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372B1 -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372B1
KR102487372B1 KR1020210082469A KR20210082469A KR102487372B1 KR 102487372 B1 KR102487372 B1 KR 102487372B1 KR 1020210082469 A KR1020210082469 A KR 1020210082469A KR 20210082469 A KR20210082469 A KR 20210082469A KR 102487372 B1 KR102487372 B1 KR 102487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rame
string
support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17A (ko
Inventor
석병노
Original Assignee
석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병노 filed Critical 석병노
Priority to KR102021008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3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6Stationary duct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호스가 밀착되는 패드와,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유닛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되는 가동지지판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지지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호스를 감아서 권취시켜 호스다발을 형성하는 호스권취부; 가동지지판과 고정지지판의 일측에 각기 설치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며 끈이 공급되고 조여져서 결속되도록 하는 오토밴딩부; 프레임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호스권취부마다 형성되어 상기 오토밴딩부에서 공급되는 끈이 호스다발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끈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호스를 연속적으로 감아서 권취하여 원형의 호스다발을 형성한 후 이를 풀리지 않도록 일정 간격마다 끈을 감아서 결속시킬 수 있도록 끈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결속공정이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불량률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Hose bundle binding device of hose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를 연속적으로 감아서 권취한 호스다발을 끈으로 묶어 결속시키도록 하는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 및 튜브(이하 '호스'로 칭함)는 압출성형기에서 압출성형되어 제조되며, 인출과 동시에 이를 소정 길이 단위로 권취하여 제품으로 출하된다. 종래에는 인출되는 호스를 모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드럼에 권취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되었다.
호스를 원형으로 권취하여 호스다발을 형성한 후 상품화하기 위해 출하과정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묶어서 결속시켜야 한다.
결속 과정은 호스다발의 크기를 감안하여 다수 위치에 끈으로 묶어 결속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04111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를 연속적으로 감아서 권취하여 원형의 호스다발을 형성한 후 이를 풀리지 않도록 일정 간격마다 끈을 감아서 결속시킬 수 있도록 끈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호스가 밀착되는 패드와,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유닛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되는 가동지지판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지지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호스를 감아서 권취시켜 호스다발을 형성하는 호스권취부; 상기 가동지지판과 고정지지판의 일측에 각기 설치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며 끈이 공급되고 조여져서 결속되도록 하는 오토밴딩부;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호스권취부마다 형성되어 상기 오토밴딩부에서 공급되는 끈이 호스다발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끈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끈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양 측벽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되며,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노끈이 삽입되는 요홈과, 일단 개구부와 통하며 일단 양 측벽과 바닥면에 경사지게 절개되어 확장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벽에 각기 힌지결합되며 노끈이 미는 힘에 의해 개방작동되는 좌,우측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덮개부재 각각은, 측벽에 형성된 힌지부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바디의 요홈을 덮도록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면부와 상반되게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내측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내측 지지대를 연결하는 부착부가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마주보게 결합되며 프레임에 장착되며, 양측에 외측 지지대가 형성되고, 양측의 외측 지지대를 연결하는 부착부가 형성된 제2브라켓; 상기 결합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양측 내측 지지대 및 외측 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1브라켓의 부착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브라켓의 부착부에 지지되는 탄성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 덮개부재는 일단에 비스듬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부가 각기 형성되고, 양측 경사부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부는 확장부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를 연속적으로 감아서 권취하여 원형의 호스다발을 형성한 후 이를 풀리지 않도록 일정 간격마다 끈을 감아서 결속시킬 수 있도록 끈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결속공정이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불량률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호스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호스권취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끈 안내부의 폐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끈 안내부'의 개방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끈 안내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끈 밴딩이 완성된 호스다발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호스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호스권취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끈 안내부의 폐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끈 안내부'의 개방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끈 안내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의 끈 밴딩이 완성된 호스다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다발 결속장치는, 회전구동부(10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레임(2); 상기 프레임(2)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호스(200)가 밀착되는 패드(42)를 구비한 호스권취부(4);를 포함한다.
회전구동부(100)는 프레임(2)의 단부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외측에 형성된 주동기어와,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는 체인 및 주동기어에 결합된 모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주동기어의 회전 및 종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이 회전하게 된다.
