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921B1 -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921B1
KR100660921B1 KR1020060007679A KR20060007679A KR100660921B1 KR 100660921 B1 KR100660921 B1 KR 100660921B1 KR 1020060007679 A KR1020060007679 A KR 1020060007679A KR 20060007679 A KR20060007679 A KR 20060007679A KR 100660921 B1 KR100660921 B1 KR 10066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andpiece
terminal
fluorine coating
co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수
Original Assignee
문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수 filed Critical 문창수
Priority to KR102006000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7Supplying powder or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6Fluorin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우식증 및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아에 불소를 코팅하는 장치에 결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불소코팅장치에 연결되고, 인체에 접촉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봉과 폐루프를 형성하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전단에 전결합구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단자결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전결합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전후로 관통되게 팁삽입구가 형성된 팁착탈결합부재와; 도전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팁착탈결합부재의 팁삽입구에 결합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치과처치용팁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불소코팅장치의 (-)단자와 상기 치과처치용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도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치과처치용팁이 착탈결합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여 소독 및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이며, 내외부가 완전히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안전하고, 여러가지 치과처치용팁의 결합이 가능하여 하나의 핸드피스만으로도 다양한 목적의 치료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불소 코팅 착탈 결합 핸드피스 팁 탄성

Description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fluorine coating apparatus of teeth}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의 (-)단자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도전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단면도((a)팁착탈결합부재가 본체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 (b)팁착탈결합부재가 본체에 약간 결합된 상태).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가 결합된 불소코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적용예시도.
도 7 - 본 발명에 따른 마모상태확인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사시도.
도 8 -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치아 20 : 솜
30 : 불소코팅장치
100 : 본체 110 : 전결합구
120 : (-)단자결합부 130 : 후결합구
200 : 팁착탈결합부재 210 : 팁삽입구
220 : 나사산 230 : 탄성공간
300 : 치과처치용팁 310 : 전도구
320 : 치과처치부 321 : 치과처치구
321a : 솜수용홈 322 : 절연부재
400 : 도전부재 410 : 가이드통
411 : 단자접속핀 420 : 외통
421 : 내부걸림턱 430 : 도전탄성볼
440 : 내통 441 : 걸림프렌지
442 : 팁접속핀 450 : 압축스프링
460 : 절연외피
본 발명은 치아 우식증 및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아에 불소를 코팅하는 장치에 결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과처치용팁이 착탈결합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소는 치아에 불소 막을 형성하여 세균으로부터 치아가 잘 견디도록 하고 치아를 강하게 해주어 초기에 치아 우식증이나 충치를 예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불소는 칼슘 등의 무기질이 치아에 불소 막을 형성하여 세균으로부터 치아가 잘 견디도록 하고 치아를 강하게 해주어 초기에 치아 우식증이나 충치를 예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불소는 칼슘 등의 무기질이 치아에 결합하는 과정을 강화하고 치아의 에나멜을 강하게 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세균 등에 의해 형성되는 산에 잘 견디어 치아 표면을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현재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아에 불소를 사용하는 방법은 불소 치약 사용, 불소 용액 양치, 불소 정제 복용, 수돗물 불소화, 불소 도입 등의 방법이 있으며, 여기에서는 경제성 및 효율성, 신속성을 고려하여 불소 코팅 장치에 의한 능동적인 불소 도입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불소 코팅 장치는 (-)단자와 연결된 마우스피스트레이에 형성된 홈이나 핸드피스에 형성된 치과처치용팁에 불화물 용액을 적신 솜을 삽입시켜 치려대상 치아에 접촉시키고, (+)단자와 연결된 손잡이봉을 손으로 잡으면, 인체에 흐 르는 미세 전류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어 불소를 연속적으로 치아에 코팅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대상 치아 하나하나에 집중적인 불소 코팅을 하기 위해서는 핸드피스를 주로 사용하며, 핸드피스는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핸드피스는 전단에 치과처치용팁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는 환자의 치료가 끝난 후에 핸드피스 전체를 소독해야 하는 번거로음이 있으며, 제대로 소독 및 세척이 되지 않아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과처치용팁을 통해 소독액 및 세척액, 침 등의 수분이 스며들어 치과처치용팁의 전기적 접속부분에 문제가 생겨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피스에 상기 치과처치용팁이 고정되어 있어서, 불소 코팅용이 아닌 그 전단계나 후단계로서 치아의 마모상태를 관찰하거나 치아에 붙어 있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그에 해당하는 치과처치용팁이 형성된 핸드피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과처치용팁이 착탈결합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여 위생적이며, 전기적으로 안전하고, 다양한 목적의 치과처치용팁의 결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불소 코팅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불소코팅장치에 연결되고, 인체에 접촉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봉과 폐루프를 형성하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전단에 전결합구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단자결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전결합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전후로 관통되게 팁삽입구가 형성된 팁착탈결합부재와; 도전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팁착탈결합부재의 팁삽입구에 결합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치과처치용팁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불소코팅장치의 (-)단자와 상기 치과처치용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도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결합구는, 상기 본체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팁착탈결합부재는, 상기 전결합구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수직으로 탄성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결합구와 나사결합되면 상기 탄성공간이 좁아지면서 상기 팁삽입구가 조여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과처치용팁은, 상기 팁삽입구에 삽입되어 팁삽입구가 조여지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전도구와, 상기 전도구 전단에 형성된 치과처치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치과처치부는, 상기 전도구와 전기적으로 연통되며 소정 각도 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전단에는 솜수용홈이 형성된 치과처치구와; 상기 치과처치구 외주면을 에워싸며 외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절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과처치부는, 상기 전도구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구부려져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과처치부는, 