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753B1 -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753B1
KR102487753B1 KR1020177033946A KR20177033946A KR102487753B1 KR 102487753 B1 KR102487753 B1 KR 102487753B1 KR 1020177033946 A KR1020177033946 A KR 1020177033946A KR 20177033946 A KR20177033946 A KR 20177033946A KR 102487753 B1 KR102487753 B1 KR 10248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illated cellulose
layer
substrate
laminate
w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363A (ko
Inventor
다비드 게랑
야히아 라르비
파트리크 후버
발레리 메이어
Original Assignee
상트르 테크니끄 디 파피에
쌩뜨레 나티오날 데 라 르세르쉬 생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트르 테크니끄 디 파피에, 쌩뜨레 나티오날 데 라 르세르쉬 생띠끄 filed Critical 상트르 테크니끄 디 파피에
Publication of KR2018001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01D71/10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4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agglome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4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agglomeration of particles
    • B01D67/0004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agglomeration of particles by deposition of fibres, nanofibres or nanofibr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4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agglomeration of particles
    • B01D67/0004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agglomeration of particles by deposition by filtration through a support or bas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8Corrugated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2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of the Fourdrinier type
    • D21F11/04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of the Fourdrinier type paper or board consisting on two or more lay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21F5/042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2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Fourdrinier ty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18Highly hydrated, swollen or fibrilla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06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26B13/08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32B2038/166Removing moi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8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e.g. visc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both discrete and continuous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S)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여과 막(2) 상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1)을 침착시키고, 상기 막을 통해 상기 현탁액을 배수시켜서, 즉 건조물의 질량과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총 질량 사이의 비율이 5% 내지 18%인, 건조율을 갖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 (A)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습윤 층(A)을 가압 하에서 기재(B)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 상으로 이송시켜, 상기 적층재(S)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재 및 피브릴화된 (fibrillated) 셀룰로오스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 (laminated materials)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이 특히 포장용으로 유용한 차단성 (barrier properties)을 기재에 부여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4가지 유형의 공정들이 공지되었다.
종이-제조 경로로 알려진, 제1 공정에서, 셀룰로오스의 매우 희석된 현탁액(즉, 5 중량% 미만의 농도를 가짐)이 웹 (web) 상에 침착되고,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매우 희석된 현탁액이 그 위에 분사되어, 상기 웹을 통한 배수 (drainage) 후에, 대략 20 중량%인 셀룰로오스 농도를 갖는 습윤의 적층된 섬유성 웹이 얻어지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은 보다 낮은 농도를 갖는다. 기계의 속도를 유념할 때, 분무(spraying)의 사용은 일단 건조되면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매우 두꺼운 층을 얻을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두께는 3-5㎛ 미만이다.
판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공정에서, 셀룰로오스의 매우 희석된 현탁액이 웹 상에 침착되고, 인접한 웹 상에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매우 희석된 현탁액이 침착되며; 각각의 웹들을 통해 배수가 발생하여 10 중량% 내지 15 중량%의 셀룰로오스의 농도를 갖는 섬유성 웹을 얻게 되며, 상기 두 개의 웹은 이후에 함께 조립된다 (assembled). 이러한 방법은 건조 후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얇은 층을 얻을 수 없으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5-20 ㎛보다 크다.
웹을 통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의 배수는 문헌 WO 2013/171373호에 기술되어있다.
이들 양자의 공정에서, 적층된 섬유성 웹의 수분 함량은 가열될 수 있는 프레스 (press)에 의해 감소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한가지 문제점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이 상기 프레스에 부착되어 취급이 어려운 것이다. 또한, 상기 습윤성 웹의 탈수를 수행하기 어렵다.
코팅 공정으로서 알려진 제3 공정에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은 적외선 방사 (기체 또는 전기), 대류 (열풍) 또는 전도 (건조 실린더와 접촉함)에 의해 건조된 습윤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 상에 코팅된다. 그러나, 대략 2 중량%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농도의 경우, 현탁액은 확산되기 어려운 겔의 농도를 갖는다. 이러한 현탁액의 응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농도는 물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분 함량의 증가는 섬유성 기재의 성질을 저하시키고,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을 건조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고,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충분한 층 두께를 얻는 것을 어렵게 한다.
