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758B1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758B1
KR102487758B1 KR1020200178533A KR20200178533A KR102487758B1 KR 102487758 B1 KR102487758 B1 KR 102487758B1 KR 1020200178533 A KR1020200178533 A KR 1020200178533A KR 20200178533 A KR20200178533 A KR 20200178533A KR 102487758 B1 KR102487758 B1 KR 10248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impact toughness
less
strengt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965A (ko
Inventor
김상호
김우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7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3Cemen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의 두께가 큰 경우에도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강도 특성을 구비하면서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 구조물, 해양 구조물, 저장용기 등의 대형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에 대응해 신재생 에너지의 하나인 풍력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생산을 위한 풍력 터빈 및 이를 지탱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의 대형화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대형화로 인해, 구조물에 적용되는 강재의 후물화 및 고강도화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강재의 후물화 및 고강도화에 대응해 제어압연과 가속냉각을 활용한 TMCP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기술이 빠르게 발전해왔다. 그러나, TMCP 강재는 열처리 강재에 비해 판변형, 재질편차 및 잔류 응력 측면에서 불리하다.
판변형, 재질편차 및 잔류 응력 관점에서는 노말라이징(Normalizing) 열처리로 제조된 강재가 가장 우수하다. 다만, 오스테나이트 영역까지 가열한 후 공냉하는 노말라이징 강재는 TMCP 강재에 비해 결정립 미세화가 어려워 강도 및 인성 확보에 불리한 면이 있다. 특히, 강재가 두꺼울수록 공냉 속도가 느려져 최종 조직의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강도와 인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Ti, Nb, V, Mo 등의 합금원소를 적정화하고, 노말라이징 열처리 전에 수냉을 행함으로써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두꺼운 강판에서는 항복강도가 저하되어, 상기 방법을 구조용 강재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040호(2019.06.11 공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판의 두께가 큰 경우에도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8~0.13%, Si: 0.1~0.6%, Mn: 1.2~2.0%, P: 0.02% 이하, S: 0.005% 이하, Al: 0.01~0.06%, Cu: 0.01~0.6%, Ni: 0.01~0.6%, Nb: 0.02~0.05%, V: 0.12~0.18%, N: 0.002~0.007%,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에서 정의되는 Ceq 값이 0.43 이상이고,
하기 관계식 2에서 정의되는 CV 값이 0.62 이하이고,
미세조직은 페라이트를 주상으로, 펄라이트, 시멘타이트 및 MA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페라이트 평균 결정립 크기가 15㎛ 이하이며,
인장강도가 530MPa 이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관계식 1]
Ceq = [C]+[Mn]/6+([Cr]+[Mo]+[V])/5+([Cu]+[Ni])/15
(여기서, [C], [Mn], [Cr], [Mo], [V], [Cu]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관계식 2]
CV = [C]+[V]/3+([Si]+[Mn]+[Ni])/6
(여기서, [C], [V], [Si], [Mn]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상기 강판은 면적%로,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를 5~15%, MA 조직을 2%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은 중량%로, V 및 Nb 탄질화물을 0.18~0.27%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의 두께는 5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가 420MPa 이상이고, -50℃에서 충격인성이 150J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0.08~0.13%, Si: 0.1~0.6%, Mn: 1.2~2.0%, P: 0.02% 이하, S: 0.005% 이하, Al: 0.01~0.06%, Cu: 0.01~0.6%, Ni: 0.01~0.6%, Nb: 0.02~0.05%, V: 0.12~0.18%, N: 0.002~0.007%,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에서 정의되는 Ceq 값이 0.43 이상이고, 하기 관계식 2에서 정의되는 CV 값이 0.62 이하인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20℃ 이하의 압연종료온도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상온까지 공냉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강판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노말라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노말라이징된 강판을 300~650℃의 온도범위에서 템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관계식 1]
Ceq = [C]+[Mn]/6+([Cr]+[Mo]+[V])/5+([Cu]+[Ni])/15
(여기서, [C], [Mn], [Cr], [Mo], [V], [Cu]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관계식 2]
CV = [C]+[V]/3+([Si]+[Mn]+[Ni])/6
(여기서, [C], [V], [Si], [Mn]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상기 열간압연하는 단계에서 강판의 두께가 50mm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판의 두께가 큰 경우에도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건설 구조물, 해양 구조물, 저장용기 등에 사용되는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구현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후물의 노말라이징 강재에서 강도와 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식을 확보할 수 있었다.
