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205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205B1
KR102487205B1 KR1020210151071A KR20210151071A KR102487205B1 KR 102487205 B1 KR102487205 B1 KR 102487205B1 KR 1020210151071 A KR1020210151071 A KR 1020210151071A KR 20210151071 A KR20210151071 A KR 20210151071A KR 102487205 B1 KR102487205 B1 KR 10248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unch
pin
h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김진태
윤철
김종백
Original Assignee
김진태
최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최병철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21015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이다.
본 발명의 가공 방법은 환봉을 절단하는 소재절단 단계와; 절단된 소재를 제1금형부에 고정하고, 제1펀치부 가압하는 접지홈 가공단계와; 상기 제1금형부에 제2펀치부 가압하여 제1금형부에 고정된 소재를 끼워 제1금형부에서 인출하는 소재 인출단계와; 상기 제2펀치부 고정되어 인출된 소재를 제2금형부에 안착하는 소재 안착단계와; 상기 제2금형부에 제3펀치부 가압하는 접지날개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날개 가공단계 이후 제2금형부에서 가공된 소재를 인출부재에 걸어 인출하는 최종 인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 금형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에 있어서, 원통형의 소재가 고정되는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가 형성된 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에 고정된 소재를 가압하여 접지홈를 가공하는 제1펀치부, 가공된 소재를 인출하고 제2금형부로 이동하여 제2금형부에 안착하는 제2펀치부및 제2금형부에 안착된 소재를 가압하여 접지날개를 가공하는 제3펀치부 포함하는 펀치부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터리 단자의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와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생산 단가를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Battery terminal processing mold for electric vehicle and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작은 소재인 배터리 단자의 홈과 날개부를 2개의 금형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공하여 1회 가공에 비해 불량률이 낮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가공에는 재료에 강한 압축력을 가하여 소재변형을 일으키면서 금형 내부의 형상대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하는 소성가공이 있다.
소성가공은 주물에 비하여 치수가 정확하고 대량생산으로 균일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를 가공하는데 적합하다.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의 일예로 공개특허 10-2004-0020264호 '바디패널을 가공하기 위한 금형'와 같이 하나의 금형에 하형펀치를 가압하여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였다.
이러한 소성가공의 경우 1회에 원하는 형태를 가공할 수 있으나 홈가공, 압축가공 등 양측에 상호 다른 방식의 가공을 위해 연속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록특허 10-2026588호 '개별 부품이동장치를 이용한 연속 프레스가공시스템'과 같이 개별 부품이동장치를 이용한 연속 프레스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갖고, 하나의 공정라인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해당 부품을 순차적으로 프레스가공하기 위한 복수의 금형, 상기 각 금형의 각 하부금형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몸체, 상기 각 금형의 각 상부금형을 해당 하부금형으로 승강시켜 위치된 중간제조물을 프레스가공시키기 위한 프레스부, 상기 배열된 금형으로 프레스가공을 위한 금속판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배열된 금형을 통해 프레스가공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메인배출부, 상기 각 금형의 중간제조물을 가공방향으로 배열된 다른 금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이동장치, 및 상기 프레스부, 공급부, 메인배출부, 부품이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부품을 연속적으로 단계별로 프레스가공할 수 있어 가공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일열로 배열된 연속 프레스가공시스템은 프레스의 크기가 대형이며 비교적 작은 부품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하기가 곤란하여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의 가공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속적인 가공으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봉을 절단하는 소재절단 단계와; 절단된 소재를 제1금형부에 고정하고, 제1펀치부로 가압하는 접지홈 가공단계와; 상기 제1금형부에 제2펀치*를 가압하여 제1금형부에 고정된 소재를 끼워 제1금형부에서 인출하는 소재 인출단계와; 상기 제2펀치부에 고정되어 인출된 소재를 제2금형부에 안착하는 소재 안착단계와; 상기 제2금형부에 제3펀치부로 가압하는 접지날개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날개 가공단계 이후 제2금형부에서 가공된 소재를 인출부재에 걸어 인출하는 최종 인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에 있어서, 원통형의 소재가 고정되는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가 