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000B1 -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000B1
KR102489000B1 KR1020160022416A KR20160022416A KR102489000B1 KR 102489000 B1 KR102489000 B1 KR 102489000B1 KR 1020160022416 A KR1020160022416 A KR 1020160022416A KR 20160022416 A KR20160022416 A KR 20160022416A KR 102489000 B1 KR102489000 B1 KR 10248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play panel
frame
pipe memb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185A (ko
Inventor
한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000B1/ko
Priority to EP16178019.2A priority patent/EP3182194B1/en
Priority to CN201610620257.6A priority patent/CN106898631B/zh
Priority to US15/237,757 priority patent/US9980397B2/en
Publication of KR2017010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85A/ko
Priority to US15/974,974 priority patent/US105826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향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이프;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이프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ROTATION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슬림한 두께를 지니는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베젤의 너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이 내장되어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천장에 거치되어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모듈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향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이프;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이프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이프는, 상측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파이프가 회전하는 베이스,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thrust) 베어링,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고,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2 파이프와 결합되는 상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와 결합되는 하 파이프, 그리고, 상기 하 파이프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하 파이프가 회전하는 베이스, 상기 하 파이프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하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2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상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회전하는 제1 파이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상기 제1 파이프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이프; 상기 제2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이프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이프의 외부에서 상기 제1 파이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는 로터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는, 복수개 이고,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는 상기 제1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암이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림한 두께를 지니는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젤의 너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이 내장되어 천장에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장에 거치되어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및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홀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 내지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메커니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 내지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동 회전메커니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 및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모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 내지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회전모듈이 결합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양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일방향이 전방 또는 전면이 될 수 있다. 이때, 타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타방향이 후방 또는 후면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관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에서 타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관측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 및 후면에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양면에 동일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화상을 후면의 화상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라 칭할 수 있다. 타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천장 또는 벽에 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천장에 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천장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커넥터(160)에 의해 천장에 매달려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이 관측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은 화상(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 그리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젤(bezel)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엣지(edge)에 위치할 수 있고, 비활성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면이 관측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면은 화상(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 그리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젤(bezel)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엣지(edge)에 위치할 수 있고, 비활성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20)은 금속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박형(slim type) 또는 초박형(ultra-slim type) 금속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모듈커버라 칭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120)은 센터프레임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120)은 서포터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평판부(120P, plate portion), 그리고 측벽(side wall, SW)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120P)는 금속재질일 수 있고, 박형 또는 초박형 금속일 수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평판부(120P)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평판부(120P)에 결합될 수도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고, 평판부(120P)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다. 프레임(120)은 프레스 되어 평판부(120P)와 측벽(SW)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120P)의 면적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측벽(SW)은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 제2 장변(120LS2), 제1 단변(120SS1), 또는 제2 단변(120SS2)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SW)은 사이드 커버일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프레임(12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프레임(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30)을 보호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는 미들 캐비넷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는데,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판부(120P)의 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한 강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평판부(120P)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플렉서블할 수 있는데,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평판부(120P)의 후면에 위치하여 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한 강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장변(110L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의 길이 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단변(110S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단변(120SS1)의 길이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에 접착되거나 프레임(120)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제1 장변(130L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의 길이 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제1 단변(130SS1)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제1 단변(120SS1)의 길이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평판부(120P)에 접착되거나 프레임(120)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평판부(120P)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예로 설명하되,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FPCB(FP)를 구비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를 FPCB(FP)가 공급하는 전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FPCB(FP)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전선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케이블(SC)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를 제어하는 전기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FPCB(F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PCB(SP)를 구비할 수 있다. PCB(SP)는 복수개의 FPCB(FP)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동시에 케이블(S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PCB(SP)는 FPCB(FP) 및/또는 케이블(S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PCB(SP)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에서 일정한 부피를 차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CB(SP)는 source PCB일 수 있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개구부(opening portion, 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하부에서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2 장변(120LS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을 관통할 수 있고, 프레임(120)에 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제2 개구부(OP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장변(120LS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제1 개구부(OP1)와 직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개구부(OP2)는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되되,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연속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는 제2 장변(120LS2) 및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가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제2 장변(120LS2)을 따라 길게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2 개구부(OP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0 개구부(OP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복수개의 개구부(OP) 중 몇몇은 확장된 개구부(OP5,OP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OP5,OP6)의 확장은 앞서 설명한 FPCB(FP) 및 PCB(SP)의 개수 또는 연결방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개구부(OP5,OP6)는 2개의 개구부(OP1,OP2)를 통합한 크기일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FPCB(FP)에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일측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연결되고, 타측이 PCB(SP)와 연결될 수 있다. PCB(SP)는 일측이 FPCB(FP)와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블(SC)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PCB(S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다. 즉, PCB(SP)가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큰 두께를 지닐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PCB(SP)는 전자소자의 구성에 따라서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PCB(SP)의 두께는 PCB(SP)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종류 또는 전자소자의 배열 또는 전자소자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 또는 일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이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 또는 후면으로 굽어질 수 있다. 즉,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프레임(120)의 사이로 휘어지며 들어갈 수 있다.
