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397Y1 - 불소 코팅 장치 - Google Patents

불소 코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397Y1
KR200414397Y1 KR2020060001409U KR20060001409U KR200414397Y1 KR 200414397 Y1 KR200414397 Y1 KR 200414397Y1 KR 2020060001409 U KR2020060001409 U KR 2020060001409U KR 20060001409 U KR20060001409 U KR 20060001409U KR 200414397 Y1 KR200414397 Y1 KR 200414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ooth
unit
current valu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수
Original Assignee
문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수 filed Critical 문창수
Priority to KR2020060001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3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3/00Means for making patients feel at ease during dental treatment, e.g. dental instruments in the form of t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우식증 및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아에 불소를 코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처치모드선택부, 시작/정지버튼부, 치아수용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레벨조절부, 전류레벨표시부, 이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음성출력부가 구비된 제어판넬이 형성되고, 측면에 전류 및 접지공급부, 외부전원공급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인체에 접촉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의 전류연결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는 전극봉과; 치료대상 치아에 접촉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의 접지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는 치아처치도구와; 상기 제어판넬에 형성된 구성요소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 및 확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극봉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로 형성되는 전기적회로가 오픈된 후 루프로 감지되면, 루프가 감지되는 순간부터 일정 시간 동안 전류증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봉에는 상기 치아수용전류값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안전전류값부터 상기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증가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봉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에 의해 형성된 전기적인 회로의 루프/오픈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극봉에 출력되는 전류값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공포감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집중적이고도 효율적인 치료 및 진료에 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불소 코팅 전류증가 제로스타트 루프 오픈 착탈 핸드피스

Description

불소 코팅 장치{Apparatus for fluorine coating of teeth}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일반충치예방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치아과민증치료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E.P.T검사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제어본체에서의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PWM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측정한 스코프데이타를 나타낸 도((a)회로가 오픈되어 전류증가신호가 제로인 경우, (b)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20%가 출력되는 상태, (c)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50%가 출력되는 상태(d)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100%가 출력되는 상태).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케이싱 110 : 제어판넬
111 : 처치모드선택부 112 : 시작/정지버튼부
113 : 전류레벨조절부 114 : 전류레벨표시부
115 : 상태표시부 116 : 음성출력부
117 : 루프/오픈경고부 120 : 전류 및 접지공급부
130 : 외부전원공급부 200 : 전극봉
210 : 연결단자 300 : 치아처치도구
310 : 마우스피스트레이 311 : 불소용액함침솜
312 : 전극편 320 : 마우스피스트레이연결케이블
321 : 도전성연결구 322 : 도전성찝게
330 : 핸드피스 331 : 불소이온코팅용팁
340 : 핸드피스연결케이블 341 : 도전성연결구
본 고안은 치아 우식증 및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아에 불소를 코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가 오픈된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전류값이 조절되고, 또한 전류의 제로스타트 출력이 가능한 불소 코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소는 치아에 불소 막을 형성하여 세균으로부터 치아가 잘 견디도록 하고 치아를 강하게 해주어 초기에 치아 우식증이나 충치를 예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불소는 칼슘 등의 무기질이 치아에 결합하는 과정을 강화하고 치아의 에나멜을 강하게 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세균 등에 의해 형성되는 산에 잘 견디어 치아 표면을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현재,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아에 불소를 사용하는 방법은 불소 치약 사용, 불소 용액 양치, 불소 정제 복용, 수돗물 불소화, 불소 도입 등의 방법이 있으며, 여기에서는 불소 코팅 장치에 의한 능동적인 불소 도입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불소 코팅 장치는 (-)단자와 연결된 마우스트레이에 형성된 홈이나 핸드피스에 형성된 불소이온코팅용팁에 불화물 용액을 적신 솜을 삽입시켜 치료대상 치아에 접촉시키고, (+)단자와 연결된 손잡이봉을 손으로 잡으면, 인체에 흐르는 미세 전류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어 불소를 연속적으로 치아에 코팅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불소 코팅 장치는 스타트 버튼을 누르고 마우스트레이나 불소이온코팅용팁을 치료대상 치아에 접촉시키고, 전류레벨조절부에 의해 치료대상 치아에 적합한 전류를 출력시켜, 소정의 치료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과정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무관심 등으로 전류레벨조절부가 제로지점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치료가 시작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치료대상 치아에 높은 전류가 갑자기 흐르게 되어 환자에게 고통과 함께 공포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불소 코팅 장치에 의한 불소이온코팅용팁 등을 사용하여 대상 치아 하나하나를 진료 및 치료를 할 때, 통상 제1과민치아에 집중적으로 치료를 하고 또 다른 제2과민치아에 치료를 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가 상기 제1과민치아에 적절한 전류값으로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2과민치아에는 순간적으로 너무 높은 전류값이 인가되게 된다.