형성된 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에 고정된 소재를 가압하여 접지홈를 가공하는 제1펀치부와, 가공된 소재를 인출하고 제2금형부로 이동하여 제2금형부에 안착하는 제2펀치부 및 제2금형부에 안착된 소재를 가압하여 접지날개를 가공하는 제3펀치부를 포함하는 펀치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부는 원통형의 금형케이스와; 상기 금형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금형지지대와; 상기 금형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가공홀이 관통된 제1금형과; 상기 금형지지대와 상기 제1금형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가공홀에 삽입되는 제1금형핀과; 상기 금형지지대와 밀착되어 상기 제1금형핀을 지지하는 금형핀지지대와; 상기 금형핀지지대와 제1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금형부는 핀홀이 관통된 제2금형과; 상기 핀홀에 구비된 제2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필홀에 삽입되는 제2금형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홀에는 상기 제2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필홀보다 직경이 큰 원형의 단차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펀치부는 펀치관통홀(311)이 형성된 펀치본체와; 상기 펀치관통홀의 일측에 삽입되며, 제1핀관통홀이 형성된 핀파이프와; 상기 펀치관통홀의 타측에 삽입되며, 제2핀관통홀이 형성된 제1펀치핀 및 일단이 상기 제1핀관통홀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핀관통홀과 제2핀관통홀을 관통하는 제2펀치핀과; 상기 제1핀관통홀에 구비된 제1탄성스프링과 밀착되어 상기 제2펀치핀을 지지하는 펀치핀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펀치부는 제1펀치가이드홀이 관통된 제1펀치케이스와;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제3펀치핀과; 일단이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펀치케이스의 하부에 밀착된 제2탄성스프링이 끼워진 펀치핀지지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펀치부는 제2펀치가이드홀이 관통된 제2펀치케이스와; 상기 제2펀치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제4펀치핀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펀치부에는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걸어 인출하는 인출부재가 더 구비되며, 이때 상기 인출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S'자형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통체와, 상기 가이드통체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단부에 걸이홈이 형성된 판체의 인출판이 형성된 소재인출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단자의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생산 단가를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의 개략적인 가공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의 개략적인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중 접지홈 가공 단계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중 제1펀치부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중 소재인출 단계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중 소재안착 단계 및 접지날개 가공단계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중 최종 인출단계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중 제1 및 제2금형부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중 제1펀치부의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중 제2 및 제3펀치부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중 인출부재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환봉 소재를 절단하고 펀칭 가공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방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봉을 절단하는 소재절단 단계(S10)와; 절단된 소재(1)를 제1금형부(100)에 고정하고, 제1펀치부(300)로 가압하는 접지홈 가공단계(S20)와; 상기 제1금형부(100)에 제2펀치부(400)를 가압하여 제1금형부(100)에 고정된 소재(1)를 끼워 제1금형부(100)에서 인출하는 소재 인출단계(S30)와; 상기 제2펀치(400)에 고정되어 인출된 소재(1)를 제2금형부(200)에 안착하는 소재 안착단계(S40)와; 상기 제2금형부(200)에 제3펀치부(500)로 가압하는 접지날개 가공단계(S50)를 포함한다.
이때, 접지홈 가공단계(S20) 및 접지날개 가공단계(S50)는 비교적 작은 알루미늄 소재의 특성상 하나의 금형, 프레스에서 가공하게 되면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금형부(100)의 펀치 가압으로 접지홈(1a)을 가공하고, 제2금형부(200)의 펀치 가압으로 접지날개(1b)를 가공하여 불량률을 최소화 하면서도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금형부(100)와 제2금형부(200)는 금형 베이스(11)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펀치부(300), 제2펀치부(400) 및 제3펀치부(500)는 펀치 베이스(21)에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면서, 상기 펀치 베이스(21)가 전,후,좌,우 이동되어 연속적으로 가공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1)는 알루미늄재의 환봉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접지홈 가공단계(S20)에서 가압되어 직경이 확장되고, 길이가 짧게 가공된다.
