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910B1 -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910B1
KR102487910B1 KR1020200154078A KR20200154078A KR102487910B1 KR 102487910 B1 KR102487910 B1 KR 102487910B1 KR 1020200154078 A KR1020200154078 A KR 1020200154078A KR 20200154078 A KR20200154078 A KR 20200154078A KR 102487910 B1 KR102487910 B1 KR 102487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water
basin
washing
water
fresh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413A (ko
Inventor
길세영
이훈
정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콩
Priority to KR102020015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08B1/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이다.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담수대(20)는 받침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담수대(20)의 양 끝단에는 이송롤러(21)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1)의 사이에는 이송벨트(22)가 권취되어 담수대(20)의 저면에 위치되고, 담수대(20)의 초반부에 위치한 이송벨트(22)의 직상방에는 그물망(25)이 이송벨트(2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담수대(20)의 초입 일측에는 과일 공급부(11)가 형성되고, 담수대(20)의 초입 측방에는 살균수발생기(30)가 접속되는 접속구(24)가 장착되며, 담수대(20)의 초입 외측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 주입구(41)가 장착된 공급관(40)이 설치되고, 담수대(20)의 내측방에는 공급관(40)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이 장착되며, 상기 그물망(25)의 일측 담수대(20)의 측방에는 세척장착대(52)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착대(52)에는 가요성(可撓性)이 탁월한 세척롤러(50)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The straight type fruit washing machine using the sterilized water}
본 발명은 과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과, 배, 감 등 공같이 둥근 형태를 갖는 구형의 과일을 세척하되, 수돗물을 전기분해셀을 이용하여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로 전기분해하여 자동으로 세척하는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을 수확하면 표면에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 등이 묻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과, 배, 감 등 공같이 둥근 형태를 갖는 구형의 과일은 중량별 선별작업이 완료되면,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작업이 진행되는바, 종래에는 많은 양의 과일을 대형의 세척통에 담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세척하였다.
따라서, 세척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인력낭비는 물론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세척력을 향상시키고자 사용되는 각종 첨가물로 인해 과일을 섭취한 사람들 일부에서 과민한 반응이 발생되어, 세척용 첨가물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630호(2003. 07. 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과일을 세척하기 위한 매개체로 수돗물을 전기분해셀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로 전기분해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살균력과 탈취력이 강력한 살균수를 이용하여 사과, 배, 감 등 공같이 둥근 형태를 갖는 구형의 과일을 세척하기 위한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담수대(20)는 받침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담수대(20)의 양 끝단에는 이송롤러(21)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1)의 사이에는 이송벨트(22)가 권취되어 담수대(20)의 저면에 위치되고, 담수대(20)의 초반부에 위치한 이송벨트(22)의 직상방에는 그물망(25)이 이송벨트(2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담수대(20)의 초입 일측에는 과일 공급부(11)가 형성되고, 담수대(20)의 초입 측방에는 살균수발생기(30)가 접속되는 접속구(24)가 장착되며, 담수대(20)의 초입 외측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 주입구(41)가 장착된 공급관(40)이 설치되고, 담수대(20)의 내측방에는 공급관(40)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이 장착되며, 상기 그물망(25)의 일측 담수대(20)의 측방에는 세척장착대(52)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착대(52)에는 가요성(可撓性)이 탁월한 세척롤러(50)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사과, 배, 감 등 공같이 둥근 형태를 갖는 구형의 과일을 수돗물 공급시 실시간으로 변환되는 살균력과 탈취력이 강력한 차아염소산수를 통해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더욱 위생적인 상태로 소비자에게 과일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품질의 경쟁력도 향상시켜 시장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중 살균수발생기, 담수대, 이송벨트, 그물망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세척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중 실린더, 진공패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의 결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 및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2는 본 발명중 살균수발생기(30), 담수대(20), 이송벨트(22), 그물망(25)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2에 도시된 살균수발생기(30)는 수돗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탈취 등 세척력이 강력한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를 만드는 장치이다.
상기 차아염소산의 분자식은 HClO이고, HCO이 차아염소산은 수용액으로만 존재하며, 빛이나 열에 의해 상당히 불안정하게 되어 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킨다. 이 산소 라디칼에 의해 강한 산화성을 가지며, 용액 자체나 그 염은 표백제, 살균제, 소독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염소(Cl2)를 물에 녹인 염소수 중에 다음 반응의 평형 생성물로 존재한다.
Cl2 + H2O ↔ HCl + HClO
본 발명에서는 염소(Cl2)를 물에 녹인 염소수를 사용하여 차아염소산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돗물을 사용하여 차아염소산(HClO)을 생성하고자 하는바, 그 이유는 수돗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염소(Cl2)가 함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담수대(20)에 형성된 접속구(24)에 살균수발생기(30)의 일측을 장착하고, 수돗물의 공급호스를 살균수발생기(30)의 타측에 장착한 다음, 전원을 인가하면 살균수발생기(30)에 내장된 한 쌍의 전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기분해셀(31)이 작동되면서 수돗물이 전기분해셀(31)을 통해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수(HClO)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수돗물을 만드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호수나 하천에서 퍼 올린 물은 응집제라는 약품을 넣어 정수장에서 오염물이 제거되고, 여과 과정을 거쳐 사람이 마실 수 있을 정도의 깨끗한 수돗물로 만들어진다.
