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071B1 -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usage patter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usage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071B1
KR102489071B1 KR1020207024995A KR20207024995A KR102489071B1 KR 102489071 B1 KR102489071 B1 KR 102489071B1 KR 1020207024995 A KR1020207024995 A KR 1020207024995A KR 20207024995 A KR20207024995 A KR 20207024995A KR 102489071 B1 KR102489071 B1 KR 10248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user
terminal
reu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8826A (en
Inventor
조성용
류대원
조민경
최진원
정재헌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Abstract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한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수집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 based on a user's use pattern are disclosed. A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nformation on us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reuse the media content based on the collected use patterns for each user. By determining the media content can be efficiently reused.

Description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한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usage pattern

아래의 설명은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한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수집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 based on a user's use pattern. More specifically, information on the use pattern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 is collected, and information on the use pattern of each user collected for the media content is analyzed. A media content reuse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reusing media content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use corresponding media content based on the above, a computer device performing the media content reuse method, and a computer combined with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dia content reuse method It relates to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the recording medium.

웹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것은 사용자의 데이터 소비를 동반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4080호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의 I-Frame을 패킷화하고 TCP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의 반복된 수신 및 재생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반복된 데이터 소비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Receiving and playing media content through a service provided on the web accompanies user data consumption.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114080 relates to a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When a multimedia content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multimedia content from a client, packetizes the I-Frame of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file and TCP It starts downloading to the client through . When media content is streamed and reproduced through such a streaming service, repeated reception and reproduction of the media content causes a problem of repeated data consumption from a user's point of view.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단말의 디스크 용량의 관점에서 새로운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과 같이 디스크 용량의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를 모두 저장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rior art for storing and reusing media content in a user's terminal. However, this prior art creates a new problem in terms of the disk capacity of the user's terminal. For example, when a disk capacity is limited, such as in a mobile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store all media contents used by a user.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수집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Media that can efficiently reuse media contents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use the corresponding media contents based on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the media contents Provided are a method for reusing content, a computer device that performs the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n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in a computer combined with a computer.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는 단계;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명령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제공한다.servicing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Collecting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 receiving a request for first media content transmitted from a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control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user's us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e patterns.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a terminal of the first user together with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일측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application stores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a play request for the first media content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may be reused to reproduce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재생 시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시간 및 상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llecting of the information on the use pattern may include a reproduction time at which the first user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fter the first user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the first media content is reproduced by the first user. 1. At least one of repetitive play periods taken until re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collected, and the generating of the command may include performing the replay of the first media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lay time and the repeat play period. A reuse probability by the first user may be calculated, and the command may be generated when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 시간 및 상기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usage time and a usage count of each user for the application, and generating the command.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상기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수, 상기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상기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llecting of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may include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list of the first user, a repeat play flag set in the playlist, and a local area of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t least one of the usable capacity of the storage may be further collected, and the generating of the command may further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the repeat play flag, and the capacity. there i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저장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더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may include stor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a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a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period of time, and 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media content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may include determining a period of time for storing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may be further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so as to be set as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이 갱신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동적으로 갱신되도록 상기 갱신된 저장 기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of reusing media content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based on the updated usage pattern when the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is updated; and transmitting the updated storage period to the first user's terminal so that the storage period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first user's terminal is dynamically updated to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hrough the appli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steps to do.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사용자별로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llecting of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may include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for each user for each section of the media content, and the generating of the command may include: Based on the use pattern of the first user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a reuse probability by the first user is calculated for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and data for reproduction of a section where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generated.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be reus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may be generated.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서버는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 -;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명령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재사용하도록 결정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됨 -;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제공한다.Accessing a server through a network, receiving and playing media content through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user's use pattern for the media content to the server - the server provides a plurality of media content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and determines the use pattern of each user for the media content. collects information about -; requesting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 reproduction request of the first media content; Receiving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command for storing the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wherein the command causes the server to generated by the server in response to a decision to reuse the first media content on the user's compute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through the received data for playing; storing the received data for playback in a local storage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using the stored reproduction data when the first media content is reproduced again.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Provid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be combined with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of reusing media contents on a computer.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reusing media contents in a computer is recorded.