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696B1 -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696B1
KR102487696B1 KR1020210057266A KR20210057266A KR102487696B1 KR 102487696 B1 KR102487696 B1 KR 102487696B1 KR 1020210057266 A KR1020210057266 A KR 1020210057266A KR 20210057266 A KR20210057266 A KR 20210057266A KR 102487696 B1 KR102487696 B1 KR 10248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smart device
emergency
sett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0050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21005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696B1/ko
Priority to PCT/KR2021/006556 priority patent/WO2022234883A1/ko
Publication of KR2022015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등 종료 시에 사용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해야만 종료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기기 등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고, 또한 종료 시에도 확인 방법이 암호, 목소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기본적인 암호설정 방식에 따른 일반적인 암호와 비상암호 두 가지로 설정하여 비상암호에 의해, 스마트 폰 등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유괴나 납치와 같은 위험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S100),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 암호 설정 및 설정된 암호 확인 후 저장 단계(S120)(S130); 상기 스마트 기기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메뉴가 선택되어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설정 단계(S14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자 확인여부에 의한 비상암호 설정을 위한 비상암호 설정 메뉴 기능이 실행 단계(S150); 상기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에서 설정 및 저장된 암호와는 다른 별도의 비상암호가 설정되고(S160), 재확인 후 저장되는 단계(S170); 상기 비상암호로 전원 종료 시도 시 자동연락을 위한 비상연락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80); 상기 비상암호 및 비상연락처 저장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가입된 통신사 서버(5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사 서버(500)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비상암호와 비상연락처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S19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원 종료가 요청되면(S210),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를 입력할 것을 화면으로 요청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암호를 판단하여(S230), 상기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에서 설정 및 저장된 암호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종료하고(S240), 이차로 설정된 비상암호라면 상기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상에 정상적인 전원 종료 화면으로 화면을 종료하고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상기 통신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Method for safety management using confirming user of smart machin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컴퓨터(폰, 노트북, 태블릿 등), 드론, 자동차, 로봇, TV 및 각종 스마트 장비를 포함하는 각종 스마트 장비들(이하 '스마트 기기'라 함) 종료 시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는 것과,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유괴나 납치와 같은 위험 상황에서 협박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종료시키는 경우에도 비상상황에 대한 조치 등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기기가 새로 등장하고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스마트 기기를 소유하는 경우가 흔해졌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장점과 동시에 개인 정보 보호 중요성이 부각되어 스마트 기기에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보안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 기기가 발전해 가면서 대기 상태에서 불필요한 입력 오류를 제한하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패턴, 암호, 얼굴, 홍채, 지문, 목소리 등 여러 가지 방법의 입력 장치 잠금/해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잠금 기능 활성화가 선택되어야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여러 가지 잠금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마트 기기의 잠금 기능을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기능이 설정된 스마트 기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입력도 없는 경우 잠금 기능을 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의 특정 기능을 이용하다가도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나 기능이 비활성화되게 된다. 이때, 통상적인 스마트 기기는 잠금 모를 해제하기 위해 미리 정의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정의된 암호입력에 의해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
스마트 기기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스마트 기기도 점차 고성능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키패드를 대신해 터치스크린의 스마트 기기 도입으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인 ‘그리기’형태로 바꾸어 입력의 편의성을 도모하게 되었다.
