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76B1 -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76B1
KR102489576B1 KR1020200164759A KR20200164759A KR102489576B1 KR 102489576 B1 KR102489576 B1 KR 102489576B1 KR 1020200164759 A KR1020200164759 A KR 1020200164759A KR 20200164759 A KR20200164759 A KR 20200164759A KR 102489576 B1 KR102489576 B1 KR 10248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information
sensor
pocke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015A (ko
Inventor
김시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람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람지
Priority to KR102020016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5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1External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은 환자의 인공항문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인공항문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설치되며, 상기 주머니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주머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상기 전송모듈로부터 주머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주머니의 상태나 환자자세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처리모듈을 포함하며, 환자의 인공항문을 통해 배설물이 장루주머니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면, 센서부가 장루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를 환자의 휴대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or notification of stoma pocket capacity}
본 발명은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부가 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환자에게 휴대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루란 직장암이나 대장암등으로 직장 또는 항문이 제기능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수술 또는 절제하여 정상적인 배변활동에 문제가 생겼을 때 수술을 통해 대변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해 인체 직장과 인접한 인체내에 구멍을 내로 만든 인공항문을 말한다.
장루를 가진 환자는 일반적으로 항문의 괄약근 기능이 없는 상태이므로 환자의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때문에 보통은 주머니를 인공항문에 착탈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는 흔히 장루주머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루주머니를 착탈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환자는 일상생활에서 크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환자는 장루의 활약근 기능이 없으므로 언제 배설물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장루주머니에 담긴 배설물을 수시로 확인해야 하며, 이는 착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불편함을 요구한다.
뿐만 아니라 환자는 과도한 배설물로 인해 주머니 손상으로 배설물이 외부로의 배출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야한다. 이 때문에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장루 주머니의 관리에 대한 불편함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장루주머니와 관련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23052호: 장루용 배출기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인공항문을 통해 배설물이 장루주머니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면, 센서가 장루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은 환자의 인공항문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인공항문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설치되며, 상기 주머니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주머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상기 전송모듈로부터 주머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주머니의 상태나 환자자세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주머니의 팽창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변형을 감지하는 휨센서와, 상기 주머니의 움직임이나 기울기를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휨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머니의 주입된 배설물의 용량을 산출하는 용량산출부와,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자세를 판별하는 자세판별부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용량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날짜별로 해당 주머니에 주입된 배설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용량산출부 또는 자세판별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머니의 주입된 배설물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거나 해당 환자의 자세가 기설정된 위험자세일 경우,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진동이나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해당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와, 외부에서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해당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진동이나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치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는 환자의 인공항문을 통해 배설물이 장루주머니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면, 센서부가 장루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를 환자의 휴대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10)은 환자의 인공항문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인공항문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주머니(100)와, 상기 주머니(100)에 설치되며, 상기 주머니(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200)와,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된 주머니(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300)과, 상기 전송모듈(300)로부터 주머니(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주머니(100)의 상태나 환자자세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처리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주머니(100)는 인공항문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인공항문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주머니(100)는 인용항문에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부피가 늘어나 팽창할 수 있도록 재질이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머니(100)는 부착부(110) 및 배출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10)는 상기 주머니(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공항문에 착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의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배설물이 인공항문 사이의 틈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탄성력에 의해 인공항문에 밀착되며, 환자의 배설물이 상기 주머니(100)로 인입된다.
상기 배출부(120)는 상기 주머니(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환자에 의해 개폐하여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120)의 일측을 절개해서 상기 주머니(100)에 수용된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주머니(100)에 설치되며, 환자의 배설물이 상기 주머니(100)에 수용될 때 상기 주머니(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휨센서(210)와 및 움직임감지센서(220)를 포함한다.
상기 휨센서(210)는 제1 센서(212)와 제2 센서(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212)는 상기 주머니(100)의 팽창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제1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주머니(100)에 대한 변형정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2 센서(214)는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머니(100)의 팽창에 의해 변형정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연장방향에 교차되는 제2 연장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220)는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상기 주머니(100)의 움직임이나 기울기를 감지한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220)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송모듈(300)은 상기 휨센서(210)와 움직임감지센서(220)로부터 주머니(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모듈(4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400)은 상기 전송모듈(300)로부터 주머니(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주머니(100)의 상태나 환자자세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용량산출부(410), 자세판별부(420), 정보제공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용량산출부(410)는 상기 휨센서(21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머니(100)의 주입된 배설물의 용량을 산출한다.
상기 자세판별부(420)는 상기 움직임감지센서(22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자세를 판별한다.
상기 정보제공부(430)는 상기 용량산출부(410)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날짜별로 해당 주머니(100)에 주입된 배설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말기제어부와 역치조절부(434)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제어부(432)는 상기 용량산출부(410) 또는 자세판별부(4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머니(100)의 주입된 배설물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거나 해당 환자의 자세가 기설정된 위험자세일 경우,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진동이나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해당 휴대단말기를 제어한다.
