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353B1 -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 Google Patents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353B1
KR102487353B1 KR1020200135267A KR20200135267A KR102487353B1 KR 102487353 B1 KR102487353 B1 KR 102487353B1 KR 1020200135267 A KR1020200135267 A KR 1020200135267A KR 20200135267 A KR20200135267 A KR 20200135267A KR 102487353 B1 KR102487353 B1 KR 10248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fluorine
holder
storage unit
f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636A (ko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3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7Supplying powder or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불소가 함침되어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는 치실, 상기 치실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서 봉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홀더부와 인접한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니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치실이 감겨져 보관되는 치실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치실에 상기 불소가 함침되도록 형성되는 불소함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치실이 관통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부를 포함하여 치아 사이에 치실을 삽입하여 불소 도포가 어려운 치아 사이에 불소를 도포하여 치아 건강을 도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FLUORINE-APPLIED DENTAL FLOSS}
본 발명은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불소가 함침되어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는 치실, 상기 치실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서 봉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홀더부와 인접한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니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치실이 감겨져 보관되는 치실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치실에 상기 불소가 함침되도록 형성되는 불소함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치실이 관통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부를 포함하여 치아 사이에 치실을 삽입하여 불소 도포가 어려운 치아 사이에 불소를 도포하여 치아 건강을 도모하는 것이다.
치과 진료에서 치아 우식증 및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치아에 불소를 도포한다.
불소는 치아에 불소 막을 형성하여 세균으로부터 치아의 충치를 예방하고 치아를 강하게 하여 초기에 우식증이나 충치를 예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불소는 칼슘 등의 무기질이 결합하는 과정을 강화하여 치아의 에나멜을 강하게 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세균 등에 의해 형성되는 산에 잘 견디어 치아 표면을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현재,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는 방법은 불소 치약을 사용하거나, 불소 용액 가글, 불소 정제 복용 및 치아 표면에 불소를 도포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불소 코팅 장치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불화물 용액을 적신 솜을 삽입시켜 치아에 접촉하여 불소를 연속적으로 치아에 코팅시킨다.
여기서, 대상 치아 하나하나에 집중적인 불소 코팅을 하기 위해서는 핸드피스를 주로 사용하며, 핸드피스의 구조 상, 치아의 사이 즉 치간에 불소 용액을 도포하기가 매우 힘든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석이라 일컫는 치태가 굳어진 덩어리는 양치에 의해 치아의 외부 표면에서 쉽게 제거가 되나, 치간 사이의 치석이나 치태는 양치로 제거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치간에 세균의 활동성이 증대되고 충치 및 우식증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치간에 불소의 도포를 도포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치간에 불소를 도포할 수 있는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660921 B1
본 발명의 목적은 치간에 불소 도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로, 치실에 불소를 함침시켜 치간에 불소를 도포하고, 치간에 발생하는 충치 및 우식증을 예방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에 사용되는 치실; 상기 치실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서 봉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니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치실이 권취되는 치실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치실에 불소를 함침시키는 불소함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이 풀려, 상기 불소함침부를 거친 뒤, 상기 불소가 함침된 상기 치실이 상기 홀더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홀더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에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홀더홈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상측에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홀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홈부 및 상기 제2 홀더홈부는 상기 치실이 걸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불소함침부는, 상기 불소가 저장되는 불소보관부; 및 상기 치실이 상기 불소보관부에 저장된 상기 불소에 함침되도록 상기 치실을 가압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실보관부는 상기 치실이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다.
본 발명에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은 치간에 불소를 도포하여 치아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실에 불소를 함치시키기 위해 걸림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불소를 함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히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치실에 불소를 함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실이 커팅부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력부에 치실이 감겨져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치간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은,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켜 치아의 치간에 불소의 도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발명이며, 이로 인해 치아 사이의 충치 및 치아우식증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은, 손잡이부(100), 홀더부(200), 치실보관부(300) 및 불소함침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00)는 봉 형태로 형성된다.
손잡이부(100)는 사람이 손으로 파지 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봉 형태가 바람직지만. 여기서 손잡이부(100)의 형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실시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에 국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손잡이부(100)는 본 발명을 치아에 사용할 때, 시술자의 손으로 잡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100)는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보관되거나 위치하는 보관부(110)를 포함한다.
