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278B1 -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278B1
KR102487278B1 KR1020220057655A KR20220057655A KR102487278B1 KR 102487278 B1 KR102487278 B1 KR 102487278B1 KR 1020220057655 A KR1020220057655 A KR 1020220057655A KR 20220057655 A KR20220057655 A KR 20220057655A KR 102487278 B1 KR102487278 B1 KR 10248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o blower
flow rate
air
temperature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기
조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2005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7Arrangements of transducers for ultrasonic flowmeters; Circuits for operating ultrason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25Manufactu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송풍기의 실시간 열에너지배출량을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는, 터보송풍기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공기의 폐열을 통해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되고, 산출된 열에너지배출량이 유무선 통신을 통해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스마트기기로 실시간 전송되어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Turbo Blower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IoT-based Energy Consumption}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간에 터보블로워의 열에너지배출량이 모니터링되는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다양한 기계장치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기계장치의 제어와 동시에 기계장치에서 측정 및 생성되는 정보를 수집 및 공유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사물인터넷)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일환으로 최근에는 사물인터넷 기능을 이용한 터보블로워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081983호의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터보 송풍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압축 공기를 배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임펠러를 통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인하며, 흡인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터보 송풍기; 상기 터보 송풍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부;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상기 터보 송풍기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외부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빗물 유입을 방지하는 루버; 상기 루버 내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금속필터; 상기 금속필터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필터; 상기 금속필터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 및 상기 경사판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부는, 공기를 유입받는 유입통공과 수증기로 배출되는 배기통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양극전극; 상기 양극전극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음극전극; 상기 양극전극과 음극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상기 배기통공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와 터보 송풍기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터보 송풍기로 공급하는 히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센싱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값에 근거하여 상황별 데이터를 구축하며, 구축된 상기 상황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터보 송풍기에 대한 위험요소를 분석 및 예측하여 시각화정보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수집된 상기 센싱값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된 센싱값에 대하여 패턴화를 통해 상황별 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 구축모듈, 상기 데이터 구축모듈에서 구축된 상기 상황별 데이터 중에서, 이상 징후에 해당하는 센싱값을 분석하고 예측 방향을 판단하는 예측 판단모듈 및 상기 데이터 구축모듈에서 구축된 상기 상황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자기학습 갱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예측 판단모듈은 상기 센싱값 중에서 이상 징후에 해당되는 이상 징후 센싱값과 연계되는 연계 센싱값을 도출하고, 상기 연계 센싱값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 징후 센싱값에 대해 상기 이상 징후 센싱값의 경고 한계치를 산출하며, 상기 연계 센싱값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 징후 센싱값의 진행 방향을 예측 판단하되, 예측이 산출된 경고 한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터보블로워의 기계적 결함 여부를 이상 징후 검출 및 예측을 통해 미리 확인하여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터보블로워의 운전에 따른 열에너지배출량을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터보블로워의 실시간 열에너지배출량을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외부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터보블로워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81983 B1 (2020. 02. 20.) KR 10-2200680 B1 (2021. 01. 05.) KR 10-1877544 B1 (2018. 07. 05.) KR 10-1672381 B1 (2016. 10. 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보블로워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보송풍기의 실시간 열에너지배출량을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는, 터보송풍기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공기의 폐열을 통해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되고, 산출된 열에너지배출량이 유무선 통신을 통해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스마트기기로 실시간 전송되어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터보블로워 장치는 일단이 상기 터보송풍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유로; 일단이 상기 터보송풍기의 타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터보송풍기를 냉각후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유로; 상기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터보송풍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를 통해 검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사물인터넷형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물인터넷형 제어기가 검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된 다음,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 산출된 열에너지배출량이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상기 유량계는 2개 이상의 온도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사물인터넷형 제어기는, 상기 2개의 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량계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초음파센서가 마주하여 설치되고, 상기 사물인터넷형 제어기는, 상기 유량계의 상기 한 쌍의 초음파센서에서 각각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한 쌍의 초음파센서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구한 다음, 상기 평균 유속과 계측부의 단면적 정보를 이용하여 유량이 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보블로워 장치의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통해 실시간으로 열에너지배출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터보송풍기의 운전을 최적 제어하여 가동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보블로워 장치의 사용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보블로워 장치 내에 설치되는 터보송풍기를 냉각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되어 원거리에서도 터보블로워 장치의 운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의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터보송풍기의 실시간 열에너지배출량을 HMI(Human-Machine Interface) 및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터보블로워 장치(1)의 외함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터보송풍기(2)와, 상기 터보송풍기(2)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인버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액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그리고 외함의 내부에는 터보송풍기(2)로부터 발생한 압축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되고, 상기 터보송풍기(2)의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터보송풍기(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유로(2A)가 설치되며, 상기 터보송풍기(2)의 모터를 냉각하고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급기유로(2A) 쪽으로 합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유로(2B)가 설치된다.