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A computer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readable by a computer, by means of the at least one processor, providing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to a plurality of users over a network and providing media contents to a plurality of users. collects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receives a request for first media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under the control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user's us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long with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상기 서버는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상기 명령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재사용하도록 결정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됨),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A computer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instructions readable by a computer, accessing a server through a network by means of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providing media contents through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Receives and reproduces,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user's use pattern for the media content to the server (the server provides a plurality of media content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and collects information on use patterns), requests the first media content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according to a request for playback of the first media content, and provides data for playback of the first media content and the playback from the server Receive a command for storing data for (wherein the command determines the server to reuse the first media content on the user's computer based on the user's usag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server),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through the received data for reproduction, stores the received data for reproduction in a local storage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again. In this case, it provides a computer device that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using the stored reproduction data.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수집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Media contents can be efficiently reus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use the media contents based on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the media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의 재사용을 위한 전체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의 일부 구간을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의 저장 기간을 설정하여 재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ntire environment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toring and reusing a partial section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using media content by setting a storage period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이후 설명될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와 같은 컴퓨터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A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and/or a computer device such as a serv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nd driven in the computer device, and the computer device may perform the media content reus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n computer program. there is. The above-described computer program may be combined with a computer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method of reusing media content on a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environment of FIG. 1 shows an examp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 120 , 130 , and 140 , a plurality of servers 150 and 160 , and a network 170 . 1 is an example fo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or servers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1 .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may be fixed terminals implemented as computer devices or mobile terminals. Exampl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includ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navigation device, a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and tablet PCs. As an example, FIG. 1 shows the shape of a smart phone as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but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10 substantially uses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to transmit other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170. It may refer to one of various physical computer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s 120 , 130 , and 140 and/or the servers 150 and 160 .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디바이스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s well as a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nd a broadcasting network) that the network 170 may include may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the network 170 may includ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broadband network (BBN). , one or more arbitrary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network 17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network topologies including a bus network, a star network, a ring network, a mesh network, a star-bus network, a tree or a hierarchical network, and the like. Not limited.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검색 서비스, 메일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Each of the servers 150 and 160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120, 130, and 140 through the network 170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s, services, and the like, or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s. Can be implemented in devices. For example, the server 150 provides a service (eg, social network service, messaging service, search service, mail service, It may be a system that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service, etc.).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에는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200)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110 , 120 , 130 , and 140 or the servers 150 and 160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shown in FIG. 2 .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stalled and driven in the computer device 200, and the computer device 200 reuses media cont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n computer program. way can be done.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mputer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210, a processor 220, a communication interface 230,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240. The memory 210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disk drive. Here, a non-perishable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and a disk drive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er device 200 as a separate permanent storage device distinct from the memory 210 . Also,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10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210 . The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In another embodiment,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rather tha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memory 210 of computer device 200 based on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by files received over network 170 .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mmand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processor 220 by memory 210 or communication interface 230 . For example, processor 22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received instructions according to program codes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memory 210 .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computer device 2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eg, storage device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network 170 . For example, a request, command, data, file, etc. generated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210 by the processor 220 of the computer device 200 is controll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to the network ( 170) to other devices. Conversely, signals, commands, data, files, etc. from other devices may be receiv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of the computer device 200 via the network 170 . Signals, commands, data, etc.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30 may be transferred to the processor 220 or the memory 210, and files, etc. may be stored as storage media tha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described above). permanent storage).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e with the input/output device 250 .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microphone, keyboard, or mouse,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or speaker.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e with a device in which functions for input and output are integrat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The input/output device 250 and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as one device.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so, in other embodiments, computer device 200 may include fewer or more elements than those of FIG. 2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aforementioned input/output devices 250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nd a databas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의 재사용을 위한 전체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310)는 복수의 단말들(320) 각각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요청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10)와 복수의 단말들(320) 각각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미디어 컨텐츠는 일례로, 음원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 및/또는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서버(310)가 단말 2(330)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서버(310)는 미디어 컨텐츠들이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하거나 또는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40)를 포함하는 별도의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또한, 서버(310)는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하거나 또는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하는 별도의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는 서버(310)가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해놓은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가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100 개의 미디어 컨텐츠와 100 명의 사용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최대 10,000 개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가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ntire environment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310 may provide a service of providing requested media content according to a reques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320 . Here, each of the server 31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320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requested media content is, for example, audio content such as a sound source and/or It may include video content such as a video. In the embodiment of FIG. 3 ,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server 310 provides media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2 330 is shown. In addition, the server 310 may include a media content database 340 in which media content is stored, or may be associated with a separate system including the media content database 340 . In addition, the server 310 may include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or may be associated with a separate system including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may be a database in which the server 310 collects and stores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 If there are 100 media contents and 100 users, information on up to 10,000 usage patterns may be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 Data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요청 단계(361)는 단말 2(330)가 서버(310)로 특정한 미디어 컨텐츠 A를 요청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일례로, 단말 2(330)는 특정한 URL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스트리밍 서버(310)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URL을 통해 식별되는 미디어 컨텐츠 A를 요청할 수 있다.The request step 361 may be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terminal 2 330 requests a specific media content A from the server 310 . For example, terminal 2 330 may access the streaming server 310 through the network 170 using a specific URL, and may request media content A identified through the URL.

