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950B1 -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950B1
KR102486950B1 KR1020200131862A KR20200131862A KR102486950B1 KR 102486950 B1 KR102486950 B1 KR 102486950B1 KR 1020200131862 A KR1020200131862 A KR 1020200131862A KR 20200131862 A KR20200131862 A KR 20200131862A KR 102486950 B1 KR102486950 B1 KR 10248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airtight pad
flow control
inlet hol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683A (ko
Inventor
박영대
박창화
박아람
박수연
박혜연
Original Assignee
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20013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9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36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sensing tissue properties at the infusion site, e.g. for detecting in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맥에 수액을 투여하는 의료용 주사 유닛에 설치되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기밀패드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인체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제1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제1 레귤레이터본체;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의 안착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액유입공과 연통되는 제2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기밀패드; 및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기밀패드와 마주보는 유량조절면에 유량조절홈 및 제3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제2 레귤레이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홈으로 상기 기밀패드의 표면에 도포된 윤활제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윤활제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FLOW RATE REGULATOR FOR FOREIGN MATTER INFLUX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맥에 수액을 투여하는 의료용 주사 유닛에 설치되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기밀패드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인체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맥주사 세트는 정맥에 수액을 투여하는 의료용 주사 유닛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담긴 수액병(1)과, 이 수액병(1)에 연결되는 수액세트(10)로 구성되어 있다.
수액세트(10)는 수액병(1)의 밀폐용 마개에 삽입되어 수액이 수액병(1)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는 삽입침(11)과, 삽입침(11)의 하단에 고정되어 내부에서 수액을 점적(12a, drop, 단위:gtt)의 형태로 떨어지게 하는 드립챔버(12, Drip Chamber)와, 정맥에 삽입되는 주사바늘(14)과, 드립챔버(12)와 주사바늘(14) 사이를 연결하여 수액의 주입 통로역할을 하는 튜브(13)와, 튜브(13)의 중간에 장착되어 수액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롤러클램프(Roller clamp) 타입 수액유량 조절기(15)로 구성되어 있다.
수액유량 조절기(15)는 상하를 개방한 홈(15b)에 튜브(13)를 끼워 관통시킨 후에 튜브(13)를 누르는 롤러(15a)를 장요홈(15c)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롤러(15a)를 이동시켜 원하는 유량이 될 때에 롤러(15a)의 이동을 멈추는 방식으로 수액의 주입 유량을 조절한다.
하지만, 상기한 롤러클램프 타입 수액유량 조절기(15)는 별도의 눈금이 없어서 롤러 타입의 조작부(15a)를 매번 이동시킬 때마다 드립챔버(12)를 보며 유량을 측정해야 하므로 유량의 조절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량조절의 정확도가 낮은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롤러클램프 타입 수액유량 조절기의 단점을 개선한 수액유량 조절기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85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IV Flow Regulator) 타입의 수액유량 조절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이브이 플로우 레귤레이터(IV Flow Regulator) 타입의 수액유량 조절기(15)는 다이얼(dial)처럼 돌릴 수 있게 한 조작부(15a)를 유량을 수치(15e)로 병기한 눈금(15d)에 맞추어 한 번의 조작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주입하려는 수액 유량값이 새겨진 수치(15e)의 눈금(15d)에 조작부(15a)를 맞추면 그 수치(15e)에 대응되는 유량으로 수액이 주입되도록 수액 통로(미도시) 단면적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새겨진 수치(15e)는 수액유량 조절기의 제작시에 지정한 기준 높이에 수액병(1)을 걸어놓고 수액세트(10)를 셋팅한 후에 주입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서, 이에 따라, 수액병(1)을 기준 높이에 걸어놓고 수치(15e)를 맞추어가며 유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3a는 종래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사시도이고, 도3b는 도3a의 기밀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종래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0), 제1 레귤레이터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밀패드(30), 및 제1 레귤레이터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제2 레귤레이터본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수액은 상측 튜브(미도시)가 접속되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0)의 제1 튜브접속돌부(14)를 통해 공급되어 제1 수액유입공(미도시)으로 이동되고, 제1 수액유입공과 연통되게 배치된 기밀패드(30)의 제2 수액유입공(24)을 경유한 후 제2 레귤레이터본체(20)의 유량조절홈(미도시)을 따라 이동된 후 제3 수액유입공(미도시)을 통해 배출된 후 제2 튜브접속돌부(24)에 접속된 하측 튜브(미도시)를 경유하여 주사 바늘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액의 이동과정에서 수액 유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제2 레귤레이터본체(20) 또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통상 실리콘 소재로 형성된 기밀패드(30)는 유량조절홈이 형성된 제2 레귤레이터본체(20)의 유량조절면(28) 표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실리콘 고유의 마찰력으로 인해 원활하게 회전되는 않는 한게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기밀패드(30)는 표면에 통상 '실리콘기름'이라고 호칭되는 윤활제를 도포하여 원활한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표면적이 대략 2 내지 3㎠ 인 기밀패드의 경우 통상 8 내지 15㎎ 정도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기밀패드(30)에 도포된 윤활제는 유량조절홈을 통해 이동되는 수액과 접촉하게 되므로 함께 수액을 따라 인체로 유입되면서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주사기 관련규정(의료기기 기준규격(멸균된 1회용 주사기)ISO 7886-1, JIS T3210. 