또한, 배기유로(2B)에는 터보송풍기(2)의 모터를 냉각하고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외함의 내부에는 유량계(10)로부터 측정된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열에너지배출량을 산출하는 사물인터넷 제어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사물인터넷 제어기(20)는 외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터보블로워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HMI(Human-Machine Interface, 3)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사물인터넷 제어기(20)는 미리 설정된 작업자(사용자)의 스마트기기(4)로 산출된 열에너지배출량을 함께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터보송풍기(2)의 동작시 모터의 열을 냉각하기 위한 외부 공기가 급기유로(2A)를 통해 터보송풍기(2)의 내부로 공급된 다음, 배기유로(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기유로(2B) 상에 설치되는 유량계(10)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가 측정되게 된다.
그리고 유량계(10)에서 측정된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물인터넷 제어기(20)로 전달되고, 사물인터넷 제어기(20)는 전달되는 유량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속도 대비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 및 온도를 비교하는 것으로 모터의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되게 되고, 이러한 열에너지배출량에 기초하여 터보블로워 장치(1)의 운전을 최적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보블로워 장치(1)의 열에너지배출량이 사물인터넷 제어기(20)를 통해 HMI(Human-Machine Interface, 3)와 스마트기기(4)로 전달되므로 터보블로워 장치(1)와 근접된 사용자 또는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가 터보송풍기(2)의 열에너지배출량을 쉽게 모니터링하여 터보블로워 장치(1)의 운전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량계(10)를 통해 배출 공기의 유량과 온도가 측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터보송풍기(2)의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되는 것이므로 유량계(10)를 통해 공기의 유량과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유량과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 및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유량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을 관통하여 소정 지름(D)의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센서설치베이스(12)와, 상기 한 쌍의 센서설치베이스(12)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여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초음파센서(13)와, 상기 한 쌍의 센서설치베이스(12)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원판 모양의 커버플레이트(14)와, 상기 바디(11)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면서 유로 상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 2 온도센서(15, 16) 및 상기 초음파센서(13)와 제1, 2 온도센서(15, 16)에서 측정된 유량 및 온도 정보를 사물인터넷 제어기(20)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면서 초음파센서(13)와 제1, 2 온도센서(15, 16)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이때 초음파센서(13)는 바디(11) 내부의 유로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거나 또는 초음파센서(13)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센서설치베이스(12)를 통해 바디(11)의 유로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이를 통해 초음파센서(13)를 통해 유량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바디(11)의 양단 부분에는 초음파센서(13)가 설치되는 각도와 대응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11A)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이를 통해 초음파센서(13)가 서로 마주하여 대향된 위치에 설치될 때, 초음파 신호가 바디(11)의 양단 부분에 닿거나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바디(11)의 양단 부분에는 센서설치베이스(12)와 커버플레이트(14)가 조립되고, 이와 동시에 배기유로(2B)와 결합되기 위한 소정 지름의 플랜지(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게 된다.
이에 더해 센서설치베이스(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센서설치베이스(12)의 가운데 부분에는 바디(11)의 유로 지름(D)에 대응되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멍 쪽에는 소정 각도의 설치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공에 초음파센서(13)가 삽입 설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센서설치베이스(12)의 구멍과 접하는 설치공의 일측은 유로를 따라 공기가 흐르면서 설치공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커버(아크릴)가 삽입 설치되고, 이러한 커버를 통해 구멍의 표면과 커버의 표면이 동일한 곡률의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바디(11)의 플랜지와 센서설치베이스(12) 사이에는 개스킷(G)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바디(11)와 센서설치베이스(12)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이 담보되게 된다.