기존에는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하는데 한정되었으나, 점차 스마트 기기의 성능과 기능이 발전하면서,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으로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을 하거나 개인 일정을 관리하고 인터넷으로 이메일을 확인하며 문서를 보거나 입·출금 및 주식 거래를 하는 등 스마트 기기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 사용자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활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 기기의 잠금 기능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지키는 것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스마트 기기의 보안을 설정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패턴 락(Pattern Lock)은 스마트 기기의 보안을 위하여 암호(Lock)를 설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스마트 기기 화면패턴 모양을 미리 설정해놓고, 설정한 패턴을 그리는 것으로 암호를 푸는 방식이다. 숫자를 넣어 보안을 해제하는 것보다 재미도 있고, 직관적이어서 최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파일의 재생, 입·출금 및 주식 거래 등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스마트 기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국내는 물론 특히 외국에서도 저가는 물론 고가의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및 분실로 인한 문제도 크나큰 문제이지만, 어린아이나 노약자, 여성 등을 대상으로 유괴나 납치 등의 범죄발생 시 스마트 기기를 누구나 쉽게 강제로 종료해서 이동 하면 위치추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 등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특허공개번호 - 10-2018-0046193호 특허문헌 2 : 한국특허공개번호 - 10-2015-0063899호 특허문헌 3 : 한국특허공개번호 - 10-2015-0046852호 특허문헌 4 : 한국특허공개번호 - 10-2020-00880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 종료 시에 사용자를 확인해야만 종료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기기 등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고, 또한 종료 시에도 사용자 확인 방법이 암호, 목소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기본암호와 비상암호 두 가지로 설정하여 비상암호로 사용자의 유괴나 납치와 같은 위험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사용자 확인을 통해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암호 설정 메뉴가 실행되고(S10), 암호가 설정되는 단계(S20); 암호 설정 및 설정된 암호 확인 후 저장 단계(S3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원 종료가 요청되면(S50),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S60);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암호를 판단하여(S70), 설정된 암호라면 정상적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종료하고(S90), 설정된 암호가 아니라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오류를 출력하고(S80),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S100),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 기본암호 설정 및 설정된 기본암호 확인 후 저장 단계(S120)(S130); 상기 스마트 기기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메뉴가 선택되어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설정 단계(S14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자 확인여부에 의한 비상암호 설정을 위한 비상암호 설정 메뉴 기능이 실행 단계(S150); 상기 기본암호와는 다른 별도의 비상암호가 기본암호와는 다르게 이중으로 설정되고(S160), 재확인 후 저장되는 단계(S170); 상기 비상암호로 전원 종료 시도 시 자동연락을 위한 비상연락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80); 상기 비상암호 및 비상연락처 저장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가입된 통신사 서버(5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사 서버(500)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비상암호와 비상연락처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S19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원 종료가 요청되면(S210),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를 입력할 것을 화면으로 요청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암호를 판단하여(S230), 기본암호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종료하고(S240), 이차로 설정된 비상암호라면 상기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상에 정상적인 전원 종료 화면으로 화면을 종료하고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상기 통신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된 암호를 판단하여(S230) 비상암호 입력이라면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상에 있어서만 정상적인 전원 종료 화면으로 화면을 종료하고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기지국을 통해 통신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260)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스피커 및 각종 착신음이나 진동에 대하여 종료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마트 기기에 대한 종료 시 사용자 확인을 하게 하여 스마트 기기 도난 및 분실 시에도 기본적으로 사용자 외에는 스마트 기기 전원이 강제로 종료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까지는 스마트 기기의 위치추적 기능을 등으로 분실된 스마트 기기를 찾기 쉽도록 하고, 도난시에도 스마트 기기의 전원이 강제로 종료되지 않아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도난범의 심리적 불안감을 유도하여 스마트 기기 도난 후에 스마트 기기를 갖고 이동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역시 추적이 된다는 것을 아는 장물아비 등이 스마트 기기 구매를 포기하도록 하여 결론적으로 스마트 기기 분실 및 도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상태로 범죄를 당한 경우 비상암호로 스마트 기기를 종료하면 스마트 기기 화면 종료와 전자적 추적 가능상태 유지 기능 외, 각종 착신음 발생, 스피커 기능 및 진동 종료 등 일체의 기능 종료를 통해 범죄자도 모르게 사용자의 이동 위치나 상태를 알 수 있게 되어 범죄 예방은 물론 범죄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비상암호로 종료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위급상황이 통보되므로 위험상황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가 비상암호로 종료하는 경우 화면과 스피커는 종료(오프)상태로, 마이크는 온 상태로 하여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음성 등 자동적 송신이 가능하도록 자동 연결하여 현재의 위급한 상황을 미리 등록된 지인이 빠르게 알 수 있게 하여 위험상황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각종 학교폭력 등의 경우 가해자가 피해자의 스마트 기기를 강제로 전원 종료시키라고 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데, 이중 암호로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경우 스마트 기기의 화면과 스피커 및 각종 착신음은 종료(오프)상태이므로 스마트 기기는 겉으로 보기에는 전원 종료로 보이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전원 종료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전원 종료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되며,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전원 종료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전원 종료 방법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스마트 컴퓨터(폰, 노트북, 태블릿 등), 드론, 자동차, 로봇, 비행기, TV 및 각종 스마트 장비}의 전원 온 상태에서, 암호 설정 메뉴를 실행한다(S10).