상기 역치조절부(434)는 외부에서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해당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진동이나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장루 주머니(100)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는 환자의 인공항문을 통해 주머니(100)로 배설물이 주머니(100)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면, 상기 센서부(200)가 주머니(100)의 팽창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전송모듈(300)이 환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환자가 배설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고, 배설물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거나 해당 환자의 자세가 기설정된 위험자세일 경우,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진동이나 경고음이 출력하여 환자가 배설물의 양을 사전에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5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200)는 제1 수납유닛(510), 제2 수납유닛(520), 제1 에어파지부(530), 제2 에어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유닛(510)은 제1 포켓부(512), 제1 덮개(514) 및 제1 구속부재(5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포켓부(512)는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머니(10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포켓부(512)는 내부에 상기 제1 센서(212)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1 센서(212)의 제1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제1 투입구가 마련된다. 상기 제1 포켓부(512)는 상기 주머니(100)와 동일한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덮개(514)는 상기 제1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투입구에 인접되게 상기 제1 포켓부(512)에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1 투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연장된다.
상기 제1 구속부재(516)는 상기 제1 덮개(514)를 상기 제1 포캣부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투입구와 인접된 상기 제1 포켓부(512)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1 밸크로부재(516a)와, 상기 제1 밸크로부재(516a)에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제1 덮개(514)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밸크로부재(516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구속부재(516)는 밸크로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냅버튼 형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유닛(520)은 제2 포켓부(522), 제2 덮개(524) 및 제2 구속부재(52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포켓부(522)는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주머니(10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포켓부(522)는 내부에 상기 제2 센서(214)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2 센서(214)의 제2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제2 투입구가 마련된다. 상기 제2 포켓부(522)는 주머니(100)와 동일한 연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덮개(524)는 상기 제2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2 투입구에 인접되게 상기 제1 포켓부(512)에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1 투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연장된다.
상기 제2 구속부재(526)는 상기 제2 엎개를 상기 제2 포켓부(522)를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 투입구와 인접된 상기 제2 포켓부(522)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3 밸크로부재(미도시)와, 상기 제3 밸크로부재에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제2 덮개(524)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4 밸크로부재(526b)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구속부재(526)는 밸크로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냅버튼 형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에어파지부(530)는 상기 제1 포켓부(512)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에어공급부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1 포켓부(512)에 수납된 제1 센서(212)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제1 팽창부재(531)와, 제1 공기주입부(5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팽창부재(531)는 상기 제1 포켓부(512)의 내벽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1 센서(212)가 고정되도록 파지한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나 컴프레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공급부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공기주입부(532)는 상기 공기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팽창부재(53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포켓부(512) 외주면으로 상기 제1 포켓부(512)와 상기 팽창부재와 연통되게 돌출되어 제1 노즐부(53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노즐부(533)는 상기 에어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팽창부재(531)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환자의 구강을 상기 제1 노즐부(533)와 결합시키고 환자가 공기를 불어넣어 제1 팽창부재(531)를 팽창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에어파지부는 상기 제2 포켓부(522)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공급부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2 포켓부(522)에 수납된 제2 센서(214)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제2 팽창부재와, 제2 공기주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팽창부재는 상기 제2 포켓부(522)의 내벽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게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2 센서(214)가 고정되도록 파지한다.
상기 제2 공기주입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팽창부재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포켓부(512) 외주면으로 상기 제1 포켓부(512)와 상기 팽창부재와 연통되게 돌출되어 제2 노즐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팽창부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환자의 구강을 상기 제2 노즐부와 결합시키고 환자가 공기를 불어넣어 제2 팽창부재를 팽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214)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유닛(520)에 의해 수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에어파지부에 의해 제1 및 제2 센서(214)가 파지되어 상기 주머니(100)의 팽창으로 인한 변형으로 제1 및 제2 센서(214)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제1 연장모듈(610)과 제2 연장모듈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연장모듈(610)은 상기 주머니(100) 표면의 감지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제1 포켓부(512)의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포켓부(512)의 내부에 수납된 제1 센서(212)와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1 연장모듈(610)은 상기 주머니(100)가 팽창할 때 움직일 수 있도록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연장모듈은 일단이 상기 제2 포켓부(522)의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2 포켓부(522)의 내부에 수납된 제2 센서(214)와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주머니(100)의 외주면에 따라 연장되되, 제2 연장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2 연장모듈은 상기 주머니(100)가 팽창할 때 움직일 수 있도록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연장모듈(610)과 제2 연장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센서(214)의 제1 및 제2 연장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머니(100) 표면의 감지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100: 주머니 110: 부착부