제4 공정에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자기-지지 필름은 문헌 WO 2013/06093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사전에 제조된 건조 섬유성 지지재 상에 적층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공정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얇은 필름의 취성 (fragility)으로 인해 이의 취급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협소한 (narrow) 두께를 얻을 수 없다 (15㎛ 미만). 또한, 이러한 기술은 자기-지지 필름이 섬유성 지지재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적층재는 부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현재로서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매우 얇은 층 (예를 들어, 대략 3 ㎛ 내지 20 ㎛)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이 공지되어 있지 않은데, 이것은 또한 연속적이고 균질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상기에서 인용된 단점을 극복하고, 구현이 보다 단순하고, 특히 단일 작업으로 침착시킨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균질 층을 수득할 수 있는 적층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계하는 것이고, 이것은 공지된 방법보다 두께가 더 두껍고 건조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이 제안된다:
(a) 여과 막 상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을 침착시키고 (depositing), 상기 막을 통해 상기 현탁액을 배수시켜서 (draining), 즉 건조물 (dry matter)의 질량과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총 질량 사이의 비율이 5% 내지 18%인, 건조율 (dryness)을 갖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습윤 층을 가압 하에서 기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 상으로 이송시켜 (transferring), 상기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란 나노미터의 직경의 적어도 50%의 피브릴(fibrils)로 정제된 (refined) 셀룰로오스를 의미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이란 [Darque-Ceretti and Felder]에 의한 작업에 기재된 Van Oss-Chaudhury-Good 이론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루이스 산- 염기 유형의 비-제로 비-분산적 상호 작용 (non-zero non-dispersive interactions)을 갖는 표면을 의미한다. 실제로, 상기 표면은 물방울과 기재 사이의 접촉각이 90°미만이며, 접촉각은 기재와의 접촉점에서의 상기 물방울에 대한 접선 사이의 각도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계 (a)에서 사용된 상기 현탁액 중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농도는 0.5 중량% 내지 2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형성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의 건조율은 7% 내지 15%이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단계 (c) 이후에 수득된 적층재 중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건조율은 80% 내지 99%이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성에 따르면:
- 단계 (a) 이후에 수득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20㎛ 내지 750㎛의 두께를 가지고,
- 단계 (b) 이후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15㎛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지며,
- 단계 (c) 이후에 수득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은 3㎛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종이 또는 판지 (cardboard)이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단계 (b)에서,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상기 기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과 직접 접촉을 통하여 기재에 부착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이동되어지고,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상기 기재 상으로 연속적으로 (continuously) 이송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은 단계 (b)에서 상기 기재 상으로 불연속적으로 (discontinuously) 이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 제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하기를 포함한다:
- 여과 막 상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을 침착시키는 장치, 및 상기 막을 통해 상기 현탁액을 배수시켜서 5% 내지 18%의 건조율을 갖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을 제조하는 제조 유닛,
- 상기 제조 유닛을 벗어나는 (leaving)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상기 습윤 층을 가압 하에서 기재 상으로 이송시켜, 적층재를 형성하는 이송 유닛, 및
- 상기 이송 유닛을 벗어나는 상기 적층재를 건조시키는 건조 유닛.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주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이 이동식 (travelling) 기재 상에서 전체적으로 이송되는,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 형태의 구현을 허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고;
- 도 2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이 이동식 기재 상에서 국부적으로 이송되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재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며;
- 도 3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이 절단되어 복수의 분리 기재들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층 부분들을 얻기 위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피브릴화된 재료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는 마이크로미터의 크기 (섬유 단편)의 구성요소 및 적어도 50%의 나노-물체들의 수(즉, 1 내지 100 나노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갖는 물체들)로 구성되는 불균질한 나노물질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나노-물체들은 "마이크로-피브릴 (micro-fibrils)" 또는 MFC (마이크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또는 NFC (나노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및 CNF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로 지칭된다. 셀룰로오스 마이크로- 또는 나노-피브릴은 전형적으로 대략 20 nm 내지 60 nm의 직경 및 0.5㎛ 내지 5㎛의 길이를 갖는다.