PCB(S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되,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삽입될 수 있다. 즉, PCB(SP)가 개구부(OP)에 위치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프레임(120)의 전체 두께는 변화가 없거나 변화가 아주 미약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PCB(SP)로부터 프레임(120)의 상부 또는 상측을 향하여 길게 놓여질 수 있다. 즉, 케이블(SC)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SC)은 플랫 케이블(SC, flat cable)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예를 들어, LVDS 케이블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PCB(SP)는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돌출부(SPP)가 삽입될 수 있는 홈(OP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PCB(SP)의 형상에 따라서 프레임(120)의 두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이 함몰되어 홈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는 PCB(SP)의 음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120)의 전면에 결합부재(142,144)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재(142,144)는, 예를 들면, 접착테잎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결합부재(142)는 프레임(120)의 전면 좌측에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144)는 프레임(12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42)와 결합부재(144)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은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42,144)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42,144)의 전면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접촉할 수 있고, 결합부재(142,144)의 후면은 프레임(12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결합부재(142,144)에 의해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FPCB(FP)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어 프레임(120)의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개구부(OP)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결합부재(142)와 결합부재(14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케이블(SC)은 결합부재(142,144)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 또는 갭(gap)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의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결합부재(142,144), 그리고 프레임(120)의 두께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결합부재(142,144)의 측면을 프레임(120)의 측벽(SW)이 커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의 일부는 측벽(SW)의 두께일 수 있다. 즉, FPCB(FP), PCB(SP), 또는 케이블(SC)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그 영향이 미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20)은 상판(120U, upper frame)을 구비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측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 unit or timing control board) 또는 브릿지 제어부(bridge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제어부(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1 제어부(15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개구부(opening portion, 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1 장변(120LS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을 관통할 수 있고, 프레임(120)에 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그리고 제2 개구부(OP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장변(120LS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제1 개구부(OP1)와 직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개구부(OP2)는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되되,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연속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는 제1 장변(120LS1) 및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OP2)가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제1 장변(120LS1)을 따라 길게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2 개구부(OP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개구부(OP)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개구부(OP)는 제1 개구부(OP1) 내지 제10 개구부(OP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앞서 설명한 FPCB(F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FPCB(FP)각각에 복수개의 PCB(SP)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개구부(OP)의 개수는 복수개의 PCB(SP)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복수개의 개구부(OP) 중 몇몇은 확장된 개구부(OP5,OP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OP5,OP6)의 확장은 앞서 설명한 FPCB(FP) 및 PCB(SP)의 개수 또는 연결방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개구부(OP5,OP6)는 2개의 개구부(OP1,OP2)를 통합한 크기일 수 있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의 단면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FPCB(FP)에 연결될 수 있다. FPCB(FP)는 일측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연결되고, 타측이 PCB(SP)와 연결될 수 있다. PCB(SP)는 일측이 FPCB(FP)와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블(SC)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PCB(S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다. 즉, PCB(SP)가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큰 두께를 지닐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PCB(SP)는 전자소자의 구성에 따라서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PCB(SP)의 두께는 PCB(SP)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종류 또는 전자소자의 배열 또는 전자소자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 또는 일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이 커질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연결될 수 있는 PCB(S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PCB(SP)의 두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방 또는 후면으로 굽어질 수 있다. 즉,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일측에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프레임(120)의 사이로 휘어지며 들어갈 수 있다.
PCB(S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되,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방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에 삽입될 수 있다. 즉, PCB(SP)가 개구부(OP)에 위치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프레임(120)의 전체 두께는 변화가 없거나 변화가 아주 미약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PCB(SP)로부터 프레임(120)의 상부 또는 상측을 향하여 놓여질 수 있다. 즉, 케이블(SC)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SC)은 플랫 케이블(SC, flat cable)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예를 들어, LVDS 케이블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PCB(SP)는 돌출부(SP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돌출부(SPP)가 삽입될 수 있는 홈(OP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개구부(OP)는 PCB(SP)의 형상에 따라서 프레임(120)의 두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OP)는 프레임(12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이 함몰되어 홈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 프레임(120)에 형성된 개구부(OP)는 PCB(SP)의 음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케이블(SC)은 프레임(120)과 PCB(SP)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반면에,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PCB (SP)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FPCB (FP)또는 케이블(SC)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공정의 편의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부재(146)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재(146)는, 예를 들면, 접착 테잎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결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 전체를 덮을 수 있고,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결합부재(146)의 일면은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146)의 타면에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46)의 타면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접촉할 수 있고, 결합부재(146)의 일면은 프레임(12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결합부재(146)에 의해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FPCB(FP)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FPCB(FP)와 연결되어 프레임(120)의 개구부(OP)에 위치할 수 있다. PCB(SP)는 프레임(120)의 개구부(OP)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결합부재(146)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SC)은 프레임(12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결합부재(146)의 측면을 프레임(120)의 측벽(SW)이 커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의 일부는 측벽(SW)의 두께일 수 있다. 즉, FPCB(FP), PCB(SP), 또는 케이블(SC)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그 영향이 미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20)은 상판(120U, upper frame)을 구비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측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 unit or timing control board) 또는 브릿지 제어부(bridge unit or bridge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2 제어부(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SC)은 제2 제어부(152)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도 22 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양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프레임(120)은 일정한 강성을 지니기 위해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상판(120U), 그리고, 개구부(OP)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판(120U)은 프레임(1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개구부(OPD)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예를 들어, 접착부재(142,144)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전면에 붙고, 접착부재(142,144)의 타면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붙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다른 예를 들어, 접착부재(142,144)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접착부재(142,144)의 타면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42)는 프레임(120)의 전면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42)는 제2 접착부재(144)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42)와 제2 접착부재(144)의 사이에 제1 케이블(SC1)이 놓여질 수 있다. 