한편, 제1, 2 온도센서(15, 16)는 서로 5~10㎝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를 통해 서로 충분히 이격된 위치상에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형 제어기(20)에서 제1, 2 온도센서(15, 16)에서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공기의 온도로 반영하게 된다.
이때 제1, 2 온도센서(15, 16)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거나 또는 제1, 2 온도센서(15, 16)로부터 측정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2 온도센서(15, 16)에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HMI(Human-Machine Interface, 3)와 스마트기기(4)로 온도센서의 점검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사물인터넷형 제어기(20)는 서로 마주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초음파센서(13)에서 발신 및 수신되는 시간과 한 쌍의 초음파센서(13)가 설치되는 이격거리(L)를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구하고, 구해진 평균 유속값과 미리 입력된 바디(11)의 지름(D) 정보를 이용하여 유량이 산출되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공기의 유량과 평균 온도값을 이용하여 터보송풍기(2)의 모터에서 배출하는 열에너지의 방출량이 산출되고, 터보송풍기(2)의 구동 속도, 압축공기의 생성량 및 열에너지 방출량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제어기(20)의 연산에 의해서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되게 된다.
이때 열에너지배출량은 터보송풍기(2)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증감되게 되고, 이러한 열에너지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터보송풍기(2)의 폐열원을 재사용하고, 폐열원의 사용량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HMI(Human-Machine Interface, 3) 또는 스마트기기(4)로 전달되는 열에너지배출량과 터보송풍기(2)의 제어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터보블로워 장치(1)를 실시간으로 쉽게 최적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보블로워 장치의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통해 실시간으로 열에너지배출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터보송풍기의 운전을 최적 제어하여 가동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보블로워 장치의 사용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보블로워 장치 내에 설치되는 터보송풍기를 냉각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되어 원거리에서도 터보블로워 장치의 운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터보블로워 장치 2: 터보송풍기
2A: 급기유로 2B: 배기유로
3: HMI 4: 스마트기기
10: 유량계 11: 바디
11A: 경사면 12: 센서설치베이스
13: 초음파센서 14: 커버플레이트
15: 제1 온도센서 16: 제2 온도센서
17: 제어부 20: 사물인터넷 제어기
D: 바디 유로의 지름 G: 개스킷
L: 초음파센서의 이격거리

Claims (5)

  1. 내부에 터보송풍기(2)가 설치되어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터보블로워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터보블로워 장치(1)는,
    상기 터보송풍기(2)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공기의 폐열량을 통해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되고, 산출된 열에너지배출량이 유무선 통신을 통해 HMI(Human-Machine Interface, 3) 및 스마트기기(4)로 실시간 전송되어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보블로워 장치(1)는,
    일단이 상기 터보송풍기(2)의 일측에 연결되어 내부로 냉각용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유로(2A);
    일단이 상기 터보송풍기(2)의 타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터보송풍기(2)를 냉각후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유로(2B);
    상기 배기유로(2B)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터보송풍기(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유량계(10); 및
    상기 유량계(10)를 통해 검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사물인터넷형 제어기(20);
    를 포함하며,
    상기 사물인터넷형 제어기(20)는,
    검출되는 공기의 유량과 온도(폐열) 정보에 기초하여 열에너지배출량이 산출된 다음,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HMI(Human-Machine Interface, 3) 및 상기 스마트기기(4)로 산출된 상기 열에너지배출량이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량계(10)는,
    양측면을 관통하여 소정 지름(D)의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11);
    상기 바디(11)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센서설치베이스(12);
    상기 한 쌍의 센서설치베이스(12)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여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초음파센서(13);
    상기 한 쌍의 센서설치베이스(12)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원판 모양의 커버플레이트(14);
    상기 바디(11)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면서 유로 상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 2 온도센서(15, 16); 및
    상기 초음파센서(13)와 제1, 2 온도센서(15, 16)에서 측정된 유량 및 온도 정보를 사물인터넷 제어기(20)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면서 초음파센서(13)와 제1, 2 온도센서(15, 16)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제어부(17);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1)의 양단 부분에는,