보관부(110)는 손잡이부(100)의 일면에서 도 1의 Y축 방향 즉 폭 방향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관부(110)의 일면에는 후술할 치실(310)이 관통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관통부(111)가 형성된다.
관통부(111)는 보관부(110)의 일면에서 보관부(110)의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부(200)는 손잡이부(100)와 맞닿아 있으며 양 단부가 돌출된 알파벳 대문자 'U' 또는 중앙이 개방된 사면으로 구획된 형태에서 상부가 개방되어 양 단부가 원형의 봉 또는 막대 형태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홀더부(200)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201), 제1 지지부(202), 제2 지지부(203), 장력부(210), 커팅부(220) 및 홀더관통부(2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01)는, 손잡이부(100)와 맞닿아 연장 형성되며 손잡이부(100)와 동일한 봉 형태일 수 있다.
제1 지지부(202)는 베이스부(201)의 일단에서 폭 방향으로 봉 또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203)는 베이스부(201)의 타단에서 폭 방향으로 제1 지지부(202)와 동일한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지지부(202)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홀더부(200)는 'U' 형상을 지니게 된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202)의 상측에는 홈 형태의 제1 홀더홈부(204)가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2 지지부(203)의 상측에도 제1 홀더홈부(204)와 동일한 제2 홀더홈부(205)가 형성된다.
제1 홀더홈부(204) 및 제2 홀더홈부(205)에는 치실(310)이 걸어져 치아(S)에 사용되는 치실(310)이 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제1 홀더홈부(204) 및 제2 홀더홈부(205)는 치실(310)이 고정되어 치실(3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S)에 사용될 만큼만 치실(310)이 구비되기 때문에 치실(310)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장력부(210)는 제1 지지부(202)의 좌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나사 형태 또는 송곳 형태가 바람직하다. 장력부(210)는 후술할 치실(310)이 권취되어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게 되며, 치실(310)에 장력을 부가하여 치실(310)이 치간에 사용될 때, 장력을 통해 쉽게 흐트러지지 않아 불소를 일정하게 치간에 도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력부(210)의 외주면은 나사산(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커팅부(220)는 제1 지지부(202)의 좌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장력부(2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커팅부(220)는 장력부(210)에 감겨지고 남은 치실(310)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커팅부(220)는 치아(S)에 사용된 치실(310)을 끊어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커팅부(22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커팅부(220)의 내측면에만 절삭 가능한 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치실(310)을 자르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간단히 치실(310)을 제거할 수 있어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홀더관통부(230)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전술한 장력부(21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홀더관통부(230)에 장력부(210)가 삽입되어 장력부(210)에 감겨진 치실(310)이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치실보관부(300)는 보관부(110) 내부에 형성되며, 치실(310)과 치실(310)이 권취되는 거치부(320)를 포함한다.
치실(310)은 치과 진료 또는 치간의 치태나 치석을 제거하기 위해 치아(S)를 닦는 의료용품으로 주로 여러 개의 얇은 실로 이루어진다. 치실(310)의 상세한 설명은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거치부(32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을 따라 치실(310)이 권취되어 보관된다.
이때, 거치부(320)는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하게는 치실(31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부(320)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치실(310)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내장된 치실(310)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부(320)는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치실(310)을 소진하더라도 분리하여 새로운 치실(310)을 보충하기만 하면 재사용할 수 있다.
이에, 단순히 일회용이 아닌 다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여기에, 거치부(32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각형의 거치부(320)의 외측면을 따라 치실(310)이 권취되어 치실(310)이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권취된 치실(310)과 거치부(320)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귄취된 치실(310)이 쉽게 풀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에 사용되는 치실(310)은 청결 유지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치실보관부(300)는 보관부(110) 내부에서 형성되어 치실(310)이 외부오염에 강한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불소함침부(400)는 보관부(110) 내부에 형성된 불소보관부(410) 및 상기 치실(310)을 가압하는 걸림부(420)를 포함한다.
불소함침부(400)는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며, 불소보관부(410)의 내부에는 불소나트륨 및 산성불화인산염 등 종래의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도포되는 불소가 포함된 제제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부(420)는 보관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420)는 헤드부(421), 힌지부(422) 및 함침손잡이부(423)를 포함한다.
