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600B1 -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600B1
KR102489600B1 KR1020210026922A KR20210026922A KR102489600B1 KR 102489600 B1 KR102489600 B1 KR 102489600B1 KR 1020210026922 A KR1020210026922 A KR 1020210026922A KR 20210026922 A KR20210026922 A KR 20210026922A KR 102489600 B1 KR102489600 B1 KR 10248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support
vehicle
surface portion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375A (ko
Inventor
민경진
윤욱일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르드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르드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르드라이브
Priority to KR102021002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는: 고정부; 고정부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부; 서포트부에 이동되면서 선회되도록 결합되는 선회부; 및 선회부에 결합되고, 카메라부가 설치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CAMERA ANGLE ADJUSTABL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부를 다양한 각도 및 높이로 조절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카메라가 설치된다. 카메라는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각지대의 영상을 확보하여 불측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카메라는 사고 당시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고원인 및 과실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 등 그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또한, 사이드미러나 방향지시등에 내장되는 카메라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이처럼 차량용 카메라는 차량의 다양한 곳에 설치되며, 자율주행차량에는 보다 많은 카메라가 설치된다.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서 최적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고정 구조가 풀림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는 조절 각도가 제한적이므로, 카메라가 자율주행차량 등에 적용되는 경우 설치 위치가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8854호(2014. 09. 15 공개, 발명의 명칭: 사이드미러 카메라 장착용 각도 조절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부를 다양한 각도 및 높이로 조절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에 이동되면서 선회되도록 결합되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에 결합되고, 카메라부가 설치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고정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관부; 상기 선회부가 선회되도록 상기 서포트관부에 형성되는 서포트 가이드부; 및 상기 서포트관부를 상기 고정부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서포트관부에 설치되는 위치고정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관부가 상기 위치고정 클램프에 의해 내측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서포트관부에 위치조절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 클램프는 상기 서포트관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클램프링부; 상기 클램프링부를 상기 서포트관부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클램프링부의 양측에 체결되는 클램프 체결부; 및 상기 위치조절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클램프링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클램프 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가이드부의 상측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부는 상기 가이드면부에 대응되도록 선회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부의 선회 방향을 따라 선회 장공부가 형성되는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격해소부재; 및 상기 선회부재를 상기 서포트 가이드부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서포트 가이드부와 상기 선회 장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격해소부재에 체결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부재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부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면부에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마찰되도록 유동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부재의 상측에는 라운드진 형태의 안착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격해소부재는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 위치에 따라 상기 안착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유격해소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안착면부에 대응되도록 유격해소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부는 상기 선회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유격해소면부는 상기 안착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탑재되고, 이동 장공부가 형성되는 탑재부재; 및 상기 탑재부재를 상기 선회부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이동 장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선회부의 양측에 체결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재는 상기 카메라부가 탑재되는 탑재패널부; 및 상기 탑재패널부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이동 장공부가 형성되는 탑재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포트부가 고정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선회부가 선회되며, 서포트부가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되고, 마운트부가 전후방향으로 직선 운동된다. 따라서, 마운트부에 탑재된 카메라부가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와 높이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포트부가 위치고정 클램프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선회부재가 위치고정부재와 유격해소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마운트부가 구속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되므로, 카메라부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각도 변경 및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의 하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서포트부와 선회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서포트부와 선회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서포트부와 선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의 회전 및 이동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선회부가 선회된 후 위치 고정됨에 따라 카메라부가 각도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의 하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서포트부와 선회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서포트부와 선회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서포트부와 선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의 회전 및 이동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에서 선회부가 선회된 후 위치 고정됨에 따라 카메라부가 각도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100)는 고정부(110), 서포트부(120), 선회부(130) 및 마운트부(14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고정패널부(111)와 고정관부(113)를 포함한다. 고정패널부(111)에는 차량에서 카메라부(101)의 설치 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홀부(112)가 형성된다. 고정관부(113)는 고정패널부(111)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고정패널부(111)에는 고정관부(113)를 지지하도록 보강리브(미도시)가 형성된다. 고정관부(113)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부(120)는 고정부(110)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부(120)는 고정부(110)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서포트부(120)는 고정관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됨에 따라 서포트부(120)의 높이가 조절된다.
선회부(130)는 서포트부(120)에 이동되면서 선회되도록 결합된다. 선회부(130)는 서포트부(120)의 상측에서 구름 이동됨에 따라 고정관부(113)의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마운트부(140)는 선회부(130)에 결합되고, 카메라부(101)가 설치된다. 마운트부(140)가 선회부(130)와 함께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므로, 카메라부(101)가 마운트부(140)의 선회 각도만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부(120)가 고정부(110)(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선회부(130)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며, 마운트부(140)가 선회부(130)에 의해 선회되므로, 카메라부(101)의 각도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120)가 승강됨에 따라 선회부(130), 마운트부(140) 및 카메라부(101)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카메라부(101)가 차량의 좁은 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101)가 차량의 다양한 곳에 설치되고, 카메라부(101)의 촬영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서포트부(120)는 서포트관부(121), 서포트 가이드부(123) 및 위치고정 클램프(126)를 포함한다.
