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38B1 -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 Google Patents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38B1
KR102486138B1 KR1020207037108A KR20207037108A KR102486138B1 KR 102486138 B1 KR102486138 B1 KR 102486138B1 KR 1020207037108 A KR1020207037108 A KR 1020207037108A KR 20207037108 A KR20207037108 A KR 20207037108A KR 102486138 B1 KR102486138 B1 KR 10248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s
source
radiation
base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278A (ko
Inventor
클라우스 발터 아를트
Original Assignee
에스코-그래픽스 이미징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그래픽스 이미징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코-그래픽스 이미징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3700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0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08Production of exposure light, i.e. light sources
    • G03F7/7005Production of exposure light, i.e. light sources by multiple source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ight source ar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0Forme preparation for lithographic printing; Master sheets for transferring a lithographic image to the forme
    • B41C1/1008Forme preparation for lithographic printing; Master sheets for transferring a lithographic image to the forme by removal or destruction of lithographic material on the lithographic support, e.g. by laser or spark ablation; by the use of materials rendered soluble or insoluble by heat exposure, e.g. by heat produced from a light to heat transforming system; by on-the-press exposure or on-the-press development, e.g. by the fountain of photolithographic materials
    • B41C1/1025Forme preparation for lithographic printing; Master sheets for transferring a lithographic image to the forme by removal or destruction of lithographic material on the lithographic support, e.g. by laser or spark ablation; by the use of materials rendered soluble or insoluble by heat exposure, e.g. by heat produced from a light to heat transforming system; by on-the-press exposure or on-the-press development, e.g. by the fountain of photolithographic materials using materials comprising a polymeric matrix containing a polymeric particulate material, e.g. hydrophobic heat coalescing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02B19/001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at least one surface having opti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02B19/0066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in the form of an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04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light source, e.g. fluorescent lamps or deep UV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an oblique expo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lural sou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on of the optical device; characterised by a relative movement of the optical device, the light source, the sensitive system or the mas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3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laser
    • G03F7/2055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laser for the production of printing plates; Exposure of liquid photohardening composi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4Curved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2201/00Location, type or constituents of the non-imaging layers in lithographic printing formes
    • B41C2201/14Location, type or constituents of the non-imaging layers in lithographic printing formes characterised by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binder,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화학 방사선의 소스는 프린팅 플레이트를 큐어링하기 위한 것이다. 소스는 히트 싱크가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그 폭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진다. 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은 베이스의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EDs)을 제공한다.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는 베이스와 함께 복수의 LED들을 위한 인클로저를 정의한다. 소스는 방출 각도로 방사선을 제공하는데, 방출 각도는 베이스의 축에 대해 수직하는 평면에서 단일의 LED의 방출 각도보다 더 크기도 하고, 베이스의 축을 포함하고 있거나 베이스의 축에 대해 평행하되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수직하는 평면에서 단일의 LED의 방출 각도보다 더 크기도 하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소스는 형광 전구를 대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스들을 사용하는 프린팅 플레이트들의 뱅크 노출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또한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본 발명은 대체로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에 관한 것이다.
형광 튜브(fluorescent tube; '형광관' 또는 '형광등', 이하 명세서 전체로 동일함)들은 포토폴리머 큐어링(photopolymer curing)의 사업분야에서 수십년간 사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이들 튜브들 중 일부(10 내지 30)는 전체 포토폴리머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광원을 구축하기 위해서 포토폴리머 플레이트에 대해 평행하면서도 가까이 근접하여 한 평면에서 서로 바로 옆에 조합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들은 보통 "뱅크 라이트 시스템(bank light systems)" 또는 "푸드(food)" 라이트 시스템으로 불린다. 공통 표준 시스템은 예컨대 듀퐁(DuPont)사의 ECDFL 1000 시스템이다. 이 목적을 위한 공통 형광 튜브는 예컨대 필립스(Philips) 사의 TL 80W/10-R SLV/25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형광 튜브의 예시적인 도면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예시적인 형광 튜브들은 양쪽 단부 캡(810)들(통상적으로 금속임), 각각의 단부 캡으로부터 뻗어 있는 2개의 핀 커넥터(812)들, 및 단부 캡들 사이의 발광 부위(814)를 가진다. 이러한 튜브들은 직경(D), 양쪽 단부 캡(810)들 사이의 길이(A), 단부 캡들로부터 뻗어 있는 프롱(812)들의 단부들 사이의 길이(C)를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각각의 프롱은 길이(C-B)를 가지고 있다.