셀룰로오스 섬유로부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를 형성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는 전형적으로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공급된다. 선택적으로, 첨가제가 상기 현탁액 중에 혼입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결합제, 분산제, 광물 입자, 금속 산화물, 가소제 및 건조 또는 습윤 상태에 내성이 있는 레올로지제 (rheological agents), 가교제, 항균제, 셀룰로오스 또는 합성 섬유 또는 은 나노와이어 (silver nanowires) 또는 가공 후,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에 포획되는 기타 분자들이다.
상기 현탁액 중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0.1 중량% 내지 4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도는 0.6 중량% 내지 2 중량%이다.
공정의 제1 단계에서, 상기 현탁액은 여과 막 상에 층의 형태로 침착된다. 이러한 막은 상기 막 상에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보유를 촉진시키기 위하여는 충분히 작고 반면에 여과를 통한 물의 제거를 촉진시키기 위하여는 충분히 큰, 개방형 메쉬워크 (open meshwork)를 갖는다. 여과 영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소형 구멍 (small aperture) (메쉬 개구부가 0μm, 자유 표면 (free surface) <10%)을 갖는 직물이 이러한 용도를 위해 적합하다. 단독으로 지시에 따라, SEFAR™ PETEX™ 07-1/2의 참조번호 하에 시판되는 직물이 이러한 용도를 위해 적합하다. 상기 막은 또한 합성 막일 수 있다.
막을 통한 여과는 정면이며 (frontal), 물의 일부가 배수되게 하고, 결과적으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이 약간 탈수된다. 이러한 배수 단계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건조율이 5% 내지 18%인, 바람직하게는 7 중량% 내지 15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건조물의 질량과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총 질량 (즉, 건조물의 질량 및 상기 층에 함유된 물의 질량의 합) 사이의 비율에 해당하는, 건조율은 건조기 (drying oven) 또는 열천칭 (thermobalance)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율 범위 내에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은 이의 취급을 위해 충분한 응집력을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건조율 범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 상에 부착하는 유리한 특성을 갖는 층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계 후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의 두께는 유리하게는 20㎛ 내지 7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이다.
이후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60% 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85% 보다 높은 건조율을 갖는 기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 상으로 이송되고 (상기 기재는 이후에 《건조》로 간주됨),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과 상기 기재 사이의 밀착을 촉진시키기 위해 압력을 인가한다.
상기에서-언급된 건조율의 조건 하에서,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그 자신의 수분-보유 특성에 의해 상기 기재의 과도한 습윤을 방지하는 겔 (gel)로서 거동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층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연속적이며, 상기 기재는 이동하는 가요성 스트립 (moving flexible strip)의 형태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은 불연속적이며, 상기 습윤 층은 기재 상에 또는 분리된 피스들 (separate pieces) 상에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이송은 상기 기재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 사이의 밀접한 직접 접촉을 허용하는 조건 (즉 특히: 20℃ 내지 140℃의 온도에서, 15초 (s)까지의 시간 동안, 일반적으로 10 ms 및 1s; 0.1 MPa 내지 40 MPa의 압력에서) 하에서 유리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언급된 건조율 범위 (5-18%, 바람직하게는 7-15%)에서,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과 직접 접촉을 통해 상기 기재에 부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부착을 보장하기 위한 중간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다.