일예로 최초 소재(1)의 직경이 7.5mm로 형성되어 7.7mm 길이로 절단하고, 접지홈 가공단계(S20)에서 제1펀치부(300)의 펀칭으로 직경 9mm, 길이 6mm로 직경이 확장되고 길이가 짧게 가공된다.
한편, 접지홈(1a)은 내경이 7.7mm로 형성되고, 깊이가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공된 소재(1)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 최초 소재(1)를 가공 전 보다 얇고 길게 구비하여 제1금형부(100)에 소재(1)를 집게 등으로 잡아 고정한 후 이송하는 과정에서 소재(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잡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지홈 가공단계(S20)는 제1금형부(100)의 제1금형(110)에 끼워진 소재를 제1펀치부(300)의 제2펀치핀(340)이 탄성 가압하여 소재를 가공홀(111)에 밀어 넣음과 동시에 제1펀치핀(330)이 제1금형(110)을 밀어 지지하고, 제1금형(110)의 제1금형핀(120)이 소재(1)의 일면을 가압하여 접지홈(1a)이 가공된다.
그리고, 제1펀치부(300)가 후퇴함과 동시에 제1금형(110)을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160)에 의해 제1금형(110)이 원상복원된다.
다음으로 제2펀치부(400)가 제1금형(110)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제2펀치부(400)가 제1금형(110)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금형부(100)의 금형핀지지대(150)와 제1금형핀(120)이 전진하여 소재(1)를 밀어줌과 동시에 제2펀치부(400)의 제3펀치핀(420)이 후퇴하면서 제1펀치케이스(410)의 제1펀치가이드홀(411)로 소재(1)가 진입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펀치부(400)에 소재(1)가 고정된 상태로 제2펀치부(400)가 제2금형부(20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면서 소재(1)를 이탈시키게 된다.
이후 제2펀치부(400)에 고정된 소재(1)를 제2금형부(200)에 안착하는 소재 안착단계(S40)는 제2펀치부(400)의 제3펀치핀(420)이 전진하면서 제2금형부(200)의 제2금형(210) 핀홀(211)의 단부에 끼우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금형부(200)의 제2금형핀(230)이 전진하여 제2금형(210)의 단차부(211b)와 같은 접지날개(1b)를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금형핀(230)의 단부에는 환형 돌기(233)가 형성되어 접지홈(1a)의 둘레에 끼움홈(1c)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날개 가공단계(S50)는 제2금형부(200)의 제2금형핀(230)과 제3펀치부(500)의 제4펀치핀(520)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4펀치핀(520)이 소재(1)를 가압하며, 상기 접지날개 가공단계(S50) 이후 제2금형부(200)에서 가공된 소재(1)를 인출부재(600)에 걸어 인출하는 최종 인출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4펀치핀(520)이 소재(1)의 일면과 회전 마찰됨과 동시에 가압되어 소재(1)의 일면에 가압에 의한 미세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인출단계(S60) 이전에 상기 제2금형부(200)의 제2금형핀(230)이 전진하여 접지날개(1b)가 제2금형(2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상기 인출부재(600)의 인출판(622)에 형성된 걸이홈(622a)에 소재본체가 끼워져 제2금형부(200)의 전방으로 인출부재(600)가 이동하여 최종 인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금형(210)에 인출파이프가 구비되어 인출파이프의 전진에 의해 최종 성형된 소재를 제2금형(210)에서 밀어내어 인출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가공 과정으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를 가공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에 있어서, 원통형의 소재(1)가 고정되는 제1금형부(100) 및 제2금형부(200)가 형성된 금형부(10)와, 상기 제1금형부(100)에 고정된 소재(1)를 가압하여 접지홈(1a)를 가공하는 제1펀치부(300)와, 가공된 소재(1)를 인출하고 제2금형부(200)로 이동하여 제2금형부(200)에 안착하는 제2펀치부(400) 및 제2금형부(200)에 안착된 소재(1)를 가압하여 접지날개(1b)를 가공하는 제3펀치부(500)를 포함하는 펀치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펀치부(20)의 제1 내지 제3펀치부(300,400,500)는 펀치베이스(21)의 이동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부(100)는 원통형의 금형케이스(130)와; 상기 금형케이스(13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금형지지대(140)와; 상기 금형케이스(13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가공홀(111)이 관통된 제1금형(110)과; 상기 금형지지대(140)와 상기 제1금형(110)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가공홀(111)에 삽입되는 제1금형핀(120)과; 상기 금형지지대(140)와 밀착되어 상기 제1금형핀(120)을 지지하는 금형핀지지대(150)와; 상기 금형핀지지대(150)와 제1금형(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16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금형지지대(140)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상기 