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43B1 -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 Google Patents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43B1
KR102487043B1 KR1020210066093A KR20210066093A KR102487043B1 KR 102487043 B1 KR102487043 B1 KR 102487043B1 KR 1020210066093 A KR1020210066093 A KR 1020210066093A KR 20210066093 A KR20210066093 A KR 20210066093A KR 102487043 B1 KR102487043 B1 KR 10248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ring
rotational
hanger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384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아 엑츄에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아 엑츄에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아 엑츄에이션
Priority to KR102021006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the movement being hydraulically or electrically contro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며 배관의 하중 변화 또는 열팽창/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인장/압축을 통해 완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행거로서, 배관의 이상 징후에 따른 배관 변위를 측정하고 엑츄에이팅 기능을 통해 이상 징후 완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Spring hanger with actu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며 배관의 하중 변화 또는 열팽창/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인장/압축을 통해 완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행거로서, 배관의 이상 징후에 따른 배관 변위를 측정하고 엑츄에이팅 기능을 통해 이상 징후 완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에 관한 것이다.
석유화학공장, 발전소 등과 같은 시설물에 배관을 고정 설치하여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 행거가 사용된다.
석유화학공장,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 시설물의 배관은 유체의 유동 여부에 따른 배관의 하중 변화 또는 유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배관의 열팽창/수축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스프링 행거는 이러한 진동이나 충격, 변위를 스프링의 인장/압축을 통해 완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스프링 행거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스프링의 특성 변화 및/또는 운전 조건 변화, 배관 측의 이상 하중 등에 따른 이상 징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스프링 행거의 특성 변화 및/또는 이상 징후를 판단하여 시설물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7772 (2013.01.23.)는 내구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특성 변화를 스프링 행거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를 통한 이상 징후를 사전에 진단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0972 (2016.12.23.)는 스프링 행거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왕복운동값을 압력의 변화로 측정하여 스프링이 제대로 작동되는지를 육안 또는 원거리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스프링 행거 내의 스프링 작동여부 감지장치를 제안하였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1718 (2017.07.20.)은 스프링계 행거의 설치 위치가 점검자의 접근이 어려운 고소지역 또는 너무 멀거나 어두운 지역 등에 설치되어 있어 육안상으로 스프링계 행거에 구비된 지침의 확인이 어려울 경우, 디지털 지침 감시 장치를 통해 상기 지침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계 행거의 지지하중 및 배관 변위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변위측정 자기센서와 로드 셀을 통해 입력되는 변위정보와 하중정보를 이용하여 코일 스프링의 변형량을 분석하거나, 스프링 행거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왕복운동값을 압력의 변화로 측정하여 스프링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거나, 스프링 행거의 외측에 돌출된 지침을 로드 형태의 지침 고정부를 통해 변위 센서와 연결하여 스프링의 변위를 판단하는 구성들을 취하므로, 변위 측정을 위한 구성이 복잡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들은 측정된 변위에 따라 이상 징후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기는 하지만, 감지된 이상 징후에 따라 배관의 지지 상태를 조절하여 이상 징후를 완화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7772 (2013.01.2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0972 (2016.12.2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1718 (2017.07.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며 배관의 하중 변화 또는 열팽창/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인장/압축을 통해 완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행거로서, 배관의 이상 징후에 따른 배관 변위를 측정하고 엑츄에이팅 기능을 통해 이상 징후 완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횡방향으로 배치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횡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복원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 걸림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가동봉;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제1축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봉의 타단에 제2축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가동 링크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기초하여 설치된 상기 제1축을 통해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부; 상기 제1축에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배관 측 요소에 연결된 행거용 체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는 회전각 측정 센서; 및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변위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으며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관 측 요소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이 전달받는 외력 변화에 의해, 상기 제2축이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축이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봉의 타단은 상기 제2축과 함께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봉의 일단은 상기 걸림판을 통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을 압축 또는 복원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타단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코일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편에 상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스프링 코일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연장편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내측에 타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결합부재에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압축 또는 복원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고정 결합부재에 발생하는 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상기 고정 결합부재에 발생하는 변형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아 배관 측 