그리고 기본암호를 설정한다(S20). 이러한 기본암호 설정은 패턴, 암호(숫자, 문자 등), 얼굴, 홍채, 지문인식, 목소리 등이 있다. 이러한 기본암호 설정에 대하여는 패턴, 암호(숫자, 문자 등), 얼굴인식, 홍채, 지문, 목소리 등은 다양한 실시예의 하나일뿐 암호 설정 방식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기본암호에 대한 설정은 일반적으로 2회 정도를 수행하는데 이는 1회만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암호에 대하여 정확히 인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기본암호를 확인하는 과정, 즉 2회차 입력 과정을 거친 후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다(S30).
그리고 스마트 기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된다(S40).
한편 스마트 기기에서 전원 종료가 요청되면(S50),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암호를 입력할 것을 화면으로 요청한다(S60).
그리고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암호를 판단한다(S70).
판단결과(S70), 틀린 암호라면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오류를 출력하고(S80),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60). 그러나 설정된 암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다면 스마트 기기는 전원 온을 위한 신호 입력시까지 스마트 기기의 전원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S90).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에 대한 종료 시 사용자로부터 암호를 정확하게 입력하도록 하여 스마트 기기 도난 및 분실 시에도 기본적으로 사용자 외에는 스마트 기기 전원이 강제로 종료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까지는 스마트 기기의 위치추적 기능을 등으로 분실된 스마트 기기를 찾기 쉽도록 하고, 도난시에도 스마트 기기의 전원이 강제로 종료되지 않아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도난범의 심리적 불안감을 유도하여 스마트 기기 도난 후에 스마트 기기를 갖고 이동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역시 추적이 된다는 것을 아는 장물아비 등이 스마트 기기 구매를 포기하도록 하여 결론적으로 스마트 기기 분실 및 도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 110), 다수의 기지국(200, 210, 220, 230, 240, 250), 교환국(300, 310),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400, 410), 통신사 서버(500), 통신망(600) 및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100, 110)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탑재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로, 스마트 기기는 물론 스마트패드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200, 210, 220, 230, 240, 250)은 스마트 기기(100, 110)와 교환국(300, 310) 사이에서 스마트 기기(100, 110)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교환국(300, 310)은 각 기지국(200, 210, 220, 230, 240, 250)에서 발생하는 착발 신호를 처리 기지국 감시 및 제어, 공중 전화망(PSTN)의 시내교환기와 연결,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검출, 핸드 오버(Hand Over) 등을 수행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400, 410)는 스마트 기기가 다른 지역에서 관할 등록 지역(RA)인 현재의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때 스마트 기기의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통신사 서버(500)는 이동통신의 요소를 운용하고, 유지 보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스마트 기기의 가입자 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홈위치등록기(HLR)가 포함되고, 통신 요금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통신망(600)은 유무선 인터넷망, 공중전화망(PSTN)을 포함한다.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는 본 발명 이중 암호 설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 기기로부터 비상암호와 비상연락처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하고, 비상암호로 스마트 기기의 전원 종료가 시도되면 통신사 서버(500)나 비상연락처 및 경찰청 서버(800)로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현재 위험한 상황에 처했거나, 스마트 기기를 분실하였다는 등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즉 비상연락처와는 통신을 통한 음성이 전송되도록 설정하고, 경찰청 서버(800)로는 메시지 형태로 스마트 기기(100, 110)의 위급상황 발생 및 현재 위치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100, 110)의 현재 위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로써, 1분 내지 10분) 단위나 위치 변경시, 즉 기지국을 통해 전송된 스마트 기기(100, 110)의 위치가 등록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나 홈위치 등록기(HLR)에서 스마트 기기(100, 110)의 위치변경 등록 시마다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통신사 서버(500)와 경찰청 서버(800)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음성통화에 의해 현재의 상황이 파악되고, 위치가 전송됨에 따라 사용자(피해자)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는 통신사 서버(500)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중 