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425B1 -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425B1
KR102487425B1 KR1020200035513A KR20200035513A KR102487425B1 KR 102487425 B1 KR102487425 B1 KR 102487425B1 KR 1020200035513 A KR1020200035513 A KR 1020200035513A KR 20200035513 A KR20200035513 A KR 20200035513A KR 102487425 B1 KR102487425 B1 KR 10248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layer
theme
cell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603A (ko
Inventor
황윤수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빈게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빈게임즈
Priority to KR102020003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23Word games, e.g. scrab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08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tex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Design of classical playing pieces, e.g. classical chess, draughts or go
    • A63F2003/00703Tokens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832Playing pieces with groups of playing pieces, each group having its own characteris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02Dispensing or collecting devices for tokens or chips
    • A63F2011/0006Dispensing or collecting devices for tokens or chips adapted f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63F2011/0086Rul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에 관한 것으로, 제1칸을 출발칸으로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순번이 할당되어 제n칸(n은 3 이상의 정수)을 도착칸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1칸에서 제n칸까지 점진적으로 칸 별 획득 점수가 증가하도록 배당되어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m은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된 보드게임 판; 상기 보드게임 판상에 구성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 각 칸에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에 의해 놓이며 이동하게 되고, 플레이어별로 구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플레이어 각각이 m개씩 게임 진행 전에 배분받게 되는 게임 말;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그림 및 단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주제카드 모음; 자음이 표시된 자음 칩이 자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자음 칩 주머니;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이 모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모음 칩 주머니; 및 플레이어가 상기 자음 칩 및 모음 칩을 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가리기 위해 플레이어 별로 하나 씩 배분되는 가림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CREATIFICATION BOARD GAME USING TOPIC CAR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제카드에 나타나는 특정 주제와 관련한 단어를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만드는 과정을 통해 언어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고, 언어적 사고력 및 어휘력의 효과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보드게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드게임이란 하나의 판을 놓고 거기서 발생하는 일들을 순서대로 사용자들이 풀어가거나, 일정 규칙 하에서 사용자들이 순서를 정해 게임을 진행하여 점수를 획득하여 게임 종료 시까지 획득한 점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가 승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게임으로 정의 된다.
이러한 보드게임은 다양한 종류가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단순한 재미를 유발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효과 역시 제공할 수 있는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실제, 단순히 카드에 그려진 이미지를 의미하는 단어를 글자의 조합을 통해 만들어내는 방식의 보드게임이나, 단어를 끝말잇기 형태로 이어나가며 언어학습을 수행하는 방식의 보드게임 등 다양한 형태가 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게임의 반복을 통해 어느 한 언어의 자,모음 및 그를 통해 형성되는 단어에 대한 학습이 반복 학습의 형태로 성취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제10-2011-0110378호의 "언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언어 학습용 보드게임의 경우, 보드게임의 진행을 통해 단어를 만들도록 플레이어가 사고를 거치는 과정이 단순히 제시되는 이미지 혹은 문장에 직접적으로 매칭되는 단어를 1차원적으로 생각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언어적 사고력 및 어휘력의 향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언어 학습용 보드게임의 경우, 혼자 게임을 수행하거나 2인 정도의 소수 인원으로 게임을 수행함에 그쳐 많은 사람들이 함께 게임을 수행함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게임을 수행을 통해 언어 학습 효과만을 한정적으로 제공받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인원이 함께 게임을 수행하며 동시에 주제카드를 기반으로 해당 주제카드가 나타내는 주제에 해당하는 단어 자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주제에 연관된 다양한 단어 중 하나를 플레이어가 사고하여 만들어냄에 따라 고차원적인 언어 학습 형태의 제공을 통해 언어적 사고력 및 어휘력의 향상이 고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드게임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 진행을 통해 고도한 언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높은 점수의 획득을 위해 전략적으로 보드 판에 놓인 다양한 주제카드 중 어떤 주제카드에 관한 단어를 만들어 낼 것인지를 사고하는 거치도록 하여 논리적, 수학적 사고의 개선까지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드게임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은, 제1칸을 출발 칸으로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순번이 할당되어 제n칸(n은 3 이상의 정수)을 도착 칸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2칸에서 상기 제n칸까지 점진적으로 칸 별 획득 점수가 증가하도록 배당되어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m은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된 보드게임 판; 상기 보드게임 판상에 구성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 각 칸에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에 의해 놓이며 이동하게 되고, 플레이어별로 구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플레이어들 각각이 m개씩 게임 진행 전에 배분받게 되는 게임 말;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그림 및 단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주제카드 모음; 자음이 표시된 자음 칩이 자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자음 칩 주머니;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이 모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모음 칩 주머니; 및 플레이어가 상기 자음 칩 및 모음 칩을 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가리기 위해 플레이어 별로 하나 씩 배분되는 가림막;을 포함하며, 게임 진행 전 플레이어 각각이 배분받은 m개의 상기 게임 말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1칸에 하나 씩 놓이고, 플레이어들 각각이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자음 칩 주머니에서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게 되는 N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자음 칩과 상기 모음 칩 주머니에서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게 되는 M개(M은 5 이상의 정수)의 모음 칩은 상기 가림막 뒤쪽에 놓이며, 상기 주제카드 모음은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들에 의해 m장의 주제카드가 뽑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한 장씩 배치되며, 배분받아 상기 가림막 뒤쪽에 놓인 플레이어 별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은 m장의 주제카드 배치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플레이어에 의해 조합되어 상기 주제카드 배치 칸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은,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m장의 주제카드 배치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플레이어 각자가 상기 주제카드 배치 