즉, 프레임(12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제1 접착부재(142), 제1 케이블(SC1), 그리고 제2 접착부재(144)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전방에서 접착부재(142,144)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142,144)에 의해서 프레임(1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FPCB(FP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FPCB(FP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PCB(SP1)는 제1 FPCB(FP1)가 휘어지거나 접히면서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에 놓여질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제1 PCB(SP1)와 제1 제어부(1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으로부터 프레임(120)의 하개구부(OPD)를 향해서 길게 놓여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프레임(120)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레임(120)의 후면일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예를 들어, 접착부재(146)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후면에 붙고, 접착부재(146)의 타면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면에 붙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다른 예를 들어, 접착부재(146)의 일면이 프레임(120)의 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고, 접착부재(146)의 타면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을 대부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접착부재(146)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접착부재(146)에 의해서 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FPCB(FP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FPCB(FP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화상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PCB(SP2)는 프레임(120)의 상개구부(OPU)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PCB(SP2)는 프레임(120)의 상개구부(OPU)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PCB(SP2)는 제2 FPCB(FP2)가 휘어지거나 접히면서 프레임(120)의 상개구부(OPU)에 놓여질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제2 PCB(SP2)와 제2 제어부(1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을 향해서 놓여질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 제2 장변(120LS2), 제1 단변(120SS1), 그리고 제2 단변(120SS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커버(172a,172b)는 프레임(120)의 제1 장변(120LS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커버(174)는 프레임(120)의 제2 단변(120SS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커버(176)는 프레임(120)의 제2 장변(120LS2)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사이드 커버(178)는 프레임(120)의 제1 단변(120SS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각각이 별개로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되어 벤딩되면서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사이드 커버(172,174,176,178)는 프레임(120),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30)의 측면이 보호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프레임(120)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프레임(12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142,144)는 프레임(1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142,144)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146)는 프레임(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접착부재(146)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상개구부(OPU), 그리고 하개구부(OP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개구부(OPU)는 프레임(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개구부(OPU) 및 하개구부(OPD)는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에 형성된 홈일 수도 있다. 상개구부(OPU) 및 하개구부(OPD)가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개구부(OPD)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마주할 수 있고, 상개구부(OPU)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제1 FPCB(FP1)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PCB(SP1)는 하개구부(OPD)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PCB(SP1)는 하개구부(OPD)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제1 PCB(SP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개구부(OPD)에서 상개구부(OPU)를 향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프레임(120) 사이 또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접착부재(142,14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케이블(SC1)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PCB(SP2)는 제2 FPCB(FP2)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PCB(SP2)는 상개구부(OPU)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PCB(SP2)는 상개구부(OPU)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제2 PCB(S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레임(120)의 상판(120U)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블(SC2)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프레임(120) 사이 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접착부재(14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양면으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슬림한 두께를 지닐 수 있다.
도 25및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홀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160)는 파이프(16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61)는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케이블(CA10)은 파이프(16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CA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에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은 파이프(161)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160)는 홀더(16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63)는 파이프(161)의 일단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3)는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3)는 삽입부(163I)와 플렌지(163P)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63I)는 파이프(16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렌지(163P)는 파이프(161)의 일단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163I)의 외경(D2)은 파이프(161)의 내경(D2)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플렌지(163P)의 외경(D1)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홀더(163)는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파이프(161)의 일단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63)는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파이프(161)의 일단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163)는 홀(163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사각형의 형상인 경우, 홀(163H)은 케이블(CA10)의 일단(CA11)이 끼워지도록 음각되면서 홀더(16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163H)은 케이블(CA10)의 개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케이블(CA10)이 파이프(16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홀더(163)는 복수개의 케이블(CA10)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홀(163H)을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160)는 고정링(16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부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링(165)은 파이프(161) 외측에 압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측에 끼워지면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에 압입되는 경우, 고정링(165)의 내경(D1)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에 접착되는 경우, 고정링(165)의 내경(D1)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커넥터(160)는 결합링(167)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링(167)은 링바디(167B), 스토퍼(167S), 그리고 암나사부(167G)를 구비할 수 있다. 링바디(167B)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링바디(167B)는 파이프(161)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고, 파이프(161)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링바디(167B)는 고정링(165)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고, 고정링(165)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바디(167B)의 내경(D4)은 파이프(161)의 외경(D1)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링바디(167B)의 내경(D4)은 고정링(165)의 외경(D5) 보다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스토퍼(167S)는 링바디(167B)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167S)는 링바디(167B)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7S)는 링바디(167B)의 내경(D4)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7S)의 내경(D6)은 파이프(161)의 외경(D1)과 거의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스토퍼(167S)의 내경(D6)은 고정링(165)의 외경(D5)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67S)는 파이프(161) 외부에 끼워지고, 파이프(161)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고정링(165)에 걸림될 수 있다. 암나사부(167G)는 링바디(167B)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167G)는 일정한 크기의 홈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높이 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7 및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홀더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160)는 결합바디(1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바디(162)는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케이블(CA20)은 결합바디(16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CA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에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은 결합바디(162)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결합바디(162)는 하부에 플렌지(162P)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바디(162)의 플렌지(162P)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바디(162)는 수나사부(162G)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나사부(162G)는 결합바디(162)의 원통부(162B)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부(162G)는 결합바디(162)의 원통부(162B)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수나사부(162G)는 결합링(167)의 암나사부(167G)와 결합될 수 있다. 원통부(162B)의 외경(D4)은 결합링(167)의 내경(D4)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링(167)은 결합바디(162)에 나사 끼움 될 수 있다.