암호 설정에 대하여 스마트 기기를 제조하는 제조사가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와 통신사(SKT, KT, LGU+ 등)에서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통신사 서버(500)가 이중 암호 설정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가 이중 암호 프로그램을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가 해당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더라도 통신사 서버(500)가 별도의 유무료 부가 서비스 기능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중 암호 기능에 대하여는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전원 종료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전원 종료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S100), 암호 설정 메뉴를 실행한다(S110).
그리고 기본암호를 설정한다(S120). 이러한 기본암호 설정은 패턴, 암호(숫자, 문자 등), 얼굴, 홍채, 지문인식, 목소리 등이 있다. 물론 이러한 기본암호 설정에 대하여는 패턴, 암호(숫자, 문자 등), 얼굴인식, 홍채, 지문, 목소리 등은 다양한 실시예의 하나일 뿐 암호 설정 방식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기본암호에 대한 설정은 일반적으로 2회 정도 수행하는데 이는 1회만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암호에 대하여 정확히 인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기본암호를 확인하는 과정, 즉 2회차 입력 과정을 거친 후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다(S130).
이어 스마트 기기 전원 종료 시에 사용자 확인여부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메뉴를 선택하면 이에 대한 설정을 한다(S140).
스마트 기기에서는 비상암호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가 추가되어 비상암호 설정 메뉴 기능을 적용한다(S150). 이는 통상적으로 스마트 기기에는 다양한 암호 설정 방식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 기기에 대한 터치나 조작이 없는 경우 화면이 자동으로 종료되고, 터치나 조작에 의해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는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해 추가(이차)로 이중의 비상암호를 설정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사용자 확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종료하려면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하여 기기 도난 및 분실 시에도 암호를 모르면 스마트 기기의 전원이 종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진시까지는 스마트 기기 위치추적 기능 등을 알고 있는 도난범이 스마트 기기를 훔치려는 것을 포기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에서 범죄를 당한 경우에도 이중 암호 설정에 의해 기본암호가 아닌 비상암호로 스마트 기기를 종료한 경우 스마트 기기의 화면 종료와, 각종 착신음 발생을 위한 스피커 기능 종료 등 전자적 추적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외의 일체의 기능 종료를 통해 범죄자 모르게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의 이동위치를 알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범죄에 대처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사용자가 암호 설정 시 등록한 비상암호로 종료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위급상황이 통보되므로 등록된 연락처의 지인이나 보호자가 위험상황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으며, 비상암호에 의해 전원 종료가 시도된 경우 화면과 스피커가 종료된 상태이면서 마이크는 온 상태로 하여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음성 등 소리의 자동 송신만 가능(예로써, 자동 통화연결 등)하도록 하여 현재의 위급한 상황을 미리 등록된 지인이나 보호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위험상황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비상암호 설정 기능에 따라 패턴, 암호(숫자, 문자 등), 얼굴, 홍채, 지문, 목소리 등에 대하여 기본암호와 다른(차이가 있는) 비상암호를 설정하고(S160), 비상암호 재확인 후 저장한다(S170). 이때, 이러한 비상암호 설정에 대한 내용을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비상암호 설정 방법을 안내하는 등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다음 비상암호로 전원 종료 시도 시 자동연락 비상연락처 정보를 등록한다(S180). 이는 비상암호 재확인 후 사용자의 지인이나 보호자 연락처를 여러 개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설정된 입력순서에 따라 각각 1-2회씩 통화연결 시도 후,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다음순서로 입력된 연락처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비상연락처의 최우선순서로 112 등을 설정할 수도 있고, 혹 사용자가 비상암호 등록 후 자동연락 비상연락처 정보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112가 비상연락처의 최우선 순위가 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암호 및 비상연락처 저장이 완료되면,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기기)가 가입된 통신사 서버(500) 또는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로 비상암호 및 비상연락처를 전송하고, 해당 통신사 서버(500) 또는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는 해당 정보가 저장된다(S190).