칸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를 상기 가림막 뒤쪽에서 플레이어 별로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들고 난 후,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전부 경과하고 나면 상기 가림막을 치워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플레이어가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서 해당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을 진행 규칙에 따라 이동시키며 점수를 획득하는 것을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으로 하며, 반복 진행을 위해 하나의 턴이 넘어갈 경우, 진행된 기존 턴에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배치된 m장의 주제카드는 배제되고, 새롭게 상기 주제카드 모음으로부터 뽑힌 m장의 주제카드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한 장씩 배치된 상태로 다음 턴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행 규칙은 플레이어가 각자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해당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을 상기 제1칸 내지 상기 제n칸 중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이 놓인 가장 높은 순번의 칸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칸으로 이동시켜 해당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진행 규칙은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을 기준으로,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선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후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가 동일할 경우, 해당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 중 선 순서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에 한해 이동 및 점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은, 일면에 일정 보너스 점수가 표시된 다수개의 보너스 타일;을 더 포함하며, 게임 진행 전 다수개의 상기 보너스 타일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2칸에서 제n-1칸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상기 보드게임 판 측으로 향해 가려지도록 무작위 배치되며, 또한, 상기 진행 규칙은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서 특정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말이 이동한 칸이 상기 제1칸 내지 상기 제n칸 중 상기 제2칸 내지 상기 제n-1칸일 경우, 특정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에 해당 칸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추가 합산된 점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행 규칙은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n칸으로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이 m개 이하로 기 설정된 종료 기준수만큼 이동될 경우 게임 진행이 종료되며, 게임 진행이 종료된 시점에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드게임 판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n칸이 하나로 통합된 단일 칸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은, 제1칸을 출발 칸으로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순번이 할당되어 제n칸(n은 3 이상의 정수)을 도착 칸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1칸에서 제n칸까지 점진적으로 칸 별 획득 점수가 증가하도록 배당되어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m은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된 보드게임 판; 상기 보드게임 판상에 구성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 각 칸에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에 의해 놓이며 이동하게 되고, 플레이어별로 구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플레이어들 각각이 m개씩 게임 진행 전에 배분받게 되는 게임 말;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그림 및 단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주제카드 모음; 자음이 표시된 자음 칩이 자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자음 칩 주머니;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이 모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모음 칩 주머니; 및 플레이어가 상기 자음 칩 및 모음 칩을 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가리기 위해 플레이어 별로 하나 씩 배분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플레이어 각각이 배분받은 m개의 상기 게임 말을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1칸에 하나 씩 놓는 A 단계; 플레이어들 각각이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자음 칩 주머니에서 N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자음 칩과 상기 모음 칩 주머니에서 M개(M은 5 이상의 정수)의 모음 칩을 각각 무작위로 뽑아 상기 가림막 뒤쪽에 놓는 B 단계; 상기 주제카드 모음 중 m장의 주제카드를 뽑아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한 장씩 배치하는 C 단계; 및 상기 C 단계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플레이어들이 각자 배분받아 상기 가림막 뒤쪽에 놓은 플레이어 별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상기 주제카드 배치 칸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를 만드는 D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은, 상기 D 단계를 통해 상기 C 단계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전부 경과하고 나면 상기 가림막을 치워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플레이어가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서 해당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을 진행 규칙에 따라 이동시키며 점수를 획득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으로 하며, 반복 진행을 위해 하나의 턴이 넘어갈 경우, 진행된 기존 턴의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배치된 m장의 주제카드는 배제되고, 새롭게 다음 턴의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주제카드 모음으로부터 뽑힌 m장의 주제카드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한 장씩 배치되어 다음 턴의 상기 E단계까지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의 상기 진행 규칙은 플레이어가 각자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해당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을 상기 제1칸 내지 상기 제n칸 중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이 놓인 가장 높은 순번의 칸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칸으로 이동시켜 해당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E 단계의 상기 진행 규칙은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을 기준으로,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선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후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가 동일할 경우, 해당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 중 선 순서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에 한해 이동 및 점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은, 일면에 일정 보너스 점수가 표시된 다수개의 보너스 타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은, 다수개의 상기 보너스 타일을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2칸에서 제n-1칸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상기 보드게임 판 측으로 향해 가려지도록 무작위 배치시키는 A'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의 상기 진행 규칙은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서 특정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말이 이동한 칸이 상기 제1칸 내지 상기 제n칸 중 상기 제2칸 내지 상기 제n-1칸일 경우, 특정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에 해당 칸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추가 합산된 점수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은, 상기 C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하나의 턴으로 반복 진행하여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n칸으로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이 m개 이하로 기 설정된 종료 기준수만큼 이동될 경우 게임 진행을 종료하며, 게임 진행이 종료된 시점에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 더욱 재밌고 흥미롭게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을 즐길 수 있다.