    상기 초음파센서(13)가 설치되는 각도와 대응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11A)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센서설치베이스(12)는,
    링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면서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바디(11)의 유로지름(D)에 대응되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상기 초음파센서(13)가 삽입 설치되는 소정 각도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과 접하는 상기 설치공의 일측에는,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커버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구멍의 표면과 상기 커버의 표면이 동일한 곡률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사물인터넷형 제어기(20)는,
    상기 2개의 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을 이용하고, 상기 유량계(10)의 상기 한 쌍의 초음파센서(13)에서 각각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한 쌍의 초음파센서(13)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평균 유속을 구한 다음, 상기 평균 유속과 계측부의 단면적 정보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열에너지배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보송풍기(2)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57655A 2022-05-11 2022-05-11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KR10248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55A KR102487278B1 (ko) 2022-05-11 2022-05-11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655A KR102487278B1 (ko) 2022-05-11 2022-05-11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278B1 true KR102487278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655A KR102487278B1 (ko) 2022-05-11 2022-05-11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2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55B1 (ko) * 2011-06-08 2012-03-20 이헌석 모터의 냉각기능이 포함된 터보송풍기
KR101672381B1 (ko) 2015-03-27 2016-11-03 (주) 에이스터보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KR101877544B1 (ko) 2018-05-11 2018-08-09 주식회사 아이씨티솔루션스 송풍기 노후화 예측 및 진단을 통한 에너지 최적화 제어 시스템
KR101962920B1 (ko) * 2018-03-28 2019-03-28 주식회사 이레에프에이 냉각 시스템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81983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터보 송풍장치
KR20210002142A (ko) * 2019-06-25 2021-01-07 (주)아이리녹스 티슈페이퍼 제조를 위한 스마트공장 구축 시스템
KR102200680B1 (ko) 2020-05-29 2021-01-12 터보윈 주식회사 원격 제어용 스마트 블로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55B1 (ko) * 2011-06-08 2012-03-20 이헌석 모터의 냉각기능이 포함된 터보송풍기
KR101672381B1 (ko) 2015-03-27 2016-11-03 (주) 에이스터보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KR101962920B1 (ko) * 2018-03-28 2019-03-28 주식회사 이레에프에이 냉각 시스템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77544B1 (ko) 2018-05-11 2018-08-09 주식회사 아이씨티솔루션스 송풍기 노후화 예측 및 진단을 통한 에너지 최적화 제어 시스템
KR20210002142A (ko) * 2019-06-25 2021-01-07 (주)아이리녹스 티슈페이퍼 제조를 위한 스마트공장 구축 시스템
KR102081983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터보 송풍장치
KR102200680B1 (ko) 2020-05-29 2021-01-12 터보윈 주식회사 원격 제어용 스마트 블로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4374B2 (ja) 流量計測装置とガス供給システム
KR20100120198A (ko) 기구 관리 시스템 및 가스 공급 시스템
JP6905960B2 (ja) センサ状態判定装置、センサ状態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54052A (zh) 一种毛细管堵塞检测系统及方法
US20160290560A1 (en) Monitoring of a condensate drain
KR102487278B1 (ko) 사물인터넷기반 열에너지배출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 장치
CN109707659A (zh) 一种风机在线性能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217483572U (zh) 冷水机组监测装置和冷水机组监测系统
CN110895041A (zh) 排水装置、换热设备及换热设备的排水控制方法
CN110715395B (zh) 一种空调冷媒泄露检测方法、装置及空调
CN104930340B (zh) 蒸汽热网疏水器的分布式无线监测装置、系统及工作方法
CN210863063U (zh) 换热管在线检漏装置
KR102017703B1 (ko) Bems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 분석 시스템
JPH11287688A (ja) 流量計測装置
EP3179165B1 (en) Steam using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steam using facility
CN113339688B (zh) 一种疏水阀泄漏监控系统及其方法
CN109555677A (zh) 一种空气压缩机的智能检测装置
CN113154264B (zh) 用于半导体废气处理设备的安全监测系统
CN213148251U (zh) 一种水系统管道故障智能定位装置
KR20220157546A (ko) 스마트축사용 환경측정 센서
CN210741568U (zh) 一种新型温压流监测分析仪
KR20230072255A (ko) 진공펌프의 고장 진단 시스템
JPH0961283A (ja) 配管漏洩監視装置
CN116448963B (zh) 基于多管路结构的废气浓度检测方法及设备、装置、介质
JP3901159B2 (ja) ガス配管漏洩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