그리고 스마트 기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된다(S200).
한편 스마트 기기에서 전원 종료가 요청되면(S210),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암호를 입력할 것을 화면으로 요청한다(S220).
그리고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암호를 판단한다(S230).
판단결과(S230), 기본암호라면 스마트 기기의 전원이 실제로 종료된다(S240).
그러나 판단결과(S230), 틀린 암호라면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오류를 화면으로 출력하고(S250), 암호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220). 그리고 계속해서 틀리는 경우 스마트 기기의 전원은 종료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 스마트 기기의 분실이나 도난 및 분실 시 스마트 기기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의 전원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 혹 도난자가 갖고 있는 경우 스마트 기기를 갖고 다니는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를 버릴 수 있고 그와 같은 경우 스마트 기기를 다시 찾는데 도움이 되거나, 사용자가 분실한 경우 자신의 스마트 기기에 있는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함은 물론, 분실이나 도난 상태에서 데이터 삭제를 원격으로 하는데 도움이 되어 스마트 기기 분실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판단결과(S230) 이중으로 입력한 비상암호라면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정상적인 전원 종료 화면으로 보이도록 화면을 종료한다. 그리고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기지국을 통해 통신사 서버(500) 또는 이중 암호 설정 서버(700)로 전송한다(S260).
그에 따라 통신사 서버(500)는 비상연락처로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전송한다(S270).
그리고 통신사 서버(500)는 기지국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가 갱신되면 갱신된 위치 정보를 요청 기기(비상연락처, 경찰청 서버 등)로 전송한다(S280). 이때, 비상암호는 스마트 기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일 수도 있으므로, 비상암호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화면과 스피커 및 각종 착신음(진동포함)은 종료상태이므로 스마트 기기는 겉으로 보기에는 전원 종료와 동일한 상태로 보이기 때문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사 서버(500)는 교환국과 기지국을 통해 비상암호 설정 시 입력된 비상연락처와 통화연결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상암호 입력 후 정상적으로 복귀하기 위하여는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한 후 기본암호가 입력되면 다시 정상상태로 복귀하고, 정상상태로 복귀되었음을 서버들로 알리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 스마트 기기
200, 210, 220, 230, 240, 250 : 기지국
300, 310 : 교환국
400, 410 :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500 : 통신사 서버
600 : 통신망
700 : 이중 암호 설정 서버
800 : 경찰청 서버

Claims (3)

  1. 삭제
  2. 스마트 기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S100),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
    암호 설정 및 설정된 암호 확인 후 저장 단계(S120)(S130);
    상기 스마트 기기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메뉴가 선택되어 전원 종료 시 사용자 확인여부 설정 단계(S14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자 확인여부에 의한 비상암호 설정을 위한 비상암호 설정 메뉴 기능이 실행 단계(S150);
    상기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에서 설정 및 저장된 암호와는 다른 별도의 비상암호가 설정되고(S160), 재확인 후 저장되는 단계(S170);
    상기 비상암호로 전원 종료 시도 시 자동연락을 위한 비상연락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80);
    상기 비상암호 및 비상연락처 저장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가입된 통신사 서버(5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사 서버(500)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비상암호와 비상연락처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S190);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전원 종료가 요청되면(S210),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를 입력할 것을 화면으로 요청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암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암호를 판단하여(S230), 상기 암호 설정 메뉴 실행 단계(S110)에서 설정 및 저장된 암호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전원을 종료하고(S240), 이차로 설정된 비상암호라면 상기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상에 정상적인 전원 종료 화면으로 화면을 종료하고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상기 통신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암호를 판단하여(S230) 비상암호 입력이라면 스마트 기기 제어부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상에 있어서만 정상적인 전원 종료 화면으로 화면을 종료하고 비상암호 입력상황을 기지국을 통해 