커넥터(160)는 홀더(16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64)는 원통부(162B)의 일단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4)는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삽입될 수 있다. 홀더(164)는 삽입부(164I)와 플렌지(164P)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64I)는 결합바디(16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플렌지(164P)는 결합바디(162)의 일단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164I)의 외경(D7)은 결합바디(162)의 내경(D7)과 동등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플렌지(164P)의 외경(D4)은 결합바디(162)의 원통부(162B)의 외경(D4)과 동등하거나 작을 수 있다.
홀더(164)는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결합바디(162)의 일단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64)는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결합바디(162)의 일단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164)는 홀(164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사각형의 형상인 경우, 홀(164H)은 케이블(CA20)의 일단(CA21)이 끼워지도록 음각되면서 홀더(16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164H)은 케이블(CA20)의 개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케이블(CA20)이 결합바디(16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홀더(164)는 복수개의 케이블(CA20)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홀(164H)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6 및 28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홀더(163,164)는 2개의 홀(163H,164H)을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홀(163H,164H)은 상호간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이는, 2개의 케이블(CA)의 일단이 2개의 홀(163H,164H)에 각각 끼워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홀더(163,164)는 4개의 홀(163H,164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4개의 케이블(CA)의 일단이 4개의 홀(163H,164H)에 각각 끼워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2개의 홀(163H,164H)은 상호간 서로 마주할 수 있고, 다른 2개의 홀(163H,164H)은 상호간 서로 마주할 수 있다. 4개의 홀(163H,164H)은 홀더(163,164)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0 내지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파이프(161)에 홀더(163)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파이프(161) 내부에 케이블(CA1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케이블(CA10)은 홀더(163)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A10)의 일단은 홀더(163)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결합바디(162)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A20)은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설치된 제어부(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예를 들면, 브릿지부(151b)와 타이밍컨드롤부(151a)를 구비할 수 있다. 브릿지부(151b)는 케이블(CA10)에서 케이블(CA2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부(151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2)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화상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1)는 제어부(15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각각이 독립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합바디(162)에 홀더(164)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결합바디(162)의 내부에 케이블(CA2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케이블(CA20)은 홀더(164)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A20)의 일단은 홀더(164)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결합링(167)은 파이프(161)에 끼워질 수 있다. 결합링(167)은 파이프(161)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결합링(167)은, 고정링(165)을 파이프(161) 일단에 결합하기 위하여, 파이프(16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경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경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의 외경에 끼워지고, 접착제를 통해서 파이프(16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165)은 파이프(161)와 별도로 형성되어 설명과 같이 결합될 수 있고, 파이프(1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조립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커넥팅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결합바디(162)가 파이프(16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홀더(163)는 홀더(163)와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A10)은 케이블(CA2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결합바디(162)가 파이프(161)와 결합됨과 동시에, 케이블(CA10)은 케이블(CA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결합링(167)이 회전하여 결합바디(16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결합링(167)이 회전하면서, 결합링(167)에 형성된 암나사부(167G)가 결합바디(162)에 형성된 수나사부(162G)를 타고 회전할 수 있다. 즉, 결합링(167)은 결합바디(162)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결합링(167)의 회전이 종료되면, 결합바디(162)는 파이프(16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결합링(167)의 회전이 종료되어, 결합링(167)이 결합바디(162)에 물림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때, 홀더(163)는 홀더(164)와 마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CA10)의 일단은 복수개의 케이블(CA20)에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링(165)이 파이프(161)에 고정되고, 결합링(167)의 일단이 고정링(165)에 걸리고, 결합링(167)의 타단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바디(162)에 맞물리게 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파이프(161)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CA10,CA20)들이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넥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130), 그리고 제어부의 일부(151,152)는 천장 또는 벽면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어부의 나머지(170)는 천장 또는 벽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메인제어부(170), 그리고 서브제어부(151,152)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72,174), 그리고 통신모듈(171,17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제어부(151,152)는 제1 제어부(151), 그리고 제2 제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제어부(151,152)는 브릿지유닛(151b,152b), 그리고 타이밍컨트롤유닛(151a,1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브릿지유닛(151b), 그리고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브릿지유닛(152b), 그리고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2,17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172,174)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2,174)는 천장 또는 벽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172,174)는 제1 전원공급부(172), 그리고 제2 전원공급부(1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부(172)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부(174)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모듈(171,17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상 표시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71,173)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화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모듈(171,173)은 제1 통신모듈(171), 그리고 제2 