이송에 이어서 적층재를 건조시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최종 건조율을 8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95%로 유도한다. 건조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 특히 대류 건조 수단 (예를 들면, 가열 롤러 (heated roller)), 복사 (예를 들면, 적외선 램프), 마이크로파 또는 대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전술한 공정의 구현을 허용하는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하기의 3개의 주요 파트 (main parts)를 포함한다:
- 파트 I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을 형성하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 파트 II는 상기 습윤 층을 건조 기재 상으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며;
- 파트 III은 파트 II에서 형성된 적층재를 건조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화살표들은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 종이 및 적층재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파트 I은 여과 막 (2) 상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 (1)을 침착시키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과 막은 여과 막을 통한 배수를 촉진시키는 석션 부재 (suction members) (4) 위에 롤러(3)들에 의해 구동되는 연속 스트립의 형태일 수 있다. 파트 I은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 (A)의 형성을 허용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재(B)는 종이의 릴 (reel of paper)의 형태이다. 종이의 스트립 (B)은 분배 스풀 (dispensing spool)(6)과 권취 스풀 (winding spool) (7) 사이에서 구동된다.
습윤 층 (A)이 요구하는 건조율 (5% 내지 18%)을 갖도록, 파트 I 및 파트 II가 나란히 위치하고, 상기 층 (A)은 롤러(8)를 통해 종이 (B) 상에 도포될 수 있다.
기재가 각각의 그 자신의 측면에 대하여 동일한 성질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습윤 층(A)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종이(B)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이 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습윤 층(A)과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 사이의 직접 접촉을 통하여, 기재 상의 습윤 층은 우수한 부착성을 얻게된다.
파트 III에서, 층(A)과 기재(B)로 형성된 적층재(S)는 상기 습윤 층의 건조를 위해 고온의 분위기에서 이송된다. 파트 III에서 사용된 수단은 코팅기의 출구에 위치한 종이 건조 섹션 또는 건조기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이므로,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파트 III을 벗어날 때, 적층재는 권취 스풀(7)에 의해 권취되어 릴을 형성한다.
물론, 도 1은 도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비제한적이다. 특히, 적층재의 제조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 이외의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현을 허용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파트 I 및 파트 III은 도 1의 것들과 유사하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에서와 같이, 기재 (B)는 종이 릴의 형태이다. 종이의 스트립(B)은 분배 스풀 (6)과 권취 스풀 (7) 사이에서 이송된다.
파트 II'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의 부분 (portions) (Ai)들을 절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 (Ai)들의 각각은 가압 하에서 예를 들어, 롤러 (9)에 의해 종이 (B)의 이동식 스트립 상에서 이송된다. 이러한 절단의 결과인 스크랩 (scraps) (A')은 재사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회수된다.
이에 의해,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상기 부분 (Ai)들이 이송된 영역 만이 적층되는, 종이의 스트립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방식의 구현을 허용하는 장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기재는 더 이상 종이의 이동 스트립 (moving strip)이 아닌 복수의 단위 피스들 (unit pieces)이다.
파트 I은 도 1의 것과 유사하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기재 (B)들은 각각의 적층재의 제조를 위해 연속적으로 수집된 용기 (12)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장치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일부를 절단하고 이송하는 장치 II''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층 (A)에서 복수의 부분 (Ai)들을 연속적으로 펀칭하고 위치결정 시스템 (positioning system) (10)에 의해 상기 부분 (Ai)들을 기재 (B)가 이송되는 벨트 (13) 위로 이송하는, 펀치 (punch)인 절단 수단 (11)을 포함한다. 부분 (Ai)들이 기재 (B) 상에 위치하는 경우, 압력은 부착을 촉진시키는 수단 (11)에 의해 인가된다.
부분 (Ai)은 기재(B)의 전체 표면을 덮을 수 있거나, 또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B)의 표면의 단지 일부만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 기재(B)의 표면 상에 적층재 (S)가 국부적으로 존재한다.
도 3에서 평면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기재(B)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분야에서, 기재(B)는 판지 트레이 (cardboard tray)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의 부분의 이송은 유리하게는 상기 기재와 결합하기 위한 카운터-몰드 (counter-mould)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장치는 적층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시스템 III을 또한 포함한다. 벨트(13)에 대면하는 (facing), 이러한 시스템은 그 아래에 적층재가 이송되는 건조기(14)를 포함한다.
건조기를 벗어날 때, 적층재(S)는 이송 및/또는 저장을 위하여 용기(15)에 배치된다.