이에 의해 환자에게 고통과 함께 공포감을 유발시켜 어린이나 노약자 등에게는 올바른 치료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직접 사용자가 제2과민치아로 불소이온코팅용팁을 접촉시키기 전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가 낮은 전류값을 출력하도록 일일이 낮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치료과정 상 불편함을 유발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불소 코팅 장치에 형성된 핸드피스는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이 일체로 형성되어, 개별 환자의 치료 후에 핸드피스 전체를 소독 및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 중에 핸드피스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올바른 소독이 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문제가 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로의 루프/오픈된 상태를 감지하여 출력전류값이 조절되며, 또한 전류의 제로스타트 출력이 가능한 불소 코팅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불소 코팅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치과처치도구의 착탈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관리 및 유지가 가능한 불소 코팅 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처치모드선택부, 시작/정지버튼부, 치아수용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레벨조절부, 전류레벨표시부, 이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음성출력부가 구비된 제어판넬이 형성되고, 측면에 전류 및 접지공급부, 외부전원공급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인체에 접촉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의 전류연결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는 전극봉과; 치료대상 치아에 접촉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의 접지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는 치아처치도구와; 상기 제어판넬에 형성된 구성요소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 및 확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극봉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로 형성되는 전기적회로가 오픈된 후 루프로 감지되면, 루프가 감지되는 순간부터 일정 시간 동안 전류증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봉에는 상기 치아수용전류값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안전전류값부터 상기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증가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에는, 루프/오픈경고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루프/오픈 감지에 따른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처치도구는, 불소용액함침솜 및 전극편이 형성된 마우스피스트레이, 불소이온코팅용팁이 형성된 핸드피스 중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는,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전류값은, 상기 치아수용전류값의 20%부터 인가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은, 상기 전극봉에 안전전류값이 인가되는 도중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에 의해 상기 치아수용전류값이 조절되면, 그 값이 상기 전극봉에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코팅 장치는, 상기 처치모드선택부가 일반충치예방모드, 치아과민증치료모드, E.P.T검사모드 중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코팅 장치는, 상기 시작/정지버튼부의 작동 시, 상기 전류레벨조절부의 제로스타트 확인신호에 따라 상기 시작/정지버튼부의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봉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에 의해 형성된 전기적인 회로의 루프/오픈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극봉에 출력되는 전류값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공포감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로의 오픈 상태에서 루프 상태로의 변환시, 사용자가 치아처치도구를 치아에 접촉시키기 전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에서 낮은 전류값이 출력되도록 일일이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효율적이면서도 집중적으로 치료 및 진료에 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불소 코팅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치과처치도구의 착탈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관리 및 유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 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일반충치예방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치아과민증치료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E.P.T검사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본체에서의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PWM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측정한 스코프데이타를 나타낸 도((a)회로가 오픈되어 전류증가신호가 제로인 경우, (b)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20%가 출력되는 상태, (c)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50%가 출력되는 상태(d)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100%가 출력되는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싱(100), 전극봉(200), 치아처치도구(300), 제어본체, 전류증가출력수단으로 크게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에 형성된 제어판넬(110)에 구비된 각종 입출력단자를 작동시켜, 상기 제어본체에 의해 상기 전극봉(200) 및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소정 전류를 인가하여, 치아에 불소를 코팅시키고, 각종 진단 및 치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케이싱(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합성수지재의 내부가 빈 사각함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제어판넬(11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 외부전원공급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은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각종 조작버튼의 시야각 확보를 위해 후측이 전측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사 다리꼴 형상이다.