TL 80W/10-R SLV/25-모델 튜브의 공표된 예시적인 치수들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D (max) A (max) B (max) B (min) C (max)
40.5 mm 1500 mm 1507.1 mm 1504.7 mm 1514.2 mm
앞선 치수들은 일 예시일 뿐이고, 다양한 튜브 제조업체들과 뱅크 라이트 시스템은 상이한 치수들을 가지는 튜브들을 채택할 수 있다. 핀과, 핀들의 기하구성 사이의 간격은 또한 소정의 치수(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형광 튜브들이 있는 뱅크 라이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가진다.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1
전력 소모가 LED에 비해 높음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2
램프가 켜짐상태가 된 후, 단기 출력이 종종 드리프팅함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3
출력 드리프팅을 피하기 위하여, 튜브들이 추가적인 에너지를 소모하는 스탠 바이 모드로 종종 조작됨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4
광 출력이 전구들의 수명에 비해 일정하지 않음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5
500 시간 내지 1000 시간 후, 큐어링 결과들이 수긍할 수 없게 되도록 UV 출력이 하향할 수 있음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6
튜브들의 잦은 교환이 비용을 추가시킴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7
튜브들의 수은 함유가 환경적인 문제임
LED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낮은 전력 소모, 느린 노후화, 온도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UV 출력 및 예열 단계가 없다는 점을 포함하여, 형광 튜브에 비해 이점들을 가진다. LED의 UV 출력 또한 LED의 수명이 지나감에 따라 감쇠하지만, LED의 수명은 형광 튜브들보다 약 한자리수가 더 길다. LED 출력은 켜짐상태 후 더욱 더 안정적이다. 따라서, 이들 이점들의 이익을 누리기 위하여, 플렉소그래픽 프린팅(flexographic printing) 분야에서의 거의 모든 시스템 제조업체들은 LED를 사용하는 그 자체의 상용 UV LED 노출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 상용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포토폴리머 플레이트와 광원 사이의 상대 운동에 기초한다. 대체로 LED는 플레이트의 한 치수를 넘어 뻗어 있는 열(row)로 배열되어 있지만, 다른 치수는 플레이트와 광원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노출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의 비용의 상당 부분은 플레이트와 UV 소스 사이에 상대 운동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역학에 관한 것이다. 추가 비용은 보다 작은 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LED를 냉각시키기 위한 필요로부터 발생한다. 더욱 많은 비용은 LED의 UV 출력을 제어하면서 밸런스맞추는데 필요로 하는 복잡한 드라이빙 전자장치에 의해 초래된다.
UV LED가 점점 비용이 덜 들게 됨에 따라, 예컨대 본 출원의 공동 출원인에 의해 2017년 5월 4일자로 공표된 PCT 특허 출원 공보 제WO2017072588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노출될 프린팅 플레이트의 크기 만큼이나 큰 길이와 폭을 가지는 어레이로 되어 있는 UV LED를 사용하는 것이 이제는 더욱 경제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LED의 이점과 그 감소하는 비용의 관점에서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7,507,001호에서와 같이 조명 목적을 위하여 가시 범위 안에서 LED를 포함하고 있는 튜브들과 형광 튜브들의 직접 대체가 당해 기술분야에 기술되어 있지만, 이제는 포토폴리머 큐어링 적용처들에서 UV LED를 통합하는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화학 방사선(actinic radiation)으로 포토폴리머 프린팅 플레이트를 큐어링하기 위한 방사선 소스를 구비한다. 소스는, 히트 싱크를 구비하되 축을 따라 폭과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크다.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은 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은 베이스의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ight emitting diodes; LEDs)을 집합적으로 가지고 있고, 각각의 LED는 일정한 방출 각도로 표적 조명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화학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와 함께 베이스 상에 장착되면서 화학 방사선에 대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는 복수의 LED들을 위한 인클로저(enclosure)를 정의한다. 소스는 일정한 방출 각도로 화학 방사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일정한 방출 각도는 베이스의 축에 대해 수직하는 제 1 평면에서 단일의 LED의 방출 각도보다 더 크기도 하고, 베이스의 축을 포함하고 있거나 베이스의 축에 대해 평행하되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수직하는 제 2 평면에서 단일의 LED의 방출 각도보다 더 크기도 하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는 프레넬 렌즈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리즘 구조체(prismatic structure) 및/또는 굴절 구조체(refractive structure)를 구비할 수 있다. 소스는 특정된 길이를 가지는 형광 전구, 및 개개의 소켓들 안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양쪽 단부들에 있는 세트를 이루는 전기 커넥터들을 대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소스는 상기 특정된 길이를 가지고, 세트를 이루는 전기 커넥터들은 개개의 소켓들 안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스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 제어 전자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원격 제어 수신기와 같은, 상기 소스 안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LED들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베이스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면서 서로에 대하여 비스듬한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서브세트를 이루는 복수의 LED들 및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이나 그 중 일부는 복수의 표면들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3개의 표면들은, 예컨대 210 도의 각도 내지 240 도의 각도와 같은 우각(reflex angle)으로 서로에 대하여 비스듬할 수 있다.
베이스는 커버의 대응하는 표면을 수용하기 위하여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평한 커버 장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와 커버는, 베이스 안의 하나 이상의 짝 부재들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의 하나 이상의 양각 부재(positive feature; 볼록한 부재)나 음각 부재(negative feature; 오목한 부재)를 구비하는 경계면(interface)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클램프들은 커버와 베이스를 압축적인 관계에 있게 붙들고 있을 수 있다.