통신모듈(17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71)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화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173)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화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161)는 천장라인(CL) 또는 벽면라인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1)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52)는 프레임(120)의 상판(120U)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제어부(170)는 서브제어부(151,152)로부터 천장라인(CL) 또는 벽면라인을 기준으로 격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서브제어부(151,152)는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있고, 파이프(161)에 내장된 케이블(CA)을 통해 메인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구비된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1)는 제1 브릿지유닛(151b), 그리고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릿지유닛(151b)은 메인제어부(170)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또는 화상신호를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 및/또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제1 타이밍컨트롤유닛(151a)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구비된 프레임(120)의 상판(120U)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2)는 제2 브릿지유닛(152b), 그리고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브릿지유닛(152b)은 메인제어부(170)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또는 화상신호를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제2 타이밍컨트롤유닛(152a)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표시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상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상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8 내지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메커니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은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의 회전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회전각도는 0도 에서 18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회전각도는 180도 에서 36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픽스쳐(200)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쳐(200)는 천장(CL)에 고정될 수 있다. 픽스쳐(200)는 파이프(210), 그리고 서포터(220)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터(220)는 건축물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220)는 건축물 실내의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포터(220)는 아웃도어에서 행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포터(220)는 볼트 및 너트, 리벳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2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220)는 3개 또는 4개일 수 있다. 3개의 서포터(220)는 12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서포터(220)는 9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서포터(220)는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이프(210)는 서포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210)는 서포터(220)에 의해 천장(CL)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160)는 파이프(2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즉, 파이프(210)는 서포터(220)에 고정되고, 커넥터(160)는 파이프(210)에 연결되는데, 커넥터(160)는 파이프(210)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의 회전은 커넥터(160)의 회전에 의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상단에 플렌지(161P)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렌지(161P)는 파이프(161)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렌지(161P)는 파이프(1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61)는 베이스 (310)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310)는 플렌지(161P)가 삽입되는 회전홈(312)을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161)는 베이스(310)의 회전홈(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161)와 회전홈(312) 간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베어링(320)은 파이프(161)와 베이스(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320)은 플렌지(161P)와 베이스(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320)은 파이프(161)와 회전홈(3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어링(320)은 플렌지(161P)와 회전홈(3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베어링(320)은 베이스(310)에서 파이프(161)가 회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베어링(320)은 트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3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30) 및 프레임(120) 등에 의해 파이프(161)에 걸리는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즉, 베어링(320)은 파이프(161)와 베이스(31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파이프(161)에 걸리는 하중을 베이스(310)에 전달하면서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베어링(320)은 하우징(321), 레일(323), 그리고 볼(324)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상판부(upper housing, 321U), 그리고 하판부(lower housing, 321L)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하우징(321)은 도넛 형상일 수 있다.
레일(323)은 하우징(321)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레일(323)의 직경은 하우징(32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레일(323)의 내경은 하우징(321)의 내경 보다 클 수 있고, 레일(323)의 외경은 하우징(321)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볼(324)은 레일(323)에 구비될 수 있다. 볼(324)은 레일(323)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볼(324)은 복수개가 레일(323)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323)은 복수개의 볼(324)의 간격, 배치, 위치 등을 잡아(hold)줄 수 있다.
하판부(321L)는 롤링홈(321H)을 구비할 수 있다. 롤링홈(321H)은 하판부(321L)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H)은 하판부(321L)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H)은 상판부(321U)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323) 및 복수개의 볼(324)은 상판부(321U)의 롤링홈(321H)과 하판부(321L)의 롤링홈(321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일(323) 및 복수개의 볼(324)은 상판부(321U)와 하판부(321L)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부(321U)는 하판부(321L)에 대하여, 또는 하판부(321L)는 상판부(321U)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3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의 회전에 유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을 높은 속도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이러한 구성의 베어링이 유리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베어링(320)은 하우징(321), 레일(323), 그리고 롤러(325)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상판부(upper housing, 321U), 그리고 하판부(lower housing, 321L)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하우징(321)은 도넛 형상일 수 있다.
레일(323)은 하우징(321)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레일(323)의 직경은 하우징(32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레일(323)의 내경은 하우징(321)의 내경 보다 클 수 있고, 레일(323)의 외경은 하우징(321)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롤러(325)는 레일(323)에 구비될 수 있다. 롤러(325)는 레일(323)에 형성된 홈(321H)에 삽입될 수 있다. 롤러(325)는 복수개가 레일(323)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323)은 복수개의 롤러(325)의 간격, 배치, 위치 등을 잡아(hold)줄 수 있다.