후물의 노말라이징 강재에서 물성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최종 조직의 결정립이 조대하기 때문이며, 이는 노말라이징 시 강재가 두꺼울수록 오스테나이트 온도역에서 공냉하는 동안 냉각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종 조직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해서는 노말라이징 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을 보다 미세화할 필요가 있다.
노말라이징 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이전 미세조직의 영향을 받으며, 노말라이징 이전 미세조직의 결정립이 미세하다면, 입계를 따라 오스테나이트의 핵이 생성되므로 보다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노말라이징 이전 미세조직 결정립 크기에 특히 영향을 주는 원소로는 Nb 함량, 재가열 온도, 압연 종료 온도가 있다. Nb가 함유되어 있는 상태에서 재가열 온도 및 압연 종료 온도가 적정하면 압연 중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연 후 미세조직을 미세화할 수 있다. 압연 후 미세하게 형성된 조직은 노말라이징 과정에서 미세한 오스테나이트의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노말라이징으로 제조된 강재는 일반 압연으로 제조된 강재와 비교하여 동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나, 상대적으로 항복강도가 낮기 때문에 고강도 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V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V 함량을 높이면 V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석출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V 탄질화물로 석출되지 않은 고용 V는 높은 경화능으로 인해 열처리 강재의 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V 함량이 높은 강재를 노말라이징할 경우, 고용 V의 높은 경화능으로 인해 미세조직 내에 MA (Martensite-Austenite) 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MA 조직은 인장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나, 항복강도와 충격인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항복강도와 충격인성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MA 조직을 감소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노말라이징 후 템퍼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템퍼링으로 인해 MA 조직이 분해되면 인장강도는 감소하나, 항복강도와 충격인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강 조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원소의 함량을 표시하는 %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강판은 중량%로, C: 0.08~0.13%, Si: 0.1~0.6%, Mn: 1.2~2.0%, P: 0.02% 이하, S: 0.005% 이하, Al: 0.01~0.06%, Cu: 0.01~0.6%, Ni: 0.01~0.6%, Nb: 0.02~0.05%, V: 0.12~0.18%, N: 0.002~0.007%,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C): 0.08~0.13%
탄소(C)는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를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로, 특히, 인장강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다만, 탄소(C)의 함량이 과도하면 충격인성을 저해하여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곤란하므로 그 상한을 0.13%로 제한한다. 반면, 충격인성 향상을 위해 탄소(C)의 함량이 부족하면 인장강도 확보가 곤란해지므로 0.08%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소(C)의 함량은 0.08~0.13%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0.12%일 수 있다.
실리콘(Si): 0.1~0.6%
실리콘(Si)은 탈산과 강도 향상을 위해 필요한 원소로서, 함량이 0.1% 미만이면 상기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운 반면, 그 함량이 0.6%를 초과하면 강재의 충격인성과 용접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리콘(Si)의 함량은 0.1~0.6%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35%일 수 있다.
망간(Mn): 1.2~2.0%
망간(Mn)은 고용 강화를 통해 강재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망간(Mn)의 함량이 1.2% 미만이면 고용 강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해 강도 확보가 곤란한 반면,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충격인성 확보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망간(Mn)의 함량은 1.2~2.0%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7%일 수 있다.
인(P): 0.02% 이하
인(P)은 강 중에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로서 충격인성을 감소시키므로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나, 그 함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강 공정상 부하가 증가하고 제강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2%로 제한한다.
따라서, 인(P)의 함량은 0.02% 이하일 수 있다.
황(S): 0.005% 이하
황(S)은 강 중에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로서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므로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나, 그 함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강 공정상 부하가 증가하고 제강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05%로 제한한다.
따라서, 황(S)의 함량은 0.005% 이하일 수 있다.
알루미늄(Al): 0.01~0.06%
알루미늄(Al)은 탈산에 효과적인 원소이며, AlN을 형성하여 노말라이징 시, 오스테나이트 입성장을 막아 최종 조직을 미세화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하면 용접성과 표면품질을 저해하므로 상한을 0.06%로 제한한다.
따라서, 알루미늄(Al)의 함량은 0.01~0.06%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05%일 수 있다.
구리(Cu): 0.01~0.6%
구리(Cu)는 고용 강화를 통해 강도 향상에 기여하면서도 충격인성 저하가 적은 원소로, 상기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0.6%를 초과하면 적열취성이 발생하여 표면품질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구리(Cu)의 함량은 0.01~0.6%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4%일 수 있다.