둘째, 주제카드와 연관된 단어를 게임 진행 전 배분받은 자음 칩들 및 모음 칩들을 이용해 만들어내 주제카드에 나타난 주제와 만들어진 단어 간의 연관여부에 따라 게임 말의 이동이 결정됨에 따라, 단순히 주제에 해당하는 1차원적인 단어 만들기가 아니라 주제에 연관된 다양한 단어 중 하나를 만들어내는 고차원적인 언어 학습 과정을 통해 언어적 사고력 및 어휘력의 향상이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셋째, 보드게임 판에는 다수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이 형성되며, 게임 진행 시 각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의 주제카드 배치 칸에 주제카드가 개별적으로 놓인 상태로 마련되어, 플레이어는 각 진행 턴별로 다수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카드를 선택하여 단어를 만들어냄에 있어 보드게임 판에 놓인 플레이어별 게임 말의 현재 배치 상태 및 진행 규칙에 따른 게임 말의 이동형태 및 게임 진행 순번을 고려한 타 플레이어와의 만들어진 단어 겹침 문제 등을 고려하게 됨에 따라 논리적, 수학적 사고의 개선이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의 진행 과정 및 승자 선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에 관한 설명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100)은 보드게임 판(110); 게임 말(120); 주제카드 모음(130); 자음 칩 주머니(140); 모음 칩 주머니(150); 가림막(160); 보너스 타일(170); 및 시간측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을 이용해 일정 진행 규칙 및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여 승자가 정해지게 되며, 이를 통해 언어적 사고력 및 어휘력의 향상과 더불어 논리적, 수학적 사고의 개선이 효과 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보드게임 판(110)은 제1칸(Bs)을 출발 칸으로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순번이 할당되어 제n(n은 3 이상의 정수)칸(Bf)을 도착 칸으로 설정되며, 제2칸(B2)에서 제n칸(Bf)까지 점진적으로 칸 별 획득 점수(S)가 증가하도록 배당되어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m은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제n칸(Bf)이 실시에 따라 하나로 통합된 단일 칸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1을 참고하면, 하나의 실시예로 보드게임 판(110)은 총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으로 구성되며,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은 제1칸(Bs)을 시작 칸으로 하여 제2칸(B2), 제3칸(B3), 제4칸(B4), 제5칸(B5)을 거쳐 제6칸(Bf)을 도착 칸으로 하도록 구획되어 있으며,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모두의 제6칸(Bf)은 통합되어 하나의 칸으로 표시된다.
또한, 이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을 구획하는 칸 중 제2칸(B2), 제3칸(B3), 제4칸(B4), 제5칸(B5) 및 제6칸(Bf)은 획득 점수(S)가 할당되어 표시되어 있는데, 제2칸(B2)은 1점, 제3칸(B3)은 2점 , 제4칸(B4)은 3점, 제5칸(B5)은 4점, 제6칸(Bf)은 5점이 배당되어 해당 칸에 아래 설명될 게임 말(120)이 이동되어오면 해당 게임 말(120)의 플레이어(P1, P2, P3, P4)가 해당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을 구획하는 칸 중 제1칸(Bs)은 시작 칸으로, 게임 진행 전 플레이어(P1, P2, P3, P4) 각각의 게임 말(120)이 배치되어 준비가 되는 시작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별도의 획득 점수(S)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보드게임 판(110)은 판 일측에 아래 설명될 주제카드 모음(130), 자음 칩 주머니(140), 모음 칩 주머니(150)을 배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주제카드 모음(130)은 보드게임 판(110) 상 일측에 마련된 주제카드 모음 배치칸(112)에 주제카드 모음(130) 구성하는 주제카드(130C)의 특정 주제가 표시된 일면이 보드게임 판(110) 측을 향해 보이지 않도록 뒤집어져 놓여진다.
이와 같이, 보드게임 판(110) 일측에 마련된 주제카드 모음 배치칸(112)에 뒤집혀 놓인 주제카드 모음(130)은 게임 진행에 따라 제일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 장씩 꺼내져 일면에 표시된 특정 주제가 보이도록 다시 뒤집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에 형성된 주제카드 배치칸(113)에 한 장씩 놓이게 된다.
여기서, 주제카드 모음(130)은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그림 및 단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주제카드(130C) 다수개가 모인 것으로, 주제카드 모음(130)을 구성하는 다수의 주제카드(130C) 각각이 표시하는 주제는 모두 다르게 마련된다.
또한, 주제카드(130C) 일면에 표시되는 특정 주제는 도3 및 도4와 같이 그림 및 단어가 모두 표시됨이 바람직하나, 실시에 따라 그림 혹은 단어가 단독으로 표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게임 말(120)은 보드게임 판(110)상에 구성된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내 각 칸에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P1, P2, P3, P4)에 의해 놓이며 이동하게 되고, 플레이어(P1, P2, P3, P4)별로 구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이 m개씩 게임 진행 전에 배분받게 된다.
도1을 참고하면, 하나의 실시예로 보드게임 판(110)이 총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으로 구성됨에 따라 플레이어(P1, P2, P3, P4)들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에 자신의 게임 말(120)을 하나씩 둘 수 있도록 4개의 게임 말(120)을 배분받게 된다.
다음으로, m개씩 게임 진행 전에 게임 말(120)을 배분 받은 플레이어(P1, P2, P3, P4)는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시작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 각자의 게임 말(120)을 하나씩 놓게 된다.
따라서 제1플레이어(P1)는 제1게임 말(121) 4개를 배분받아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총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의 시작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 하나씩 놓은 상태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제2플레이어(P2)는 제2게임 말(122) 4개를 배분받아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총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의 시작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 하나씩 놓은 상태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되며, 제3플레이어(P3)는 제3게임 말(123) 4개를 배분받아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총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의 시작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 하나씩 놓은 상태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되며, 제4플레이어(P4)는 제4게임 말(124) 4개를 배분받아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총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의 시작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 하나씩 놓은 상태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자음 칩 주머니(140)는 자음이 표시된 자음 칩(140C)이 자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하나의 보관 수단으로, 게임 진행 전 플레이어(P1, P2, P3, P4)들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음 칩 주머니(140)에 손을 넣어 무작위로 일정 수만큼 자음 칩(140C)을 뽑아 배분 받게 된다.