베이스는 복수의 LED들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프린팅 플레이트를 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LED 장착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히트 싱크는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는 밑면 부위를 구비할 수 있고, 여기에서 직사각형 장착 표면은 밑면 부위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고, LED들은 폭넓은 5개의 LED들의 어레이로 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폭을 가로질러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는 어레이로 분포되어 있다. 방사선 소스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튜브를 구비하는 형광 전구를 대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일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폭은 튜브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베이스는 표적 조명 평면을 향하고 있는 정면 부위, 및 표적 조명 평면으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밑면 부위를 구비할 수 있고, 여기에서 밑면 부위는 반원통을 정의하는 기하구성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는 반원통형 기하구성을 정의하는 방사상 엣지들과 서로 떨어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핀들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을 구비하는 노출 시스템을 구비한다. 노출 시스템은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에 대응하는 표적 조명 평면에서 프린팅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시스템은 형광 튜브들과의 사용을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고, 여기에서 소스들은 형광 튜브들을 대체한다. 원격 제어 송신기는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 안에서 복수의 원격 제어 수신기들 쪽으로 신호들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원격 제어 수신기들 쪽으로 송신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들은 방사선 소스들을 위하여 원하는 조명 세기를 세팅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들은 하나 이상의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 세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광검출기는 원격 제어 송신기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 쪽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제어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에 의해 방출되는 그 세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출 시스템은 기판의 제 1 표면 위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세트를 이루는 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사항으로 기판은 화학 방사선에 대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으며, 제 2 세트를 이루는 소스들은 제 1 표면 반대쪽에 있는 기판의 제 2 표면 아래로 이격되어 있다.
소스들이 형광 튜브들을 대체하는 시스템들에서, 소스는 인접한 소스들의 인접한 엣지들 사이의 갭을 정의하는 인접한 소스들의 축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여기에서 소스들 사이의 갭은 소스들이 대체하는 형광 튜브들 사이의 대응하는 갭보다 더 작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프린팅 플레이트를 노출시키는 방법이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출 시스템 안에서 표적 조명 평면 상에 프린팅 플레이트를 자리배치시키는 단계, 및 그 플레이트로 방향조정된 화학 방사선을 제공하기 위해서 방사선 소스들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방법은 표적 조명 평면에서 조사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조사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방사선 소스들 안에 있는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LED들의 노후화에 의해 유발되는 출력 전력 저하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소스 안에 있는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또한, 또는 이를 대신하여, 제 2 소스 안에 있는 개개의 복수의 LED들의 성능 특성들에 대하여 제 1 소스 안에 있는 LED들의 성능 특성들에서의 차이들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또한, 또는 이를 대신하여, 프린팅 플레이트 안에 라운드 탑 도트(round top dot)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노출 특성 및 프린팅 플레이트 안에 플랫 탑 도트(flat top dot)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노출 특성을 제공하는 단계와 같은, 적용 요건들에 따라 방사선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소스로부터의 노출 방사선을 위하여 조명 평면 상에 위치조정된 예시적인 플레이트의 일부에 대하여 병치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소스가 나타나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LED들을 위한 비스듬한 장착 표면이 있는 예시적인 핀붙이 히트 싱크 설계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스로부터의 노출 방사선을 위하여 조명 평면 상에 위치조정된 예시적인 플레이트의 일부에 대하여 병치된 비스듬한 장착 표면 상에 장착된 LED들이 있는 예시적인 소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소스로부터의 노출 방사선을 위하여 조명 평면 상에 위치조정된 예시적인 플레이트의 일부에 대하여 병치된 LED들의 상대적으로 폭넓은 직사각형 어레이를 가지는 예시적인 소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복수의 원통형 프레넬 렌즈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커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있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c 내지 도 5h에는 커버와 베이스 구조체들 사이의 예시적인 경계면들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소스들을 통합하고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어레이를 둘러싸고 있는 반사 측면 벽들이 있는 LED들의 직사각형 어레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예시적인 형광 전구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소스와 시스템 구성요소들 사이의 예시적인 경계면이 나타나 있는 확대된 부분을 포함하여, 거기에 장착되는 복수의 예시적인 소스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뱅크 노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출원은, 그 전체로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2019년 8월 29일자로 출원된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방사선 소스들'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출원 62/893,395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의 양태들은, 화학 UV 방사선에 대해 포토폴리머 프린팅 플레이트들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뱅크 라이트 테이블들 안에 있는 형광 튜브들을 대신하여 LED들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이는, 뱅크 라이트 테이블들 안에서 현존하는 형광 튜브들을 위한 대체예들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적합한 LED 기반 화학 방사선을 포함하여 현존하는 형광 튜브들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양립가능하면서 반도체 LED들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들을 제공함으로써 확립될 수 있다. 