제 2017-16. 4.1 실리콘기름의 양)에는 1㎠ 당 0.25㎎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윤활제는 기밀패드(30)에 전체적으로 과다하게 도포됨에 따라 관련규정을 준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주사 유닛을 반복적으로 교체하면서 장기간 환자가 수액을 공급받을 경우 윤활제 과다 투입으로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487754호 "수액유량조절기"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058539호 "수액유량 조절세트 및 수액유량 조절방법"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650939호 "수액 유량조절기"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기밀패드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인체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제1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제1 레귤레이터본체;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의 안착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액유입공과 연통되는 제2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기밀패드; 및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기밀패드와 마주보는 유량조절면에 유량조절홈 및 제3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제2 레귤레이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홈으로 상기 기밀패드의 표면에 도포된 윤활제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윤활제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윤활제차단부는 상기 유량조절홈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밀패드 표면에 요입되는 윤활제차단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윤활제차단홈은,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외측에 요입되는 제1 윤활제차단홈; 및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내측에 요입되는 제2 윤활제차단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하여 상기 기밀패드에 형성되고, 상기 유량조절홈을 둘러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도트형윤활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트형윤활막은,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외측에 도트형으로 인쇄되는 다수의 제1 도트형윤활막; 및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내측에 도트형으로 인쇄되는 제2 도트형윤활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패드는 상기 제2 수액유입공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액유입공과 접하여 돌출되는 변형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변형방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의 안착면에 형성되는 돌기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형방지돌기는, 상기 기밀패드에 작용되는 좌우방향 외력이 상기 제2 수액유입공의 좌우측에 변형력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좌측스토퍼면 및 우측스토퍼면과, 상기 기밀패드에 작용되는 전후방향 외력이 상기 제2 수액유입공의 전후측에 변형력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전우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전측스토퍼면 및 후측스토퍼면을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상기 기밀패드의 외주면에 등각도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는 상기 기밀패드의 외주연이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안착돌부, 및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돌부에 요입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의하면,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기밀패드에 윤활제가 도포되더라도 유활제차단부에 의해 유량조절홈으로 유입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윤활제의 인체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기밀패드 표면에 윤활제를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점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도트형윤활막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윤활제의 인체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의료용 주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a는 종래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사시도,
도3b는 도3a의 기밀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제1 레귤레이터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제2 레귤레이터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8b는 도8a의 A부 확대도,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기밀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9a는 상측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9b는 하측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9c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4 내지 도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4 내지 도10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제1 레귤레이터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제2 레귤레이터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고, 도8b는 도8a의 A부 확대도이다.
도4 내지 도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 제2 레귤레이터본체(2) 및 기밀패드(3)를 구비하되, 기밀패드(3)에 도포되는 윤활제의 인체 유입이 최소화 되도록 하기 위해 윤활제차단부(4)가 구성된 특징이 있다.