모음 칩 주머니(150)는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150C)이 모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하나의 보관 수단으로, 게임 진행 전 플레이어(P1, P2, P3, P4)들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모음 칩 주머니(150)에 손을 넣어 무작위로 일정 수만큼 모음 칩(150C)을 뽑아 배분 받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은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자음 칩 주머니(140)에서 N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자음 칩(140C)과 모음 칩 주머니(150)에서 M개(M은 5 이상의 정수)의 모음 칩(150C)을 각각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은 배분받은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60) 뒤쪽에 놓은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림막(160) 뒤쪽에서는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가려진 상태로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단어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이 자음 칩 주머니(140)와 모음 칩 주머니(150)에서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무작위로 뽑는 순서는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실시에 따라 게임 시작에서부터 전체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일괄되게 게임 진행 순서가 적용되는 경우 이와 동일할 수도 있고, 게임 시작부터 진행에 따라 각 턴별로 게임 진행 순서가 다시 정해질 경우 첫 번째 턴의 게임 진행 순서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아예 별개로 새로이 뽑는 순서를 정한 것에 해당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이 자음 칩 주머니(140)와 모음 칩 주머니(150)에서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을 무작위로 뽑는 개수는 게임 진행 전에 플레이어 수 및 난이도를 고려하여 플레이어 간 상의를 통해 임의로 정할 수도 있고, 진행 규칙 하에서 기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은 자음 칩 주머니(140)에서 10개의 자음 칩(140C)과 모음 칩 주머니(150)에서 10개의 모음 칩(150C)을 각각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음 칩 주머니(140)와 모음 칩 주머니(150) 내에는 다수의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이 각각 보관되어 있어야 하며, 예를 들어 자음 칩 주머니(140)에는'ㄱ'에서 'ㅎ'까지의 예사소리와 거센소리의 자음을 표시한 자음 칩(140C)은 각 4개씩 들어 있으며, 'ㄲ'에서 'ㅉ'까지의 된소리 자음을 표시한 모음 칩(150C)은 각 1개씩 들어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음 칩 주머니(150)에는 'ㅏ', 'ㅑ', 'ㅣ'의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150C)이 각 12개씩 들어 있으며, 'ㅐ'의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150C)이 6개 들어있으며, 'ㅖ', 'ㅒ', 'ㅔ'의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150C)이 각 4개씩 들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모음 칩 주머니(150)에 들어 있는 모음 칩(150C) 방향 회전을 통해 하나의 모음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모음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실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음 칩(150C)의 외형에 의해 90도, 180도 혹은 270도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 표시하는 모음의 종류가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ㅏ'가 표시된 모음 칩(150)을 90도 회전시키면 'ㅗ'로 표시되며, 180도 회전시키면 'ㅓ'로 표시되며, 270도 회전시키면 'ㅜ'로 표시된다.
이는 하나의 실시 형태일 뿐, 모음 칩 주머니(150)에 들어 있는 모음 칩(150C)은 다른 실시에 따라 모든 모음들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가림막(160)은 플레이어(P1, P2, P3, P4) 각자가 자음 칩(140C) 및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가리기 위해 플레이어(P1, P2, P3, P4) 별로 하나 씩 배분되는 하나의 외부 시야 차단 수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림막(160)은 보드게임 판(110)이 놓인 테이블 공간상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 앞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배치되며, 플레이어(P1, P2, P3, P4) 각각은 가림막(160) 뒤쪽에 놓인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단어를 만들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들(P1, P2, P3, P4)은 주제카드 모음(130)에서 m장의 주제카드(130C)가 뽑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한 장씩 배치시키고, 이를 통해 주제카드(130C)의 배치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플레이어들(P1, P2, P3, P4)은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주제카드 배치 칸(113)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를 만들게 된다.
보너스 타일(170)은 일면에 일정 보너스 점수가 표시된 타일로서, 다수개로 마련되어 게임 진행 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제2칸(B2)에서 제n-1칸(B5)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배치된다.
여기서,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제2칸(B2)에서 제n-1칸(B5)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배치되는 보너스 타일(170)은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보드게임 판(110) 측으로 향해 가려지도록 무작위 배치된다.
따라서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은 물론이고,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내 제2칸(B2)에서 제n-1칸(B5)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에 표시된 점수는 해단 칸에 게임 말(120)을 이동시켜 다시 뒤집어 일면을 확인하기 전까지 보너스 점수가 어떻게 되는 지 알 수 없다.
시간측정 수단(미도시)은 앞 서 설명한 주제카드 모음(130)에서 m장의 주제카드(130C)가 뽑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한 장씩 배치시키는 시점에서부터 각 턴 별로 단어를 만든 후 가림막(160)을 치워 공개하게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플레이어(P1, P2, P3, P4)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모래시계나 타이머 등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2.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에 관한 설명
도2의 순서도와 도3 내지 도5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방법은 앞 서 설명한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100)을 구성하는 보드게임 판(110); 게임 말(120); 주제카드 모음(130); 자음 칩 주머니(140); 모음 칩 주머니(150); 가림막(160); 보너스 타일(170); 및 시간측정 수단(미도시);을 통해 진행되며, 진행 방식은 아래 설명될 진행 규칙에 기반을 둔다.