획득 단계(362)는 서버(310)가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40)로부터 요청된 미디어 컨텐츠 A를 획득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일례로, 서버(310)는 단말 2(330)가 요청한 미디어 컨텐츠 A를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40)에서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Obtaining step 362 may be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server 310 acquires the requested media content A from the media content database 340 . For example, the server 310 may search for and extract the media content A requested by the terminal 2 330 from the media content database 340 .

수집 정보 추출 단계(363)는 서버(310)가 단말 2(330)로부터 요청된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단말 2(330)의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는 서버(310)가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해놓은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310)는 추출된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단말 2(330)의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서 추출할 수 있다.The collectio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363 may be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server 310 extracts information about a user's usage pattern of the terminal 2 330 for the media content requested from the terminal 2 330 . As described above,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may be a database in which the server 310 collects and stores information on each user's usage pattern for media content. In this case, the server 310 uses the extracted media Information about a user's use pattern of the terminal 2 330 for the content A may be extracted from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

이용 패턴 분석 단계(364)는 서버(310)가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단말 2(330)의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단말 2(330)에서 재사용하는 것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10)는 미디어 컨텐츠 A가 단말 2(330)의 사용자에 의해 재사용될 확률(이하,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말 2(330)에서의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기설정된 임계값이 70%이고, 산출된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단말 2(330)에서의 재사용 확률이 90%인 경우, 미디어 컨텐츠 A는 단말 2(330)에서의 재사용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재사용의 허용은 단말 2(330)에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다음 재생 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A를 재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재사용 확률의 계산을 위해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수집되는 정보들은 사용자들이 특정 미디어 컨텐츠를 재사용할 확률을 산정하기 위한 정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와 반복 재생 기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시간은 단말 2(330)의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 A(미디어 컨텐츠 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시킨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복 재생 기간은 단말 2(330)의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 A를 재생시킨 후, 미디어 컨텐츠 A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기간(미디어 컨텐츠 A를 3회 이상 재생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A를 n번째(n은 자연수) 재생한 후 다시 n+1번째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기간의 평균 기간 또는 미디어 컨텐츠 A의 최근 재생 시점과 그 이전 재생 시점을 기초로 계산된 기간 등 n번째 재생 시점과 n+1번째 재생 시점에 기초한 통계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2(330)의 사용자가 2분30초 분량의 미디어 컨텐츠 A를 첫번째 재생시 미디어 컨텐츠 A의 전부를 2분30초동안 재생하였고, 첫번째 재생 후 10분 뒤 미디어 컨텐츠 A를 두번째로 재생하면서 미디어 컨텐츠 A의 일부를 1분동안 재생하였고, 두번째 재생 후 20분 뒤 미디어 컨텐츠 A의 전부를 2분30초동안 재생하였다면, 단말 2(330)의 사용자의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재생 시간은 6분, 반복 재생 기간은 15분일 수 있다. 일례로, 서버(310)는 재생 시간이 증가할수록, 및/또는 반복 재생 기간이 짧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도록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The usage pattern analysis step 364 allows the server 310 to reuse data for playing the media content A in the terminal 2 330 based on the user's usage pattern of the terminal 2 330 for the media content A. It may be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deciding whether or not to do it. For example, the server 310 calculates the probability that the media content A will be reus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2 3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use probability'), and if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Reuse of media content A in 2 (330) may be allowed. As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preset threshold is 70% and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n terminal 2 330 for media content A is 90%, media content A will be allowed to be reused in terminal 2 330. can Here, allowing reuse may mean allowing data for reproducing media content A to be stored in terminal 2 330 and reproducing media content A using the stored data when media content A is played next. .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for calculating the reuse probabil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information for calculating the probability that users will reuse specific media content, but preferably, information on playback time and repeated playback At least one of perio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Here, the playing time may mean a time during which the user of terminal 2 330 reproduces media content A (all or part of media content A), and the repetitive playback period indicates that the user of terminal 2 330 plays media content A. Time taken to play media content A again after playback Statistical value based on the nth playback time and the n+1th playback time, such as an average period of media content A or a period calculated based on the latest playback time and the previous playback time of media content A).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erminal 2 330 plays media content A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for the first time, all of media content A is played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and 10 minutes after the first playback, media content A is played for the second time. If a part of media content A is reproduced for 1 minute and the entirety of media content A is reproduced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20 minutes after the second playback, the playback time for the user's media content A of terminal 2 (330) may be 6 minutes, and the repeat reproduction period may be 15 minutes. For example, the server 310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to have a relatively greater value as the play time increases and/or as the replay period decreases.

또한, 실시예에 따라 수집되는 정보들은 단말 2(33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10)는 단말 2(330)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도록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use time and a use count for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2 330 . For example, the server 310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to have a relatively larger value as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of the application in the terminal 2 330 increases.

또한 실시예에 따라 수집되는 정보들은 단말 재생 환경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재생 환경에 대한 정보는 단말 2(330)의 사용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 단말 2(330)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의 수가 많을수록 미디어 컨텐츠 A가 다시 재생될 확률은 낮다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서버(310)는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가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도록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해 반복 재생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A가 다시 재생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서버(310)는 미디어 컨텐츠 A에 반복 재생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미디어 컨텐츠 A에 반복 재생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도록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재생 목록 전체에 대해 반복 재생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반복 재생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도록 재사용 확률이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310)는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도록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Also, the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playback environment.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playback environment includes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list of the user of the device 2 330, a repeat playback flag set in the playlist, and the available capacity of the local storage of the device 2 330. may contain at least one. For example, si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robability of media content A being played again is low as the number of content included in the playlist increases, the server 310 sets a relatively larger value as the number of media content included in the playlist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reuse can be calculated to have As another example, if the repeat play flag is set for media content A, media content A is highly likely to be played again, so the server 310 determines that the repeat play flag is set for media content A. The reuse probability may be calculated to have a relatively greater value than when the repeated playback flag is not set. Similarly, even when the repeat play flag is set for the entire playlist, the reuse probability may be calculated to have a relatively greater value than when the repeat play flag is not set.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310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to have a relatively larger value as the available capacity of the local storage increases.

이때, 재생 시간, 반복 재생 기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는 단말 2(330)의 사용자에 대한 이력으로서 얻어지는 정보일 수 있는 반면,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반복 재생 플래그,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은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자 하는 시점에 수집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서버(310)는 미디어 컨텐츠 A와 단말 2(330), 그리고 단말 2(330)의 사용자에 대해 수집 가능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사용 확률을 계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y time, the repeat play period,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of the application may be information obtained as a history of the user of the terminal 2 330, while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 list, the repeat play flag, The usable capacity of the local storage may be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reuse probability of media content A. As such, the server 310 may collect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collected about the media content A, the terminal 2 330, and the user of the terminal 2 330, and use them to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of the media content A.