이후 마지막으로 소독제인 염소(Cl2)를 주입하여 물속의 해로운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사람이 마실 수 있는 안전한 수돗물로 만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쉽게 공급받을 수 있는 수돗물에는 차아염소산(HClO)을 생성시킬 수 있는 염소(Cl2)가 함유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도 1, 2에서와 같이 살균수발생기(30)를 통해 수돗물을 살균력이 강력한 차아염소산수로 변환시켜 과일을 세척할 수 있는 매개체로 사용하고자 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살균수발생기(30)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담을 수 있는 담수대(20)가 받침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담수대(20)의 저면에는 이송벨트(22)가 장착되되, 담수대(20)의 양 끝단에 설치된 이송롤러(21)에 권취되어 이송모터(23)에 의하여 순환 운동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1, 2에서 보듯이 담수대(20)의 초반부에 위치한 이송벨트(22)의 직상방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그물망(25)이 이송벨트(2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바, 구형의 과일이 이송벨트(22)와 그물망(25)의 사이에 끼어서 이송벨트(22)의 이동과 함께 과일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담수대(20)의 초입 일측에는 과일을 투입하기 위한 공급부(1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담수대(20)의 초입 측방에는 접속구(24)가 마련되어 살균수발생기(30)가 접속되며, 상기 살균수발생기(30)에는 수돗물의 공급을 위하여 호스가 연결된다.
따라서, 살균수발생기(30)를 통과하는 수돗물은 도 2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전극판으로 이루어진 전기분해셀(31)을 통해 실시간으로 살균, 탈취 등 세척력이 강력한 차아염소산수로 전기분해됨에 따라, 담수대(20)에는 차아염소산수가 가득 담기게 되어 세척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담수대(20)의 초입 외측방에는 담수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0)이 장착되고, 공급관(40)에는 압축공기 공급용 주입구(41)가 장착되며, 담수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방에는 공급관(40)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이 장착되어, 주입구(41)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공급관(40)을 지나 담수대(20)의 내측방에 위치한 분사노즐(42)에서 분사될 때, 압축공기가 담수대(20)에 담겨 있는 차아염소산수를 가압하여 밀어 부침에 따라, 결국 담수대(20)를 따라 이동되는 과일의 표면에 차아염소산수가 직접 분사됨으로써, 세척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중 세척롤러(50)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담수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설치된 그물망(25)의 일측으로 담수대(20)의 측방에는 세척장착대(52)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착대(52)에는 가요성(可撓性)이 탁월한 세척롤러(50)가 장착된다.
상기 세척롤러(50)는 스펀지,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탁월한 가요성(可撓性)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과일과 밀착되는 순간 과일의 표면의 응력을 흡수하여 변형됨으로써, 세척모터(51)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동안 과일의 표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도 4, 5는 본 발명중 실린더(60), 진공패드(6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송벨트(22)를 따라 이송되는 과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롤러(50)를 지나면서 표면이 세척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진공패드(61)를 통해 흡착되어 별도로 마련한 선별박스에 옮겨진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세척롤러(50)의 일측 담수대(20)의 측방에는 파지장착대(65)가 설치되고, 상기 파지장착대(65)에는 회전축(6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62)의 직하방에는 파지모터(64)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62)의 직상방에는 배열대(63)가 장착되며, 상기 배열대(63)에는 실린더(6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고, 실린더(60)의 로드에는 과일의 표면을 견고하게 흡착하기 위한 진공패드(61)가 장착되며, 담수대(20)의 끝단에는 진공패드(61)의 과일 흡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66)가 다수개 장착되고, 담수대(20)의 말단 타측에는 제어부(12)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어부(12)에서 이송벨트(22)를 따라 실린더(60)의 직하방에 도착한 과일을 확인하면, 실린더(60)의 로드가 직하방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진공패드(61)의 흡착 작업이 작동되고, 진공패드(61)에 포착된 과일이 센서(66)를 통해 감지되면, 회전축(62)의 회전 운동을 지시하는 신호가 제어부(12)에서 송출되어,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축(62)이 담수대(20)의 바깥쪽으로 회전된 다음, 별도의 선별박스에 담기게 된다.