(1) 게임 말 준비단계<S100, A 단계>
본 단계(S100)에서는 플레이어(P1, P2, P3, P4) 각각이 배분받은 m개의 게임 말(120)을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출발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 하나 씩 놓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의 출발 칸에 해당하는 제1칸(Bs)에는 게임 진행 전에 플레이어(P1, P2, P3, P4) 각각이 배분받은 4개의 게임 말(120)이 구분되어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별로 하나 씩 놓여진다.
(2) 보너스 카드 배치단계<S200, A'단계>
본 단계(S200)에서는 다수개의 보너스 타일(170)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제2칸(B2)에서 제n-1칸(B5)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보드게임 판(110) 측으로 향해 가려지도록 무작위 배치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각각의 제2칸(B2)에서 제5칸(B5)까지 각 칸별로 1개의 보너스 타일(170)이 뒤집어져 보너스 점수를 미리 확인할 수 없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4개의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에 뒤집어져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은 각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별로 4개씩, 총 16개가 배치된다.
(3) 자음 칩 및 모음 칩 배분단계<S300, B단계>
본 단계(S300)에서는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이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자음 칩 주머니(140)에서 N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자음 칩(140C)과 모음 칩 주머니(150)에서 M개(M은 5 이상의 정수)의 모음 칩(150C)을 각각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게 되는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가림막(160) 뒤쪽에 놓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어(P1, P2, P3, P4)들 각각은 순서를 정해 자음 칩 주머니(140)에서 자음 칩(140C) 10개와 모음 칩 주머니(150)에서 모음 칩(150C) 10개를 무작위로 뽑아 가림막(160) 뒤쪽에 놓고 게임을 진행할 준비를 마친다.
앞 서 설명한 두 단계(S100, S200)와 더불어 본 단계(S300)는 본격적인 보드게임의 진행 전 세팅을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이와 같은 일련의 세 단계(S100, S200, S300) 간의 순서는 경우에 따라 유동적으로 교차되어 달리 설정 가능하며, 일부 혹은 전부에 대해 동시 진행도 가능하다.
(4)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 C 단계>
본 단계(S400)에서는 보드게임 판(110) 상 일측에 마련된 주제카드 모음 배치칸(112)에 주제카드 모음(130) 구성하는 주제카드(130C)의 특정 주제가 표시된 일면이 보드게임 판(110) 측을 향해 보이지 않도록 뒤집어져 놓은 주제카드 모음(130) 중 m장의 주제카드(130C)를 뽑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일면에 표시된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이미지 혹은 글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보이도록 다시 뒤집어 한 장씩 배치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전체에 걸친 주제카드 배치 칸(113) 내 주제카드(130C)의 배치가 완료되고 나면 아래 설명될 단어 만들기 단계(S500) 및 점수 획득단계(S600)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동안 보드게임이 진행되게 되는데, 해당 시간의 측정 및 플레이어(P1, P2, P3, P4)들의 남은 시간 확인은 앞 서 설명한 모래시계와 같은 시간측정 수단(미도시)을 이용한다.
또한, 본 단계(S400)를 시작으로 아래 설명될 단어 만들기 단계(S500) 및 점수 획득단계(S600)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으로 규정하며, 각 턴 별로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별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배치되는 주제카드(130C)는 새롭게 바뀐다.
구체적으로, 반복 진행을 위해 하나의 턴이 넘어갈 경우, 우선 진행된 기존 턴에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를 통해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배치된 m장의 주제카드(130C)는 배제되고, 새롭게 다음 턴의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를 통해 주제카드 모음(130)으로부터 뽑힌 m장의 주제카드(130C)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한 장씩 배치되어 다음 턴의 단어 만들기 단계(S500) 및 점수 획득단계(S600)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진행된다.
(5) 단어 만들기 단계<S500, D 단계>
본 단계(S500)에서는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플레이어(P1, P2, P3, P4)들이 각자 배분받아 가림막(160) 뒤쪽에 놓은 플레이어(P1, P2, P3, P4) 별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주제카드 배치 칸(113)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를 만드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턴이 진행됨에 따라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별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배치되는 주제카드(130C)가 제1플레이어(P1) 측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태양', '달', '피라미드', '하트'라는 각자의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이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플레이어(P1, P2, P3, P4)들은 이들 4개의 주제중 하나를 속으로 선정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된 특정 단어를 생각하여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해당 단어를 만들어 낸다.
이 경우, 도3과 같이 제1플레이어(P1)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빛'이라는 단어(W1)를 만들어 냈고, 제2플레이어(P2)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사램'이라는 단어(W2)를 만들어 냈으며, 제3플레이어(P3)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우주'이라는 단어(W3)를 만들어 냈으며, 제4플레이어(P4)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ㄱ'이라는 단어(W4)를 만들어 낸 상황에서 설정된 시간이 모두 경과하였고, 미리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를 따라 순차적으로 가림막(160)을 일시적으로 제거한 뒤, 각자가 만든 단어를 확인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턴이 진행됨에 따라 보드게임 판(110)을 구성하는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별 주제카드 배치 칸(113)에 배치되는 주제카드(130C)가 제1플레이어(P1) 측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집', '칼', '책', '국기'라는 각자의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이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플레이어(P1, P2, P3, P4)들은 이들 4개의 주제중 하나를 속으로 선정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된 특정 단어를 생각하여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해당 단어를 만들어 낸다.