상기 제어판넬(110)에는 처치모드선택부(111), 시작/정지버튼부(112), 전류레벨조절부(113), 전류레벨표시부(114), 상태표시부(115), 음성출력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케이블과 연결되어 후술할 전극봉(200) 및 치아처치도구(300)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전원공급부(130)는 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어댑터에 의해 AC 220V 전원이 DC 6~9V 전원으로 변환되어 장치에 공급하게 되며, 본 고안에서는 출력 500mA 이상의 직류변환어댑터를 사용한다.
상기 외부전원공급부(13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상태표시부(115)의 LCD창이 활성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음성출력부(116)에서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알리는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활성화된 상기 상태표시부(115)의 LCD창에는 불소 코팅 장치가 작동되었음을 알리는 알림메시지 등이 나타나거나 각 처치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상태표시부(115)에 나타나는 처치모드는, 1.일반충치예방모드(CARIES MODE), 2.치아과민증치료모드(DESENSI MODE), 3.E.P.T검사모드(ELECTRIC PULP TESTER MODE)이다.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의 UP/DOWN버튼을 눌러 적절한 처치모드를 선택(SET)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일반충치예방모드는 후술할 치아처치도구(300)로서 마우스피스트레이(310)를 사용한 경우이며,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를 사용하여 치아 표면에 불화물을 도포해주는 것으로 고농도의 불화물 용액을 사용하여 1차적으로 치아 표면에 불화칼슘이 형성되었다가 불화인회석으로 변화되면서 치질의 내산성이 증가되어 치아 우식예방의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치아과민증치료모드는 후술할 치아처치도구(300)로서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이 형성된 핸드피스(330)를 상기 불소 코팅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며, 치아과민증이 있는 치아에 집중적으로 불소 이온을 도포하여 과민증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세균에 의해 치수괴사 시에는 세균의 대사 활동 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내압이 상승되어 환자가 참지 못하고 치과에 내원하기 때문에 진단 시 큰 문제가 없지만 트라우마(trauma)나 다른 독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치수변성이 서서히 올때는 생확력을 정확히 진단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 경우에 상기 E.P.T검사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을 치수괴사 염려 치아에 대고,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에서 나오는 전류를 이용하여 치아의 반응을 검사하여 진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태표시부(115)에는 상기 각 처치모드를 선택(SET)하고 나면, 모드 운영시간 항목이 나타나게 되며, UP/DOWN버튼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모드의 운영시간을 설정(SET)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영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조절하여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적절한 전류값(이하에서는 '치아수용전류값'이라 한다)을 후술할 전극봉(200)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전극봉 (200)에 인가되는 전류값은 상기 전류레벨표시부(114)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전류레벨표시부(114)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여러가지 색의 LED로 형성되어 전류값의 증가에 따라 LED의 색상에 따른 막대형상의 레벨이 표시되게 된다.
즉, 상기 제어판넬(110) 외측에서 보면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조절에 따라 상기 전류레벨표시부(114)의 막대가 순차적으로 켜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낮은 전류값에는 노란색의 LED가, 중간은 주황색, 높은 전류값에는 빨간색의 LED가 순차적으로 막대형상으로 켜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한 전류레벨은 상기 전류레벨표시부(114)에 의해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태표시부(115)에 의해 전극봉(200)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한 디지털값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는 외부에서 단자를 결합할 수 있는 소켓형태로 형성되어 전류 및 접지공급 케이블의 일측이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에 결합된 전류 및 접지공급 케이블의 타측은 후술할 전극봉(200)에 결합되게 되어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 케이블 내부에 형성된 전류연결선과는 전극봉(200)과 결합되며, 접지선과는 후술할 치아처치도구(300)와 연결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극봉(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전극봉(200)은 인체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것으로, 외부가 도전성 금속 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전류연결선과 연결되어 외부가 (+)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인체는 상기 전극봉(200)에 의해 전체적으로 (+)로 대전되게 된다.