참고로, 상기 센서(66)와 제어부(12)에 의한 회전축(62), 실린더(60), 진공패드(61) 등의 작동은 제어부(12)에서 프로그램밍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공지 기술에 해당되고, 진공압 발생과 관련된 진공패드(61)의 구성도 통상적인 것에 해당하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의 결합 사시도로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는 도 6과 같이 조립 완성되고,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사과, 배, 감 등 공같이 둥근 형태를 갖는 구형의 과일을 수돗물 공급시 실시간으로 변환되는 살균력과 탈취력이 강력한 차아염소산수를 통해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더욱 위생적인 상태로 소비자에게 과일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품질의 경쟁력도 향상시켜 시장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10 : 받침프레임
11 : 공급부
12 : 제어부
20 : 담수대
21 : 이송롤러
22 : 이송벨트
23 : 이송모터
24 : 접속구
25 : 그물망
30 : 살균수발생기
31 : 전기분해셀
40 : 공급관
41 : 주입구
42 : 분사노즐
50 : 세척롤러
51 : 세척모터
52 : 세척장착대
60 : 실린더
61 : 진공패드
62 : 회전축
63 : 배열대
64 : 파지모터
65 : 파지장착대
66 : 센서

Claims (2)

  1. 담수대(20)는 받침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담수대(20)의 양 끝단에는 이송롤러(21)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1)의 사이에는 이송벨트(22)가 권취되어 담수대(20)의 저면에 위치되고, 담수대(20)의 초반부에 위치한 이송벨트(22)의 직상방에는 그물망(25)이 이송벨트(2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담수대(20)의 초입 일측에는 과일 공급부(11)가 형성되고, 담수대(20)의 초입 측방에는 접속구(24)가 장착되며, 상기 접속구(24)에는 살균수발생기(30)가 접속되고, 담수대(20)의 초입 외측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 주입구(41)가 장착된 공급관(40)이 설치되며, 담수대(20)의 내측방에는 공급관(40)에서 분기된 다수개의 분사노즐(42)이 장착되고, 상기 그물망(25)의 일측 담수대(20)의 측방에는 세척장착대(52)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장착대(52)에는 가요성(可撓性)의 세척롤러(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롤러(50)의 일측 담수대(20)의 측방에는 파지장착대(65)가 설치되고, 상기 파지장착대(65)에는 회전축(6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62)의 직하방에는 파지모터(64)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62)의 직상방에는 배열대(63)가 장착되며, 상기 배열대(63)에는 실린더(6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고, 실린더(60)의 로드에는 진공패드(61)가 장착되며, 담수대(20)의 끝단에는 센서(66)가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KR1020200154078A 2020-11-17 2020-11-17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KR10248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78A KR102487910B1 (ko) 2020-11-17 2020-11-17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78A KR102487910B1 (ko) 2020-11-17 2020-11-17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13A KR20220067413A (ko) 2022-05-24
KR102487910B1 true KR102487910B1 (ko) 2023-01-12

Family

ID=8180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078A KR102487910B1 (ko) 2020-11-17 2020-11-17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610B1 (ko) 2023-01-20 2023-12-07 이일근 과일 자동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57B1 (ko) * 2022-12-14 2023-11-15 조미자 내장 자동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30Y1 (ko) 2003-04-22 2003-07-31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과일세척장치
KR101085458B1 (ko) * 2009-06-19 2011-11-21 한국식품연구원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과채류의 복합살균소독방법
KR101311237B1 (ko) * 2011-09-22 2013-09-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세척장치
KR20130131534A (ko) * 2012-05-24 2013-12-04 문태익 고추 세척 장치
KR101557047B1 (ko) * 2013-11-18 2015-10-07 대한민국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610B1 (ko) 2023-01-20 2023-12-07 이일근 과일 자동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13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910B1 (ko)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KR10092699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092700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CN106082533B (zh) 一种景观鱼池净化处理系统及处理方法
JP2007006817A (ja) 育苗トレイの洗浄装置
CN208925209U (zh) 一种去除果蔬农残有害物质的超声波电解水一体式装置
CN208242762U (zh) 一种蔬果农残降解系统
CN206674965U (zh) 一种微纳米气泡果蔬清洗消毒装置
CN108056485B (zh) 一种连续式臭氧微气泡根茎类蔬菜清洗机
KR101341650B1 (ko) 생란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CN106490647A (zh) 一种蔬菜清洗干燥系统
CN206791362U (zh) 一种蛋鸭繁育用自清洁鸭笼
CN212164828U (zh) 一种果蔬清洗消毒机
JP6341576B2 (ja) 除菌洗浄方法及び除菌洗浄装置
CN102578934B (zh) 纵向旋流净化水槽
KR102487914B1 (ko) 살균수를 이용한 회전형 과일 세척장치
CN104522134B (zh) 一种畜禽肉清洗消毒装置及其清洗消毒方法
CN107360989B (zh) 一种智能化的食品加工杀菌清洗综合设备
CN213127842U (zh) 一种鸡爪生产用杀菌消毒装置
CN203711392U (zh) 移动式医用帐篷洗消装置
CN203555652U (zh) 一种果蔬清洗杀菌装置
KR20090031886A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20240050013A (ko) 고압수를 이용한 구획형 과일 세척장치
CN211153581U (zh) 一种肉牛屠宰全方位冲洗装置
CN213215232U (zh) 一种基于羟基自由基的蔬菜清洗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