모터는 감속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감속에 의해 적정한 저속으로 회전 동력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호스권취부(4)는, 상기 패드(42)의 하부에 장착되며, 동력에 의해 인출 또는 인입작동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실린더유닛(44)과, 상기 프레임(2)의 전단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실린더로드에 힌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의 인출 또는 인입작동에 연동되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되는 가동지지판(46) 및 상기 프레임(2)의 후단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지지판(46)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판(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지지판(46)은 수직하게 세워지면 고정지지판(48)과 평행한 상태가 되고, 이격되어 패드(42)의 양측을 막게 되므로 패드(42)에 호스(200)가 일정 두께로 감기더라도 풀리지 않게 잡아줄 수 있다.
호스권취부(4)는 대략 5개가 등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회전됨으로써 패드(42)에 호스(200)가 권취될 수 있다.
다수개의 호스권취부(4) 중 일부의 호스권취부(4)에는 프레임(2)에 호스협지부(6)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200)는 끝단이 호스협지부(6)에 협지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다수의 호스권취부(4)가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연속적으로 호스(200)를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지지판(46)과 고정지지판(48)의 일측에 각기 설치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며 끈(W)이 공급되고 조여져서 결속되도록 하는 오토밴딩부(300);가 포함된다.
오토밴딩부(300)는 일측에 끈(W)이 공급되는 공급부(320)와, 타측에서 끈(W)을 당겨 조임상태가 되도록 하는 감김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호스권취부(4) 마다 형성되어 상기 오토밴딩부(300)에서 공급되는 끈(W)이 호스다발(W2)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끈 안내부(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끈 안내부(A)는,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 장착되며, 양 측벽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되며,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노끈(W)이 삽입되는 요홈(30)과, 일단 개구부와 통하며 일단 양 측벽(34)과 바닥면에 경사지게 절개되어 확장부(32)가 형성된 바디(3);
상기 바디(3)의 양측벽에 각기 힌지결합되며 노끈(W)이 미는 힘에 의해 개방작동되는 좌,우측 덮개부재(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덮개부재(5,5') 각각은, 측벽(34)에 형성된 힌지부(7)에 결합되는 수직부(50)와, 상기 수직부(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바디(3)의 요홈(30)을 덮도록 형성된 상면부(52)와, 상기 수직부(50)의 하부에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면부(52)와 상반되게 돌출되는 지지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부(7)는, 지지부(54)의 하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내측 지지대(710)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내측 지지대(710)를 연결하는 부착부(711)가 형성된 제1브라켓(71); 제1브라켓(71)에 마주보게 결합되며 프레임(2)에 장착되며, 양측에 외측 지지대(720)가 형성되고, 양측의 외측 지지대(720)를 연결하는 부착부(721)가 형성된 제2브라켓(72); 상기 제1브라켓(71)과 제2브라켓(72)의 양측 내측 지지대(710) 및 외측 지지대(72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73); 상기 샤프트(73)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1브라켓(71)의 부착부(711)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브라켓(72)의 부착부(721)에 지지되는 탄성복원부재(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브라켓(71)과 제2브라켓(72)은 각각 '┌┐', '└┘' 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브라켓(71)과 제2브라켓(72)이 상호 대향되어 마주보게 결합되고, 샤프트(73)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좌,우측 덮개부재(5,5')는 일단에 비스듬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부(53)가 각기 형성되고, 양측 경사부(53)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부(53)는 확장부(32)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끈 안내부(A)의 공급부(320)에서 끈(W)이 바디(3)의 요홈(30)의 확장부(32)를 통해 삽입되어 요홈(30)의 타측 개구부로 공급된다.
타측 개구부로 인출된 끈(W)을 감김부(340)에 연결한다.
따라서 공급부(320)의 끈(W)을 끈 안내부(A)에 삽입함으로써 호스다발(W2)의 내측으로 통과되고, 타측의 감김부(340)에 끈(W)이 고정된 후 감김부(340)의 감김작동에 의해 끈(W)이 당겨지되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좌,우측 덮개부재(5,5')를 밀어 개방시키면서 끈(W)이 배출되어 호스다발(W2)을 감아 결합하게 된다.