상기 전극봉(200)의 극성의 세기는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조절에 따라 결정되며, 치료대상 치아에 후술할 치아처치도구(300)를 접촉할 시 치아수용전류값이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극봉(200)은 일반적으로 인체의 손에 의해 파지되므로 손으로 쥘 수 있을 정도의 두께 및 길이로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단부플런지가 형성되어 손에서 움직이지 않게 꼭 쥐고 있을 수 있으며, 상단에는 상기 전극봉(200)에 전류가 흐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심미적, 흥미적인 이유로 LED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200)의 하단에는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에 일측이 결합된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 케이블의 타측이 상기 전극봉(200)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200)에 하단에는 후술할 치아처치도구(300)와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 케이블에서 제공되는 접지선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단자(21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는 치료대상 치아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접지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의해 형성된 전기적인 회로 의 연결상태인 루프(loop)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는 치아에 접촉되는 각종 치아처치도구(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트레이(310),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이 형성된 핸드피스(330)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의한 루프를 형성시켜 치아에 전기적인 어떠한 신호를 주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도전성 치아처치도구(30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는 소정의 공간부에 불소용액이 함침된 솜이 수용되어 형성되며, 상기 불소용액함침솜(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금속편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편은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편과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접지선과의 연결은, 일측에 도전성 찝게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도전성연결구(321)가 형성된 마우스피스트레이(310) 연결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도전성 찝게 부분으로 상기 금속편을 무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도전성연결구(321)는 상기 전극봉(200)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에 꽂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찝게(322) 부분은 전기적 저항을 줄이기 위해 금으로 도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서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이 형성된 핸드피스(3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핸드피스(330)의 전단에는 상기 불소이온코 팅용팁(331)이 형성되며, 후단에는 연결단자(210)가 형성된다.
상기 핸드피스(330)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와 상기 전극봉(200)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와의 연결은, 일측과 타측에 도전성연결구(341)가 형성된 핸드피스(330) 연결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도전성연결구(341)가 상기 연결단자(210)에 각각 꽂히는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330)는 전단에 내측으로 나사산 등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이 착탈되게 결합되어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의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본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어본체(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전면에 상기 제어판넬(110)이 형성된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며 메인보드판에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각종 회로부와 메인CPU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각종 회로부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CPU는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구성요소인 처치모드선택부(111), 시작/정지버튼부(112), 전류레벨조절부(113), 전류레벨표시부(114), 상태표시부(115) 및 음성출력부(116),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거나, 현재상태를 확인하여 다른 구성요소에 동작을 지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예를들면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에 의해 처치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메인CPU에 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태표시부(115)나 음성출력부(116)가 작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상기 전류레벨표시부(114)가 작동되거나,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소정의 전류값이 설정되면, 모드 운영시간동안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전극봉(200)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구동을 위해 상기 메인CPU로서 ATmega128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본체는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전기적 회로가 오픈된 후 루프로 감지되면, 루프가 감지되는 순간부터 일정 시간 동안 전류증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전기적 회로의 오픈 및 루프는 인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치아처치도구(300)가 치아에 접촉되어 있다(루프)가 분리되는 경우(오픈)에 입력되는 전압값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전류증가신호는 상기 전기적 회로가 오픈된 상태에서 루프 상태로 되면, 상기 치아수용전류값이 바로 상기 전극봉(200)에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안전전류값에서부터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증가하면서 순차적으로 인가되도록 후술할 전류증가출력수단에 전류증가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미도시)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봉(200)에는 상기 치아수용전류값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안전전류값부터 상기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의한 치료를 짧은 시간동안 중지하거나 다른 치아로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를 옮기거나, 환자가 움직이는 등의 원인에 의해 상기 전기적 회로가 루프(loop) 상태에서 오픈(open) 상태로, 다시 루프(loop) 상태로 변하는 경우(치료대상 치아에서 치아처치도구(300)를 붙였다 떼었다가 다시 붙인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최초에 치아수용전류값이 치료대상치아에 인가된 상태에서, 다시 