금형케이스(13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110)의 가공홀(111)은 원형통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금형(110)은 일측에 걸림돌기(112)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홀(111)은 소재(1)가 안착되는 가공공간(111a)과, 이 가공공간(111a)과 연통되며, 가공공간(1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핀이동공간(11b)으로 이루어져 상기 핀이동공간(11b)으로 상기 제1금형핀(120)이 이동하여 소재(1)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핀(120)은 상기 금형핀지지대(150)에 걸리는 고정구(121)와 상기 고정구(121)의 직경보다 작은 가압구(122)로 형성되며, 가압구(122)의 단부는 볼록한 형성되어 접지홈(1a)의 가공 이후 소재(1)를 밀어내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금형핀지지대(150)는 상기 금형지지대(140)와 밀착되는 원통체로 상기 제1금형핀(120)의 고정구(121)가 안착되고 가압구(122)가 관통되도록 단차진 통공(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110)과 금형핀지지대(150)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핀(120)의 가압구(122)가 삽입되는 제1스프링(160)이 구비되어 상기 제1금형(110) 및 금형핀지지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금형케이스(130)는 상기 제1금형(110)의 걸림돌기(112)가 걸려 제1금형(11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 내주면에 단턱부(131)가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금형부(200)는 핀홀(211)이 관통된 제2금형(210)과; 상기 핀홀(211)에 구비된 제2스프링(22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필홀(211)에 삽입되는 제2금형핀(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핀홀(211)에는 상기 제2스프링(220)의 일단이 지지되는 단턱(211a)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필홀(211)보다 직경이 큰 원형의 단차부(2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금형핀(230)은 제1금형핀(120)과 같이 원통체로 일단에 고정구(231) 및 고정구(231)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핀홀(211)에 삽입되는 가압구(2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스프링(220)은 상기 가압구(232)가 삽입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고정구(231)와 접하고 타단이 상기 단턱(211a)에 밀착되어 상기 제2금형핀(230)이 전진하여 접지날개(1b)를 가공하거나 소재(1)를 인출하고 다시 원상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재(1)를 밀어 인출하기 위해 상기 제2스프링(220)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금형핀(230)이 관통되는 인출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펀치부(300)는 펀치관통홀(311)이 형성된 펀치본체(310)와; 상기 펀치관통홀(311)의 일측에 삽입되며, 제1핀관통홀(321)이 형성된 핀파이프(320)와; 상기 펀치관통홀(311)의 타측에 삽입되며, 제2핀관통홀(331)이 형성된 제1펀치핀(330) 및 일단이 상기 제1핀관통홀(321)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핀관통홀(321)과 제2핀관통홀(331)을 관통하는 제2펀치핀(340)과; 상기 제1핀관통홀(321)에 구비된 제1탄성스프링(350)과 밀착되어 상기 제2펀치핀(340)을 지지하는 펀치핀지지대(3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펀치본체(310)의 펀치관통홀(311)에는 상기 핀파이프(320)의 일단부가 밀착되고, 상기 제1펀치핀(330)이 걸리도록 2단의 걸림턱(312,313)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파이프(320)의 제1핀관통홀(321)에는 'T'형태의 펀치핀지지대(360)의 일단과 제2펀치핀(340)이 걸리도록 2단의 걸림턱(322,3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펀치핀(330)과 제2펀치핀(340)은 각각 펀치관통홀(311)의 걸림턱(313)과 제1핀관통홀(321)의 걸림턱(323)에 걸리는 고정구(332,341)와 각 고정구(332,341) 보다 직경이 작은 가압구(333,342)가 일체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펀치핀(340)의 가압구(342)는 상기 제1펀치핀(330)의 제2핀관통홀(331)을 통과하여 제1펀치핀(330)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관통홀(311)에는 상기 펀치핀지지대(360)에 밀착되는 제1탄성스프링(35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펀치부(300)가 제1금형부(100)에 밀착될 경우 상기 제2펀치핀(340)의 가압구(342) 단부가 소재(1)를 탄성적으로 밀어 제1금형(110)에 완전히 밀어 넣게 되면 제2펀치핀(340)이 제1탄성스프링(350)을 가압하여 제1탄성스프링(350)이 압축되고 제1펀치핀(330)의 단부가 소재(1) 및 제1금형(110)을 밀착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펀칭시 소재(1)를 탄성 가압하여 소재(1)를 비교적 정교하게 가공할 수 있다. 특히 작은 부품의 소재의 경우 일시에 강한 타격으로 펀칭시 일부가 찌그러지는 등 정교한 가공이 어려운 단점을 해소하였다.