제1 레귤레이터본체(1)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저부에 안착면(16)이 형성되고 외면에 미끄럼방지돌부(17)가 형성된 제1 원통몸체(11), 제1 원통몸체(11)의 오목한 내면에 수액공급용 튜브(미도시)가 접속되도록 돌출되고 중공부를 갖는 제1 튜브접속돌부(12), 제1 튜브접속돌부(12)의 중공부와 연통되게 제1 원통몸체(11)의 안착면에 형성되는 제1 수액유입공(13), 제1 원통몸체(11)의 안착면(16)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속보스(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통몸체(11)는 외주면에 수액 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눈금(미도시)이 표시되어 있고, 결속보스(14)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쐐기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레귤레이터본체(1)는 기밀패드(3)의 외주연이 끼우지도록 돌출되는 안착돌부(15), 및 후술되는 회전방지돌기(35)가 삽입되도록 안착돌부(15)에 요입되는 돌기삽입홈(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레귤레이터본체(1)는 후술되는 기밀패드(3)의 변형방지돌기(36)가 삽입되도록 안착면(16)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는 돌기고정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2 레귤레이터본체(2)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에 유량조절면(28)이 형성된 제2 원통몸체(21), 기밀패드(3)와 마주보는 유량조절면(28)에 선상으로 요입되는 유량조절홈(22), 유량조절홈(22)의 일측 단부에 유량조절면(28)을 관통하도록 천공되는 제3 수액유입공(23), 제3 수액유입공(23)과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도록 돌출되고 수액공급용 튜브(미도시)가 접속되는 제2 튜브접속돌부(24), 제1 원통몸체(11)의 결속보스(14)가 끼워져 탄성적으로 결속되도록 제2 원통몸체(21)의 오목한 중앙에 형성되고 단부에 보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보스결속부(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원통몸체(21)는 외면에 미끄럼방지돌부(29)가 돌출되어 있고, 제1 원통몸체(11)의 눈금을 지시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지시표(미도시)가 인쇄되어 있다.
유량조절홈(22)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호 형상으로 요입되는 것으로서, 요입되는 폭 사이즈가 동일하지만 요입 깊이가 점차적으로 가감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수액유입공(23)은 유량조절홈(22)의 제일 깊은 지점과 연통되게 천공되어 있다.
제2 레귤레이터본체(2)는 유량조절면(28)을 둘러싸는 테두리돌부(26)가 돌출되어 있고, 이 테두리돌부(26)에 유량조절면(28)을 향해 멈춤돌부(27)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멈춤돌부(27)는 제1 레귤레이터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제1 레귤레이터본체(1)에 형성된 걸림편(155)이 멈춤돌부(27)에 걸림될 경우 회전동작이 정지된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기밀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9a는 상측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9b는 하측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9c는 단면도이다.
도9a 내지 도9c를 참조하면 기밀패드(3)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몸체(31), 원판몸체(31)의 중앙에 결속보스(14)가 삽입되는 중심홀(32)이 천공된 것으로서 기밀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져진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밀패드(3)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의 안착면(16)에 일면이 안착되게 설치되고 제1 수액유입공(13)과 연통되게 천공되는 제2 수액유입공(33)이 형성되어 있다. 기밀패드(3)의 타면은 제2 레귤레이터본체(2)의 유량조절면(28)과 마주보는 배치되는 것으로서 유량조절면(28)과 마주보는 표면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윤활제층(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기밀패드(3)는 유량조절면(28)과 마주보는 표면에 도포된 윤활제가 유량조절홈(2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윤활제차단부(4)가 구비되어 있다.
윤활제차단부(4)는 윤활제가 유량조절홈(2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라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량조절홈(22)을 둘러싸도록 기밀패드(3)에 원형으로 요입되는 윤활제차단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차단홈은 도9a 및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구조로도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윤활제의 완벽한 차단을 위해 유량조절홈(22)과 접한 기밀패드(3)의 외측인 외주연 방향에 원형으로 요입되는 제1 윤활제차단홈(41)과, 유량조절홈(22)과 접한 기밀패드(3)의 내측인 중심방향에 원형으로 요입되는 제2 윤활제차단홈(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밀패드(3)는 제1 레귤레이터본체(1) 또는 제2 레귤레이터본체(2)의 회전에 따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제1 레귤레이터본체(1)의 돌기삽입홈(18)에 삽입되도록 외주면에 등각도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35)를 형성되어 있다.