전체 프린팅 플레이트 표면을 커버하는 LED 광원의 어레이들은 전체 정면 또는 배면 플레이트 표면을 조사하기 위해서 상대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LED 광원들에 의해 생성되는 열이 완전한 노출에 도달하는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높은 세기로 상대적으로 선형인 더 작은 영역 상에 집중되는 대신 대략 플레이트의 크기에 해당하는 폭넓은 영역에 걸쳐 퍼지는 경우, 냉각 요건들은 덜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UV LED들이 설비된 형광 튜브 대체예들로 포토폴리머 프린팅 플레이트의 완성된 표면을 커버하는 UV LED 광원을 구비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뱅크 라이트 노출 유닛 안에 있는 형광 튜브들 모두를 대체 튜브들로 대체함으로써 뱅크 라이트 노출 유닛들을 개조하기 위한 방법을 구비한다. 형광 튜브들을 위한 LED 대체예들이 조명 적용처들에 알려져 있지만, 포토폴리머 플레이트 노출은 상이한 요구들을 부여할 수도 있고 상이한 구조체들을 사용하는 기회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예시적인 LED 방사선 노출 소스 실시예의 단면이 나타나 있는 도 1에는 단순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LED 칩(101)들은 소스의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회로 기판(102) 상에 위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것과 같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베이스(103) 상에 장착되어 있다. LED들은 바람직하게는 일련의 형태로 접속되어 있고, 소스의 양쪽 단부들은, 형광 튜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소켓 안에 각각의 소스가 설치되는 것을 용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그렇게 제작된 소스들의 어레이는 뱅크 라이트 테이블 안쪽에 장착되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소스의 발광 면은 먼지와 용매들을 UV LED들의 민감한 출력 윈도우들로부터 떨어져 있게 하는 UV-투과성 커버(104)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커버(104)를 위한 제작에 관한 적합한 재료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르케마 프랑스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글라스(Plexiglas®) 아크릴, 및 독일 에센에 있는 에보닉 또는 관심있는 그 후발주자들에 의해 제조된 PMMA와 같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PMMA)(아크릴, 아크릴 유리 또는 플렉시글래스로도 알려져 있음)과 같은 플라스틱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는 조명 평면을 향하고 있는 베이스의 평평한 상측 표면에 접속하는 반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커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UV-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가지고 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는 베이스(103)의 히트 싱크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히트 싱크가 사용중 원하는 정도의 열 전달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하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복수의 냉각 핀들(206a 내지 206i)을 가지는 히트 싱크를 구비하는 예시적인 알루미늄 베이스(203)이 도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뱅크 라이트 테이블들은 형광 튜브들의 후방 면으로부터 폐열을 제거하는 팬들이 설비되어 있고, 이는 팬들에 의해 공급되는 대류성 공기 흐름이 복수의 핀들을 구비하는 히트 싱크를 가지는 소스를 냉각시키는데 특히 매우 적합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핀이 반경을 따라 뻗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208)의 수평방향 표면(207)으로부터 나와있는 핀들의 반원통형 분포를 구비하는 설계구성으로 나타나 있지만, 히트 싱크는 임의의 특정 기하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시적인 일 기하구성에서, 반경 중 일부나 전부는 핀들의 중심선들(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핀들(206c, 206e)의 중심선들(216c, 216e))의 교차점에서 수평방향 표면 위로 이격되어 있는 공통 중심 지점(210)으로부터 나와있을 수 있다. 중심 핀(206e)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핀들은 다른 것들(206b 내지 206d, 206f 내지 206h)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꺼울 수 있고, 단부 핀들(206a, 206i)은 한쪽 측면 상에 있는 베이스의 수평방향 표면(207)에 부착할 수 있고, 반대쪽 측면 상에 있는 인접한 핀들(206b, 206h)로부터 단부 핀들을 분리시키는 갭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논의되어 있는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208)가 다각형 상측 표면(209)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상측 표면은 도 1에서 베이스(103)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평할 수 있다. 베이스의 상측 표면은 커버를 수용하기 위하여 양쪽 측면들 상에 접속 영역(22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접속 영역은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정의한다.
LED들에 비해 형광 튜브들의 한가지 이점은 그 폭넓은 발광 각도 범위이다. 형광 튜브들의 벽들에 있는 형광 코팅은 형광 튜브들을 거의 이상적인 면광원으로 만드는 모든 방향으로 광자들을 방출하는데, 이는 마스크를 통해 포토폴리머 프린팅 플레이트들을 노출시키는 경우 바람직하다. LED들은 점광원들과 같은 성질이 있고 그러하기에 이 관점에서 덜 이상적인데,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LED가 표적 조명 평면(X)(예컨대 프린팅 플레이트(110)의 정상 표면)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협소한 방출 각도(β)로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어떤 측정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에 오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 단점을 충분히 극복하면서 방사선의 각도 분포를 확장하기 위해서 채택될 수 있다.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8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LED들을 대신하여, 고르게 분포되어 있되 상대적으로 더 큰 개수의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 LED들을 사용하는 단계;
Figure 112020140125245-pct00009
그룹들을 이루는 상이한 기울기 각도들로 LED들을 배열하는 단계;
Figure 112020140125245-pct00010
점광원(point source)들을 면광원(area source)들로 전환하기 위해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만화경(kaleidoscope)과 같은, 반사성 광학수단(reflective optics)을 이용하는 단계;
Figure 112020140125245-pct00011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레넬 렌즈(Fresnel lenses) 또는 디퓨저 플레이트(diffusor plates)와 같은, 투과성 광학수단(transmissive optics)을 이용하는 단계.