치아처치도구(300)가 다른 치아에 접촉되게 되면, 치아에 따라 갑자기 치아수용전류값 이상의 전류값이 인가되게 되므로 환자에게 불측의 고통을 유발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본체 및 전류증가출력수단에 의해 상기 전극봉(20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환자에게 갑자스런 고통이나 공포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은 상기 제어본체에서 출력된 전류증가신호가 입력되는 PWM구동부(Pulsed 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와, 상기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PWM구동부에서 출력되는 펄스파가 입력되어 상기 전극봉(200)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회로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입력된 전류값과 인체에 흐르는 전류값은 동시에 상기 제어본체로 입력되게 되며,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회로의 루프상태 즉 계속적인 치료 중에는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한 전류값이 상기 전극봉(200) 및 치아처치도 구(300)로 입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은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에 의해 치아과민증치료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상기 전극봉(200)으로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의해 상기 제1과민치아의 치아과민증치료 후에 제2과민치아로 이동시,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회로가 오픈되어 다시 루프 상태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본체에서 전류증가신호를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으로 입력시켜, 상기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까지 상기 전극봉(200)으로 안전전류값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바로 제2과민치아에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전류값인 안전전류값으로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면서 상기 제2과민치아에 인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중에 과민치아에 따라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너무 높을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환자가 고통을 느끼는 순간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낮추어 적절한 제2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상기 전극봉(20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회로의 루프/오픈 상태에 따른 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부(116)에서 루프/오픈 상태에 따른 경고음을 발 생시키거나,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되고 LED로 형성된 루프/오픈경고부(117)의 점등에 의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시작/정지버튼부(112)의 작동 시,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제로스타트 확인신호에 따라 상기 시작/정지버튼부(112)의 계속적인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로 과민치아수용전류값을 맞추어 불소 코팅 장치를 사용한 후,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돌려 놓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환자를 치료하거나 다른 치아처치도구(3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처치모드 선택 및 운영시간 설정 후 바로 시작버튼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에게 갑작스럽게 높은 전류값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제로스타트 지점에 대한 확인신호가 상기 제어본체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본체는 상기 시작/정지버튼부(112)의 시작버튼부가 작동되도록 출력신호를 내보내어, 각 처치모드에 따른 운영시간 동안 치료가 시작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 일반충치예방모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일반충치예방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불소용액이 전체 치아에 골고루 도달되도록 면이나 거즈를 이용하여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에 불소용액을 도포한 다음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에 형성된 솜에 불소용액을 적신다.
이 때 불소용액이 흐르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를 상악에 삽입시키고 치아에 모든 부위를 고르게 접촉이 되도록 한 다음 입을 지긋이 다물게 하여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전극봉(200)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에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연결케이블(320)의 도전성연결구(321)를 꽂고,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에 형성된 전극편(312)에는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연결케이블(320)의 도전성찝게(322)를 물린 후, 상기 전극봉(200)은 환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상태표시부(115)를 보면서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의 UP/DOWN버튼을 눌러 일반충치예방모드(CARIES MODE)를 선택하여 SET버튼을 누른다. 상기 처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상태표시부(115)에는 운영시간 설정 화면이 나타나게 되고, 운영시간을 UP/DOWN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시작/정지버튼부(112)를 누른다.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으면, 바로 시작버튼부가 작동되어 일방충치예방모드가 소정의 운영시간동안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지 아니하면, 상기 시작버튼부가 바로 작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돌리면 시작버튼부가 작동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서서히 돌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환자가 견딜만큼의 전류값 즉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조절한다.
그리고 운영시간이 끝나면 상기 음성출력부(116)를 통해 경고음이 울리게 되며,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이동시키거나, 아니면 10번의 경고음이 나가고 자동으로 운영시간이 종료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에서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연결케이블(320)을 분리시키고 상기 전극봉(200)을 놓게 한 후 상기 마우스피스트레이(310)를 제거하고, 여분의 불소용액을 면봉으로 닦고 침을 뱉게 한 후, 30분 동안 음식을 섭치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양치하지 않도록 한다.
<제2실시예 - 치아과민증치료모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치아과민증치료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핸드피스(330)에 착탈식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을 결합하고,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에 면봉을 삽입하며, 상기 면봉에 불소용액을 적신다.