수득된 적층재는 다양한 응용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인쇄-필기용 종이 및 판지, 포장용 종이 및 판지, 위생 및 가정용 종이, 가공지 (specialty papers) 및 판지,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종이류 중의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단일 층 또는 수 개의 층들의 스택 (sta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은 특히 포장 용도 (예를 들면, 기체 또는 액체의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함), 인쇄/필기 용도 (상기 표면 상에 잉크 또는 바니시를 고정시키고, 상기 기재의 섬유 네트워크로의 이의 침투를 제한하기 위함), 또는 특수 용도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적층재에 대하여 개선된 표면 특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적층재는 건축 분야, 에너지 분야 또는 전자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복합체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층으로 인해 (특히 강성 (rigidity), 인장 강도 면에서) 상기 기재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유리하게도 모든 종류의 종이에서 응용을 발견한다.
최종적으로, 상기-인용된 예시들은 분명히 특정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응용 분야와 관련하여 결코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Figure 112017116843410-pct00001

Claims (12)

  1. 피브릴화된 (fibrillated)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laminated material)(S)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여과 막(2) 상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1)을 침착시키고 (depositing), 상기 막을 통해 상기 현탁액을 배수시켜서(draining), 즉 건조물 (dry matter)의 질량과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총 질량 사이의 비율이 5% 내지 18%인, 건조율(dryness)을 갖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 (A)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습윤 층(A)을 가압 하에서 기재(substrate)(B)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 상으로 이송시켜 (transferring), 기재 (B) 및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 (A)을 포함하는 상기 적층재 (S)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 중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농도가 0.5 중량% 내지 2 중량%인, 적층재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단계 (a)에서 형성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의 건조율은 7% 내지 15%인, 적층재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단계 (c) 이후에 수득된 적층재 (S) 중의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건조율은 80% 내지 99%인, 적층재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단계 (a) 이후에 수득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20㎛ 내지 750㎛의 두께를 갖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단계 (b) 이후에 수득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15㎛ 내지 500㎛의 두께를 갖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단계 (c) 이후에 수득된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은 3㎛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재 (B)는 종이 또는 판지 (cardboard)인, 적층재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A)이 상기 기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성인 표면과 직접 접촉을 통하여 기재(B)에 부착되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이동되어지고,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은 상기 기재 상으로 연속적으로 (continuously) 이송되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은 단계 (b)에서 상기 기재 상으로 불연속적으로 (discontinuously) 이송되는, 적층재의 제조 방법.
  12.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 (S) 제조용 장치로서:
    - 여과 막(2) 상에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현탁액을 침착시키는 장치, 및 상기 막을 통해 상기 현탁액을 배수시켜서 즉, 건조물의 질량과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의 총 질량 사이의 비율이 5% 내지 18%인 건조율을 갖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A)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4)을 포함하는,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을 제조하는 제조 유닛 (I),
    - 상기 제조 유닛 (I)을 벗어나는 (leaving)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을 가압 하에서 기재 (B) 상으로 이송시켜, 기재 (B) 및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의 습윤 층 (A)을 포함하는 적층재 (S)를 형성하는 이송 유닛 (II, II', II''), 및
    - 상기 이송 유닛 (II)을 벗어나는 상기 적층재를 건조시키는 건조 유닛 (I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재 제조용 장치.