서포트관부(121)는 고정부(110)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관부(121)는 고정관부(113)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서포트관부(121)는 고정관부(113)와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서포트 가이드부(123)는 선회부(130)가 선회되도록 서포트관부(121)에 형성된다. 서포트 가이드부(123)는 일정한 곡률의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서포트 가이드부(123)의 하부에는 서포트관부(121)의 외측면에 연결되도록 서포트 보강 리브(미도시)가 형성된다.
위치고정 클램프(126)는 서포트관부(121)를 고정부(110)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서포트관부(121)에 설치된다. 위치고정 클램프(126)가 서포트관부(121)에서 풀어진 후 서포트 가이드부(123)의 높이와 회전 각도가 조절되고, 위치고정 클램프(126)가 서포트관부(121)를 조임에 따라 서포트관부(121)가 고정관부(113)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또한, 위치고정 클램프(126)가 서포트관부(121)와 고정관부(113)를 압착 고정시키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서포트부(120)의 회전 각도나 높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트관부(121)가 위치고정 클램프(126)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압착되도록 서포트관부(121)에 위치조절홀부(122)가 형성된다. 위치조절홀부(122)는 서포트관부(12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고 서포트관부(121)의 하단부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고정 클램프(126)가 서포트관부(121)에서 풀리면 서포트관부(121)가 복원력에 의해 약간 벌어지고, 위치고정 클램프(126)가 서포트관부(121)를 조이면 서포트관부(121)가 위치고정 클램프(126)에 의해 고정관부(113)에 밀착 고정된다.
위치고정 클램프(126)는 클램프링부(127), 클램프 체결부(128) 및 클램프 유동방지부(127b)를 포함한다.
클램프링부(127)는 서포트관부(12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클램프링부(127)는 원형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게 형성된다.
클램프 체결부(128)는 클램프링부(127)를 서포트관부(121)에 압착시키도록 클램프링부(127)의 양측에 체결된다. 이때, 클램프링부(127)의 양측 단부에는 클램프홀부(127a)가 각각 형성되고, 클램프 체결부(128)는 클램프홀부(127a)를 관통되도록 체결된다. 클램프 체결부(128)는 클램프 볼트부(128a)와, 클램프 볼트부(128a)에 나사결합되는 클램프 너트부(128b)를 포함한다. 클램프 너트부(128b)가 클램프 볼트부(128a)에 체결됨에 따라 클램프링부(127)가 꽉 조여진다.
클램프 유동방지부(127b)는 위치조절홀부(122)에 삽입되도록 클램프링부(127)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클램프 유동방지부(127b)는 클램프 체결부(128)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클램프링부(127)가 클램프 체결부(128)에 의해 조여질 때에 클램프 유동방지부(127b)가 위치조절홀부(122)에 삽입되므로, 클램프링부(127)가 서포트관부(121)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링부(127)가 서포트관부(121)와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트 가이드부(123)의 상측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면부(124)가 형성된다. 가이드면부(124)는 수평축에서 일정한 반경상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된다.
선회부(130)는 선회부재(131), 유격해소부재(137) 및 위치고정부재(139)를 포함한다.
선회부재(131)는 가이드면부(124)에 대응되도록 선회면부(132)가 형성되고, 선회부(130)의 선회 방향을 따라 선회 장공부(133)가 형성된다. 선회면부(132)는 가이드면부(124)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선회 장공부(133)는 수평축과 일정 반경을 이루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유격해소부재(137)는 선회부재(131)의 상측에 설치된다. 유격해소부재(137)는 수평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유격해소부재(137)에는 체결홀부(137b)가 형성된다.
위치고정부재(139)는 선회부재(131)를 서포트 가이드부(123)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서포트 가이드부(123)와 선회 장공부(133)를 관통하여 유격해소부재(137)의 체결홀부에 체결된다. 선회부재(131)가 가이드면부(124)에서 선회된 후 위치고정부재(139)가 서포트 가이드부(123)와 선회 장공부(133)를 관통하여 유격해소부재(137)에 체결되면, 선회부재(131)가 선회 각도를 유지하도록 서포트 가이드부(123)에 위치 고정된다.