그 다음 상기 전극봉(200)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에 상기 핸드피스연결케이블(340)의 도전성연결구(341)를 꽂고, 상기 핸드피스(330)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에 상기 핸드피스연결케이블(340)의 다른쪽 도전성연결구(341)를 꽂은 후, 상기 전극봉(200)은 환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상태표시부(115)를 보면서 상기 처치모 드선택부(111)의 UP/DOWN버튼을 눌러 치아과민증치료모드(DESENSI MODE)를 선택하여 SET버튼을 누른다. 상기 처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상태표시부(115)에는 운영시간 설정 화면이 나타나게 되고, 운영시간을 UP/DOWN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시작/정지버튼부(112)를 누른다.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으면, 바로 시작버튼부가 작동되어 치아과민증치료모드가 소정의 운영시간동안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지 아니하면, 상기 시작버튼부가 바로 작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돌리면 시작버튼부가 작동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핸드피스(330)의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의 환자의 제1과민치아에 접촉시킨다.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서서히 돌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환자가 견딜만큼의 전류값 즉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조절한다.
이 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과민치아의 치아과민증 치료 후에 제2과민치아로 치아처치도구(300)로 옮기게 되는데, 순간적으로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회로가 오픈상태가 되고 다시 제2과민치아에 접촉시에 회로가 루프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봉(200)에 출력되는 전류값은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부터 2~3초 동안 서서히 증가하면서 안전전류값으로 출력되게 되고, 상기 제2과민치아수용전류값에서 정지하게 되어 각 과민치아에 안전한 수용전류값이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운영시간이 끝나면 상기 음성출력부(116)를 통해 경고음이 울리게 되며,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이동시키거나, 아니면 10번의 경고음이 나가고 자동으로 운영시간이 종료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핸드피스(330)의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을 치아로부터 분리시키고, 30분 동안 음식을 섭치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양치하지 않도록 한다.
<제3실시예 - E.P.T검사모드>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불소 코팅 장치의 E.P.T검사모드 작동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핸드피스(330)에 착탈식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을 결합하고,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에 면봉을 삽입하며, 상기 면봉에 불소용액을 적신다.
그 다음 상기 전극봉(200)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에 상기 핸드피스연결케이블(340)의 도전성연결구를 꽂고, 상기 핸드피스(330) 하단에 형성된 연결단자(210)에 상기 핸드피스연결케이블(340)의 다른쪽 도전성연결구(341)를 꽂은 후, 상기 전극봉(200)은 환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상태표시부(115)를 보면서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의 UP/DOWN버튼을 눌러 E.P.T검사모드(E.P.T MODE)를 선택하여 SET버튼을 누른다. 상기 처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상태표시부(115)에는 운영시간 설정 화면이 나타나게 되고, 운영시간을 UP/DOWN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시작/정지버튼부(112)를 누른다.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으면, 바로 시작버튼부가 작동되어 치아과민증치료모드가 소정의 운영시간동안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지 아니하면, 상기 시작버튼부가 바로 작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돌리면 시작버튼부가 작동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핸드피스(330)의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을 환자의 검사하고자 하는 치아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서서히 돌려 치아의 상태를 검사한다. 검사가 종료되면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를 한 번 더 누르거나, 시작/정지버튼부(112)를 눌러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불소이온 코팅을 위한 불소용액이 함침된 솜 또는 면봉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치아처치도구(300)에 솜 또는 면봉을 넣고 불소용액을 함침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전극봉(200)과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극봉(200)은 환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상태표시부(115)를 보면서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의 UP/DOWN버튼을 눌러 처치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상태표시부(115)를 통해 운영시간을 UP/DOWN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한 후 시작/정지버튼부(112)를 누른다.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으면, 바로 시작버튼부가 작동되어 치아과민증치료모드가 소정의 운영시간동안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가 제로스타트 지점에 있지 아니하면, 상기 시작버튼부가 바로 작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돌리면 시작버튼부가 작동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를 치아에 접촉시킨다.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서서히 돌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조절한다.