니켈(Ni): 0.01~0.6%
니켈(Ni)은 고용 강화 효과가 있으면서 Cu에 의한 적열 취성을 억제하는데도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과도하면 충격인성을 감소시키고, 고가의 원소로서 합금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0.6%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니켈(Ni)의 함량은 0.01~0.6%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6%일 수 있다.
니오븀(Nb): 0.02~0.05%
니오븀(Nb)은 미세한 니오븀(Nb)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노말라이징 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성장을 막아 충격인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 0.02% 이상 첨가해야 하는 반면, 그 함량이 과도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 억제 효과가 포화되고, 강 슬라브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을 0.05%로 제한한다.
따라서, 니오븀(Nb)의 함량은 0.02~0.05%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05%일 수 있다.
바나듐(V): 0.12~0.18%
바나듐(V)은 첨가 시 바나듐(V)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석출 강화를 일으키고, 석출되지 않은 고용 바나듐(V)은 경화능이 높아 열처리 강재의 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므로 0.12%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0.18%를 초과하면 강도 상승 효과가 과도하여 충격인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바나듐(V)의 함량은 0.12~0.18%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0.17%일 수 있다.
질소(N): 0.002~0.007%
질소(N)는 Al 질화물 및 V, Nb 탄질화물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원소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하여 0.002% 이상 첨가하여야 한다. 반면, 그 함량이 과도하면 강 슬라브의 표면 품질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0.007%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질소(N)의 함량은 0.002~0.007%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0.00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판은, 상술한 조성 이외에 나머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불가피한 불순물은 통상의 제조공정에서 의도되지 않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러한 불순물들은 통상의 철강제조분야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강판은 하기 관계식 1에서 정의되는 Ceq 값이 0.43 이상일 수 있다.
하기 관계식 1은 합금원소에 따른 강도의 영향을 나타낸 식으로서,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더라도 Ceq 값이 0.43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강도 확보가 곤란해질 수 있다.
[관계식 1]
Ceq = [C]+[Mn]/6+([Cr]+[Mo]+[V])/5+([Cu]+[Ni])/15
(여기서, [C], [Mn], [Cr], [Mo], [V], [Cu]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본 발명의 강판은 하기 관계식 2에서 정의되는 CV 값이 0.62 이하일 수 있다.
하기 관계식 2의 CV 값은 합금원소가 충격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식으로서,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더라도 CV 값이 0.62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충격인성 확보가 곤란해질 수 있다.
[관계식 2]
CV = [C]+[V]/3+([Si]+[Mn]+[Ni])/6
(여기서, [C], [V], [Si], [Mn]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강 미세조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미세조직의 분율을 표시하는 %는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로,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를 5~15%, MA 조직을 2% 이하 및 나머지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페라이트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15㎛ 이하일 수 있다.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는 인장강도와 충격인성에 영향을 미치며, 면적%를 기준으로 5~15%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율이 5% 미만이면 인장강도 확보가 곤란한 반면, 15%를 초과하면 충격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MA 조직은 노말라이징 후 조직 내에 존재할 수 있으나, 노말라이징 후 MA 조직의 면적율이 2%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 확보가 곤란하여 템퍼링하여 함량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유리하므로, 그 상한을 2%로 제한한다.
페라이트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강재의 충격인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페라이트 평균 결정립 크기가 원 상당 지름 기준으로 15㎛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충격인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강판은 V 또는 Nb 기반의 탄질화물을 중량%로, 0.18~0.27% 포함할 수 있다.
V 및 Nb 첨가로 인해 생성되는 V 및 Nb 탄질화물은 중량 기준으로 0.18~0.27%가 바람직하다. 탄질화물이 0.27%를 초과하면 석출강화로 인한 강도 상승이 과도하여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는 반면, 0.18% 미만이면 석출강화 효과가 부족하여 목표로 하는 강도 확보가 곤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강 제조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강판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 열간압연, 노말라이징 및 템퍼링하여 제조될 수 있다.
슬라브 재가열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할 수 있다.
연속 주조법으로 제조된 슬라브를 재가열 시, 재가열 온도가 1050℃ 미만이면 슬라브에 석출되어 있던 Nb 탄질화물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인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그 온도가 1250℃를 초과하면 가열 중 오스테나이트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압연 후 충분히 미세한 미세조직을 확보하기 곤란할 수 있다.
열간압연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20℃ 이하의 압연종료온도로 열간압연할 수 있다.
압연종료온도가 920℃를 초과하면 압연 후 미세조직이 조대해져 노말라이징 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간압연된 강판은 상온까지 공냉할 수 있다.