도9b를 참조하면, 기밀패드(3)는 제2 수액유입공(33)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수액유입공(33)과 접하여 돌출되는 변형방지돌기(36)가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변형방지돌기(36)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2 수액유입공(33)과 근접한 회전방지돌기(36)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변형방지돌기(36)는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패드(3)에 작용되는 좌우방향 외력이 제2 수액유입공(33)의 좌우측에 변형력(화살표 참조)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좌측스토퍼면(361) 및 우측스토퍼면(362)과, 기밀패드(3)에 작용되는 전후방향 외력이 제2 수액유입공(33)의 전후측에 변형력(화살표 참조)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전후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전측스토퍼면(363) 및 후측스토퍼면(364)을 갖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4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조립하고, 제1 레귤레이터본체(1)의 제1 튜브접속돌부(12)와 제2 레귤레이터본체(2)의 제2 튜브접속돌부(24)에 튜브(미도시)를 삽입하고, 삽입침(미도시), 드립챔버(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정맥주사 세트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정액주사 세트의 삽입침을 수액병(미도시)에 삽입하여 수액이 흐르게 하고 의료용 레귤레이터를 조작하여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레귤레이터본체(1) 제1 튜브접속돌부(12)의 중공부를 통해 유입된 수액은 제1 수액유입공(13)를 유입된 후 기밀패드(3)의 제2 수액유입공(33)를 경유하고, 제2 레귤레이터본체(2)의 유량조절홈(22)으로 유입된다.
유량조절홈(22)으로 유입된 수액은 제3 수액유입공(23)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2 레귤레이터본체(2) 제2 튜브접속돌부(24)의 중공부로 배출되며 이에 접속된 튜브(미도시)를 따라 정맥에 삽입되는 주사바늘(미도시)로 이동된다.
전술한 수액의 이동과정에서 제1 레귤레이터본체(1)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결합된 기밀패드(3)가 회전되면서 기밀패드(3)에 형성된 제2 수액유입공(33)과 유량조절홈(22)의 마주하는 지점이 변경되는데, 이때 유량조절홈(22)의 요입 깊이가 점차적으로 가감되는 형태이므로 요입 깊이가 깊을 경우 유로가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액이 유입되어 이동된 후 제3 수액유입공(23)으로 배출된다. 반대로 유량조절홈(22)의 요입 깊이가 낮을 경우 유로가 작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수액이 유입되어 제3 수액유입공(23)으로의 배출량이 작아지게 되므로 제1 레귤레이터본체(1)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면서 배출되는 수액의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액의 유량 조절을 위해 제1 레귤레이터본체(1)를 회전시킬 경우 기밀패드(3)의 표면에 도포한 실리콘기름과 같은 윤활제가 씻겨져 유량조절홈(22)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기밀패드(3)의 외측 및 내측에 제1 윤활제차단홈(41)과 제2 윤활제차단홈(42)으로 유입되므로 유량조절홈(22)으로 진입하지 않게 되어 수액과 함께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기밀패드의 상측 부분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8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 제1 수액유입공(13)이 형성된 제1 레귤레이터본체(1), 제1 레귤레이터본체(1)의 안착면에 설치되고 제1 수액유입공(13)과 연통되는 제2 수액유입공(33)이 형성된 기밀패드(3), 및 제1 레귤레이터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기밀패드(3)와 마주보는 유량조절면(28)에 유량조절홈(22) 및 제3 수액유입공(23)이 형성된 제2 레귤레이터본체(2), 기밀패드(3)의 표면에 도포된 윤활제가 유량조절홈(2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윤활제차단부(4)를 구비하되, 기밀패드(3)에 형성되는 윤활제층이 다수의 도트형윤활막(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트형윤활막(5)은 조립된 상태에서 유량조절홈(22)과 접한 기밀패드(3) 표면에 형성되고, 유량조절홈(22)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트형윤활막(5)은 유량조절홈(22)과 접한 기밀패드(3)의 외측에 도트(dot)형으로 인쇄되는 다수의 제1 도트형윤활막(51)과, 유량조절홈(22)과 접한 기밀패드(3)의 내측에 도트형으로 인쇄되는 제2 도트형윤활막(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도트형윤활막(51,52)은 변형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기밀패드(3)의 표면에 인쇄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도트형윤활막은 배치 형태에 맞게 양각 돌출부를 형성한 인쇄용 툴(미도시)을 준비하고, 그 양각 돌출부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여 기밀패드의 표면에 도장을 날인하듯 반복적으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는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액의 유량 조절을 위해 제1 레귤레이터본체(1)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 윤활제차단홈(41)과 제2 윤활제차단홈(42)에 의해 윤활제가 유량조절홈(22)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윤활제층이 윤활제를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점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도트형윤활막(5)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윤활제의 도포량이 작으므로 인체의 유입량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제1 레귤레이터본체 11:제1 원통몸체
12:제1 튜브접속돌부 13:제1 수액유입공
14:결속보스 15:안착돌부
16:안착면 17:미끄럼방지돌부
18:돌기삽입홈 19,29:돌기고정홈
2:제2 레귤레이터본체 21:제2 원통몸체
22:유량조절홈 23:제3 수액유입공
24:제2 튜브접속돌부 25:보스결속부
26:테두리돌부 27:멈춤돌부
28:유량조절면 3:기밀패드
31:원판몸체 32:중심홀
33:제2 수액유입공 4:윤활제차단부
41:제1 윤활제차단홈 42:제2 윤활제차단홈
5:도트형윤활막 51:제1 도트형윤활막
52:제2 도트형윤활막

Claims (8)