KR1020177033946A 2015-04-28 2016-04-27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87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3818 2015-04-28
FR1553818A FR3035611B1 (fr) 2015-04-28 2015-04-28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materiau stratifie comprenant une couche de cellulose fibrillee
PCT/FR2016/050986 WO2016174348A1 (fr) 2015-04-28 2016-04-27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materiau stratifie comprenant une couche de cellulose fibrill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363A KR20180016363A (ko) 2018-02-14
KR102487753B1 true KR102487753B1 (ko) 2023-01-12

Family

ID=5336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946A KR102487753B1 (ko) 2015-04-28 2016-04-27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18015B2 (ko)
EP (1) EP3288670B1 (ko)
JP (1) JP6827956B2 (ko)
KR (1) KR102487753B1 (ko)
CN (1) CN107820463B (ko)
BR (1) BR112017023255B1 (ko)
CA (1) CA2984128C (ko)
ES (1) ES2852025T3 (ko)
FR (1) FR3035611B1 (ko)
PL (1) PL3288670T3 (ko)
WO (1) WO2016174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5611B1 (fr) * 2015-04-28 2019-08-09 Centre Technique Du Papier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materiau stratifie comprenant une couche de cellulose fibrillee
CA3189679A1 (en) 2016-02-24 2017-08-31 Ecoinno (H.K.) Limited Cellulos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7583472B (zh) * 2017-09-27 2020-10-16 南京林业大学 一种纳米纤维素/滤纸复合过滤膜材料的制备方法
EP3947533B1 (en) 2019-04-05 2023-06-07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s from high consistency nanocellulose suspensions
CN117730117A (zh) * 2021-02-01 2024-03-19 陈大仁 与聚合物共混的原纤化纤维素复合材料的方法和系统
KR102614719B1 (ko) * 2021-11-30 2023-12-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피브릴화 셀룰로오스 폼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피브릴화 셀룰로오스 폼 적층체
SE545927C2 (en) * 2022-07-08 2024-03-19 Stora Enso Oyj A method for producing a paper or paperboard lamin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993A (ja) 2010-02-24 2011-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複合体組成物および複合体
JP2012116905A (ja) * 2010-11-30 2012-06-21 Oji Paper Co Ltd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コンポジット多孔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3171373A2 (en) * 2012-05-14 2013-11-21 Upm-Kymmene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membrane from fibril cellulose and fibril cellulose membran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3743B2 (ja) * 1990-05-18 1999-09-27 ソニー株式会社 音響振動板及びその製造方法
DE19651493A1 (de) * 1996-12-11 1998-06-18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Siebpartie und Verfahren zum Formen einer mehrlagigen Faserstoffbahn
US20020029860A1 (en) * 1998-01-16 2002-03-14 Liberty Diversified Industries Moisture barrier pap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DE10122047A1 (de) * 2001-05-07 2002-11-14 Voith Paper Patent Gmbh Blattbild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US6811652B2 (en) * 2001-12-20 2004-11-02 Sca Hygiene Products Ab Multi-layer paper web and a method of forming it
US7799169B2 (en) * 2004-09-01 2010-09-21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Multi-ply paper product with moisture strike through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371616B2 (en) * 2009-01-05 2016-06-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100272938A1 (en) * 2009-04-22 2010-10-28 Bemis Company, Inc. Hydraulically-Formed Nonwoven Sheet with Microfibers
US8545954B2 (en) * 2009-07-07 2013-10-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Barrier layer for a packaging laminate and packaging laminate comprising such barrier layer
SE0950819A1 (sv) * 2009-11-03 2011-05-04 Stora Enso Oyj Ett bestruket substrat, en process för tillverkning av ett bestruket substrat, en förpackning och en dispersionsbestrykning
GB0919422D0 (en) * 2009-11-05 2009-12-23 Interface Internat B V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aper and/or card
SE534932C2 (sv) * 2009-12-21 2012-02-21 Stora Enso Oyj Ett pappers eller kartongsubstrat, en process för tillverkning av substratet och en förpackning bildad av substratet
JP5642094B2 (ja) * 2010-02-01 2014-12-17 三菱化学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平面構造体の製造方法