튜브 길이당 LED의 개수는 소스들의 길이 축을 따라 광(light)의 분포를 특징으로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20 와트의 UV 전력을 전하도록 등급결정된 소스는, 예컨대 소스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있되 1 와트의 출력을 각각 가지는 20개의 LED들,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와트의 출력을 각각 가지는 40개의 LED들, 또는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3 와트의 출력을 각각 가지는 60개의 LED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는, 대응하는 회로 기판들(302a 내지 302c) 상에 배열되어 있는 LED들(301a 내지 301c)이 서로에 대하여 각도들을 이루어 베이스(303)의 상측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튜브의 길이 축(Z)에 대해 수직하는 조명 평면(Y) 안에서의 각도 분포를 개선하며, 튜브 길이 축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해 평행한 평면들(그 평면들은 플레이트가 그 위에 자리하는 평면(Y)와 평면(X) 양자 모두에 대해 수직임)에서의 각도 분포에 영향이 없도록 최소한의 상태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소스들(301a 내지 301c)이 여전히 방출 각도(β)만을 가지지만, 3개의 소스들은 β보다 더 큰 θ인 소스의 총 방출 각도를 함께 생성한다. 히트 싱크의 상측 표면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육각형이며, 3개의 비스듬한 표면들은 서로에 대하여 우각으로(예컨대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Φ = 210 도 내지 240 도인 각도로) 각각 오프셋되어 있다. 서로에 대하여 비스듬한 3개 이상의 표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표면들의 개수에 무관하게,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하다. 커버(304)의 양쪽 엣지들을 수용하기 위한 접속 영역(320)들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표적 조명 평면(X)에 대해 평행한 평평한 표면들이고, 커버(304)의 대응하는 평평한 표면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경계면이 임의의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홀수개의 비스듬한 표면들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들 전부가 히트 싱크를 통한 최대 열 전도를 위하여 베이스의 대응하는 표면들 상에 편평하게 놓여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303)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들(302a, 302c)에 대응하는 평면들이 회로 기판(302b)에 대응하는 평면을 동일한 각도들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Φ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120 도 내지 150 도의 범위 안에서 보다 더 클 수도 있고 더 작을 수도 있다. θ는 표면들의 개수와 같은 β의 수 배일 수 있고, 또는 그 몇분의 몇 일 수 있다. θ는 프린팅 플레이트를 향하여 LED들에 의해 방출되는 전체 방사선의 퍼센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80 도 보다 더 작다.
도 4에는, 소스가 대체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형광 튜브의 원래 직경보다 더 큰 베이스의 정면을 향하고 있는 면 상에서 베이스(403)와 회로 기판(402)이 폭들(W1, W2)을 각각 가지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404)는 대체로 사실상 직사각형일 수 있지만, 임의의 특정 기하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구성은 또한, 소스들이 대체하는 형광 튜브들 사이의 갭들 안의 위치들에서 적어도 일부 LED들(예컨대 401a, 401e)을 포함하는 폭에 걸쳐 어레이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LED들(401a 내지 401e)을 포함한다. 비교하기 위하여, 그것이 직사각형 부위(403r)에 접속하는 베이스의 반원형 밑면 부위(403s)의 치수(D)는 그것이 대체하는 형광 튜브의 원래 직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도시되어 있다. 치수(D)는 반원형 부위의 실제 직경 및/또는 형광 튜브의 원래 직경 보다 더 작은 코드(chord)일 수 있다. 히트 싱크는 원래 형광 튜브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직경이 있는 반원형 부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밑면 부위의 기하구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 실시예들은 반원형 기하구성을 전혀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소스의 뻗어 있는 폭은, 인접한 소스들의 인접한 측방 엣지들 사이에 갭이 매우 작거나 갭이 없는 상태에서 인접한 소스들이 1 대 1 비율로 인접한 튜브들을 대체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소스는 다수의 형광 튜브들을 대신하도록(예컨대 1개의 LED 소스 대 2개의 형광 튜브들, 1 대 3 등) 설계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또한 각각의 LED의 개별적인 방출 각도(β)보다 더 큰, 소스로부터의 방출 각도(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튜브 길이 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이나 튜브 길이 축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의 각도 분포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나 있는 커버(104)는, LED들이 위치되어 있는 위치들 위에 복수의 원통형 프레넬 렌즈와 같은 프리즘 구조체나 다른 굴절 구조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는, 화살표들(510a 내지 510e)로 표현되어 있는 5개의 LED 선형 포지션들 위에 정렬되어 있는 5개의 실린더형 프레넬 렌즈를 가지는 이러한 커버(500)의 예시적인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프레넬 렌즈(cylindrical Fresnel lens)"라는 용어는, 한 지점으로부터 광을 모으거나 한 지점 쪽으로 광을 퍼트리는 구형 프레넬 렌즈와는 대조적으로, 한 라인(예컨대 LED 소스들이 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는 축)으로부터 광을 모으거나 한 라인 쪽으로 광을 퍼트리는 굴절 힘을 가지는 렌즈 기하구성을 지칭한다. 각각의 LED 선형 포지션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3개의 LED들의 비스듬한 분포에서 그러하듯 하나 이상의 LED를 표현할 수 있다. 커버(500) 안의 구조체들은 프레넬 렌즈의 수학적 정밀도를 정확하게 따르지 않는 프리즘 구조체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는 이러한 구조체들이 없는 상태보다 더 폭넓은 각도 분포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UV 방사선을 여전히 굴절시킨다. 그러므로, 렌즈 커버 안의 프리즘 구조체와 굴절 구조체가 임의의 특정 기하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목할 만하게도,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5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평한 장착 영역(220, 320)과 상호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양쪽 단부들 상에 평평한 표면(502)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대응하는 베이스에 조립되는 경우, 평평한 표면(502)들은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하다. 커버의 단부들 상의 평평한 표면들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도시되어 있는 것들 중 임의의 것과 같이 임의의 커버 구조체 안에 존재할 수 있다. 