제공 단계(365)는 서버(310)가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그리고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재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단말 2(330)로 제공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일례로, 서버(310)는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재사용 플래그를 1(재사용 허용) 또는 0(재사용 불가)으로 설정하고, 재사용 플래그가 1 또는 0으로 설정된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단말 2(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재사용 플래그는 하나의 예로서, 서버(310)가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재사용하도록 단말 2(330) 및/또는 단말 2(330)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단말 2(330)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The providing step 365 may be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server 310 provides data for reproducing media content A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data for reproducing is reused to the terminal 2 330 . For example, the server 310 sets the reuse flag for media content A to 1 (reuse allowed) or 0 (reuse not allowed), and transmits data for playback of media content A with the reuse flag set to 1 or 0 to terminal 2. (330). As an example of such a reuse flag, the server 310 send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2 330 and/or the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2 330 so that the server 310 reuses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media content A. Any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to terminal 2 330 is not limited.

재생 및 저장 단계(366)에서 단말 2(330)는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 A를 재생하고, 데이터의 재사용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 2(33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일례로, 단말 2(33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A를 재생할 수 있으며, 재사용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단말 2(330)에서 미디어 컨텐츠 A를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버(310)로 미디어 컨텐츠 A를 요청하지 않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 A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만약,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재사용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수신된 경우, 단말 2(330)는 서버(310)로 다시 미디어 컨텐츠 A를 요청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단계들(361 내지 366)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In the playback and storage step 366, the terminal 2 330 plays the media content A through the received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e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2 330 according to whether the data is reused. . For example, terminal 2 330 may reproduce media content A using the received data under the control of an application, and may store the received data when the reuse flag is set to 1. Afterwards, when the terminal 2 330 wants to play the media content A again, it can play the media content A again using the stored data without requesting the media content A from the server 310 . If the reuse flag for media content A is set to 0 and received, terminal 2 330 may request media content A again from the server 310,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361 to 366 are performed again. It can be.

한편, 재생 및 저장 단계(366)에서 미디어 컨텐츠 A가 재생됨에 따라 해당 미디어 컨텐츠 A의 재생에 대한 정보가 서버(310)로 수집될 수 있으며,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가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시간 및/또는 이용 횟수는 미디어 컨텐츠 A를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단말 2(330)의 사용자의 재생 목록이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수,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또는 단말 2(330)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역시 미디어 컨텐츠 A를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as the media content A is reproduced in the playing and storing step 366, information about the reproduction of the corresponding media content A may be collected in the server 310, and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may be updated. In addition, the use time and/or the number of uses of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 point of requesting the media content A. In addition,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list of the user of the terminal 2 330, the repeat play flag set in the playlist, and/or the available capacity of the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2 330 are also the time when the media content A is requested. may vary depending on

다시 말해,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단말 2(330)의 사용자의 재사용 확률은 미디어 컨텐츠 A에 대한 요청 시점 및/또는 재사용 확률의 산출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2(33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는 시점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고, 혹은 저장 가능한 시간이 증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저장 시간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In other words, the reuse probability of the user of terminal 2 330 for the media content A may vary depending on the request time point for the media content A and/or the calculation time point of the reuse probability. Accordingly, data stored in the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2 330 may be deleted according to a point in time, or the available storage time may increase. The storage time of such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또한, 단말 2(330)의 사용자는 미디어 컨텐츠 A의 전체를 재생할 수도 있는 반면, 미디어 컨텐츠 A의 일부 구간만을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디어 컨텐츠 A를 재생하기 위한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10)는 미디어 컨텐츠 A의 구간마다 사용자별로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구간마다 재사용 확률을 산출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 A의 일부 구간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가 단말 2(33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부 구간의 저장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user of terminal 2 330 may play the entire media content A, but may also play only a part of the media content A repeatedly. In this case, it may be inefficient to store all data for reproducing the media content A. To this end, the server 310 collects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for each user for each section of media content A, and calculates a reuse probability for each section, so that data for reproducing some sections of media content A is transmitted to Terminal 2 (330).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local storage of The storage of some sec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한편, 이상에서는 미디어 컨텐츠 A와 단말 2(330)에 대해서만 재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이 서버(310)가 제공 가능한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 각각과 서버(310)에 접속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다수의 사용자들의 단말들) 각각에 대해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of setting reuse only for media content A and terminal 2 330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embodiments are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erver 310 and the server 310.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terminals of a plurality of users) capable of receiving media contents by doing so.