선회부재(131)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이때, 가이드면부(124)와 선회면부(132)가 수평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상에 동일한 원호 형태로 각각 형성되므로, 선회부재(131)가 가이드면부(124)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수평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부(124)와 선회면부(132)가 동일한 원호 형태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면부(124)가 선회부재(131)의 선회면부(132)에 면접촉되면서 선회부재(13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면부(124)에는 미끄럼방지부(124a)가 형성되고, 선회면부(132)에는 미끄럼방지부(124a)에 마찰되도록 유동방지부(132a)가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124a)와 유동방지부(132a)는 수평축에 나란한 산부와 골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주름형태 또는 톱니형태로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124a)는 가이드면부(124)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132a)는 선회면부(132)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24a)와 유동방지부(132a)는 선회부재(131)가 위치 변경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작용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선회부재(131)가 가이드면부(124)에서 이동되면서 선회된 후 위치고정부재(139)가 서포트 가이드부(123)와 선회 장공부(133)를 관통하여 유격해소부재(137)에 체결되면, 미끄럼방지부(124a)와 유동방지부(132a)가 서로 마찰된 상태로 압착된다. 따라서, 선회부재(131)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선회부재(131)가 미끄럼방지부(124a)와 유동방지부(132a)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 변경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선회부재(131)의 상측에는 라운드진 형태의 안착면부(134)가 형성되고, 유격해소부재(137)는 선회부재(131)의 선회 위치에 따라 안착면부(134)에서 회전된다. 선회부재(131)의 선회 위치 및 선회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유격해소부재(137)가 안착면에서 선회부재(131)와 상대적으로 회전되므로, 선회부재(131)가 선회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회부재(131)가 가이드면부(124)에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카메라부(101)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격해소부재(137)의 하측에는 안착면부(134)에 대응되도록 유격해소면부(137a)가 형성된다. 이때, 안착면부(134)는 선회면부(132)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유격해소면부(137a)는 안착면부(134)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다. 따라서, 선회부재(131)가 서포트 가이드부(123)에서 어떠한 각도로 선회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더라도 유격해소부재(137)의 유격해소면부(137a)가 선회부재(131)의 안착면부(134)와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격해소부재(137)와 선회부재(131)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카메라부(101)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트부(140)는 탑재부재(141) 및 구속부재(147)를 포함한다.
탑재부재(141)에는 카메라부(101)가 탑재되고, 이동 장공부(146)가 형성된다. 구속부재(147)는 탑재부재(141)를 선회부(130)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이동 장공부(146)를 관통하여 선회부(130)의 양측에 체결된다. 탑재부재(141)가 선회부(130)에서 이동된 상태에서 구속부재(147)가 이동 장공부(146)의 둘레를 가압하여 탑재부재(141)를 선회부(130)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구속부재(147)가 선회부(130)에서 풀린 상태에서 탑재부재(141)가 이동되면, 구속부재(147)가 이동 장공부(146)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탑재부재(141)는 카메라부(101)가 탑재되는 탑재패널부(142)와, 탑재패널부(142)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이동 장공부(146)가 형성되는 탑재플랜지부(145)를 포함한다. 탑재패널부(142)에는 복수의 탑재홀부(143)가 형성되고, 탑재볼트부(144)가 탑재홀부(143)를 관통하여 카메라부(101)의 하측에 체결된다. 탑재플랜지부(145)는 선회부재(131)의 양측에 선회부재(131)의 선회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탑재플랜지부(145)는 탑재패널부(142)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 장공부(146)는 탑재플랜지부(145)에 탑재플랜지부(145)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씩 각각 형성된다. 이동 장공부(146)마다 하나씩의 구속부재(147)가 체결된다. 탑재패널부(142)의 이동 장공부(146)에 구속부재(147)가 체결됨에 따라 탑재부재(141)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부(120)가 고정관부(113)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선회부(130)가 선회되며, 서포트부(120)가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되고, 마운트부(140)가 전후방향으로 직선 운동된다. 따라서, 마운트부(140)에 탑재된 카메라부(101)가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와 높이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서포트부(120)가 위치고정 클램프(126)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선회부재(131)가 위치고정부재(139)와 유격해소부재(137)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마운트부(140)가 구속부재(147)에 의해 위치 고정되므로, 카메라부(101)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각도 변경 및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101: 카메라부
110: 고정부 111: 고정패널부
112: 고정홀부 113: 고정관부
120: 서포트부 121: 서포트관부
122: 위치조절홀부 123: 서포트 가이드부
124: 가이드면부 124a: 미끄럼방지부
125: 서포트홀부 126: 위치고정 클램프
127: 클램프링부 127a: 클램프홀부
127b: 클램프 유동방지부 128: 클램프 체결부
128a: 클램프 볼트부 128b: 클램프 너트부
130: 선회부 131: 선회부재
132: 선회면부 132a: 유동방지부
133: 선회 장공부 134: 안착면부
135: 구속홀부 137: 유격해소부재
137a: 유격해소면부 137b: 체결홀부
139: 위치고정부재 140: 마운트부
141: 탑재부재 142: 탑재패널부
143: 탑재홀부 144: 탑재볼트부
145: 탑재플랜지부 146: 이동 장공부
147: 구속부재

Claims (13)

  1.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에 이동되면서 선회되도록 결합되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에 결합되고, 카메라부가 설치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고정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관부;
    상기 선회부가 선회되도록 상기 서포트관부에 형성되는 서포트 가이드부; 및
    상기 서포트관부를 상기 고정부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서포트관부에 설치되는 위치고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관부가 상기 위치고정 클램프에 의해 내측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서포트관부에 위치조절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클램프는,