또한, 상술한 제1펀치부(300)의 제1펀치핀(330)은 반복적 타격으로 마모 발생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나, 도 4와 같이 상기 펀치본체(310)의 일단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펀치부(400)는 제1펀치가이드홀(411)이 관통된 제1펀치케이스(410)와;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을 관통하는 제3펀치핀(420)과; 일단이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에 삽입되며, 상기 제1펀치케이스(410)의 하부에 밀착된 제2탄성스프링(430)이 끼워진 펀치핀지지구(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펀치부(400)는 접지홈(1a)이 가공된 소재(1)를 인출하여 제2금형(210)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원통형의 제1펀치케이스(410)의 제1펀치가이드홀(411)의 일단에 소재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의 직경은 가공된 소재(1)의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의 일단에는 소재(1)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사면(4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 역시 상기 제3펀치핀(420)이 걸리도록 단턱(412)이 형성되고, 상기 제3펀치핀(420)은 제1펀치핀(330) 및 제2펀치핀(340)과 같이 상기 단턱(412)에 걸리는 고정구(421)와 이 고정구(421)보다 직경이 작은 가압구(422)가 일체로 돌출되어 제1펀치가이드홀(411)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펀치핀지지구(440)는 'T'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3펀치핀(42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펀치케이스(410)의 일단에 밀착되는 제2탄성스프링(430)이 끼워져 상기 제3펀치핀(4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3펀치핀(420)의 가압구(422)의 상단 중심부에서 외주면으로 'L'자형 에어홀(423)이 형성되어 제1펀치가이드홀(411)에 소재(1)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3펀치핀(420)이 전진할 때 제3펀치핀(420)과 소재(1) 사이의 공간부 공기가 에어홀(423)로 이동(배출)되어 제3펀치핀(420)이 용이하게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펀치핀(420)의 가압구(422) 일단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재(1)의 일면과 밀착시 공기층이 형성되어 밀착력을 높이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3펀치부(500)는 제2펀치가이드홀(511)이 관통된 제2펀치케이스(510)와; 상기 제2펀치가이드홀(511)을 관통하는 제4펀치핀(5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펀치가이드홀(511)에 상기 제4펀치핀(520)이 걸리는 단턱(512)이 형성되고, 상기 제4펀치핀(520) 역시 상기 제1 내지 제3펀치핀(330,340,420)과 같이 상기 단턱(512)에 걸리는 고정구(521)와 이 고정구(521) 보다 직경이 작은 가압구(522)가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제2펀치가이드홀(511)을 관통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펀치가이드홀(511)에는 상기 제4펀치핀(520)을 지지하는 펀치핀지지구(5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펀치핀(520)의 가압구(522) 직경은 상기 제2금형(210)의 핀홀(211)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11b)의 직경과 같이 구비되어 소재(1)를 가압하여 단차부(211b)와 원판형의 접지날개(1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금형(210)의 핀홀(211)의 끝단은 상기 제4펀치핀(520)의 가압구(522)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의 사면(211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펀치부(20)에는 가공이 완료된 소재(1)를 걸어 인출하는 인출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인출부재(600)는 길이방향을 따라 'S'자형 장공(611)이 형성된 가이드통체(610)와, 상기 가이드통체(610)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장공(611)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621)가 형성되고, 단부에 걸이홈(622a)이 형성된 판체의 인출판(622)이 형성된 소재인출구(6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통체(610)는 일측에 상기 소재인출구(620)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피스톤과 피스톤로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통체(610)를 따라 소재인출구(620)가 이동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621)가 장공(61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통체(610)의 이동과 동시에 회동되게 된다.