또한, 사용자들의 단말들 각각에는 서버(310)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으며, 단말들 각각에서의 미디어 컨텐츠의 요청이나 재생 및 저장 등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server 310 may be installed and run on each of the user's terminals, and media content requests, playback, and storage in each of the terminals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se applica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의 일부 구간을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구간 1부터 구간 6까지 여섯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진 미디어 컨텐츠(41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410)에서 제1 범위(420)에 해당하는 구간이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생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는 재생 시간이 증가하는 반면, 반복 재생 기간은 짧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에 대한 재사용 확률은 구간 1, 구간 2 및 구간 6에 대한 재사용 확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에 대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이고, 구간 1, 구간 2 및 구간 6에 대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서버(310)는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를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미디어 컨텐츠(410)와 함께 해당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되는 명령은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 각각의 재사용 플래그를 1로 설정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미디어 컨텐츠(410)를 재생하는 한편,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를 단말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구간 3, 구간 4 및 구간 5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제1 범위(420)에 해당하는 구간을 재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410)의 재생을 위한 헤더는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 1에 미디어 컨텐츠(410)의 재생을 위한 헤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간 1 또는 구간 1에 포함된 헤더는 추가적으로 로컬 저장소에 더 저장될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toring and reusing a partial section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media content 410 divided into six sections, from section 1 to section 6.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420 in the media content 410 is repeatedly reproduced by the user. In this case, while the play time of sections 3, 4, and 5 increases, the repeat play period may be shortened. In other words, the reuse probabilities for intervals 3, 4, and 5 may have relatively greater values than the reuse probabilities for intervals 1, 2, and 6. If the reuse probabilities for interval 3, interval 4, and interval 5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the reuse probabilities for interval 1, interval 2, and interval 6 ar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erver 310 determines interval 3, interval 4, and interval 6. 5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ogether with the media content 410 by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be reused in the user's terminal. For example, the generated command may correspond to setting a reuse flag of each of intervals 3, 4, and 5 to 1.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play the media content 410 and store sections 3, 4, and 5 in the terminal's local storage. Thereafter, the terminal may play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420 through information on sections 3, 4, and 5 stored in the local storage. Headers for reproducing the media content 410 may be separately stored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if a header for reproducing the media content 410 is included in section 1, section 1 or the header included in section 1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local storage.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은 임의로 나뉠 수 있으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바람직하게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를 분리하여 생성된 세그먼트 파일들의 단위로 구간이 나뉠 수 있다.Sections of media content may be arbitrarily divided, but in a streaming service, the section may be divided in units of segment files created by dividing media content to provide a streaming service for media cont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츠의 저장 기간을 설정하여 재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말(510)의 로컬 저장소(520)에 미디어 컨텐츠 1(미디어 컨텐츠 1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530)가 저장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디어 컨텐츠 1(530)에는 저장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10)는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수집 정보 중 미디어 컨텐츠 1(530) 및 단말(510)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수집된 정보를 통해 분석하여 미디어 컨텐츠 1(530)의 단말(510)에서의 저장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저장 기간은 단말(510)로 전송될 수 있고, 단말(510)은 단말(510)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저장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저장 기간의 형식은 미디어 컨텐츠 1(530)이 언제까지 로컬 저장소(520)에 저장될 수 있는가를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using media content by setting a storage period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media content 1 (data for reproducing media content 1, 530) is stored in the local storage 520 of the terminal 510. At this time, a storage period may be set for media content 1 (530). For example, the server 310 analyzes the collec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a content 1 530 and the user of the terminal 510 among the collec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to determine the media content 1 530. A storage period in the terminal 510 may be determined.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510 , and the terminal 510 may set the storage period of the media content 1 530 according to control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510 . The format of the storage perio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data format that can indicate how long the media content 1 530 can be stored in the local storage 520 .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재사용 확률은 미디어 컨텐츠 1(530)이 요청되는 시점 또는 재사용 확률이 산출되는 시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저장 기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10)에서 미디어 컨텐츠 1(530)이 재생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재사용 확률은 낮아질 수 있으며, 미디어 컨텐츠 1(530)을 오래 저장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서버(310)는 수집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수집되어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1(530)에 대한 단말(510)의 사용자의 이용 패턴이 갱신됨에 따라 단말(510)의 사용자에 대한 (1)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재사용 확률을 재산출하고, (2)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저장 기간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310)는 (3) 미디어 컨텐츠 1(530)의 갱신된 저장 기간을 단말(510)로 전송하여 (4) 단말(510)로 하여금 로컬 저장소(520)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1의 저장 기간을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510)은 서버(310)로부터 전송되는 갱신된 저장 기간에 따라 로컬 저장소(520)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1(530)의 저장 기간을 갱신할 수 있다. 저장 기간은, 일례로 재사용 확률이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재사용 확률이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갱신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euse probability of the media content 1 530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n the media content 1 530 is requested or when the reuse probability is calculated. Similarly, the storage period of media content 1 (530) may also vary. For example, as the time during which the media content 1 530 is not reproduced in the terminal 510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reusing the media content 1 530 may decrease, and there is no need to store the media content 1 530 for a long time. Accordingly, as the user's use pattern of the terminal 510 for the media content 1 530 collected and stored in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base 350 is updated, the server 310 provides (1) media for the user of the terminal 510. A reuse probability of the content 1 (530) may be recalculated, and (2) the storage period of the media content 1 (530) may be updated. In addition, the server 310 (3) transmits the updated storage period of media content 1 530 to the terminal 510 and (4) enables the terminal 510 to save the media content 1 stored in the local storage 520. period can be renewed. In other words, the terminal 510 may update the storage period of the media content 1 530 stored in the local storage 520 according to the updated storage perio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10 . The storage period, for example, may be updated to be relatively shorter as the reuse probability decreases and relatively longer as the reuse probability increase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앞서 설명한 서버(310)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6의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610 내지 65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implementing the server 31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of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 control instruction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code or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memory 210 . Here, the processor 220 causes the computer device 200 to perform steps 610 to 650 included in the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of FIG. 6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provided by a code stored in the computer device 200. (200) can be controlled.