대체 구성들에서, 커버는 베이스 안의 짝 그루브들 또는 홀들과 상호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일 대체 구성에서, 베이스(550)는 커버(540)의 단부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립(lip)(55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그루브(551)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와 대응하는 립은 소스의 총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또는 선정된 짝 위치들 안에만 존재할 수 있다. 립과 그루브 사이의 물리적인 접속의 강도는 립과 그루브의 짝 표면들 상에서의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립과 그루브의 기하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기하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되어 있는 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한없는 예시들로서 도 5d 내지 도 5h에 도시되어 있는 경계면과 같은 추가적인 경계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560)는, 커버(564)로부터 돌출해 있는 프롱(prong)들 또는 탭(tab)(562)들이 그 속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들 또는 홀(561)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경계면들은 접착제로 강해지게 될 수 있다. 커버와 베이스의 폭이 도 5d에 있는 경계면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베이스(590)는 도 5g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계면에서의 커버(594)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여기에서 프롱들 또는 탭(592)들은 동일한 폭이나 직경으로 커버(594)로부터 뻗어 있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는데, 이는 대응하는 프롱들 또는 탭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의 상대적으로 더 큰 착지 영역 안에서 대응하는 그루브들 또는 홀(591)들을 커버와 베이스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강으로부터 제조되는 것과 같은) 클램프(576)들은 도 5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570) 아래로 뻗어 있으면서 커버(574)의 부위들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들은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 종래 기술의 전구들 상의 단부 캡(810)들이 나타나 있는 곳에 위치될 수 있어서, 클램프들에 의해 차단되는 임의의 방사선은 큐어링 노출을 위하여 요구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성들에서, 도 5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584)는 단면상 180 도 이상으로 뻗어 있는 플렉시글라스의 일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튜브(587) 안의 후방 개구들은 냉각을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튜브는 튜브의 정면을 향하고 있는 부위 안의 제 1 두께, 및 정면을 향하고 있는 표면(585)와 상호접촉하되 도 5f에서 우측 상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립(588)을 제공하도록 베이스(580)의 외주와 접촉하고 있는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또는 튜브는 베이스의 정면을 향하고 있는 표면에 접촉하는 돌출부(589)를 가질 수 있다. 도 5f에서 우측과 좌측 상에 상이한 구조체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면이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 및 베이스와 커버의 양쪽 측면들이 통상적으로 동일한 구조 부재들을 가진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구조체가 돌출부와 벽 두께에 변화가 있는 조합을 구비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은 조립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다른쪽 대비 한쪽 측면 상에 상이한 구조체들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안의 홀들, 그루브들 또는 다른 음각 부재들과 상호접촉하는 커버 상의 돌출부들이나 다른 양각 부재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커버가 베이스 상의 양각 부재들과 상호접촉하는 실시예들 또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베이스(595)로부터의 돌출부(597)들이 커버(596)의 엣지들을 수용하고 있는 도 5h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다. 돌출부들은 베이스와 커버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또는 일련의 별개의 돌출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두께의 연속적인 엣지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베이스로부터의 대응하는 돌출부들과 짝을 이루는 상대적으로 더 얇거나 두꺼운 벽 두께의 영역들 또는 오목부들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로 된 레이어는 커버와 베이스의 짝 표면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클램프들 및/또는 접착제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계면들 중 임의의 것과 조합될 수 있고, 베이스의 대응하는 짝 부재들과 상호접촉하는 커버의 음각 부재, 양각 부재 또는 중립 부재의 조합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음에 오는 것 중 임의의 것이나 전부를 포함하여,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양각(positive)"이라는 용어는 표면이나 엣지로부터 돌출해 있는 부재를 지칭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음각(negative)"이라는 용어는 표면이나 엣지에 대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부재를 지칭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그리고 "중립(neutral)"은 대응하는 부재와 평평한 접촉을 만드는 부재와 같이 음각도 아니고 양각도 아닌 부재를 지칭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짝(mating)" 부재는, 예컨대 홀(561)과 같은 음각 부재 안에 들어맞는 프롱(562)과 같은 양각 부재, 또는 양각 부재(589)나 음각 부재(588)(예컨대 감소된 벽 두께로 된 영역), 또는 중립 표면(예컨대 베이스 정면을 향하고 있는 표면(585))을 수용하는 립을 생성하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c 내지 도 5h에서 반원통형 커버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베이스와 커버 사이의 경계면들 중 임의의 것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직사각형 커버 기하구성과 같은, 다른 형상들을 가지는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단일의 소스 안의 LED들은 동일한 생산 뱃치(production batch) 중에서 선정되므로, 그 LED들의 광 출력 특질들(및 임의의 다른 재료 특성들)이 소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UV 출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충분히 동일하다. 하나의 뱅크 노출 유닛(bank exposure unit)에서 소스들 전부 안의 모든 LED들이 동일한 LED 뱃치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LED들에 걸쳐 원하는 흐름을 유지하는 제어 전자장치로 하여금 유닛 흐름 당 상이한 LED 뱃치들로부터 방출되는 상이한 출력 세기들을 보상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모든 튜브들의 총 UV 출력은 소정의 공차 범위내에 있는 세기의 공통 레벨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상의 모든 위치들은 원하는 공차 범위내의 UV 방사선의 동일한 세기 레벨들에 노출된다.