상기 전도구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후단에 후결합구가 형성되어, (-)단자결합부가 착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단자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결합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부재는, (-)단자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측으로 상기 치과처치용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가압시키면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부재는, (-)단자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후단에 단자접속핀이 형성된 가이드통과; 상기 가이드통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전후에 입구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내부걸림턱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후측 입구에 수용되며, 상기 후측 입구보다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도전탄성볼과; 상기 외통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통 내외부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되, 후단에 걸림프렌 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걸림턱에 의해 더 이상 상기 외통 외부로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전단에는 팁접속핀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전탄성볼과 상기 내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통에 의한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단자결합부 전단과, 상기 가이드통을 에워싸며 상기 (-)단자결합부와 상기 가이드통을 고정시키는 절연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의 팁접속핀은, 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통의 팁접속핀은, 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결합구는, 상기 본체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치과처치용팁이 착탈결합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여 소독 및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이며, 내외부가 완전히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안전하고, 여러가지 치과처치용팁의 결합이 가능하여 하나의 핸드피스만으로도 다양한 목적의 치료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치과처치용팁의 형태나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도전부재와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정적이고도 원활한 치료 및 진단과정이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의 (-)단자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도전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단면도((a)팁착탈결합부재가 본체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 (b)팁착탈결합부재가 본체에 약간 결합된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가 결합된 불소코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적용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상태확인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용팁이 형성된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소코팅장치(30)에 연결되고, 인체에 접촉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봉과 폐루프를 형성하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과 연결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불소코팅장치(30)는 일반적으로 (-)극성을 가지는 핸드피스에 형성된 치과처치용팁(300)에 불화물을 적신 솜(20)을 삼입시켜 치료 대상 치아(10) 표면에 대고, (+)극성을 가지는 전극봉을 손으로 잡으면, 인체에 흐르는 미세 전류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불화물이 이온화되면서 불소이온이 연속적으로 대상 치아(10)에 코팅되는 원리이다.
여기에서 상기 핸드피스에 형성된 치과처치용팁(300)은 착탈결합되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은 불소코팅용팁, 마모상태확인용팁, 이물질제거용팁 등 불소코팅치료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팁을 포함하는 것으로, 불소코팅치료에 들어가기 전이나 후단계에서 사용되는 팁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는 본체(100), 팁착탈결합부재(200), 치과처치용팁(300), 도전부재(4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본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긴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후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전단에 전결합구(110)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단자결합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길이는 사람이 손으로 잡고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이다.
상기 전결합구(110)는 상기 본체(100) 전단 내주면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결합구(110)에 후술할 팁착탈결합부재(2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전결합구(110)와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는 나사결합되어 착탈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결합부(120)는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100)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단자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접속구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후측으로 연장되게 후술할 도전부재(400)와 연결되는 도전결합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접속구는 상기 (-)단자결합부(120) 전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접속구는 전도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 며, 불소코팅장치(30)의 전류공급부에서 인출된 (-)단자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도전결합구(110)는 전도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접속구와 전기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도전부재(400)와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후단에는 (-)단자결합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의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단자결합부(120)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결합부(120)의 상기 본체(100) 후단으로의 착탈식 결합을 위해 상기 본체(100) 후단에는 후결합구(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결합구(130)는 상기 본체(100) 후단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결합부(120)는 상기 (-)단자접속구 및 상기 도전결합구(110)와 절연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 전후단 내측 내주면에 각각 전결합구(110)와 후결합구(130)가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결합구(110)에는 팁착탈결합부재(200)가, 상기 후결합구(130)에는 (-)단자결합부(120)가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100) 전후단에 결합되는 팁착탈결합부재(200) 및 (-)단자결합부(120)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는 비전도재질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220)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전결합구(110)에 형성된 나사산(220)과 착탈식으로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의 후측은 상기 본체(100)의 전결합구(1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수용되고, 전측은 상기 본체(100)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사용자가 핸드피스를 손으로 잡고 작업에 임할 때 엄지와 검지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을 상기 본체(100) 전측의 외측에 남겨둔 것으로 작업의 편리를 도모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도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잡고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나사결합시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는 전후로 관통되게 팁삽입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에 형성된 나사산(220)에 수직으로 탄성공간(230)이 원호방향으로 4개가 형성된다.