이 경우, 도4과 같이 제1플레이어(P1)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피'이라는 단어(W1)를 만들어 냈고, 제2플레이어(P2)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땅'이라는 단어(W2)를 만들어 냈으며, 제3플레이어(P3)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글자'이라는 단어(W3)를 만들어 냈으며, 제4플레이어(P4)는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의 조합을 통해 '피'이라는 단어(W4)를 만들어 낸 상황에서 설정된 시간이 모두 경과하였고, 미리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를 따라 순차적으로 가림막(160)을 일시적으로 제거한 뒤, 각자가 만든 단어를 확인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6) 점수 획득단계<S600, E 단계>
본 단계(S600)에서는 단어 만들기 단계(S500)를 통해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전부 경과함에 따라, 가림막(160)을 치우고, 미리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플레이어(P1, P2, P3, P4)가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배치된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내에서 해당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을 진행 규칙에 따라 이동시키며 점수를 획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행 규칙은 플레이어(P1, P2, P3, P4)가 각자 배분받은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배치된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내에 놓인 해당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을 제1칸(Bs) 내지 제n칸(Bf) 중 플레이어들의 게임 말(120)이 놓인 가장 높은 순번의 칸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칸으로 이동시켜 해당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S)를 획득하도록 한다.
또한, 진행 규칙은 게임 진행에 따라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내에서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이 이동한 칸이 제1칸(Bs) 내지 제n칸(Bf) 중 제2칸(B2) 내지 제n-1칸(B5)일 경우, 특정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에 해당 칸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170')가 추가 합산된 점수를 획득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칸(B2) 내지 제n칸(Bf)에 배당된 획득 점수(S)는 점차 점수가 증가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고정되어 있지만, 제2칸(B2) 내지 제n-1칸(B5)에 임의로 배치되는 보너스 타일(170)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170')는 해당 칸에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을 이동 시킨 뒤 뒤집어 보너스 점수(170')를 확인하기 전까지 몇 점의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 승사 선정단계(S700) 전 까지 승부를 쉽게 단정지을 수 없다.
첫 번째 턴에 해당하는 도3을 참고하여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 이동에 따른 점수 획득 단계를 살펴보면, 이 경우 미리 설정된 게임 진행 순서가 제1플레이어(P1)-제2플레이어(P2)-제3플레이어(P3)-제4플레이어(P4)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제1순번인 제1플레이어(P1)가 만든 단어가'빛'이라는 단어(W1)로서 '태양'이라는 주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의 제1칸(Bs)에서 제1플레이어(P1)의 게임 말(121)을 제2칸(B2)으로 이동시키고, 제2칸(B2)에 할당된 1점의 획득 점수(S)와 제2칸(B2)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을 뒤집어 확인한 2점의 보너스 점수(170')를 합산한 총 3점을 첫 번째 턴에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이 이동되어 해당 칸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을 뒤집어 보너스 점수를 확인하여 획득한 뒤에는 해당 보너스 타일(170)을 제거하여 해당 칸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이 없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순번인 제2플레이어(P2)가 만든'사램'이라는 단어(W2)는 하나의 단어 형태를 만드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어떠한 의미도 없는 단어이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4개에 각각 놓인 주제카드(130C)가 나타내는 '태양', '달', '피라미드', '하트' 중 어떠한 주제와도 연관되어 있지 않음으로, 제2플레이어(P2)의 게임 말(122)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에서도 이동하지 못하고, 점수 또한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순번인 제3플레이어(P3)가 만든'우주'이라는 단어(W3)는 '태양'이라는 주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의 제1칸(Bs)에서 제3플레이어(P3)의 게임 말(123)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태양'이라는 주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에서는 제1순번인 제1플레이어(P1)의 게임 말(121)이 이에 앞 서 제2칸(B2)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제3플레이어(P3)의 게임 말(12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칸(Bs)에서 제3칸(B3)으로 이동되어, 제3칸(B3)에 할당된 2점의 획득 점수(S)와 제3칸(B3)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을 뒤집어 확인한 1점의 보너스 점수(170')를 합산한 총 3점을 첫 번째 턴에 획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4순번인 제4플레이어(P4)가 만든'ㄱ'이라는 단어(W4)는 정해진 시간 내에 단어를 완성하지 못하였으며, 당연히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4개에 각각 놓인 주제카드(130C)가 나타내는 '태양', '달', '피라미드', '하트' 중 어떠한 주제와도 연관되어 있지 않음으로, 제4플레이어(P4)의 게임 말(124)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에서도 이동하지 못하고, 점수 또한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첫 번째 턴이 끝나고 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로 돌아가 기존의 주제카드(130C)를 치우고, 새로운 주제카드(130C)를 배치시켜 두 번째 턴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실시에 따라 단어 만들기에 사용된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은 계속 유지하면 사용하도록 하거나, 이를 제외하고 나머지를 이용해 다음 턴의 단어 만들기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이를 제외하고 제외한 만큼의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을 새로 뽑아 총 개수는 유지하면서 다음 턴의 단어 만들기를 진행하도록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며, 하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실시에 따라 하나의 턴이 끝나고 다음 턴의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를 수행하기 전 자음 칩(140C)과 모음 칩(150C)을 해당 턴에서 단어 만들기에 사용한 만큼 더 뽑아 가림막(160) 뒤쪽에 놓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진행 규칙은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을 기준으로,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선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후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자음 칩(140C)과 M개의 모음 칩(150c)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 각각이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동일할 경우, 해당 주제카드(130C)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플레이어들의 게임 말(120) 중 선 순서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에 한해 이동 및 점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두 번째 턴에 해당하는 도4를 참고하면,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말(120) 이동에 따른 점수 획득 단계를 살펴보면, 이 경우 미리 설정된 게임 진행 순서가 제2플레이어(P2)-제1플레이어(P1)-제4플레이어(P4)-제3플레이어(P3)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제2순번인 제1플레이어(P1)와 제3순번인 제4플레이어(P4)는 '칼'이라는 주제가 표시된 주제카드(130C)를 보고 해당 주제와 연관된 단어를 만들고자 하였고, 결과적으로 제1플레이어(P1)가 만든 단어가 '피'라는 단어(W1)와 제4플레이어(P4)가 만든 단어가 '피'라는 단어(W4)가 동일한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 경우, 제1플레이어(P1)가 제4플레이어(P4)에 비해 선 순서 플레이어에 해당하기 때문에 '칼'이라는 주제가 표시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내에서 제1플레이어(P1)의 게임 말(121)이 이동되어 점수를 획득하고, 제4플레이어(P4)의 게임 말(124)은 이동하지 못하고 점수 획득 역시 불가하다.