노말라이징
압연 후 상온까지 냉각된 강판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노말라이징할 수 있다.
노말라이징 온도가 950℃를 초과하면 열처리 과정에서 형성되는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이 지나치게 조대해져 최종적으로 미세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없다. 반면, 그 온도가 850℃ 미만이면 오스테나이트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강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노말라이징 시간은 열처리로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균일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얻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열처리할 필요가 있다.
템퍼링
노말라이징 후 냉각된 강판을 300~650℃의 온도범위에서 템퍼링할 수 있다.
노말라이징된 강판은 인장강도가 매우 높으나, 항복강도와 충격인성이 열위할 수 있다. 이는 미세조직 내에 존재하는 MA 조직으로 인해 인장시험 시 연속 항복거동을 보여 항복강도가 감소하고, MA 조직의 높은 경도로 인해 충격인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MA 조직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말라이징 후 템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템퍼링 온도가 300℃ 미만이면 MA 조직의 제거가 불충분하므로 항복강도와 충격인성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는 반면, 그 온도가 650℃를 초과하면 기지조직의 연화 현상으로 인해 인장강도 확보가 곤란해질 수 있다. 템퍼링 시간은 열처리로의 용량에 따라 필요한 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충분한 템퍼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간 동안 열처리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강판은 두께가 50mm 이상일 수 있으며, 항복강도가 420MPa 이상, 인장강도가 530MPa 이상, -50℃에서 충격인성이 150J 이상으로, 고강도이면서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는 강종에 따른 합금성분을 나타내었고, 관계식 1 및 2의 값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각 합금성분을 갖는 용강을 제조하고, 연속 주조법을 통해 300mm 두께의 강 주편을 주조하였다. 상기 주조된 강 주편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건으로 재가열, 열간압연, 노말라이징 및 템퍼링을 행하여 표기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열간압연 후 냉각은 공냉을 행하였다.
강종 합금성분(중량%) 관계식 1
Ceq
관계식 2
CV
C Si Mn P S Al Cu Ni Nb V N
A 0.084 0.22 1.87 0.0123 0.0043 0.043 0.46 0.31 0.021 0.174 0.0037 0.482 0.542
B 0.115 0.45 1.45 0.0098 0.0036 0.038 0.37 0.52 0.042 0.156 0.0043 0.447 0.570
C 0.122 0.32 1.49 0.0145 0.0038 0.046 0.25 0.45 0.034 0.136 0.0022 0.444 0.544
D 0.147 0.48 1.69 0.0078 0.0021 0.027 0.17 0.39 0.045 0.129 0.0036 0.492 0.617
E 0.068 0.36 1.59 0.0113 0.0028 0.024 0.47 0.53 0.024 0.162 0.0041 0.432 0.535
F 0.128 0.29 1.69 0.0081 0.0019 0.037 0.52 0.56 0.012 0.151 0.0054 0.512 0.602
G 0.113 0.51 1.61 0.0072 0.0015 0.030 0.14 0.38 0.030 0.102 0.0029 0.436 0.564
H 0.092 0.39 1.89 0.0107 0.0024 0.043 0.34 0.42 0.044 0.195 0.0064 0.497 0.607
I 0.097 0.40 1.34 0.0069 0.0019 0.053 0.40 0.47 0.031 0.162 0.0046 0.411 0.519
J 0.122 0.53 1.72 0.0088 0.0031 0.019 0.33 0.48 0.029 0.165 0.0042 0.496 0.632
[관계식 1]
Ceq = [C]+[Mn]/6+([Cr]+[Mo]+[V])/5+([Cu]+[Ni])/15
(여기서, [C], [Mn], [Cr], [Mo], [V], [Cu]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관계식 2]
CV = [C]+[V]/3+([Si]+[Mn]+[Ni])/6
(여기서, [C], [V], [Si], [Mn]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시편
번호
강종 두께(mm) 재가열 온도(℃) 압연종료온도(℃) 노말라이징 온도(℃) 템퍼링 온도(℃)
1 A 100 1129 837 884 579
2 B 80 1141 865 926 552
3 C 60 1175 901 890 609
4 D 100 1184 887 914 559
5 E 90 1134 861 879 597
6 F 100 1188 909 924 389
7 G 100 1145 880 893 604
8 H 80 1174 872 899 592
9 I 100 1147 855 924 558
10 J 100 1128 901 919 573
11 C 100 1286 896 895 553
12 A 100 1032 911 932 524
13 C 100 1135 939 913 563
14 B 90 1143 868 975 588
15 B 90 1138 859 829 590
16 A 100 1155 877 923 684
17 A 100 1148 845 911 279
하기 표 3에는 각 시편에 따른 미세조직 특징과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표 3의 미세조직을 분석하기 위해서 제조된 강판으로부터 강판 두께의 1/4 지점에서 시편을 채취하였다. 이후 시편을 연마하고 나이탈(Nital) 또는 르페라(LePera) 부식 용액으로 에칭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에 연결된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를 이용해 페라이트 평균 결정립 크기, 펄라이트 및 시멘타이트의 면적율 및 MA 조직의 면적율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각 시편의 미세조직으로 펄라이트, 시멘타이트, MA 조직 및 탄질화물을 제외한 나머지는 페라이트로 구성되었다. V, Nb 기반의 미세한 탄질화물의 분율은 추출잔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강판 두께의 1/4 지점에서 인장 시편의 길이가 압연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시편을 추출 및 가공하여 상온에서 인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강판 두께의 1/4 지점에서 시편의 길이가 강판의 압연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충격시편을 가공한 후 -50℃에서 충격시험을 실시하여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 값을 나타내었다.