상기 팁삽입구(210)와 상기 탄성공간(230)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와 상기 팁착탈결합부가 나사결합되면 상기 탄성공간(230)이 좁아지면서 상기 팁삽입구(210)가 조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를 상기 팁삽입구(21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를 상기 본체(100) 전측으로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탄성공간(230)이 좁혀지면서 상기 팁삽입구(210)가 조여지고, 이에 의해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가 상기 팁삽입구(210)에서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은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의 팁삽입구(210)에 삽입되어 상기 팁삽입구(210)가 조여지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전도구(310)와, 상기 전도구(310) 전단에 형성된 치과처치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구(310)는 전도재질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의 팁삽입구(210)에 삽입되어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와 상기 본체(100)가 나사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상기 전도구(310)가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가 상기 본체(100) 전측으로 나사결합되면 상기 팁삽입구(210)가 조여지면서 상기 전도구(310)는 상기 팁삽입구(210)에 꼭 맞게 되어 더 이상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은 불소코팅용팁, 마모상태확인용팁, 이물질제거용팁 등으로 형성되어 치료과정 중 필요시에 적당한 팁을 선택하여 상기 팁삽입구(210)에 삽입하여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를 상기 본체(100) 전측에 나사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소코팅용팁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에 불소이온을 코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도구(310)와, 상기 치과처치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치과처치부(320)는 상기 전도구(310)와 전기적으로 연통되며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전단에는 솜수용홈(321a)이 형성된 치과처치구 (321)와, 상기 치과처치구(321) 외주면을 에워싸며 외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절연부재(3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솜수용홈(321a)에 불화물 용액을 적신 솜(20)을 넣고,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솜수용홈(321a), 전도구(310) 그리고 후술할 도전부재(400), (-)단자결합부(120)에 미세전류가 흐르면 상기 불화물 용액을 적신 솜(20)에서 불소가 이온화되어 대상 치아(10)에 코팅 작업이 시작되게 된다. 이때 환자는 (+)단자와 결합된 전극봉을 인체에 접촉시키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322)는 상기 치과처치구(321) 외주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도구(310) 및 치과처치구(321)가 인체의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구성 및 인체 유해성, 그리고 잦은 살균이나 세척, 약물투입에도 손상되지 않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상태확인용팁은 대상 치아(10)가 얼마나 마모되었는가를 살피기 위한 팁으로 잇몸과 치아(10)가 접촉되는 부분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모상태확인용팁은 상기 전도구(310)와, 치과처치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치과처치부(320)는 상기 전도구(310)와 연속되게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구부러져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모상태확인용팁은 일반적으로 트라우마(trauma)나 다른 독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치수변성이 서서히 올 때 생확력을 정확히 진단하기기 용이하지 않은데, 이 경우에 상기 마모상태확인용팁에 전류를 흘려 치아(10)의 반응을 검사 하여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진단은 상기 불소코팅용팁의 사용으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용팁은 치아(10)에 이물질이 붙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팁으로, 상기 전도구(310)와, 치과처치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치과처치부(320)는 상기 전도구(310)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갈고리 형상의 치과처치부(320)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전부재(4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전부재(4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불소코팅장치(30)의 (-)단자와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전부재(400)는 도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치과처치용팁(300)과 상기 본체(100) 후단에 형성된 (-)단자결합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전부재(400)는 상기 (-)단자결합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로부터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상기 본체(100) 후단에 후결합구(130)가 형성되어 (-)단자결합부(120)가 착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의 후결합구(130)로부터 상기 (-)단자결합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도전부재(400)의 결합 및 분리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후결합구(130)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결 합부(120)가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 후단에 형성된 후결합구(130)는 상기 본체(100) 후측 내주면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부재(400)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결합부(12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단자결합부(120) 및 도전부재(4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전부재(400)는 후측으로는 (-)단자결합부(120)의 도전연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측으로는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 전결합구(110)에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 및 치과처치용팁(300)의 나사결합이 시작되면, 먼저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가 상기 도전부재(400)에 접촉되고, 상기 나사결합이 진행되면서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에 의해 상기 도전부재(400)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의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도전부재(400)와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이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도전부재(400)는 가이드통(410), 외통(420), 도전탄성볼(430), 내통(440), 압축스프링(450), 절연외피(4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통(4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측은 열린구조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단자결합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접속핀(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420)은 상기 가이드통(410) 전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통(4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전후가 열린구조의 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420)의 소정 위치, 중심에서 약간 앞측에는 상기 외통(420)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내부걸림턱(421)이 형성된다. 