요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하중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관의 이상 징후로 판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는 기구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으며, 상기 기구 요소는, 상기 제1축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으며, 동축으로 설치된 입력축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로 전달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는, 방수가 가능한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터리 엔코더이며, 상기 입력축의 입력 단부에 설치된 자석의 회전각 변화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일측에 스프라켓축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행거용 체인의 구동 방향 및 위치를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스프라켓;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관 측 요소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이 전달받는 외력이 커지는 경우, 상기 가동 링크 부재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코일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변위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는 배관 측 요소 방향으로 상기 행거용 체인의 풀림이 이뤄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배관을 지지하며 배관의 하중 변화 또는 열팽창/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인장/압축을 통해 완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행거를 제공하되, 배관의 이상 징후에 따른 배관 변위를 측정하고 엑츄에이팅 기능을 통해 이상 징후 완화 제어를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을 행거 본체에 결합 설치하기 위한 고정 결합부재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하고 고정 결합부재의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배관측 요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하여 배관의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또다른 위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제어 계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SH)는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어 배관 측 요소(P)의 하중을 지지하며 배관 측 요소(P)의 하중 변화 또는 열팽창/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0)의 인장/압축을 통해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SH)는 배관 측 요소(P)의 이상 징후에 따른 배관 변위를 측정하고 엑츄에이팅 기능을 통해 이상 징후 완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배관 측 요소(P)는 배관 자체, 또는 배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용 브라켓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설명 편의 상 배관 측 요소(P)라고 표현하지만, 배관 이외의 다양한 하중 요소도 배관 측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배관 측 요소(P)의 이상 징후의 판단은, 일예로 배관 측 요소(P)에 연결된 행거용 체인(50)의 수직 변위(D1-D2 방향 변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수직 변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주기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배관 측 요소(P)의 이상 징후의 판단은, 다른예로 행거용 체인(50)의 수직 변위의 변화 패턴이 미리 설정된 정상 패턴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일예로, 행거용 체인(50)의 수직 변위는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R1-R2 방향 변위)로부터 제어부(70)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다른예로, 제어부(70)는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R1-R2 방향 변위)를 직접 이용하여 배관 측 요소(P)의 이상 징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BM은 스프링 행거(SH)가 설치되는 천장 구조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또다른 위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행거의 제어 계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SH)는 본체(10), 코일형 스프링(20), 가동봉(30), 가동 링크 부재(40), 구동부(200), 구동 스프라켓(302), 회전각 측정 센서(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본체(10)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금속 소재의 케이싱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횡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복원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코일형 스프링(20)의 압축 또는 복원은 대략 상기 원통형의 내부 공간의 축 방향(Ax)을 따라 이뤄지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여 약간의 상하 방향 변형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가동봉(30)은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 걸림판(82)에 일단(30a)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10a)에 형성된 관통공(10b)을 통해 타단(30b)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10a)에 설치된 지지 부재(18)에 제1축(216)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봉(30)의 타단(30b)에 제2축(92)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는 제1축(216)과 별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에는 제1축(216)의 단부가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 결합되는 축 지지부(BF)가 설치된다(도 7 참조). 상기 축 지지부(BF)는 가동 링크 부재(40)의 일지점에 관통된 상태로 볼트(BT)로 고정되며 그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18)의 일지점에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6의 미설명 부호 S는 가동 링크 부재(40)가 지지 부재(18)와 간극을 이루면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스페이서이다.
일예로 지지 부재(18)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의 일측면(10a)에 부착된 금속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동 링크 부재(40)가 내설될 수 있도록 2개의 평행한 금속 판재가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지지 부재(18)의 상측에는 스프링 행거(SH)를 시설물(BM, 천장면, 구조용 빔 등)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부재(19)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가동 링크 부재(40)는 대략 삼각형 형태의 2개의 금속 판재가 평행하게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 링크 부재(40)가 대략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삼각형의 각각의 꼭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제1축(216), 제2축(92) 및 스프라켓축(316)이 각각 평행한 축 방향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축(216), 제2축(92) 및 스프라켓축(316)의 축 방향은 상기 본체(10)의 원통형의 축 방향(Ax)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SH)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스프라켓(304,3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이들 스프라켓(304,306)은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일측에 스프라켓축(314,316)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30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행거용 체인(50)의 구동 방향 및 위치를 가이드한다.