LED들과 LED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제어 전자장치는, 제어 신호 대비 UV 출력의 수긍할 수 있는 선형도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의 사용과 같은 조명 기술에 관한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원격 제어 신호들은 노후화에 의해 유발되는 출력 전력 저하를 보상하도록 LED 소스들의 출력을 세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신호들은 예컨대 적외선(Infrared; IR) 신호 또는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소스 안에 위치되어 있는 개별적인 전력 컨트롤러들 쪽으로 송신될 수 있다. 방사선 세기의 원격 제어는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라운드 탑 대 플랫 탑 모드에서 매우 민감한 폴리머 플레이트들(예컨대 듀퐁(DuPont®) EFX 플레이트들)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적용 요건들에 따라 방사선 출력의 조정을 용인할 수 있다. 적용 요건들에 따라 방사선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또한, 프린팅 플레이트의 완전한 큐어링을 위하여 더 높은 세기를 갖는 제 2 노출이 다음에 오는, 낮은 세기를 갖는 제 1 노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출은 요구되는 총 큐어링의 제 1 단편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에서 제 2 노출은 요구되는 총 큐어링의 나머지 단편을 제공하므로, 제 1 노출과 제 2 노출은 함께 플레이트를 큐어링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의 총 양을 집합적으로 제공한다.
흐릿해지는 LED 소스들을 위하여 제어 곡선이나 전자장치에서의 비선형도를 보상하기 위해서, 노출 동안 포토폴리머를 붙들고 있는 지지 평면 상에 자리배치되어 있거나 그 안에 통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들은 UV 출력 컨트롤러 쪽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서, UV 세기의 정밀한 양은 소정의 공차 범위내에서 제공된다. 도 6에는, 이러한 예시적인 피드백 루프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LED를 제어하기 위한 전체적인 개략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력 공급장치(601)는 각각의 LED 소스(603) 안의 LED들을 제어하는 제어 전자장치(602)에 전력공급한다. 각각의 소스 안의 개별적인 LED들은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할 수 있고,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닛으로서 제어가능할 수 있다. 광검출기(606)는 프린팅 플레이트에 의해 수용되는 그 방사선을 표현하기 위해서 보정된 위치에서 수용된 방사선을 측정하고, 광검출기로부터의 신호는 이후 제어 전자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원격 제어 수신기(604) 쪽으로 신호를 보내는 원격 제어 송신기(605) 쪽으로 제공되는데, 제어 전자장치는, 흐름이 증가되어야 하는지 여부, 감소되어야 하는지 여부, 또는 변화없이 유지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그 피드백 신호를 입력으로서 사용한다. 컨트롤 패널(607)은 원격 제어 송신기 쪽으로 원하는 세기 레벨 지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원격 제어 송신기는, 이후 피드백을 이용하여 조정되는 대략적인 흐름 레벨을 세팅하기 위해서 이러한 정보를 이송 전향 신호(feed forward signal)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는 복수의 소스(902)들을 통합하고 있는 예시적인 방사선 시스템(9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소스들은 형광 튜브를 대체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본 발명의 소스들로 개조되는 형광 전구들과의 사용을 위하여 설계되어 있는 기존의 시스템일 수 있는데, 그 소스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컨트롤러들과 센서들 중 임의의 것을 선택사항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들과의 사용을 위하여 새롭게 설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힌지(913)에 의해, 또는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지지 표면(916) 상의 프린팅 플레이트(미도시)의 삽입을 위해 리드가 베이스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용인하는 다른 수단에 의해 베이스(914)에 부착되어 있는 리드(lid)(912)를 구비한다. 지지 표면(916)은 가장 큰 프린팅 플레이트와 크기가 적어도 동일한(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마진(margin)만큼 더 큰)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대체로 치수결정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유닛은 노출하도록 등급결정되어 있다. 방사선 소스들의 어레이는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와 폭에 걸쳐 광을 제공하도록 대응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유닛은 노출하도록 등급결정되어 있고, 또한 그러하기에 바람직하게도 소정의 마진만큼 가장 큰 플레이트 크기보다 약간 더 큰 영역을 가로질러 광의 플러드(flood)나 뱅크(bank)를 제공하도록 크기결정되어 있다.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구성에서, 열린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는 리드는, 소스들의 축에 대하여 중심 상에 간격(S)을 가지는 제 1 복수의 상측 방사선 소스(902)들을 그 안에 장착하였다. 나타나 있는 상측 방사선 소스(902)들의 개수는 통상적인 시스템에서의 소스들의 실제 개수나 소스들의 상대적인 크기들을 대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고, 단지 참조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나아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들의 폭/직경은 인접하는 소스들 사이의 갭(G)을 남겨두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갭(G)의 치수가 제 1 값을 가지는 직경(D)을 가지는 형광 전구를 소스가 대체하는 실시예들에서, 소스의 폭은 D보다 더 클 수 있으므로, 갭(G)의 치수는 제 1 값보다 더 적은 제 2 값을 가진다.