또한, 제1순번인 제2플레이어(P2)가 만든'땅'이라는 단어(W2)는 '집'이라는 주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의 제1칸(Bs)에서 제2플레이어(P2)의 게임 말(122)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집'이라는 주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에서는 이미 첫 번째 턴에서 제1순번인 제1플레이어(P1)의 게임 말(121)이 이에 앞 서 제2칸(B2)으로, 제3플레이어(P3)의 게임 말(123)이 이에 앞서 제3칸(B3)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제2플레이어(P2)의 게임 말(122)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칸(Bs)에서 제4칸(B4)으로 이동되어, 제4칸(B4)에 할당된 3점의 획득 점수(S)와 제4칸(B4)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을 뒤집어 확인한 2점의 보너스 점수(170')를 합산한 총 5점을 두 번째 턴에 획득하게 된다.
그 외에도, 제4순번인 제3플레이어(P3)가 만든'글자'이라는 단어(W3)는 '책'이라는 주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130C)가 놓인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의 제1칸(Bs)에서 제3플레이어(P3)의 게임 말(123)을 제2칸(B2)으로 이동시키고, 제2칸(B2)에 할당된 1점의 획득 점수(S)와 제2칸(B2)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170)을 뒤집어 확인한 3점의 보너스 점수(170')를 합산한 총 4점을 두 번째 턴에 획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게임 턴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기 전까지 지속되어 반복 진행되며, 다음 승자 선정단계(S700)로 넘어가서 게임 진행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은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의 마지막 칸에 해당하는 제n칸(Bf)에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게임 말(120)이 모이는 시점이 된다.
(7) 승자 선정단계<S700, F 단계>
본 단계(S600)에서는 주제카드 배치단계(S400) 내지 점수 획득단계(S600)를 하나의 턴으로 반복 진행하여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m개 각각의 제n칸(Bf)으로 플레이어(P1, P2, P3, P4)들의 게임 말(120)이 m개 이하로 기 설정된 종료 기준수만큼 이동될 경우 게임 진행을 종료하며, 게임 진행이 종료된 시점에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전 종료 기준수를 게임 말(120) 3개로 설정한 상태에서, 게임 진행에 따라 다수의 턴을 거쳐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111) 4개의 도착 칸에 해당하며 통합되어 하나의 칸으로 형성된 제6칸(Bf)에 제1플레이어(P1)의 게임 말(121) 2개와 제2플레이어(P2)의 게임 말(122) 1개가 도착한 경우 게임 진행이 종료되며,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각 플레이어들(P1, P2, P3, P4)의 최종 획득 점수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최종 승자로 선정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110 : 보드게임 판
111 :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Bs : 제1칸 B2 : 제2칸
B3 : 제3칸 B4 : 제4칸
Bf : 제n칸 S : 칸 별 배당된 획득 점수
112 : 주제카드 모음 배치칸
113 : 주제카드 배치 칸
120 : 게임 말
121 : 제1플레이어의 게임 말
122 : 제2플레이어의 게임 말
123 : 제3플레이어의 게임 말
124 : 제4플레이어의 게임 말
130 : 주제카드 모음
130C : 주제카드
140 : 자음 칩 주머니
140C : 자음 칩
150 : 모음 칩 주머니
150C : 모음 칩
160 : 가림막
170 : 보너스 타일

Claims (11)

  1. 제1칸을 출발 칸으로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순번이 할당되어 제n칸(n은 3 이상의 정수)을 도착 칸으로 설정되며, 제2칸에서 상기 제n칸까지 점진적으로 칸 별 획득 점수가 증가하도록 배당되어진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m은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된 보드게임 판;
    상기 보드게임 판상에 구성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 각 칸에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에 의해 놓이며 이동하게 되고, 플레이어별로 구분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플레이어들 각각이 m개씩 게임 진행 전에 배분받게 되는 게임 말;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그림 및 단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된 주제카드 모음;
    자음이 표시된 자음 칩이 자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자음 칩 주머니;
    모음이 표시된 모음 칩이 모음별로 하나 이상씩 들어간 모음 칩 주머니;
    플레이어가 상기 자음 칩 및 모음 칩을 조합하여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가리기 위해 플레이어 별로 하나 씩 배분되는 가림막; 및
    일면에 일정 보너스 점수가 표시된 다수개의 보너스 타일;을 포함하며,
    게임 진행 전 플레이어 각각이 배분받은 m개의 상기 게임 말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1칸에 하나 씩 놓이고, 플레이어들 각각이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자음 칩 주머니에서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게 되는 N개(N은 5 이상의 정수)의 자음 칩과 상기 모음 칩 주머니에서 무작위로 뽑아 배분받게 되는 M개(M은 5 이상의 정수)의 모음 칩은 상기 가림막 뒤쪽에 놓이며,
    상기 주제카드 모음은 게임 진행에 따라 플레이어들에 의해 m장의 주제카드가 뽑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한 장씩 배치되며, 배분받아 상기 가림막 뒤쪽에 놓인 플레이어 별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은 m장의 주제카드 배치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플레이어에 의해 조합되어 상기 주제카드 배치 칸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m장의 주제카드 배치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플레이어 각자가 상기 주제카드 배치 칸 각각에 배치된 m개의 주제카드 중 하나의 주제카드에 나타난 하나의 주제에 연관된 단어를 상기 가림막 뒤쪽에서 플레이어 별로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들고 난 후,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전부 경과하고 나면 상기 가림막을 치워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플레이어가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서 해당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을 진행 규칙에 따라 이동시키며 점수를 획득하는 것을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으로 하며,
