衣料及び袋物類
WO2005091707A2 (en) Repositionable adhesive mounted fabric assembly and decoration process
JP3240766U (ja) 立体プリントシートとシート製品
Granholm Cosplay: from concept to completion
Envall The Story of a Dress: Ivestigating the visual and formal features of an existing garment & processing the findings into a new design.
Koppinen A Textile and Costume Design Project: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a costume for a stage production ‘Kullervo’.
US20160280001A1 (en) Unstitched seam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Dowdell Stitching la Mode: Patterns and Dressmaking from Fashion Plates of 1785-1795
JP2002227024A (ja) 和装着姿及びその作成方法
JP3071839U (ja) 写仏用ぬり絵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