120: 배출부 200: 센서부
210: 휨센서 212: 제1 센서
214: 제2 센서 220: 움직임감지센서
300: 전송모듈 400: 정보처리모듈
410: 용량산출부 420: 자세판별부
430: 정보제공부 432: 단말제어부
434: 역치조절부 500: 센서부
510: 제1 수납유닛 512: 제1 포켓부
514: 제1 덮개 516: 제1 구속부재
516a: 제1 밸크로부재 516b: 제2 밸크로부재
520: 제2 수납유닛 522: 제2 포켓부
524: 제2 덮개 526: 제2 구속부재
526a: 제3 밸크로부재 526b: 제4 밸크로부재
530: 제1 에어파지부 531: 제1 팽창부재
532: 제1 공기주입부 533: 제1 노즐부
600: 센서부 610: 제1 연장모듈
532: 제1 공기주입부 533: 제1 노즐부

Claims (4)

  1. 환자의 인공항문에 착용되는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인공항문으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이 주입될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설치되며, 상기 주머니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주머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과;
    상기 전송모듈로부터 주머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주머니의 상태나 환자 자세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제1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주머니의 변형정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제2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주머니의 변형정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주머니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 센서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1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제1 투입구가 마련된 제1 포켓부와, 상기 제1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포켓부에 설치된 제1 덮개와, 상기 제1 덮개를 상기 제1 포캣부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제1 구속부재가 마련되는 제1 수납유닛과;
    상기 주머니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2 센서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2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 제2 투입구가 마련된 제2 포켓부와, 상기 제2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포켓부에 설치된 제2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를 상기 제2 포캣부에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제2 구속부재가 마련되는 제2 수납유닛과;
    상기 제1 포켓부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에어공급부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1 포켓부에 수납된 제1 센서를 파지하는 제1 에어파지부와;
    상기 제2 포켓부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공급부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제2 포켓부에 수납된 제2 센서를 파지하는 제2 에어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 주머니 용량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주머니의 움직임이나 기울기를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를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휨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머니의 주입된 배설물의 용량을 산출하는 용량산출부와;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자세를 판별하는 자세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용량산출부에서 산출된 정보를 토대로 날짜별로 해당 주머니에 주입된 배설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용량산출부 또는 자세판별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머니의 주입된 배설물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거나 해당 환자의 자세가 기설정된 위험자세일 경우, 상기 환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진동이나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해당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와;
    외부에서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해당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진동이나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KR1020200164759A 2020-11-30 2020-11-30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KR10248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59A KR102489576B1 (ko) 2020-11-30 2020-11-30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759A KR102489576B1 (ko) 2020-11-30 2020-11-30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15A KR20220076015A (ko) 2022-06-08
KR102489576B1 true KR102489576B1 (ko) 2023-01-17

Family

ID=8198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759A KR102489576B1 (ko) 2020-11-30 2020-11-30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830A1 (en) 1999-08-24 2001-03-01 Crafcare Ab Device for monitoring the filling of a bag
JP2016509491A (ja) * 2012-12-24 2016-03-31 セレス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携帯型レベル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485A (en) * 1991-02-25 1992-08-04 Louis Cohen Capacitance-type fluid level sensor for i.v. and catheter bags
JPH0727504A (ja) * 1993-07-14 1995-01-27 Yamaha Corp 曲げセンサ
US7892217B2 (en) * 2005-04-10 2011-02-22 Future Path Medical, Llc Variable cross-section containment structure liquid measurement device
KR200423052Y1 (ko) 2006-05-08 2006-08-02 이영상 장루용 배출기구
KR20190086112A (ko) * 2018-01-12 2019-07-22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830A1 (en) 1999-08-24 2001-03-01 Crafcare Ab Device for monitoring the filling of a bag
JP2016509491A (ja) * 2012-12-24 2016-03-31 セレス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携帯型レベル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15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632B2 (en) Wearable device having feedback characteristics
ES2293467T3 (es) Manguito para esfigmomanometro, esfigmomanometro, aparato para ejercer presion sobre un cuerpo vivo y aparato de medicion para adquirir informacion sobre un cuerpo vivo.
EP1649839B1 (en) Stoma plug
US20220047007A1 (en) Airbag actuator mounted in a custom buckle for personal impact protection systems
CA2678883C (en) Seal for an ostomy appliance
JP4065197B2 (ja) ストーマバッグ装具
KR102489576B1 (ko)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
JP2007260389A (ja) 転倒推知装置および転倒用プロテクタ
CA2743083A1 (en) Apparatus for ostomy devices
CN111202617B (zh) 一种自助式排尿装置
CN205912926U (zh) 带有自动充气功能的老年人防摔服
KR102465324B1 (ko) 장루 주머니 용량 알림장치
US11064753B2 (en) Dual functioning head protection device
AU2021105360A4 (en) Alarm Generating System for a Collection Bag
US11510773B2 (en) Artificial bladder system
CN111329138A (zh) 摔倒防护装置
KR102312305B1 (ko) 휴대 및 탈부착이 용이한 유린백
CN212414804U (zh) 摔倒防护装置
KR202001047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방광용적 모니터링 시스템과 방법
JP4495144B2 (ja) 造孔支持衣服
CN214632522U (zh) 一种皮肤鼓包防撞装置
CN213722681U (zh) 具有缓冲功能的防护带
CN210250221U (zh) 男性便携式尿液收集器
US20230099115A1 (en) Urinary system making the involuntary excretion occuring after colostomy, ileostomy and urostomy voluntary
JP2022095373A (ja) 着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