미세조직 기계적 성질 구분
페라이트
평균 결정립 크기(㎛)
펄라이트 및
시멘타이트
(면적%)
MA 조직
(면적%)
V, Nb 탄질화물
(중량%)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충격인성
(J, -50℃)
1 A 13.9 6.9 0 0.26 461 558 178 발명예1
2 B 12.4 11.5 0 0.25 454 548 224 발명예2
3 C 10.8 13.7 0 0.21 439 541 249 발명예3
4 D 14.6 16.1 0 0.22 433 561 86 비교예1
5 E 13.5 4.4 0 0.23 430 518 195 비교예2
6 F 16.8 14.6 1.4 0.19 454 567 91 비교예3
7 G 13.2 11.9 0 0.17 413 531 249 비교예4
8 H 12.4 9.4 0 0.29 472 569 134 비교예5
9 I 13.2 10.3 0 0.24 426 512 216 비교예6
10 J 14.3 13.3 0 0.25 462 578 110 비교예7
11 C 17.3 13.9 0.1 0.24 442 541 95 비교예8
12 A 15.3 7.6 0.3 0.24 450 549 142 비교예9
13 C 15.8 14.3 0 0.25 436 547 112 비교예10
14 B 17.4 11.6 0 0.24 444 542 84 비교예11
15 B 15.2 12.1 0 0.24 402 534 167 비교예12
16 A 14.4 7.6 0 0.26 427 520 238 비교예13
17 A 13.1 6.4 2.7 0.23 395 568 57 비교예14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합금조성 및 제조방법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3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모두 확보하였다.
한편, 비교예 1 및 2는 C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비교예 1은 펄라이트 및 시멘타이트 면적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저온 충격인성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반면, 비교예 2는 그 면적율이 본 발명의 범위에 미달되어 인장강도 특성이 열위하였다.
비교예 3은 Nb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최종 미세조직의 페라이트 결정립이 조대하여 충격인성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4 및 5는 V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V, Nb 탄질화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V 함량이 부족한 비교예 4는 항복강도가 부족하였고, V 함량이 초과된 비교예 5는 충격인성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6은 Ceq 값이 0.411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여 인장강도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7은 CV 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여 저온 충격인성 특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8 및 9는 재가열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비교예 8은 재가열 온도가 높아 재가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여 충격인성 특성이 저하되었고, 비교예 9는 재가열 온도가 너무 낮아 재가열 중 Nb 탄질화물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열간압연으로 인한 조직 미세화가 불충분하게 되어 최종 조직의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충격인성이 본 발명의 목표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10은 압연종료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것으로 최종 조직에서 페라이트 결정립이 조대하여 인성 값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11 및 12는 노말라이징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노말라이징 온도가 높은 비교예 11은 인성이 열위하였고, 노말라이징 온도가 낮은 비교예 12는 노말라이징 시 오스테나이트로의 완전 변태가 일어나지 않아 일부 조대한 결정립의 조직이 존재하므로 페라이트 결정립 미세화가 불충분하여 항복강도가 부족하였다.