통신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260)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스피커 및 각종 착신음이나 진동에 대하여 종료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0210057266A 2021-05-03 2021-05-03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48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66A KR102487696B1 (ko) 2021-05-03 2021-05-03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PCT/KR2021/006556 WO2022234883A1 (ko) 2021-05-03 2021-05-26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66A KR102487696B1 (ko) 2021-05-03 2021-05-03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50A KR20220150050A (ko) 2022-11-10
KR102487696B1 true KR102487696B1 (ko) 2023-01-11

Family

ID=8393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266A KR102487696B1 (ko) 2021-05-03 2021-05-03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7696B1 (ko)
WO (1) WO202223488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079B1 (ko) * 2017-04-17 2018-06-21 박형진 도난방지 및 위치추적을 위해 블랙박스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20B1 (ko) * 2010-10-01 2012-06-14 김수복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분실물 회수 서비스 제공 서버
CN105493160A (zh) * 2013-07-12 2016-04-13 特洛尔门斯嘉德股份公司 移动装置安全性
KR20150046852A (ko) 2013-10-23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암호를 이용한 인증 방법
KR102295259B1 (ko) 2013-12-02 2021-08-27 양용철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스마트폰 보안모드 잠금해제의 제어방법
KR20150092849A (ko) * 2014-02-06 2015-08-17 한범규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방지방법
US9558372B2 (en) * 2015-03-13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ablement of lost or stolen device
KR101866761B1 (ko) 2016-10-27 2018-06-18 주식회사 마크애니 비밀번호 변경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7388B1 (ko) 2019-01-14 2024-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암호화될 데이터의 정보량에 기반하여 암호화에 사용될 키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079B1 (ko) * 2017-04-17 2018-06-21 박형진 도난방지 및 위치추적을 위해 블랙박스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4883A1 (ko) 2022-11-10
KR20220150050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91255B (zh) 移动电话政策管理
CN102739868B (zh) 移动终端的丢失处理方法及系统
US8463234B2 (en)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s by using mobile terminal passwor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3974025A (zh) 在机密数据输入期间中止屏幕共享的方法和设备
JP2007282208A (ja) 携帯端末機におけるサービス制限装置及び方法
US99779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dicating loss of terminal
JP2011504333A (ja) 緊急時状態を有する移動端末及びその状態に入るための方法
CN102483778A (zh) 对移动设备应用的有效访问
CN101827423A (zh) 用于便携式通信装置的服务限制设备和方法
KR102487696B1 (ko) 사용자 확인에 의한 스마트 기기 안전 관리 방법
WO2002069657A1 (fr) Procede de numerotation automatique invisible pour signaler la perte d'un combine
US20090111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ime
JP4695039B2 (ja) リモート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端末
KR100730468B1 (ko) 분실 단말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7318055A (zh) 一种移动终端的屏幕解锁方法及装置
WO2005034560A1 (en)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2011128837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60197923A1 (en) Secure, uninterrupted operation of mobile devices
JP200435668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制御システム
JP2007334499A (ja) 所在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所在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方法
WO1997029601A1 (fr) Systeme de prevention de la reproduction du numero d'un abonne de telephone mobile
EP3185600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0820727B1 (ko) 분실 단말기에 대한 회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475699B2 (ja) リモート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端末
CN106055939A (zh) 一种基于智能终端设备的安保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