상기 배관 측 요소(P)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50)이 전달받는 외력 변화에 의해, 상기 제2축(92)이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가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상기 제2축(92)이 제1 회전 방향(R1) 또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봉(30)의 타단(30b)은 상기 제2축(92)과 함께 제1 회전 방향(R1) 또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봉(30)의 일단(30a)은 상기 걸림판(82)을 통해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을 압축 또는 복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지지 부재(18)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18)에 기초하여 설치된 상기 제1축(216)을 통해 회전 구동력을 출력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지지 부재(18)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204)와, 상기 구동 모터(204)의 모터축(206)에 설치된 구동 기어(20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축(216)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210~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기어 트레인(210~214)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웜기어 형태의 구동 기어(208)와, 상기 구동 기어(208)에 치합된 제1 웜 휠(210)과, 상기 제1 웜 휠(210)과 동일 축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웜 기어(212)와, 상기 제1 웜 기어(212)와 치합된 제2 웜 휠(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축(216)은 상기 제2 웜 휠(214)의 회전축을 구성하며 베어링(B)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횡방향으로 지지된다. 구동 기어(208)를 포함하는 웜 기어, 또는 기어 축들은 베어링(B)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미설명 부호 202는 구동부 케이싱이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302)은 상기 제1축(216)에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회전 구동력을 제1축(216)을 통해 전달받아 배관 측 요소(P)에 연결된 행거용 체인(5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행거용 체인(50)은 구동 스프라켓(302)에 일부 구간이 체결된 상태를 이루며, 아이들 스프라켓(304,306)에 또다른 일부 구간이 체결된 상태를 이루면서 체인의 일단이 배관 측 요소(P)에 연결되어 상향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 스프라켓(302)에 인접한 제1 아이들 스프라켓(304)과 그보다 더 먼 위치에 있으면서 가동 링크 부재(40)의 단부 측에 위치한 제2 아이들 스프라켓(306)이 설치되며, 구동 스프라켓(302)에 일부 구간이 체결된 행거용 체인(50)의 일측은 제2 아이들 스프라켓(306)에 일부 구간이 감긴 상태로 하향 연장되어 배관 측 요소(P)에 결합되고, 행거용 체인(50)의 타측은 제1 아이들 스프라켓(304)에 일부 구간이 감긴 상태로 하향 연장되어 자유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스프라켓 및 체인의 체결 구성은 변형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는 상기 지지 부재(18)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를 측정한다.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는 기구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는다.
일예로, 상기 기구 요소는, 상기 제1축(216)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기어(62)와, 상기 제1 기어(62)로부터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으며, 동축으로 설치된 입력축(60a)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상태를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로 전달하는 제2 기어(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기어(62)와 제2 기어(64)는 직접 치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중간 기어(미도시)를 개재하여 치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어(62)와 제2 기어(64)는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의 적절한 분해능을 고려하여 기어비가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는, 방수가 가능한 케이싱(C)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터리 엔코더이며, 상기 입력축(60a)의 입력 단부에 설치된 자석(N,S)의 회전각 변화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는다. 도 7에 이러한 구성이 예시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회전각 측정 센서(60)는 방수가 가능한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축(60a)의 자석(N,S)의 회전에 따른 자속 변화에 의해 신호를 감지하여 제1축(216)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게 되므로, 회전각 측정 센서(60)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외부 수분에 의한 입력 오차 또는 고장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는 로터리 타입으로 동작하면서 입력 축의 기구적 입력에 의해 회전 위치 측정이 가능한 공지의 로터리 엔코더, 포텐쇼미터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입력 축이 통과하는 케이싱 부분에 대한 방수를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포텐쇼미터를 설치하는 경우, 기준 위치를 감안하여 절대 회전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로부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으며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R1-R2)의 기준 위치가 설정되고 제어부(70)에 미리 설정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공지의 MCU(Micro Controller Unit)와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입력 수단, 전원부(120), 출력 표시 수단(C1), 이들 요소를 전자 회로로 연결하는 PCB 기판(PP)을 포함하는 컴퓨팅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 변위(R1-R2)를 산출하고 구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된다. 컴퓨팅 모듈의 케이싱(C)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가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 지지 부재(18)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R1-R2)의 측정 결과에 상응하는 구동부(200)의 구동 제어값을 매칭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제어부(70)에 저장하거나, 또는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R1-R2)의 측정 결과로부터 구동부(200)의 구동 제어값을 산출하는 산출 알고리즘을 미리 제어부(70)에 저장함으로써, 제어부(70)는 구동부(200)의 구동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SH)는 스트레인 게이지(100)를 이용하여 배관 측 요소(P)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10a)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판(8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의 타단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판(8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84)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코일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 연장편(86)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86)에 상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스프링 코일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연장편(86)에 일단부(88a)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10a)의 내측에 타단부(88b)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재(88)가 구비된다. 도 5의 부호 BT는 고정 결합부재(88)를 본체(10)의 일측면(10a)의 내측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며, 부호 CB는 스트레인 게이지(100)로부터 제어부(70)로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이며, 부호 CP는 연장편(86)과 고정 결합부재(88)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핀이다.