비교예 13 및 14는 템퍼링 온도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비교예 13은 템퍼링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 시멘타이트 및 V 탄질화물의 조대화로 기지조직이 연화되어 인장강도가 부족하였고, 비교예 14는 템퍼링 온도가 미달되어 템퍼링 후에도 MA 조직이 2%를 초과하여 항복강도와 저온 충격인성이 열위하였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중량%로, C: 0.08~0.13%, Si: 0.1~0.6%, Mn: 1.2~2.0%, P: 0.02% 이하, S: 0.005% 이하, Al: 0.01~0.06%, Cu: 0.01~0.6%, Ni: 0.01~0.6%, Nb: 0.02~0.05%, V: 0.12~0.18%, N: 0.002~0.007%,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에서 정의되는 Ceq 값이 0.43 이상이고,
    하기 관계식 2에서 정의되는 CV 값이 0.62 이하이고,
    미세조직은 페라이트를 주상으로,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를 합으로 5~15면적% 및 MA조직을 2면적% 이하 포함하고,
    상기 페라이트 평균 결정립 크기가 15㎛ 이하이며,
    인장강도가 530MPa 이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관계식 1]
    Ceq = [C]+[Mn]/6+([Cr]+[Mo]+[V])/5+([Cu]+[Ni])/15
    (여기서, [C], [Mn], [Cr], [Mo], [V], [Cu]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관계식 2]
    CV = [C]+[V]/3+([Si]+[Mn]+[Ni])/6
    (여기서, [C], [V], [Si], [Mn]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중량%로, V 및 Nb 탄질화물을 0.18~0.27%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는 50mm 이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가 420MPa 이상이고, -50℃에서 충격인성이 150J 이상인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6. 중량%로, C: 0.08~0.13%, Si: 0.1~0.6%, Mn: 1.2~2.0%, P: 0.02% 이하, S: 0.005% 이하, Al: 0.01~0.06%, Cu: 0.01~0.6%, Ni: 0.01~0.6%, Nb: 0.02~0.05%, V: 0.12~0.18%, N: 0.002~0.007%,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에서 정의되는 Ceq 값이 0.43 이상이고, 하기 관계식 2에서 정의되는 CV 값이 0.62 이하인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837~920℃의 압연종료온도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상온까지 공냉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강판을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노말라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노말라이징된 강판을 300~650℃의 온도범위에서 템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관계식 1]
    Ceq = [C]+[Mn]/6+([Cr]+[Mo]+[V])/5+([Cu]+[Ni])/15
    (여기서, [C], [Mn], [Cr], [Mo], [V], [Cu]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관계식 2]
    CV = [C]+[V]/3+([Si]+[Mn]+[Ni])/6
    (여기서, [C], [V], [Si], [Mn] 및 [Ni]은 해당 합금원소의 중량%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하는 단계에서 강판의 두께가 50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200178533A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33A KR102487758B1 (ko)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33A KR102487758B1 (ko)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65A KR20220087965A (ko) 2022-06-27
KR102487758B1 true KR102487758B1 (ko) 2023-01-12

Family

ID=8224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33A KR102487758B1 (ko) 2020-12-18 2020-12-18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7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229A (ja) * 2001-06-19 2003-01-08 Nippon Steel Corp 疲労強度に優れた厚鋼板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653B (zh) * 2013-03-29 2018-05-0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氢用钢结构物、储氢容器及氢用管道的制造方法
KR101917453B1 (ko) * 2016-12-22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434B1 (ko) 2017-12-01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 유기 균열 저항성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229A (ja) * 2001-06-19 2003-01-08 Nippon Steel Corp 疲労強度に優れた厚鋼板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65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073B2 (en) High-toughness hot-rolling high-strength steel with yield strength of 800 MP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71954B1 (ko)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657026B2 (ja) 溶接後熱処理抵抗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7231B1 (ko) 저온인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8431272B (zh) 对pwht具有优异抗性的低温压力容器用钢板及其制造方法
CN112011725A (zh) 一种低温韧性优异的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60078928A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36478B1 (ko) 저온 인성 및 sscc 저항성이 우수한 고압용기용 강재, 이의 제조방법 및 딥 드로잉 제품의 제조방법
JP2022510214A (ja) 冷間加工性及びssc抵抗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0902A (ja) 銅を含んだ複合ベイナイト系の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68504B1 (ko) Pwht 후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8980A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KR20120087619A (ko) 열연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KR20160138771A (ko) Tmcp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65150A (ko)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크롬-몰리브덴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758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882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KR102220739B1 (ko) 두께 중심부 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
KR101889189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450MPa급 후육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8844A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4761599B (zh) 抗硫化物应力腐蚀开裂性优异的钢材及其制造方法
KR101572317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560057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92029B1 (ko) 내진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98514A (ko)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