하판부(321L)는 롤링홈(321H)을 구비할 수 있다. 롤링홈(321H)은 하판부(321L)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H)은 하판부(321L)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H)은 상판부(321U)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323) 및 복수개의 롤러(325)는 상판부(321U)의 롤링홈(321H)과 하판부(321L)의 롤링홈(321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일(323) 및 복수개의 롤러(325)는 상판부(321U)와 하판부(321L)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부(321U)는 하판부(321L)에 대하여, 또는 하판부(321L)는 상판부(321U)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320)은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을 견디는데 유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130) 및 프레임(120) 등에 의한 커넥터(160) 하부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 이러한 구성의 베어링이 유리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베어링(320)은 하우징(321), 레일(323), 그리고 롤러(326)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상판부(upper housing, 321U), 그리고 하판부(lower housing, 321L)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하우징(321)은 도넛 형상일 수 있다.
레일(323)은 하우징(321)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레일(323)의 직경은 하우징(32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레일(323)의 내경은 하우징(321)의 내경 보다 클 수 있고, 레일(323)의 외경은 하우징(321)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레일(323)은 제1 레일(323a), 그리고 제2 레일(32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일(323a)은 제2 레일(323b)과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제1 레일(323a)은 제2 레일(323b)과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레일(323b)은 제1 레일(323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레일(323b)은 제1 레일(323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레일(323b)은 제1 레일(323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레일(323a) 및 제2 레일(323b)은 서로 다른 평면상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일(323a) 및 제2 레일(323b)은 롤러(326)에 경사를 줄 수 있다.
레일(323)은 홀더(323HD)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323HD)는 제1 레일(323a)과 제2 레일(323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홀더(323HD)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324)는 레일(323)에 구비될 수 있다. 롤러(326)는 레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롤러(326)는 복수개가 레일(323)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323)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은 복수개의 롤러(326)의 간격, 배치, 위치 등을 잡아(hold)줄 수 있다. 이때, 제1 레일(323a)과 제2 레일(323b)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롤러(326)는 경사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롤러(326)는 전체적으로 깔대기 모양을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하판부(321L)는 롤링홈(321D)을 구비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하판부(321L)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하판부(321L)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하판부(321L)의 상면에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전체적으로 깔대기의 내면의 형상일 수 있다. 즉, 롤링홈(321D)은 하판부(321L)의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상판부(321U)는 롤링홈(321D)을 구비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상판부(321U)의 외경과 내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상판부(321U)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상판부(321U)의 하면에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롤링홈(321D)은 전체적로 깔대기의 외면의 형상일 수 있다. 즉, 롤링홈(321D)은 상판부(321U)의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레일(323) 및 복수개의 롤러(326)는 상판부(321U)의 롤링홈(321D)과 하판부(321L)의 롤링홈(321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일(323) 및 복수개의 롤러(326)는 상판부(321U)와 하판부(321L)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부(321U)는 하판부(321L)에 대하여, 또는 하판부(321L)는 상판부(321U)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320)은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와 높은 하중을 견디는데 유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130) 및 프레임(120) 등에 의한 커넥터(160) 하부의 중량이 무거우면서 높은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이러한 구성의 베어링이 유리할 수 있다.
도 45 내지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동 회전메커니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을 참조하면, 기어(161G)는 파이프(161)의 플렌지(161P)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161G)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파이프(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파이프(161)는 베이스(310)에서 회전할 수 있는데, 베어링(320)이 파이프(161)와 베이스(310)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서 파이프(161)의 회전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유닛(330)은 파이프(16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은 파이프(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330)은 파이프(16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은 모터(330M), 축(330S), 그리고 기어(330G)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의 기어(330G)는 파이프(161)의 기어(161G)와 맞물릴 수 있다. 모터(330M)가 회전력을 축(330S) 및 구동유닛(330)의 기어(330G)에 제공하면, 구동유닛(330)의 기어(330G)와 맞물리는 파이프(161)의 기어(161G)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161)가 베이스(31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은 파이프(161)와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모터(330M)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모터(330M)는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교번적(alternatively)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향의 전환은 외부 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베이스(310)는 하우징(34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310)는 하우징(34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40)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40)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하우징(340)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에 매달려 있을 수 있고, 베이스(310)는 하우징(340)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또한,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베이스(310)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이때,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베이스(310) 상에서 또는 베어링(32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베이스(31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픽스쳐(200)의 파이프(210)는 서포터(22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파이프(161,210)의 내측에 케이블(CA10)이 내장될 수 있다. 파이프(161,210)가 회전을 하면 케이블(CA1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CA10)의 일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측 또는 천장(CL)측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케이블(CA10)의 꼬임현상은 모터(330M)가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력을 바꾸어 제공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하우징(340)은 코너가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340)은 코너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개방부(opening, 342)라 칭할 수 있다. 하우징(340)의 코너에 구동유닛(330)이 위치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의 일부는 하우징(34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구동유닛(330)의 다른 일부는 하우징(3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구동유닛(330)은 하우징(340)의 외부에서 하우징(340)의 내부에 설치된 커넥터(160)의 파이프(161)의 기어(161G)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구동유닛(330)의 고장에 대응하여 구동유닛(330)의 모터(330M)의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모터(330M)는 하우징(34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330M)는 하우징(340)의 외부에서 하우징(3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축(330S)은 하우징(340)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즉, 하우징(340)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330M)의 축(330S)은 개구부(342)를 통해 하우징(340)의 내부를 향하거나 하우징(3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축(330S)의 일단에 기어(330G)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의 기어(330G)는 파이프(161)의 기어(161G)와 맞물릴 수 있다.