즉, 상기 소재인출구(620)의 단부에 상기 인출판(622)이 일체로 편심 고정되어 회동시 상기 걸이홈(622a)이 상기 소재(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홈(622a)는 대략 'U'자 홈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소재인출구(620)의 단부에 판상으로 구비된 인출판(622)의 걸이홈(622a)이 전진과 동시에 회동되어 걸이홈(622a)이 상기 소재본체에 끼워져 접지날개(1b)가 지지된 상태로 인출부재(600)가 제2금형(210)의 반대편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가공 완료된 접지단자를 인출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금형부(200)의 핀홀(211)에 전,후진 가능한 별도의 인출파이프를 구비하여 접지단자를 밀어 인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금형부(10) 및 펀치부(20)의 각 구성은 유압 및 공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금형부(200)의 제2금형핀(230)과 제3펀치부(500)의 제4펀치핀(520)은 모터와 연결되거나 상기 가이드통체(610) 및 소재인출구(620)의 구조와 같이 전,후진과 동시에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금형핀(230)과 제4펀치핀(520)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4펀치핀(520)이 소재(1)의 일면에 마찰됨과 동시에 가압하여 소재(1)의 일면의 미세홈을 제거하여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소재 10: 금형부
20: 펀치부 100: 제1금형부
110: 제1금형 120: 제1금형핀
130: 금형케이스 140: 금형지지대
150: 금형핀지지대 160: 제1스프링
200: 제2금형부 210: 제2금형
220: 제2스프링 230: 제2금형핀
300: 제1펀치부 310: 펀치본체
320: 핀파이프 330: 제1펀치핀
340: 제2펀치핀 350: 제1탄성스프링
360: 펀치핀지지대 400: 제2펀치부
410: 제1펀치케이스 420: 제3펀치핀
430: 제2탄성스프링 440: 펀치핀지지구
500: 제3펀치부 510: 제2펀치케이스
520: 제4펀치핀 530: 펀치핀지지구
600: 인출부재 610: 가이드통체
620: 소재인출구

Claims (11)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에 있어서,
    원통형의 소재(1)가 고정되는 제1금형부(100) 및 제2금형부(200)가 형성된 금형부(10)와,
    상기 제1금형부(100)에 고정된 소재(1)를 가압하여 접지홈(1a)를 가공하는 제1펀치부(300)와, 가공된 소재(1)를 인출하고 제2금형부(200)로 이동하여 제2금형부(200)에 안착하는 제2펀치부(400) 및 제2금형부(200)에 안착된 소재(1)를 가압하여 접지날개(1b)를 가공하는 제3펀치부(500)를 포함하는 펀치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펀치부(300)는 펀치관통홀(311)이 형성된 펀치본체(310)와;
    상기 펀치관통홀(311)의 일측에 삽입되며, 제1핀관통홀(321)이 형성된 핀파이프(320)와;
    상기 펀치관통홀(311)의 타측에 삽입되며, 제2핀관통홀(331)이 형성된 제1펀치핀(330) 및 일단이 상기 제1핀관통홀(321)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핀관통홀(321)과 제2핀관통홀(331)을 관통하는 제2펀치핀(340)과;
    상기 제1핀관통홀(321)에 구비된 제1탄성스프링(350)과 밀착되어 상기 제2펀치핀(340)을 지지하는 펀치핀지지대(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부(100)는 원통형의 금형케이스(130)와;
    상기 금형케이스(13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금형지지대(140)와;
    상기 금형케이스(13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가공홀(111)이 관통된 제1금형(110)과;
    상기 금형지지대(140)와 상기 제1금형(110) 사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가공홀(111)에 삽입되는 제1금형핀(120)과;
    상기 금형지지대(140)와 밀착되어 상기 제1금형핀(120)을 지지하는 금형핀지지대(150)와;
    상기 금형핀지지대(150)와 제1금형(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1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부(200)는 핀홀(211)이 관통된 제2금형(210)과;
    상기 핀홀(211)에 구비된 제2스프링(22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핀홀(211)에 삽입되는 제2금형핀(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211)에는 상기 제2스프링(220)의 일단이 지지되는 단턱(211a)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필홀(211)보다 직경이 큰 원형의 단차부(21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펀치부(400)는 제1펀치가이드홀(411)이 관통된 제1펀치케이스(410)와;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을 관통하는 제3펀치핀(420)과;