힌지부(422)는 보관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상호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힌지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부(422)의 힌지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힌지부(422)는 보관부의 외측면에서 걸림부(42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걸림부(420)의 헤드부(421)는 힌지부(422)의 보관부의 내측면과 가까운 일면에 맞닿아 막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갈고리 또는 'U' 형상으로 치실(310)을 감싸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422)를 기준으로 보관부의 외측면과 가까운 힌지부(422)의 일면에는 힌지부(422)와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함침손잡이부(4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손잡이부(4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상측 및 하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힌지 구조로 인해 헤드부(421)가 치실(310)을 가압하여 전술한 불소보관부(410)에 담겨 불소가 치실(310)에 함침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방법 및 작동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또는 시술자는 거치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진 치실(310)을 풀어 관통부(111)로 배출시킨다.
관통부(111)로 배출된 치실(310)은 보관부의 상측을 따라 걸쳐지는 형상으로 이동되어 도 2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홀더홈부(204)에서 제2 홀더홈부(205)를 향하여 치실(310)을 관통시키기 위해 치실(310)을 제1 지지부(202)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보관부(110) 내부에 위치한 불소보관부(410)의 상측에 치실(310)을 위치시키게 된다.
불소보관부(410)에 보관된 불소(L)를 치실(310)에 함침시키기 위해 걸림부(420)는 치실(310)을 가압하여 치실(310)에 불소(L)를 묻혀 함침시키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5를 참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실(310)이 불소함침부(4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부(420)의 헤드부(421)는 치실(310)을 가압하여 불소를 치실(310)에 묻혀 불소를 치실(310)에 함침시키게 된다.
상세히 도 5(a)를 참조하면, 걸림부(420)의 함침손잡이부(423)를 상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힌지부(422)로 인해 헤드부(421)는 하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 때,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헤드부(421)는 불소보관부(410)를 향해 하강하게 되고 헤드부(421)에 치실(310)이 걸려 치실(310)이 불소 제제(L)에 담기게 된다.
걸림부(420)의 함침손잡이를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헤드부(421)를 불소보관부(410)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면 치실(310)을 계속 배출하여 사용하더라도 치실(310)에 지속적으로 불소를 함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단순히 걸림부(420)로 치실(310)을 가압하기만 하면 치실(310)에 불소를 손쉽게 함침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켜 치간에 불소를 도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걸림부(420)의 작동으로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키지 않으면 일반적인 치실(310)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치실(310)을 제작하는 공정에서 불소를 첨가하여 제조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불소가 함침된 치실(310)을 제1 홀더홈부(204)와 제2 홀더홈부(205)에 끼워 치간에 불소를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치실(310)의 일부분이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홀더홈부(204) 및 제2 홀더홈부(205)에 끼워지고 남은 치실(310)은 치실(310)에 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장력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감아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장력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치실(310)이 감아지게 되면, 치간 사이에 불소를 도포하는 치실(310) 부분은 장력이 형성되어 치간에 사용될 때 흐트러지지 않고 불소를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장력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치실(310)이 감아지면 장력부(210)는 나사산(211)으로 인해 홀더관통부(230)와 나사 결합하여 치실(310)이 홀더부(200)의 외측면과 장력부(210)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치실(310)을 치간에 사용할 때 치실(310)이 치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실(310)을 가압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력이 증대되어 치실(310)이 쉽게 장력부(210)에서 풀리지 않아 치실(310)을 사용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홀더관통부(230)의 내측면에는 장력부(210)의 나사산(211)에 대응되어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장력부(210)에 감아지고 남은 치실(310)은 사용자의 구강내에 위치하여 치아나 잇몸에 닿아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들에 엉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팅부(220)의 내측면에 치실(310)을 위치시켜 커팅부(220)의 날에 의해 치실(310)을 끊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치실(310)을 제거하여 새로운 불소가 함침된 치실(310)을 홀더부(200)에 재위치하여 치간에 불소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커팅부(220)로 인해 사용된 치실(310)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팅부(220)는 내측면에만 절삭이 가능한 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미도시 되었지만 불소함침부(400)의 상측에는 불소함침부(400)를 덮는 캡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캡부는 불소함침부(400)를 덮어 불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캡부의 형태는 특정한 형태가 아닌 상부를 밀폐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불소의 도포가 가능한 치실(310)을 치아(S)의 치간에 사용하는 형태를 도시했다.