도 48 내지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모듈의 회전범위에 대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160)의 기어(161G)는 제1 기어라 칭할 수 있다. 구동유닛(330)의 기어(330G)는 제2 기어라 칭할 수 있다. 제1 기어(161G)는 제2 기어(330G)와 맞물릴 수 있다. 제1 기어(161G)는 제2 기어(330G)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기어(161G)의 회전을 중심으로 구동유닛(330)의 회전력 전달을 설명한다.
도 48을 참조하면, 스위치(352,354)는 베이스(3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352,354)는 베이스(310) 상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52,354)는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352)는 제2 스위치(354)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스위치(352)는 제1 기어(161G)를 사이에 놓고 제2 스위치(354)와 마주할 수 있다. 즉, 제1 기어(161G)는 제1 스위치(352)와 제2 스위치(3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제1 스위치(352)는 제1 기어(161G)를 중심으로 제2 스위치(354)와 180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352)가 제2 스위치(354)와 180도 이내의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스위치(352)는 제2 스위치(354)와 180도 이상의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352)와 제2 스위치(354)의 각도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30)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제1 스위치(352)는 바디(352a), 전극(352c), 그리고 레버(3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354)도 바디(354a), 전극(354c), 그리고 레버(3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354)의 설명은 생략한다. 레버(352b)는 바디(352a)에 설치될 수 있다. 레버(352b)는 제1 스위치(352)의 on/off를 조절할 수 있다. 전극(352c)은 모터(330M)의 제어부 또는 모터(330M)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터암(rotor arm, 356)은 제1 기어(161G)에 고정될 수 있다. 로터암(356)은 제1 기어(161G)의 상면에 고정되어 제1 기어(161G)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로터암(356)은 고정부(356a), 그리고 접촉부(356b)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356a)는 제1 기어(161G)의 상면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356b)는 고정부(356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접촉부(356b)는 제1 기어(161G)의 외주면의 외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접촉부(356b)의 길이는 스위치(352,354)와 고정부(356a)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8에서, 로터암(356)이 제2 스위치(354)에 접하면 제2 기어(330G)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제1 기어(161G)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9에서, 제1 기어(161G)가 제2 스위치(354)로부터 떨어진 후에도 제2 기어(330G)는 시계방향의 회전을 계속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지속할 수 있다.
도 50에서, 제1 기어(161G)가 제2 스위치(354)로부터 멀어지고 제1 스위치(352)에 가까워지면서도 제2 기어(330G)의 시계방향의 회전 및 제1 기어(161G)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지속될 수 있다.
도 51에서, 로터암(356)이 제1 스위치(352)에 접하면, 제2 기어(330G)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의 반시계방향의 회전도 멈출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로터암(356)이 제1 스위치(352)에 접하면, 제2 기어(330G)는 시계방향의 회전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서 시계방향의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로터암(356)이 제1 스위치(352) 또는 제2 스위치(354)와 접하는 순간은, 제1 기어(161G) 또는 제2 기어(330G)의 지속된 회전이 멈추거나 지속된 회전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시작되는 순간일 수 있다.
도 52에서, 제2 기어(330G)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는 시계방향의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53에서, 제1 기어(161G)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제2 스위치(354)에 접하기 전까지 계속 지속될 수 있다.
도 54에서, 로터암(356)이 제2 스위치(354)에 접하면, 제2 기어(330G)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은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의 시계방향의 회전도 멈출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로터암(356)이 제2 스위치(354)에 접하면, 제2 기어(330G)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서 시계방향의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61G)는 시계방향의 회전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로터암(356)이 제1 스위치(352) 또는 제2 스위치(354)와 접하는 순간은, 제1 기어(161G) 또는 제2 기어(330G)의 지속된 회전이 멈추거나 지속된 회전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시작되는 순간일 수 있다.
도 55 및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모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모듈(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회전모듈(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고, 또 분리될 수 있다. 즉, 하파이프(lower pipe, 370)는 커넥터(160)의 파이프(161)와 연결될 수 있고, 상파이프(upper pipe, 380)는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와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파이프(380)는 앞서 설명한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하파이프(370)는 앞서 설명한 커넥터(160)의 파이프(161)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하파이프(370)는 제1 파이프라 칭할 수 있고, 상파이프(380)는 제2 파이프라 칭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파이프(161) 또는 제2 파이프(210)와 구별될 수 있다.