JP6003080B2 (ja) * 2011-02-21 2016-10-05 三菱化学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および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FI123630B (fi) * 2011-10-24 2013-08-30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Menetelmä NFC-kalvojen valmistamiseksi alustoille
JP5828510B2 (ja) * 2011-11-17 2015-12-09 花王株式会社 薄葉紙の製造方法
EP2875950A4 (en) * 2012-07-19 2015-07-15 Asahi Kasei Fibers Corp MULTILAYER STRUCTURE WITH A FINE FIBER CELLULOSE LAYER
FI126089B (en) * 2012-12-20 2016-06-30 Kemira Oyj PROCEDURE FOR PREPARING DRAINED MICROFIBRILLARY CELLULOSA
KR101677099B1 (ko) * 2013-12-19 2016-1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나노피브릴화 셀룰로오스 및 열가소성 매트릭스 고분자를 이용한 다층 복합재료
FI127814B (en) * 2014-11-06 2019-03-15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Cellulose-based functional composites, energy storage devic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FR3035611B1 (fr) * 2015-04-28 2019-08-09 Centre Technique Du Papier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materiau stratifie comprenant une couche de cellulose fibrillee
SE540731C2 (en) * 2015-06-26 2018-10-23 Stora Enso Oyj Manufacturing method for a film or a film product comprising an amphiphilic polymer
CA3189679A1 (en) * 2016-02-24 2017-08-31 Ecoinno (H.K.) Limited Cellulos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SE539754C2 (en) * 2016-03-22 2017-11-14 Stora Enso Oyj Oxygen barrier film and laminat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9338B1 (ko) * 2016-04-05 2021-06-28 파이버린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종이 및 판지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993A (ja) 2010-02-24 2011-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複合体組成物および複合体
JP2012116905A (ja) * 2010-11-30 2012-06-21 Oji Paper Co Ltd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コンポジット多孔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3171373A2 (en) * 2012-05-14 2013-11-21 Upm-Kymmene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membrane from fibril cellulose and fibril cellulose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3255A2 (pt) 2019-05-07
EP3288670A1 (fr) 2018-03-07
JP2018517853A (ja) 2018-07-05
EP3288670B1 (fr) 2020-11-25
CA2984128C (fr) 2022-09-20
CA2984128A1 (fr) 2016-11-03
JP6827956B2 (ja) 2021-02-10
US20180141009A1 (en) 2018-05-24
PL3288670T3 (pl) 2021-07-05
CN107820463B (zh) 2019-12-31
FR3035611A1 (fr) 2016-11-04
WO2016174348A1 (fr) 2016-11-03
BR112017023255B1 (pt) 2022-05-03
US10618015B2 (en) 2020-04-14
ES2852025T3 (es) 2021-09-10
FR3035611B1 (fr) 2019-08-09
CN107820463A (zh) 2018-03-20
KR20180016363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753B1 (ko) 피브릴화된 셀룰로오스 층을 포함하는 적층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879657B (zh) 玻璃衬纸及玻璃板捆包体
US4706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reconstituted tobacco
FI56982C (fi) Saett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ark eller banor av fibermaterial sammansatta av flera skikt
US8603927B2 (en) Surfactant coated fibrous nonwoven mats
RU2010106876A (ru) Проводящие полотна
RU2008102737A (ru) Крепированны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териала лист для выдачных устройств
JP2005513295A5 (ko)
RU2014146501A (ru) Гидрофобно проклеенный волокнист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я прокле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9428864B2 (en) Multilayered sheet
EP0443298A2 (en) A plastic coating machine for joining together paper or cardboard sheets with a transparent film by means of solvent-free adhesives
US4292271A (en) Methods of applying bonding materials onto fibrous webs
US6783623B2 (en) Method of making a dry bonded paperboard structure
RU2014130233A (ru) Двухслойный или многослойный волокнистый листовой материал, содержащий супервпитывающи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EP2992141B1 (fr) Support plan hydrophobe
MX2007015491A (es) Proceso para proveer vapor a material de trama.
EP1274564B1 (en) Engineered crack-resistant paper and board
JP2019081136A (ja) 不織布への塗工方法
JP6799857B2 (ja) 証票用原紙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03985A1 (en) Method of making a dry bonded paperboard structure
IT202000029900A1 (it) Macchina e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carta.
JP2019058878A (ja) 不織布への塗工方法
JP2017074534A (ja) 不織布への塗工方法
IT202100020858A1 (it) Macchina e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carta strutturata.
JP2009057668A (ja) 多層すき合わせ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