끈(W)이 바디(3)에서 배출된 후 좌,우측 덮개부재(5,5')는 힌지부(7)의 탄성복원부재(7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폐쇄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바디(3)의 길이가 호스다발(W2)의 폭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바디(3)의 요홈(30)도 길게 형성되므로 요홈(30)에 삽입되었던 끈(W)이 접선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요홈(30)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덮개부재()가 개방되고, 끈(W)이 동시에 호스다발(W2)을 감싸서 결속하게 되므로 끈(W)이 헝클어지지 않아 깔끔하면서 견고하게 결속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프레임 3 : 바디
4 : 호스권취부 5, 5' : 덮개부재
6 : 호스협지부 7 : 힌지부
30 ; 요홈 32 : 확장부
44 : 실린더유닛 46 : 가동지지판
42 : 패드 48 : 고정지지판
W : 호스 50 ; 수직부
52 : 상면부 54 : 지지부

Claims (3)

  1.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장착되며, 호스가 밀착되는 패드와,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유닛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되는 가동지지판과,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지지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호스를 감아서 권취시켜 호스다발을 형성하는 호스권취부;
    상기 가동지지판과 고정지지판의 일측에 각기 설치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며 끈이 공급되고 조여져서 결속되도록 하는 오토밴딩부;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호스권취부마다 형성되어 상기 오토밴딩부에서 공급되는 끈이 호스다발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끈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끈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양 측벽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되며,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노끈이 삽입되는 요홈과, 일단 개구부와 통하며 일단 양 측벽과 바닥면에 경사지게 절개되어 확장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벽에 각기 힌지결합되며 노끈이 미는 힘에 의해 개방작동되는 좌,우측 덮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덮개부재 각각은, 측벽에 형성된 힌지부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바디의 요홈을 덮도록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면부와 상반되게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내측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내측 지지대를 연결하는 부착부가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마주보게 결합되며 프레임에 장착되며, 양측에 외측 지지대가 형성되고, 양측의 외측 지지대를 연결하는 부착부가 형성된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양측 내측 지지대 및 외측 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1브라켓의 부착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브라켓의 부착부에 지지되는 탄성복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덮개부재는 일단에 비스듬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부가 각기 형성되고, 양측 경사부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부는 확장부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KR1020210082469A 2021-06-24 2021-06-24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KR10248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69A KR102487372B1 (ko) 2021-06-24 2021-06-24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69A KR102487372B1 (ko) 2021-06-24 2021-06-24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7A KR20230000517A (ko) 2023-01-03
KR102487372B1 true KR102487372B1 (ko) 2023-01-11

Family

ID=8489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69A KR102487372B1 (ko) 2021-06-24 2021-06-24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2698B (zh) * 2023-11-30 2024-02-02 海阳三贤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卷绕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52B1 (ko) * 2019-03-12 2019-05-23 강병우 가변 가능한 호스 권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001U (ja) * 1984-03-08 1985-09-27 ナンモト株式会社 巻取機械の結束装置
KR102041111B1 (ko) 2018-05-15 2019-11-07 미광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호스 및 튜브 권취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호스 및 튜브 제조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52B1 (ko) * 2019-03-12 2019-05-23 강병우 가변 가능한 호스 권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17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2184B (zh) 用于制造纤维束的装置和方法
KR100686615B1 (ko) 베니어시트권취롤의 권취해제장치
KR102487372B1 (ko)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결속장치
PT2310274E (pt)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para fio para amarrar de uma máquina atadeira
CN109649727A (zh) 一种建筑施工用钢管自动化捆扎设备
JP4777407B2 (ja) 整経装置
CN106710733B (zh) 一种绞线机及其防止线盘意外脱落的装置
JPH07112529B2 (ja) 繊維束のラップ方法
JP2013056756A (ja) ケーブルベアー巻取装置
ITMI20131761A1 (it)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automatica del tensionamento del filo durante le varie fasi di avvolgimento in macchine per l'avvolgimento di bobine elettriche.
CN107555239A (zh) 一种可防止钢丝打结的钢丝缠绕包装设备
KR20230000521A (ko) 호스권취기의 호스다발 토출장치
KR20230098406A (ko) 호스권취기의 밴딩장치
CN207361506U (zh) 一种卷带机
WO2002022484A1 (en) End connecting device
JP4563298B2 (ja) 帯状の荷造ひもを用いた結束方法
KR100318027B1 (ko) 밴드장력조절기를 갖는 포장용 밴딩장치
CN211920464U (zh) 一种自动收线的线筒
CN113401725B (zh) 一种高分子编织绳成型装置
CN218258864U (zh) 一种封装机械专用贴合机构
CN219728979U (zh) 一种络筒机纱管存放装置
KR20230000519A (ko) 호스 제조용 권취장치
CN208815209U (zh) 一种纱线纺织用捻线装置
CN107265153A (zh) 一种收料机构
CN209062944U (zh) 一种用于散热器芯体捆扎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