단계(6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일례로, 미디어 컨텐츠들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들의 단말들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At step 61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serve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to a plurality of users over a network. For example, media contents may be streamed to users' terminals in a streaming manner.

단계(6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되는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는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해당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된 후 다시 재생되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들의 단말들 각각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더 수집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들 각각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사용자들의 단말들 각각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수집될 수 있다.In step 62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 Th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use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ayback time of the media content and a repetitive playback period taken until the corresponding media content is played again after being play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users' usage time and usage frequency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each of the users' terminals may be further collected. As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each user's playlist, a repeat play flag set in the playlist, and the available capacity of local storage of each of the terminals of the users may be further collected.

단계(6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단말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63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receive a request for the first media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단계(6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640, the computer device 200 configures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user's usag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You can create commands to control.

일실시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20)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재생 시간 및 제1 사용자가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후,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미디어 컨텐츠 각각에 대해, 그리고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이러한 재생 시간 및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40)에서 재생 시간 및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again after the first user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and the first user reproduces the first media content in step 620. It is possible to collect at least one of the repetitive regeneration periods taken to trigger.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collect at least one of the playback time and the repeated playback period for each media content and for each user.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calculates a reuse probability by the first user of the first media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layback time and the repeated playback period in step 640, and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you can create the command.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20)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40)에서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재생 시간 및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와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further collec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of each user for the application in step 620 .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in step 640 .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lay time and a repeated play period, and at least one of a use time and a number of uses.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20)에서 제1 사용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제1 사용자의 단말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40)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수,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는 재생 시간 및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와 미디어 컨텐츠의 수,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재사용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determines in step 620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list of the first user, the repeat play flag set in the playlist, and the available capacity of the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t least one of them may be further collected.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a repeat playback flag, and capacity in step 640 .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may calculate the reuse probability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lay time and a repeat play period, and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a repeat play flag, and a capacity.

단계(6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생성된 명령을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와 함께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령에 따라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하고,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발생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장치(200)에 접속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들의 단말들 각각에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다.In step 65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long with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stores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a request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occurs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reproduc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y reusing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se applications may be installed and run on each of the terminals of users who request media content by accessing the computer device 200 .

또한,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는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저장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50)에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설정되도록, 결정된 저장 기간을 제1 사용자의 단말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이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결정된 저장 기간을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동적으로 갱신되도록 갱신된 저장 기간을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determine a storage period of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first user's terminal based on the first user's usag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sets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o the storage period deter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in step 650 so that the storage period for storing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s set to the first storage period. It may further transmit to the user's terminal. Also, when the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is updated, the computer device 200 may update the storage period determined based on the updated usage pattern.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sets the updated storage period to the first user's terminal so that the storage period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s dynamically updated to the storage period determined through the application. can be sent to

또한,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20)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사용자별로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640)에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대응하는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들 중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가 제1 사용자의 단말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저장된 구간들에 대한 재생은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미디어 컨텐츠에서 특정 구간의 탐색을 위해 제1 미디어 컨텐츠의 헤더가 로컬 저장소에 더 저장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collect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for each user for each section of media content in step 620 .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calculates a reuse probability by the first user for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in step 640, A command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ing a section in which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may be generat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data for reproducing a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having a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mong sections of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stored in a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lso, reproduction of the saved sections of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performed through data stored in a local storage.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header of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further stored in the local storage in order to search for a specific section in the first media conten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의 단말(일례로, 도 3을 통해 설명한 복수의 단말들(320) 중 하나 또는 도 5를 통해 설명한 단말(51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7의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710 내지 77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reusing media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uter device that implements the user's terminal described above (eg,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3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or the terminal 5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200)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of the computer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 control instruction according to an operating system code or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memory 210 . Here, the processor 220 causes the computer device 200 to perform the steps 710 to 770 included in the media content reusing method of FIG. 7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provided by a code stored in the computer device 200. (200) can be controlled.

단계(7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앞서 도 3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 서버(310) 또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되는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71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access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receive and reproduce media content through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Here, the server may correspond to a server implemented by the server 3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or the computer device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As an example, the server may provide media content through a streaming method.

단계(7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되는 사용자의 단말과 같은 다수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이러한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재생 시간 및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후,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후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요청 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팩터들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In step 72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user's use pattern for media content to a server. The server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use patter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such as a user's terminal implemented by the comput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 In other words, the server may provide a plurality of media content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and collect information about each user's use pattern of the media content.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200 transmits at least one information of a playback time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repetitive playback period taken afte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to re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to the server. can The user's us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server, and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reuse the first media content upon request for the first media content. Various factors for determining such reus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단계(7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In step 73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request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lay request of the first media content.

단계(7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서버로부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및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은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서버가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의 컴퓨터 장치(200)에서 재사용하도록 결정함에 따라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In step 74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receiv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command for storing the data for reproducing from the server. The command may be generated by the server as the server determines to reuse the first media content on the computer device 200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s usag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단계(7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통해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In step 75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reproduce the first media content through the received data for reproduction.

단계(76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명령에 따라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In step 760, the computer device 200 may store data for reproduc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command in a local storage.