    일단이 상기 제1펀치가이드홀(411)에 삽입되며, 상기 제1펀치케이스(410)의 하부에 밀착된 제2탄성스프링(430)이 끼워진 펀치핀지지구(4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펀치부(500)는 제2펀치가이드홀(511)이 관통된 제2펀치케이스(510)와;
    상기 제2펀치가이드홀(511)을 관통하는 제4펀치핀(520)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20)에는 가공이 완료된 소재(1)를 걸어 인출하는 인출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600)는 길이방향을 따라 'S'자형 장공(611)이 형성된 가이드통체(610)와, 상기 가이드통체(610)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장공(611)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621)가 형성되고, 단부에 걸이홈(622a)이 형성된 판체의 인출판(622)이 형성된 소재인출구(6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151071A 2021-11-05 2021-11-0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KR10248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71A KR102487205B1 (ko) 2021-11-05 2021-11-0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71A KR102487205B1 (ko) 2021-11-05 2021-11-0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205B1 true KR102487205B1 (ko) 2023-01-11

Family

ID=8489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071A KR102487205B1 (ko) 2021-11-05 2021-11-0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086B1 (ko) * 2023-04-17 2024-03-29 김도건 금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극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850A (ja) * 1992-09-03 1994-07-26 Water Gremlin Co バッテリ端子並びに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10071887A (ko) * 2009-12-22 2011-06-29 유한프리시전(주) 부품 조립체의 탄성체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850A (ja) * 1992-09-03 1994-07-26 Water Gremlin Co バッテリ端子並びに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10071887A (ko) * 2009-12-22 2011-06-29 유한프리시전(주) 부품 조립체의 탄성체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086B1 (ko) * 2023-04-17 2024-03-29 김도건 금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극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5546A (ko) 납축전지용 터미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및 상기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터미널
KR102487205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CN210435139U (zh) 快换凸模的冲裁间隙实验用冲压模具
CN210025071U (zh) 一种水泵轴承轴顶杆抱紧装置
CN111872232A (zh) 一种金属加工件卷圆成型装置及成型方法
US35402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ollow metal articles
KR101528122B1 (ko) 딥드로잉에 의한 원통형 압력용기 제조 장치
CN112620417B (zh) 一种高精度的可灵活成型折弯模具
CN210966680U (zh) 一种冲压模具用上模具连接结构
CN212554834U (zh) 一种模仁快速更换的模具
CN108405778B (zh) 一种冷锻加工模具的排废料机构及排废料方法
JP3617038B2 (ja) 溝付きプラグの製造方法
CN108724342B (zh) 一种复合模具结构
KR10101460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트리퍼 조립체
CN110538922A (zh) 一种多次变薄拉深及反拉深级进模
CN220560260U (zh) 一种方便安装的立式胀径模具
CN210233772U (zh) 一种嵌件注塑端子片的拆卸工装
RU146556U1 (ru) Штамп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фе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з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CN220880282U (zh) 一种电容器外壳成型装置
CN215587753U (zh) 一种紧配式油缸缸头模具
CN210188304U (zh) 一种大型螺栓坯件冲压成型顶出工装
CN216575203U (zh) 工件冲压模具
CN112170692B (zh) 一种三步一体的高效轴套冲压生产方法
CN213052372U (zh) 一种金属加工件卷圆成型装置
CN210387195U (zh) 一种级进摸具的折弯角度整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