그리고 각 처치모드에 따라 운영시간이 끝나면 상기 음성출력부(116)를 통해 경고음이 울리게 되며, 이 때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제로스타트 지점으로 이동시키거나, 아니면 10번의 경고음이 나가고 자동으로 운영시간이 종료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를 치아로부터 분리시키고, 처치모드에 따라 30분 동안 음식을 섭치하거나 음료수를 마시거나 양치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처치모드를 치아과민증치료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로스타트에 의한 시작버튼부의 작동 후에 다음과 같은 작용을 거치게 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핸드피스(330)의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의 환자의 제1과민치아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서서히 돌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까지 조절한다. 만약, 제1과민치아의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300㎂라면, 이는 처음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조절에 의해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제1과민치아의 치아과민증 치료 후에 다음 제2과민치아로 치아처치도구(300)로 옮기게 될 때 순간적으로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회로가 루프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 때 상기 오픈 상태에서는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zero)가 되어, 상기 제어본체에서 출력되는 전류증가신호는 제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인 PWM구동부로 출력되는 전압값이 제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류회로부로 출력되는 전류값도 제로가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전극봉(200)으로 출력되는 전류값도 제로가 된다.
그 다음 상기 치아처치도구(300)가 치아 또는 잇몸에 닿는 순간에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본체의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에 의해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 즉, 60㎂ 정도의 안전전류값이 상기 전극봉(200)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50%, 100%까지 증가되면서 상기 전극봉(200)에 인가되게 된다.
도 5는 상기 제어본체에서의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PWM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측정한 스코프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도 5(a)는 회로가 오픈되어 전류증가신호가 제로인 경우, 도 5(b), 도 5(c), 도 5(d)는 회로의 루프상태에서 제1과민치아전류값의 20%, 50%, 100%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200)으로는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인 60㎂에서 300㎂까지 2초 내지 3초 동안 서서히 증가하면서 전류값이 출력되게 된다.
이 때 제2과민치아의 제2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250㎂라면,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에서 상기 전극봉(200)으로 인가되는 안전전류값이 2~3초동안 서서히 증가하다가 250㎂ 지점에서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를 조절하여 상기 상태표시부(115)로부터 전류값이 250㎂가 되도록 낮추면, 상기 제어본체는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전류값을 입력신호로 받아들여 상기 PWM구동부 및 정전류회로부에 이 값이 입력되게 한다.
즉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에 의해 상기 전극봉(200)으로 전류값이 서서히 증가되면서 출력되는 도중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전류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본체로 입력되도록 하여 이 값이 상기 PWM구동부로 입력되고, 상기 정전류회로부로 입력되어 상기 전극봉(200)으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200)은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조절된 전류값이 인가되게 되어, 제2과민치아에는 제2과민치아수용전류값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봉(200)에 출력되는 전류값이 상기 제1과민치아수용전류값의 20%부터 2~3초 동안 서서히 증가하게 되며, 상기 제2과민치아수용전류값에서 정지하게 되어 각 과민치아에 적합한 치아수용전류값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상기 전극봉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에 의해 형성된 전기적인 회로의 루프/오픈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극봉에 출력되는 전류값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조절하여,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공포감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과민치아로 불소이온코팅용팁을 접촉시키기 전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에서 낮은 전류값이 출력되도록 일일이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효율적이면서도 집중적인 치료 및 진료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소 코팅 장치에 사용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치과처치도구의 착탈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관리 및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면에 처치모드선택부(111), 시작/정지버튼부(112), 치아수용전류값을 조절하는 전류레벨조절부(113), 전류레벨표시부(114), 이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115) 및 음성출력부(116)가 구비된 제어판넬(110)이 형성되고, 측면에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 외부전원공급부(130)가 형성된 케이싱(100)과;
    인체에 접촉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전류연결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는 전극봉(200)과;
    치료대상 치아에 접촉되며, 상기 전류 및 접지공급부(120)의 접지선과 연결되어 (-)극성을 가지는 치아처치도구(300)와;