단계(77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저장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In step 770, when the first media content is reproduced again, the computer device 200 may reproduce the first media content using the stored reproduction data.

이처럼, 컴퓨터 장치(200)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 및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제공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신 데이터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자주 이용하는 음원은 컴퓨터 장치(20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어 컴퓨터 장치(200)가 오프라인 상태인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재생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로컬 저장소에 모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서버에서 허용하는 미디어 컨텐츠만을 선별적으로 로컬 저장소에 저장 및 재사용함에 따라 로컬 저장소의 용량에 따른 문제 역시 해결할 수 있다.As such, the computer device 200 may store and reuse media contents provided by the server based on commands provided by the server.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receive media content again, communication data usage can be reduced, and frequently used sound sources are stored in the local storage of the computer device 200 and can be used even when the computer device 200 is offline. . In addition, instead of storing all the media contents to be played in the local storage, the problem of the capacity of the local storage can also be solved by selectively storing and reusing only the media contents allowed by the server in the local storage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pattern. there is.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서버로부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저장 기간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 기간을 로컬 데이터에 저장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추후 저장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로컬 데이터에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기간은 서버가 수집하는 사용자의 이용 패턴의 갱신에 따라 동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기간의 관리를 통해 재사용 확률이 낮아진 미디어 컨텐츠를 로컬 저장소에서 제거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의 재사용을 위해 요구되는 로컬 저장소의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further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period of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and set the storage period to the storage period of data for reproduction stored in local data. When the later storage period expires, the computer device 200 may delete data for reproduction from local data. This storage period may be dynamically updated according to the update of the user's use pattern collected by the server. By removing media content whose reuse probability is low through management of such a storage peri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in the local storage required for reuse of media conten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720)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별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760)에서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 중 명령에 의해 식별되는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함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전체를 저장하는 것보다 로컬 저장소에 저장될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device 20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a user's usage pattern for each section of media content and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in step 720 .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200 may store data for a section identified by the command among data for playback received in step 760 in a local storage. In this way, by storing data on section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in the local storage, the amount of data to be stored in the local storage can be reduced compared to storing the entire media conten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수집된 사용자별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s is collected, and based on the usage patterns of each user collected for the media contents,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media contents are reused By determining the media content can be efficiently reused.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system or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can be embodied in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으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Such a recording medium may be a single or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several hardware, and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without being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ertain computer system.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0)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는 단계;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명령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저장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더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저장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현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servicing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Collecting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of each user for media content;
receiving a request for first media content transmitted from a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control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user's us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e patterns.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long with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cluding,
determining a storage period of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a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Including mor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furthe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o the first user's terminal such that a storage period for storing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first user's terminal is set to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stores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when a play request for the first media content occurs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s reused to reproduce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when the storage period expires, th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s reproduced. A method of reusing media content, implemented to delete data for reproduction of first media cont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재생 시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시간 및 상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Collection of at least one of a playback time during which the first user reproduced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repeat playback period taken until the first media content was played again after the first user played the first media content do,
To generate the command,
calculating a reuse probability by the first user of the first media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layback time and the repeated playback period, and generating the command when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How to reuse cont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 시간 및 상기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Further collec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of each user for the application,
To generate the command,
wherein the reuse probability is calculated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상기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하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수, 상기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상기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further collec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list of the first user, a repeat play flag set in the playlist, and an available capacity of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To generate the command,
wherein the reuse probability is calculated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the repeated playback flag, and the capac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이 갱신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동적으로 갱신되도록 상기 갱신된 저장 기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a content reuse method,
if the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is updated, updating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based on the updated usage pattern; and
Transmitting the updated storage period to the first user's terminal so that the storage period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first user's terminal is dynamically updated to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hrough the applic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media content reuse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사용자별로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Collect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by user for each section of media content,
To generate the command,
Based on the use pattern of the first user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a probability of reuse by the first user is calculated for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section in which the calculated probability of reu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tio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media content reuse method.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to 5, 7, and 8 is recorded on a computer.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이 전송하는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집된 이용 패턴 중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저장 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시키는 기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결정된 저장 기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더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저장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현되는,
컴퓨터 장치.
In a computer device,
at least one processor implement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includ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Providing a plurality of media content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Collect information about each user's usage pattern for media content;
Receiving a request for first media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n application installed and drive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user's us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e patterns. create,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long with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ing a storage period of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based on a usage pattern of the first user for the first media content among the collected usage patterns;
furthe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o the first user's terminal such that a storage period for storing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first user's terminal is set to the determined storage perio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stores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when a play request for the first media content occurs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The data for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s reused to reproduce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nd when the storage period expires, th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s reproduced. Implemented to delete data for reprodu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computer devic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재생 시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재생 시간 및 상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컴퓨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llection of at least one of a playback time during which the first user reproduced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repeat playback period taken until the first media content was played again after the first user played the first media content do,
A computer configured to calculate a reuse probability by the first user of the first media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layback time and the repeated playback period, and generate the command when the calculated reus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시간 및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하고,
상기 이용 시간 및 상기 이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는, 컴퓨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Further collec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of each user for the application,
Calculating the reuse probability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 time and the number of uses, the computer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의 수, 상기 재생 목록에 설정된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의 로컬 저장소의 사용 가능한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집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수, 상기 반복 재생 플래그 및 상기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는, 컴퓨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further collec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included in the playlist of the first user, a repeat play flag set in the playlist, and an available capacity of local storage of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Calculating the reuse probability furth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edia contents, the repeated playback flag, and the capacity.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사용자별로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마다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한 재사용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재사용 확률이 임계값 이상인 구간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에서 재사용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컴퓨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llect information on usage patterns by user for each sec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the use pattern of the first user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a probability of reuse by the first user is calculated for each section of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section in which the calculated probability of reu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Genera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reuse data for reproduction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컴퓨터와 결합하여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서버는 다수의 미디어 컨텐츠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 각각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 -;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명령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재사용하도록 결정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됨 -;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재사용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저장 기간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의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에서의 저장 기간을 결정함 -; 및
상기 저장 기간을 상기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저장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로컬 저장소에서 상기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I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media content reuse method on a computer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The media content reuse method,
Accessing a server through a network, receiving and playing media content through a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user's use pattern for the media content to the server - the server provides a plurality of media content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network, and determines the use pattern of each user for the media content. collects information about -;
requesting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 reproduction request of the first media content;
Receiving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and a command for storing the data fo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wherein the command causes the server to generated by the server in response to a decision to reuse the first media content on the user's computer;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through the received data for playing;
storing the received data for playback in a local storage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When the first media content is reproduced again, 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using the stored reproduction data
including,
The media content reuse method,
Furthe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storage period of the first media content from the server, wherein the server stores the first media content in the user's computer based on the user's usage pattern for the first media content. determine the storage period -; and
setting the storage period to a storage period of data for reproduction stored in the local storage, and deleting the data for reproduction from the local storage when the storage period expires;
Further comprising, a computer progra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재생 시간 및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킨 후, 상기 제1 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까지 걸린 반복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7,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user's use pattern to the server,
A computer program that transmits to the server at least one information of a playback time during which the first media content is reproduced and a repetitive playback period taken from reproducing the first media content to replaying the first media content.
삭제delet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미디어 컨텐츠의 구간별로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재생을 위한 데이터 중 상기 명령에 의해 식별되는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7,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user's use pattern to the serve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for each section of the media content to the server;
Storing the received data for reproduction in a local storage according to the command,
A computer program for storing data for a section identified by the command among the received data for playback in the local storage.
KR1020207024995A 2018-03-07 2018-03-07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usage pattern KR1024890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2717 WO2019172470A1 (en) 2018-03-07 2018-03-07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 on basis of use patterns of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826A KR20200118826A (en) 2020-10-16
KR102489071B1 true KR102489071B1 (en) 2023-01-17