    상기 서포트관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클램프링부;
    상기 클램프링부를 상기 서포트관부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클램프링부의 양측에 체결되는 클램프 체결부; 및
    상기 위치조절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클램프링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클램프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가이드부의 상측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상기 가이드면부에 대응되도록 선회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부의 선회 방향을 따라 선회 장공부가 형성되는 선회부재;
    상기 선회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격해소부재; 및
    상기 선회부재를 상기 서포트 가이드부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서포트 가이드부와 상기 선회 장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격해소부재에 체결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부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면부에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마찰되도록 유동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재의 상측에는 라운드진 형태의 안착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격해소부재는 상기 선회부재의 선회 위치에 따라 상기 안착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해소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안착면부에 대응되도록 유격해소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부는 상기 선회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상기 유격해소면부는 상기 안착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탑재되고, 이동 장공부가 형성되는 탑재부재; 및
    상기 탑재부재를 상기 선회부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이동 장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선회부의 양측에 체결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재는,
    상기 카메라부가 탑재되는 탑재패널부; 및
    상기 탑재패널부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이동 장공부가 형성되는 탑재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KR1020210026922A 2021-02-26 2021-02-26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KR10248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22A KR102489600B1 (ko) 2021-02-26 2021-02-26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22A KR102489600B1 (ko) 2021-02-26 2021-02-26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75A KR20220122375A (ko) 2022-09-02
KR102489600B1 true KR102489600B1 (ko) 2023-01-18

Family

ID=8328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922A KR102489600B1 (ko) 2021-02-26 2021-02-26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11214U (zh) 2017-12-08 2018-10-26 惠州百图丽实业有限公司 一种藏线设计的摄像头支架
WO2019021570A1 (ja) 2017-07-25 2019-01-31 株式会社東芝 カメラ保持装置
CN210219249U (zh) 2019-07-30 2020-03-31 尹史进 一种新型摄像机支架
CN210881934U (zh) * 2019-11-15 2020-06-30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相机安装支架、相机组件和汽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82A (ko) * 1998-10-09 1999-01-25 이인애 교통감시용 차량
KR20090005009U (ko) * 2007-11-21 2009-05-26 문정숙 의료용 카메라의 거치대
KR101463177B1 (ko) * 2013-03-04 2014-11-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미러 카메라 장착용 각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1570A1 (ja) 2017-07-25 2019-01-31 株式会社東芝 カメラ保持装置
CN208011214U (zh) 2017-12-08 2018-10-26 惠州百图丽实业有限公司 一种藏线设计的摄像头支架
CN210219249U (zh) 2019-07-30 2020-03-31 尹史进 一种新型摄像机支架
CN210881934U (zh) * 2019-11-15 2020-06-30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相机安装支架、相机组件和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75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6056A (en) Device for absorbing energy transmitted through a vehicle steering column
US4774851A (en)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steering wheel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US8979128B2 (en)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GB2087808A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tiltable steering column and shaft assembly
KR102489600B1 (ko)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JPS6216851B2 (ko)
EP0805093B1 (fr)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lors d'un choc, d'une colonne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US7798037B2 (en) Wedge arm positive rake lock
EP0792785B1 (en) Clamp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US2393056A (en) Rear-view mirror mounting
US4343115A (en) Protecting hood for a motor-driven hand tool
US9079544B2 (en) Accessory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487805Y1 (ko) 운전자용 보호격벽 장치
EP1038753A1 (en) Steering column
US6036160A (en) Rearview mirror support structure
US4667894A (en) Webbing lock apparatus
US4525900A (en) Tensioning device, especially for lashing chains
US3550470A (en) Remote controlled mirror
WO2010086016A1 (en) A device for locking a helical element
JP2003212133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102050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179967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H01502102A (ja) 自動車の屋根に配置される荷物支持装置のための取付装置
KR100447750B1 (ko) 차량의 스트어링컬럼 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