도 55를 참조하면, 하파이프(370)는 하파이프(370)의 내주면에 나사산(37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외주면에 나사산(161n)이 형성되어 하파이프(37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6을 참조하면, 상파이프(380)는 상파이프(380)의 외주면에 나사산(38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픽스쳐(200)의 파이프(210)는 내주면에 나사산(210n)이 형성되어 상파이프(38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5 및 56을 참조하면, 구동유닛(330)은 브라켓(330B)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30B)은 하우징(34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30B)은 모터(330M)와 제2 기어(330G)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구동유닛(330)은 하우징(340)의 코너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330B)은 하우징(340)의 개구부(342)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위치(352)는 하우징(340)의 일 코너에서 개구부(34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54)는 하우징(340)의 일 코너에서 개구부(34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스위치(352) 또는 제2 스위치(354)의 전기적 연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을 할 수 있고, 360도 회전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위치(352)를 모터(330M)의 제어부에 연결시키면 360도 회전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스위치(352) 및 제2 스위치(354)를 모터(330M)의 제어부에 연결시키면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57 내지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회전모듈이 결합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픽스쳐(200)는 건축물의 일부 또는 천장 등에 고정되기 위해 고정판(22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판(222)은 서포터(22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판(222)은 결합홀(224)을 구비할 수 있고, 결합홀(224) 및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건축물의 일부 또는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스쳐(200)가 4개의 서포터(220)를 구비하고, 4개의 서포터(220)가 파이프(210)의 사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222)은 각각의 서포터(2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222)은 픽스쳐(200)에 평편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판(222)에 의해 제공되는 평편한 면은 천장 등에 접할 수 있다.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의 하단에 커넥터(160)의 파이프(161)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커넥터(160)의 파이프(161)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8을 참조하면, 회전모듈(300)이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와 커넥터(160)의 파이프(16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모듈(300)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에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회전모듈(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픽스쳐(200)의 파이프(210)는 암나사산(210n)을 구비할 수 있다. 암나사산(210n)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모듈(300)의 상파이프(380)는 수나사산(382)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나사산(382)은 상파이프(38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파이프(370)는 암나사산(372)을 구비할 수 있다. 암나사산(372)은 하파이프(37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수나사산(161n)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나사산(161n)은 커넥터(160)의 파이프(16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모듈(300)의 상파이프(380)가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와 나사결합할 수 있고, 커넥터(160)의 파이프(161)가 회전모듈(300)의 하파이프(370)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60)의 파이프(161)는 회전모듈(300)이 제거된 경우, 픽스쳐(200)의 파이프(2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회전모듈(300)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0을 참조하면, 회전모듈(300)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되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회전하면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시청자들이 많이 모일 수 있는 공공장소 등에서 동시에 많은 시청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제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향하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부재;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이프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상단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파이프 부재가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thrust) 베어링,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고,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제2 기어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단에 플렌지를 구비하는 제1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1 파이프의 플렌지의 외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thrust) 베어링은 상기 제1 파이프의 플렌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부재는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와 결합되는 상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결합되는 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 파이프는 상단에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하 파이프의 플렌지의 외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은 상기 하 파이프의 플렌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파이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하 파이프의 내주면과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가 나사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및 상기 제2 파이프 부재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및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회전하는 제1 파이프 부재;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파이프 부재;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고,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단 외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에 연결된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단에 플렌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플렌지의 외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는 로터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복수개 이고,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는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암이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KR1020160022416A 2015-12-17 2016-02-25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8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16A KR102489000B1 (ko) 2016-02-25 2016-02-25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6178019.2A EP3182194B1 (en) 2015-12-17 2016-07-05 Display device
CN201610620257.6A CN106898631B (zh) 2015-12-17 2016-08-01 显示装置
US15/237,757 US9980397B2 (en) 2015-12-17 2016-08-16 Display device
US15/974,974 US10582621B2 (en) 2015-12-17 2018-05-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16A KR102489000B1 (ko) 2016-02-25 2016-02-25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85A KR20170100185A (ko) 2017-09-04
KR102489000B1 true KR102489000B1 (ko) 2023-01-16

Family

ID=5992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16A KR102489000B1 (ko) 2015-12-17 2016-02-25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997B1 (ko) * 2022-12-26 2023-09-08 주식회사 휴먼엠앤에스 천정 고정식 회전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619Y1 (ko) * 2001-06-18 2001-11-16 오승현 모니터 영상 홍보 시스템
KR100695631B1 (ko) * 2006-02-03 2007-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US20130258246A1 (en) * 2012-03-29 2013-10-03 Wan-Sang Kim Liquid crysta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81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619Y1 (ko) * 2001-06-18 2001-11-16 오승현 모니터 영상 홍보 시스템
KR100695631B1 (ko) * 2006-02-03 2007-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US20130258246A1 (en) * 2012-03-29 2013-10-03 Wan-Sang Kim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85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621B2 (en) Display device
US9788440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US10290240B2 (en) Display device
KR1024890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6340254B (zh) 显示装置
KR2019010608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13194B1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WO2021008198A1 (zh) 一种圆柱形led显示屏
KR20140148241A (ko) 접착식 표시 패널, 상기 접착식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접착식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202109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tile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89000B1 (ko) 디스플레이 회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22091705A (ja) 軟性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6434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14055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KR10245546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824095B1 (ko) 양면디스플레이용 천정형 장착유닛
KR102513172B1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40006247A (ko) 트라이비젼
US20230185337A1 (en) Display device
KR2021001701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7957601A (zh) 托架结构、子显示面板组件和拼接显示装置
KR20080093562A (ko) 표시 장치
KR201700060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