  1. 의료용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제1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제1 레귤레이터본체;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의 안착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액유입공과 연통되는 제2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기밀패드; 및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기밀패드와 마주보는 유량조절면에 유량조절홈 및 제3 수액유입공이 형성된 제2 레귤레이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홈으로 상기 기밀패드의 표면에 도포된 윤활제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윤활제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제차단부는 상기 유량조절홈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밀패드 표면에 요입되는 윤활제차단홈을 포함하되, 상기 윤활제차단홈은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외측에 요입되는 제1 윤활제차단홈, 및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내측에 요입되는 제2 윤활제차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하여 상기 기밀패드에 형성되고, 상기 유량조절홈을 둘러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도트형윤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형윤활막은,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외측에 도트형으로 인쇄되는 다수의 제1 도트형윤활막; 및
    상기 유량조절홈과 접한 상기 기밀패드의 내측에 도트형으로 인쇄되는 제2 도트형윤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패드는 상기 제2 수액유입공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액유입공과 접하여 돌출되는 변형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변형방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의 안착면에 형성되는 돌기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돌기는,
    상기 기밀패드에 작용되는 좌우방향 외력이 상기 제2 수액유입공의 좌우측에 변형력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좌측스토퍼면 및 우측스토퍼면과, 상기 기밀패드에 작용되는 전후방향 외력이 상기 제2 수액유입공의 전후측에 변형력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전우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전측스토퍼면 및 후측스토퍼면을 갖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패드의 외주면에 등각도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귤레이터본체는 상기 기밀패드의 외주연이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안착돌부, 및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돌부에 요입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KR1020200131862A 2020-10-13 2020-10-13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KR10248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62A KR102486950B1 (ko) 2020-10-13 2020-10-13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62A KR102486950B1 (ko) 2020-10-13 2020-10-13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83A KR20220048683A (ko) 2022-04-20
KR102486950B1 true KR102486950B1 (ko) 2023-01-11

Family

ID=8140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62A KR102486950B1 (ko) 2020-10-13 2020-10-13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9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85B1 (ko) * 2006-11-14 2007-10-05 모순덕 돌 구이판의 기름배출공 구조
KR101695453B1 (ko) * 2015-07-08 2017-01-12 (주)더블유앤지 셀렉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539B1 (ko) 2011-02-23 2011-08-23 이두용 수액유량 조절기, 수액유량 조절세트 및 수액유량 조절방법
KR101487754B1 (ko) 2014-10-20 2015-01-29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조절기
KR101650939B1 (ko) 2015-05-26 2016-08-25 마그닉스엔지니어링 (주) 수액 유량조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85B1 (ko) * 2006-11-14 2007-10-05 모순덕 돌 구이판의 기름배출공 구조
KR101695453B1 (ko) * 2015-07-08 2017-01-12 (주)더블유앤지 셀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83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211A (en) I.V. flow controller
JP6563414B2 (ja) 残留物逆流防止弁用の弁座を有する医療機能デバイス
KR102082736B1 (ko) Iv 유량 조절기
US20110046563A1 (en) Sealing element
JP5054989B2 (ja) 液体混注具
EP1717161B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al liquid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KR102171665B1 (ko)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KR20030044181A (ko)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US9987424B2 (en) Regulator for drug infusion and drug infusion device including same
KR102486950B1 (ko) 이물질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JP2007010124A (ja) 弁装置
KR100982612B1 (ko)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160132977A (ko) 의료 기능 디바이스를 위한 예압된 밸브 및 의료 기능 디바이스
KR100421524B1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EP0968736B1 (en) Medical Valve
KR100723345B1 (ko) 수액 투여기용 역류방지장치
KR20230112518A (ko) 주입량 설정 기능을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KR20230111560A (ko) 주입량 설정 기능을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KR102650747B1 (ko) 수액 유량 조절기
KR102247794B1 (ko) 스톱콕
KR102616242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0172665B1 (ko)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KR102171549B1 (ko) 역류 방지 장치
EP378269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