상기 고정 결합부재(88)에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의 압축 또는 복원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고정 결합부재(88)에 발생하는 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10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결합부재(88)에 압축 방향의 변형이 더 크게 발생할수록 배관 측 요소(P)의 하중값이 더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00)로부터 상기 고정 결합부재(88)에 발생하는 변형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아 배관 측 요소(P)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하중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관의 이상 징후로 판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스트레인 게이지(100)에서 측정한 고정 결합부재(88)의 변형율에 상응하는 배관 측 요소(P)의 하중값을 매칭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제어부(70)에 저장하거나,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100)에서 측정한 고정 결합부재(88)의 변형율에 상응하는 배관 측 요소(P)의 하중값을 산출하는 산출 알고리즘을 미리 제어부(70)에 저장함으로써, 제어부(70)는 스트레인 게이지(100)의 측정 결과로부터 배관 측 요소(P)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는 전원 소스(1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해 내부에 전력저장장치(ES)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전원 소스(110)는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미도시), 또는 상용 전원선(미도시)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배관 측 요소(P)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50)의 일단이 하측 방향(D2)의 외력을 받는 상태에서 상기 배관 측 요소(P)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50)이 전달받는 외력이 커지는 경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가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을 압축시키는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봉(30)의 타단(30b)은 상기 제2축(92)과 함께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R1)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봉(30)의 일단(30a)은 상기 걸림판(82)을 통해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을 압축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봉(30)의 타단(30b)은 대략 원통형의 축 방향(Ax)을 따라 전방(D5)의 이동이 이뤄지면서 약간의 상하 이동을 수반하여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한 공전 운동을 하게 되므로, 가동봉(30)이 통과하는 상기 관통공(10b)과 가동 링크 부재(40)의 관통홀(부호 미도시)은 상기 공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홀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코일형 스프링(20)의 압축에 의해 본 실시예의 스프링 행거(SH)는 배관 측 요소(P)의 하중 변화 또는 열팽창/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60)로부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의 회전 변위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70)는 배관 측 요소 방향(D2)으로 상기 행거용 체인(50)의 풀림(D2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뤄지도록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행거용 체인(50)의 풀림은 상기 제어부(70)의 구동 제어 신호를 받은 구동 모터(204)가 회전하고, 그 회전 구동력이 기어 트레인(210~214)을 통해 상기 제1축(216)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축(216)에 동축으로 설치된 구동 스프라켓(302)이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관 측 요소 방향(D2)으로 상기 행거용 체인(50)을 풀어주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행거용 체인(50)의 풀림이 이뤄지면 상기 배관 측 요소(P)로부터 상기 행거용 체인(50)이 전달받는 외력(스트레스)이 감소된다.
상기 배관 측 요소(P)로부터 상기 행거용 체인(50)이 전달받는 외력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가동 링크 부재(40)가 상기 제1축(216)을 중심으로 제2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코일형 스프링(20)은 복원(해제)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행거용 체인(50)이 과도한 외력을 전달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스트레인 게이지(100)의 측정 결과로부터 배관 측 요소(P)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산출한 회전 변위 및/또는 하중값을 출력 표시 수단(C1)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선(미도시)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수단으로 산출한 값을 전송하거나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본체
18: 지지 부재
20: 코일형 스프링
30: 가동봉
40: 가동 링크 부재
50: 행거용 체인
60: 회전각 측정 센서
62: 제1 기어
64: 제2 기어
70: 제어부
82: 걸림판
84: 지지판
86: 연장편
88: 고정 결합부재
92: 제2축
100: 스트레인 게이지
200: 구동부
204: 구동 모터
208: 구동 기어
210~214: 기어 트레인
216: 제1축
Ax: 축 방향
L: 수직 변위
P: 배관 측 요소

Claims (10)

  1. 횡방향으로 배치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횡방향을 따라 압축 또는 복원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코일형 스프링;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 걸림판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가동봉;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제1축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봉의 타단에 제2축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가동 링크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기초하여 설치된 상기 제1축을 통해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부;
    상기 제1축에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배관 측 요소에 연결된 행거용 체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는 회전각 측정 센서; 및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변위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으며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측 요소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이 전달받는 외력 변화에 의해, 상기 제2축이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이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봉의 타단은 상기 제2축과 함께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공전하며,