    상기 제어판넬(110)에 형성된 구성요소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 및 확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극봉(200) 및 인체, 치아 그리고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로 형성되는 전기적회로가 오픈된 후 루프로 감지되면, 루프가 감지되는 순간부터 일정 시간 동안 전류증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본체와;
    상기 전류증가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봉(200)에는 상기 치아수용전류값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안전전류값부터 상기 치아수용전류값까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증가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110)에는,
    루프/오픈경고부(117)가 더 형성되어, 상기 루프/오픈 감지에 따른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처치도구(300)는,
    불소용액함침솜(311) 및 전극편(312)이 형성된 마우스피스트레이(310),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이 형성된 핸드피스(330) 중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330)는,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불소이온코팅용팁(331)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전류값은,
    상기 치아수용전류값의 20%부터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증가출력수단은,
    상기 전극봉(200)에 안전전류값이 인가되는 도중에,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에 의해 상기 치아수용전류값이 조절되면, 그 값이 상기 전극봉(200)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불소 코팅 장치는,
    상기 처치모드선택부(111)가 일반충치예방모드, 치아과민증치료모드, E.P.T검사모드 중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코팅 장치는,
    상기 시작/정지버튼부(112)의 작동 시, 상기 전류레벨조절부(113)의 제로스타트 확인신호에 따라 상기 시작/정지버튼부(112)의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코팅 장치.
KR2020060001409U 2006-01-17 2006-01-17 불소 코팅 장치 KR200414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09U KR200414397Y1 (ko) 2006-01-17 2006-01-17 불소 코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09U KR200414397Y1 (ko) 2006-01-17 2006-01-17 불소 코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891 Division 2006-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397Y1 true KR200414397Y1 (ko) 2006-04-19

Family

ID=4929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409U KR200414397Y1 (ko) 2006-01-17 2006-01-17 불소 코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3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21B1 (ko) 2006-01-25 2006-12-26 문창수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CN110559099A (zh) * 2019-09-27 2019-12-13 南昌优诗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牙齿美白仪及其使用方法
KR102100071B1 (ko)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치아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 가능한 치열 교정 브라켓 부착용 장치
KR20230018716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건화메디칼 구강 냉각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21B1 (ko) 2006-01-25 2006-12-26 문창수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KR102100071B1 (ko)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치아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 가능한 치열 교정 브라켓 부착용 장치
CN110559099A (zh) * 2019-09-27 2019-12-13 南昌优诗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牙齿美白仪及其使用方法
CN110559099B (zh) * 2019-09-27 2024-03-19 南昌优诗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牙齿美白仪及其使用方法
KR20230018716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건화메디칼 구강 냉각 장치
KR102574501B1 (ko) * 2021-07-30 2023-09-06 주식회사 건화메디칼 구강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25129B2 (en) Electrosurgical system
CN107148254B (zh) 用于牙齿治疗的装置和方法
US20220296347A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RU2522850C2 (ru) Система неинвазивной нейростимуляции
CA1334597C (en) Dental anesthesia apparatus
JP7382963B2 (ja) 電流を使用した口腔疾患の治療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14397Y1 (ko) 불소 코팅 장치
CN102271612A (zh) 用于牙腔治疗的设备和方法
EP205412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wound healing and treating skin
WO2014150090A1 (en) Oral neural stimulator
JP2008093039A (ja) 口腔衛生装置
KR101396086B1 (ko) 치아색 진단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및 치주염 치료 장치
WO2016151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whitning by applying electromgnetic field
CN200984244Y (zh) 一种便携式牙齿美白仪
EP1566198A2 (en) Hand-help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KR100544585B1 (ko) 치아 상 불소 이온 도입 장치
US20190365320A1 (en) Oral device including ph sensor
WO2016097731A2 (en) Treatment apparatus
CN219375019U (zh) Bly-ⅰ型牙本质敏感治疗仪
KR100660921B1 (ko) 불소 코팅 장치용 핸드피스
KR20080005449U (ko)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JP2834701B2 (ja) 導子及び低周波治療装置
JP3115414U (ja) 低周波治療器
CN113559418A (zh) 一种电流方向可调的微电流口腔杀菌仪
FR2530450A1 (fr) Systeme de diagnostic med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