본 발명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치아(S) 사이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치실(310)에 함침된 불소를 치아(S)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치아(S)에 도포되는 불소 도포 방식은 치아(S)의 표면에 불소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기존의 방식은 치간 즉 치아 사이에 불소의 도포가 어려워 치간에 충치 및 치아우식증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치간에 사용되는 치실(310)에 불소를 함침시켜 치간에 불소를 도포하여 치간에 발생되는 충치 및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손잡이부,
110 : 보관부,
111 : 관통부,
200 : 홀더부,
201 : 베이스부,
202 : 제1 지지부,
203 : 제2 지지부,
204 : 제1 홀더홈부,
205 : 제2 홀더홈부,
210 : 장력부,
211 : 나사산,
220 : 커팅부,
230 : 홀더관통부,
300 : 치실보관부,
310 : 치실,
320 : 거치부,
400 : 불소함침부,
410 : 불소보관부,
420 : 걸림부,
421 : 헤드부,
422 : 힌지부,
423 : 함침손잡이부,
S : 치아,
L : 불소제제.

Claims (5)

  1. 치아에 사용되는 치실;
    상기 치실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단에서 봉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를 지니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치실이 권취되는 치실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치실에 불소를 함침시키는 불소함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실이 풀려, 상기 불소함침부를 거친 뒤, 상기 불소가 함침된 상기 치실이 상기 홀더부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에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홀더홈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상측에서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홀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홈부 및 상기 제2 홀더홈부는 상기 치실이 걸어지고,
    상기 불소함침부는,
    상기 불소가 저장되는 불소보관부; 및
    상기 치실이 상기 불소보관부에 저장된 상기 불소에 함침되도록 상기 치실을 가압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인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보관부는 상기 치실이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인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것인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KR1020200135267A 2020-10-19 2020-10-19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KR10248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67A KR102487353B1 (ko) 2020-10-19 2020-10-19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67A KR102487353B1 (ko) 2020-10-19 2020-10-19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36A KR20220051636A (ko) 2022-04-26
KR102487353B1 true KR102487353B1 (ko) 2023-01-10

Family

ID=8139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67A KR102487353B1 (ko) 2020-10-19 2020-10-19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3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972A1 (en) * 2007-06-28 2010-08-05 Erez Benn Kazes Flo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21B1 (ko) 2006-01-25 2006-12-26 문창수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AU2011357734B2 (en) * 2011-02-01 2015-01-22 Colgate-Palmolive Company Device to provide enhanced flossing benefi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972A1 (en) * 2007-06-28 2010-08-05 Erez Benn Kazes Flo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36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599A (en) Medicament containing dental brush
US4321038A (en) Braided gingival retraction cord
RU25574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межзубных промежутков
US6092536A (en) Flossing tool
ES2228469T3 (es) Elemento de limpieza, en especial para limpiar diente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S601018B2 (ja) 歯垢除去ならびに歯肉マツサージ用具
CA2540032A1 (en) Applicator for cleaning teeth
US20140048096A1 (en) Flossing device
US5560378A (en) Self-dispensing dental floss applicator
KR102487353B1 (ko)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NZ510106A (en) Dental floss
US5094255A (en) Acrylic dental floss and method for manufacture
JPH06113920A (ja) 光エネルギー電子歯ブラシ
US3987806A (en) Dental floss applicator
GB1592513A (en) Multipurpose tooth cleaner
US20120325263A1 (en) Flossing device
US43300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ntal hygiene
US5899214A (en) Dental floss dispenser and applicator used in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CN106413474B (zh) 口腔护理系统
US10993791B2 (en) Floss feeder
US7922487B2 (en) Chemically pre-impregnated silk retraction cords having increased strength
US3747612A (en) Dental instrument
WO1999005987A1 (en) Tooth whitening system
JP2645353B2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JPS63300756A (ja) 歯科用フロ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