Family

ID=6784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995A KR102489071B1 (en) 2018-03-07 2018-03-07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usage patter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51262B2 (en)
KR (1) KR102489071B1 (en)
WO (1) WO201917247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1170A1 (en) * 2012-10-10 2014-04-10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fetching Music f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748A (en) * 1996-04-19 1997-10-31 Sony Corp System and method for two-way information transmission
JP3878424B2 (en) 2001-03-29 2007-02-07 株式会社東芝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receiving apparatus and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KR20060114080A (en) * 2005-04-27 2006-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JP2010074709A (en) 2008-09-22 2010-04-02 Toshiba Corp Broadcast program distribution system, broadcast program distribution server, and user terminal device
JP2011009815A (en) 2009-06-23 2011-01-13 Panasonic Corp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content list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351648B1 (en) * 2011-10-19 2014-0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server for managing contents using prediction of user's request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888982B1 (en) * 2012-05-31 2018-08-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aching service in adapted streaming service and local caching device thereof
KR101381689B1 (en) * 2012-08-03 2014-04-22 기초과학연구원 Content cashing apparatus managing content based on content usage feature
KR20140085624A (en) * 2012-12-21 2014-07-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Contents Download System, Mobile, Contents Cache Sever, and Contents Transmitting Method therefor
JPWO2015053406A1 (en) 2013-10-12 2017-03-09 株式会社ハイスピードボーイズ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1668843B1 (en) * 2015-03-31 2016-10-2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erver for hybrid storaging contents based on contents delivery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1170A1 (en) * 2012-10-10 2014-04-10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fetching Music f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470A1 (en) 2019-09-12
JP7051262B2 (en) 2022-04-11
KR20200118826A (en) 2020-10-16
JP2021520691A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368B1 (en) Determining an active persona of a user device
WO20171776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JP2016534601A (en) Game clip popularity-based control
KR20150097547A (en) Intelligent prefetching of recommended-media content
US10764358B2 (en) Retrieval and playout of media content
US20220167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streaming content
JP6587997B2 (en) Sliding window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time machine function
KR1024890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usage pattern
EP2882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content in a data stream
US201502714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886391B2 (en) Efficient file-delivery techniques
KR1024323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CN111723234A (en) Audio provid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028805A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streaming content uisng local streaming server
KR1024965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song play length based on playlist configuration
KR20080101034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etecting duplicate multimedia files based on audio contents
KR102287497B1 (en) Platform adaptive audio normal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1407334B1 (en) The method,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music service
KR1026069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ffic inbound to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erver
KR1022283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multiple streaming contents
KR1022491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streaming content uisng local streaming server
US20230169113A1 (en) Adjusting a playlist of media content items
CN114283767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ong link address,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8333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inserted identifier of user
CN107787577B (en) Method of operating accelerat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