상기 외통(420) 후측에 형성된 입구의 단부는 약간 오므라들게 형성되어 후술할 도전탄성볼(430)이 상기 후측 입구측에 수용되어 상기 도전탄성볼(430)의 일측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탄성볼(430)은 상기 외통(420)의 후측 입구에 수용되며, 상기 후측 입구보다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도전탄성볼(430)의 일측면이 상기 후측 입구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440)은 상기 외통(42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통(420) 내외부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되, 후단에 걸림프렌지(44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걸림턱(421)에 의해 더 이상 상기 외통(420) 외부로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전단에는 팁접속핀(442)이 형성된다. 상기 팁접속핀(442)으로는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팁접속핀(442)은 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와의 전기적 접촉면적을 높여, 전기적으로 접촉이 안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450)은 상기 외통(42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전탄성볼(430)과 상기 내통(44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통(440)에 의한 가압에 의 해 탄성적으로 압축되게 된다. 즉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의 상기 본체(100)에의 결합에 의한 상기 내통(440)의 팁접속핀(442)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통(440)이 상기 외통(420) 내부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압축스프링(450)은 상기 내통(440)이 상기 외통(420) 내외부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외피(460)는 상기 (-)단자결합부(120)의 전단 즉, 상기 도전결합구(110)와 상기 가이드통(410)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자결합부(120)와 상기 가이드통(410)을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도전부재(400)가 상기 본체(100) 내주면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는 불소이온 코팅을 위해 상기 치아(10)처치용팁에 솜(20) 또는 면봉을 넣고 불소용액을 함침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전극봉에는 (+)단자를, 상기 본체(100)의 후단에 형성된 (-)단자결합부(120)에는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전극봉은 환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불소코팅장치(30)에 형성된 제어버튼을 조절하여, 인체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치과처치부(320)를 대상 치아(10)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인체, 대상 치아(10), 상기 전극봉 그리고 핸드피스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폐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그 다음 소정의 불소코팅을 위한 운영시간이 끝나면 상기 치과처치용팁(300) 의 소독 및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의 전측을 잡고 상기 본체(100)로부터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 및 치과처치용팁(300)을 분리시킨다. 분리된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 및 치과처치용팁(300)은 상기 본체(100)와는 별도로 내부까지 깨끗하게 소독 및 세척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 환자에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의 팁삽입구(210)에 치과처치용팁(300)을 결합시키고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의 전측을 잡고 상기 본체(100)의 전결합구(11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는 상기 도전부재(400)의 내통(440)에 형성된 팁접속핀(442)에 접촉되게 되며, 상기 나사결합이 진행될수록 가압되어 상기 내통(440)은 상기 외통(420) 내부로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와 상기 본체(100) 전결합구(110)와의 나사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치과처치용팁(300)의 전도구(3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내통(440)은 상기 외통(420)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멈춰서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불소코팅치료 전이나 후단계에서 치아(10) 상태를 관찰하거나 치아(1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를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마모상태확인용팁이나 이물질제거용팁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때때로 상기 본체(100)를 소독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와 상기 (-)단자결합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도전부재 (400)를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본체(100)를 소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드피스에 다양한 종류의 팁의 착탈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팁착탈결합부재(200) 및 치과처치용팁(300) 뿐만 아니라 핸드피스 본체(100)도 소독 및 세척할 수 있어, 핸드피스의 위생적인 관리 및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치과처치용팁 및 도전부재가 착탈결합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여 소독 및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이며, 내외부가 완전히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안전하고, 여러가지 치과처치용팁의 결합이 가능하여 하나의 핸드피스만으로도 다양한 목적의 치료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불소코팅장치에 연결되고, 인체에 접촉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봉과 폐루프를 형성하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전단에 전결합구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단자결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전결합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전후로 관통되게 팁삽입구가 형성된 팁착탈결합부재와;
    도전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팁착탈결합부재의 팁삽입구에 결합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치과처치용팁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불소코팅장치의 (-)단자와 상기 치과처치용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도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결합구는,