    상기 가동봉의 일단은 상기 걸림판을 통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을 압축 또는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타단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 코일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편에 상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스프링 코일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연장편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의 내측에 타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결합부재에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압축 또는 복원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고정 결합부재에 발생하는 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상기 고정 결합부재에 발생하는 변형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아 배관 측 요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하중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관의 이상 징후로 판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는 기구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으며,
    상기 기구 요소는,
    상기 제1축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으며, 동축으로 설치된 입력축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로 전달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는,
    방수가 가능한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터리 엔코더이며,
    상기 입력축의 입력 단부에 설치된 자석의 회전각 변화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일측에 스프라켓축을 통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행거용 체인의 구동 방향 및 위치를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스프라켓;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측 요소에 의해 상기 행거용 체인이 전달받는 외력이 커지는 경우, 상기 가동 링크 부재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코일형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각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가동 링크 부재의 회전 변위의 측정 결과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는 배관 측 요소 방향으로 상기 행거용 체인의 풀림이 이뤄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KR1020210066093A 2021-05-24 2021-05-24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KR10248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93A KR102487043B1 (ko) 2021-05-24 2021-05-24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93A KR102487043B1 (ko) 2021-05-24 2021-05-24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84A KR20220158384A (ko) 2022-12-01
KR102487043B1 true KR102487043B1 (ko) 2023-01-10

Family

ID=8444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93A KR102487043B1 (ko) 2021-05-24 2021-05-24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2821A (zh) * 2022-04-07 2022-08-30 常州大学 一种管道法兰的可拆卸防振密封保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747A (ja) 2000-09-19 2002-03-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プリングハンガー
JP2006105360A (ja) 2004-10-08 2006-04-20 Osaka Gas Co Ltd 配管支持装置
KR101584658B1 (ko) 2015-08-31 2016-01-1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하중 계측 시스템
KR101761718B1 (ko) 2017-03-10 2017-08-04 한국동서발전(주) 배관의 스프링계 행거용 디지털 지침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34246B1 (ko) 2018-08-24 2018-12-31 (주)노아 엑츄에이션 발전소 배관 안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72B1 (ko) 2011-07-11 2013-01-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690972B1 (ko) 2016-09-27 2016-12-29 주식회사 상준 스프링 행거 내의 스프링 작동여부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747A (ja) 2000-09-19 2002-03-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プリングハンガー
JP2006105360A (ja) 2004-10-08 2006-04-20 Osaka Gas Co Ltd 配管支持装置
KR101584658B1 (ko) 2015-08-31 2016-01-12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하중 계측 시스템
KR101761718B1 (ko) 2017-03-10 2017-08-04 한국동서발전(주) 배관의 스프링계 행거용 디지털 지침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34246B1 (ko) 2018-08-24 2018-12-31 (주)노아 엑츄에이션 발전소 배관 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84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84B1 (ko) 개선된 밸브 액추에이터
US92055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of a robot actuator
JP2716809B2 (ja) 軸方向荷重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248567B2 (ja) 弁装置の監視システム
KR102487043B1 (ko) 엑츄에이팅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KR101227772B1 (ko)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WO2009109745A1 (en) Flexible pipe fatigue monitoring below the bend stiffener of a flexible riser
US4735101A (en) Motor operated valve analysis and testing system with monitoring of spring pack movement through torque switch post
US8464842B2 (en) Brake wea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CN103292969B (zh) 手动弹簧拉压试验机
CN104070538B (zh) 具备气弹簧的多关节机器人、及推断气弹簧的内压的方法
EP0473366A1 (en) Liquid level gage system
KR102441913B1 (ko) 변위 측정 기능을 갖는 스프링 행거
US4860596A (en) Motor operated valve analysis and testing system with monitoring of spring pack movement through torque switch post
KR100645446B1 (ko) 재료의 충격 마모 시험용 하중 인가장치
KR20120096612A (ko) 거버너 스프링 압축력 측정 장치
JP4671994B2 (ja) リンク型変位計の計測管理方法
JP7015258B2 (ja) 電動弁駆動部の状態監視装置および状態監視方法
JP2001227936A (ja) 最大変位量検出装置
CN203287173U (zh) 手动弹簧拉压试验机
JP4921956B2 (ja) 開閉機器の異常監視方法
JPH05508696A (ja) ケーシング壁と軸との間の貫通部間隙の軸封装置
JP2000065508A (ja) 歪み・変位検出装置
JP4552130B2 (ja) 変位計および累積変位量測定機構
JP4723977B2 (ja) 電動弁の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