    반복 진행을 위해 하나의 턴이 넘어갈 경우, 진행된 기존 턴에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배치된 m장의 주제카드는 배제되고, 새롭게 상기 주제카드 모음으로부터 뽑힌 m장의 주제카드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에 하나 씩 마련된 주제카드 배치 칸에 한 장씩 배치된 상태로 다음 턴 진행이 이루어지며,
    상기 진행 규칙은 플레이어가 각자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연관된 주제를 표시한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해당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을 상기 제1칸 내지 상기 제n칸 중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이 놓인 가장 높은 순번의 칸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칸으로 이동시켜 해당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를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 진행 규칙은 반복 진행되는 하나의 턴을 기준으로, 정해진 게임 진행 순서에 따라 선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와 후 순서 플레이어가 배분받은 N개의 상기 자음 칩과 M개의 상기 모음 칩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가 동일할 경우, 해당 주제카드가 배치된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 놓인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 중 선 순서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 말에 한해 이동 및 점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며,
    게임 진행 전 다수개의 상기 보너스 타일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2칸에서 제n-1칸까지 모든 칸에 하나 씩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상기 보드게임 판 측으로 향해 가려지도록 무작위 배치되며,
    상기 진행 규칙은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내에서 특정 플레이어의 상기 게임말이 이동한 칸이 상기 제1칸 내지 상기 제n칸 중 상기 제2칸 내지 상기 제n-1칸일 경우, 특정 플레이어가 해당 칸에 배당된 획득 점수에 해당 칸에 배치된 보너스 타일 일면에 표시된 보너스 점수가 추가 합산된 점수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규칙은 게임 진행에 따라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n칸으로 플레이어들의 상기 게임 말이 m개 이하로 기 설정된 종료 기준수만큼 이동될 경우 게임 진행이 종료되며, 게임 진행이 종료된 시점에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게임 판은 상기 주제별 게임 말 이동영역 m개 각각의 상기 제n칸이 하나로 통합된 단일 칸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35513A 2020-03-24 2020-03-24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KR10248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13A KR102487425B1 (ko) 2020-03-24 2020-03-24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13A KR102487425B1 (ko) 2020-03-24 2020-03-24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603A KR20210119603A (ko) 2021-10-06
KR102487425B1 true KR102487425B1 (ko) 2023-01-12

Family

ID=7807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13A KR102487425B1 (ko) 2020-03-24 2020-03-24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321A (ko) 2022-08-02 2024-02-13 최기환 카드를 활용한 보드게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378A (ko) * 2010-03-31 2011-10-07 주식회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 언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
KR20110124665A (ko) * 2010-05-11 2011-11-17 최대웅 한글 자모 낱자를 조합하여 진행하는 보드 게임 방법 및 장치
KR101908112B1 (ko) * 2017-02-09 2018-10-15 이화연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603A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derman et al. The God particle: If the universe is the answer, what is the question?
US7275746B2 (en) Crossword puzzle board game
Gardner Penrose tiles to trapdoor ciphers: And the return of Dr Matrix
US6910893B2 (en) Card game for learning
US3215435A (en) Game apparatus with board, markers, and tokens bearing word fragements
US90431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honemic awareness
Du Sautoy The number mysteries: A mathematical odyssey through everyday life
KR102487425B1 (ko) 주제카드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및 방법
Gardner New Mathematical Diversions: Revised Edition
Simon Mathematical magic
US6986512B2 (en) Word game and method of play
US8567787B1 (en) Word scramble games for stimulating brain and physical health
Dobson Try One of My Games.
US6179294B1 (en) My century card game apparatus
US20180154249A1 (en) Crossword and Anagram Game and Method of Playing Such a Game
US7267341B2 (en) Word travels
US20050090303A1 (en) Card game for learning
US20170128823A1 (en) Multilevel educational alphabet corresponding numbers word game
KR101585632B1 (ko)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Du Sautoy Around the World in Eighty Games: From Tarot to Tic-Tac-Toe, Catan to Chutes and Ladders, a Mathematician Unlocks the Secrets of the World's Greatest Games
Schatz Rad women worldwide: Artists and athletes, pirates and punks, and other revolutionaries who shaped history
KR200464925Y1 (ko) 게임용 카드 세트
Balaban Passing Through A Gate
Nahin Will you be alive 10 years from now?: And numerous other curious questions in probability
Rosenberg Time Offline and 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