    상기 본체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팁착탈결합부재는,
    상기 전결합구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수직으로 탄성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결합구와 나사결합되면 상기 탄성공간이 좁아지면서 상기 팁삽입구가 조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처치용팁은,
    상기 팁삽입구에 삽입되어 팁삽입구가 조여지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전도구와, 상기 전도구 전단에 형성된 치과처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처치부는,
    상기 전도구와 전기적으로 연통되며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전단에는 솜수용홈이 형성된 치과처치구와;
    상기 치과처치구 외주면을 에워싸며 외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절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처치부는,
    상기 전도구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구부려져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처치부는,
    상기 전도구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단에 후결합구가 형성되어, (-)단자결합부가 착탈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단자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결합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단자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측으로 상기 치과처치용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가압시키면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단자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후단에 단자접속핀이 형성된 가이드통과;
    상기 가이드통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전후에 입구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내부걸림턱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후측 입구에 수용되며, 상기 후측 입구보다 지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도전탄성볼과;
    상기 외통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통 내외부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되, 후단에 걸림프렌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걸림턱에 의해 더 이상 상기 외통 외부로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전단에는 팁접속핀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전탄성볼과 상기 내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통에 의한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단자결합부 전단과, 상기 가이드통을 에워싸며 상기 (-)단자결합부와 상기 가이드통을 고정시키는 절연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팁접속핀은,
    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팁접속핀은,
    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결합구는,
    상기 본체 내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코팅장치용 핸드피스.
KR1020060007679A 2006-01-25 2006-01-25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KR10066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79A KR100660921B1 (ko) 2006-01-25 2006-01-25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79A KR100660921B1 (ko) 2006-01-25 2006-01-25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921B1 true KR100660921B1 (ko) 2006-12-26

Family

ID=3781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79A KR100660921B1 (ko) 2006-01-25 2006-01-25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36A (ko) 2020-10-19 2022-04-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535A (en) 1978-12-04 1981-06-16 Kabushiki Kaisha Morita Seisakusho Device for preventing tooth decay by laser beam irradiation and method of preventing tooth decay by use of the same
US5759037A (en) 1990-03-22 1998-06-02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dental trays having thin walls for increased comfort
KR20040013806A (ko) * 2002-08-08 2004-02-14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치아 상 불소 이온 도입 장치
KR200414397Y1 (ko) 2006-01-17 2006-04-19 문창수 불소 코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535A (en) 1978-12-04 1981-06-16 Kabushiki Kaisha Morita Seisakusho Device for preventing tooth decay by laser beam irradiation and method of preventing tooth decay by use of the same
US5759037A (en) 1990-03-22 1998-06-02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dental trays having thin walls for increased comfort
KR20040013806A (ko) * 2002-08-08 2004-02-14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치아 상 불소 이온 도입 장치
KR200414397Y1 (ko) 2006-01-17 2006-04-19 문창수 불소 코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36A (ko) 2020-10-19 2022-04-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소 도포가 가능한 치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1612B (zh) 用于牙齿内的牙根管的灭菌和/或消毒的设备
JP2019022717A (ja) 制御された吸引と洗浄機能を備えた電動歯ブラシ
JPH03261469A (ja) 口腔内衛生装置
EP2368457A2 (en) Brush body and toothbrush
KR100468075B1 (ko) 세정액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220038461A (ko) 접촉 시스템 및 접촉 시스템의 사용
US7699843B2 (en) Instrument for the unipolar ablation of heart tissue
KR100660921B1 (ko)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KR100718717B1 (ko) 불소 이온 도입용 치아 트레이
KR20150144567A (ko) 세정액의 분사가 가능한 치간 칫솔
EP3698753B1 (en) Dental floss insertion device
AU2012308711A1 (en) Hand-held apical locator device
CN109674550B (zh) 一种临床护理用口腔辅助清洁器
CN208639792U (zh) 一种含漱口水的口腔护理棒
WO2016010176A1 (ko) 휴대용 치간 칫솔
KR100544585B1 (ko) 치아 상 불소 이온 도입 장치
JP3607921B2 (ja) 口腔洗浄清掃器具
JP2012000149A (ja) 通電歯茎マッサージ用ブラシ
KR200473889Y1 (ko) 석션기능을 가지는 칫솔
CN212088576U (zh) 牙刷手柄及牙刷
CN218738883U (zh) 一种清洗固定块及软式内镜
CN215914998U (zh) 一种防龋防口臭牙线棒及口腔清洁装置
CN214342762U (zh) 一种种植修复吸潮纸棒
CN218419973U (zh) 便于清洗的镜下钳
CN215017047U (zh) 一种多功能内镜清洗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