각각의 상측 소스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착 유닛들(좌측 상의 910ul, 우측 상의 910ur) 안에 물리적으로 수용되어 있으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 유닛은 전력 공급장치, 및 베이스(914) 안에 장착되어 있는 블록(918)에 의해 집합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다른 제어수단들에 부착되어 있다. 도 9의 확대된 부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소스(902)는 전기 소켓(954)들과 양립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부 커넥터(958)들을 가지는데, 이 소켓들은 원래 종래 기술의 튜브(800)들의 핀(812)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었었다. 각각의 소켓은 전력 소스의 양쪽 폴(956, 957)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 와이어링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소스(902)는 LED(950)들 쪽으로의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로컬 컨트롤러(952)를 가질 수 있다. 튜브의 한쪽 단부 상에 위치되어 있는 박스(952)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은 양쪽 단부들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컨트롤러는 LED들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들 상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고,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형광 전구들의 단부 캡(810)들은 통상적으로 금속이고 그러하기에 비발광성이어서, 대체 튜브들은 형광 튜브 성능을 재현하기 위해서 이 구역에 조명을 제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튜브의 이 부위를, 원하는 방식으로 LED들을 제어하거나 전력공급하거나 조작하는데 요구될 수 있는 전자 구성요소들을 위한 이상적인 위치로 만든다. 형광 튜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내부에 개조되어 있는 LED 소스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수단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LED 소스들에 전체적으로 전력공급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대한 임의의 다른 수정예들은 미국 특허 제7,507,001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 대체로 알려져 있다. 확대된 부위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902)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일치하는 구성을 가지지만, 소스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들 중 임의의 것과 일치하는 설계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은, 위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일부 또는 모든 부재들과 집합적으로 프로그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수단들과 전력 공급장치의 위치는 베이스 안의 자리배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시스템의 일부 부분들이 베이스 안에 장착되어 있는 분포된 배열로 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부는 리드 안에 그리고 일부는 소스 안에 어디에든 위치될 수 있다. 블록(918)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 라인들은 전기적 접속들(유선 접속들임)뿐만 아니라 제어 신호 접속들(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 안의 소스(902)들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표면(916) 상에 장착되어 있는 플레이트의 정면 측 노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안의 지지 표면(916)은 선택사항으로 화학 방사선에 대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고, 소스(902)들의 추가적인 선택사항인 뱅크는 배면 측 노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 표면 밑에서 하측 우측 소켓(910lr)과 하측 좌측 소켓(910ll)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임시 출원의 공동 출원인이 기재되어 있고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플레이트들의 제어되는 노출 및 그 바닥을 조정하는 것을 위한 공정 및 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EXPOSURE OF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AND ADJUSTING THE FLOOR THEREOF)"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180210345A1호에 전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단편적 노출 사이클들에서 포함하여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배면 측 노출만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플레이트에 대한 배면 측 노출과 정면 측 노출의 조합에 정면 노출과 배면 노출 사이의 소정의 지연(delay)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아래에 더욱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출의 원하는 패턴으로 포함하여, 지지 표면 상에 플레이트를 자리배치하는 단계, 리드를 폐쇄하는 단계, 및 원하는 양의 시간을 위하여 상측 및 선택사항인 하측 소스들을 활성화하는 단계에 의해 예시적인 노출 시스템을 이용해서 프린팅 플레이트를 노출시킬 수 있다. 노출의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유들 중 어떤 것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LED들에 의해 방출되는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V LED(701)들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평한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는데, 그 어레이는 조사될 포토폴리머 프린팅 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적어도 약간 더 클 수 있다. LED 어레이의 엣지들에서의 조사를 유지하기 위해서,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사항으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8,578,854호에 전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거울형 벽(702)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울형 벽들은 평평한 어레이의 크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만화경식 접근법(kaleidoscope approach)은 또한,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고 본 출원의 공동 출원인이 소유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8578854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8,578,854호의 도 3 내지 도 6 및 그 대응하는 개시사항은 포토폴리머 플레이트들 안에서의 프린팅 도트들의 큐어링을 위하여 면광원을 이용하는 이점들이 도시되어 있다. 면광원(area source)은 플레이트 정상 표면에서 프린팅 세부사항들 아래에 광폭 지지 소켓을 큐어링한다. 광폭 지지 소켓들은 더 작은 프린팅 세부사항들이 용매 세척 공정 동안 플레이트 상에 붙들려 있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용인하고, 또한 도트들이 끊어지기 전에 프레스 안에서의 플레이트들의 더 긴 실행 시간(run time)을 제공한다.
자외선(ultraviolet; UV) 범위의 방출이 있는(예컨대 자외선 UV 스펙트럼, 바람직하게는 320 nm 내지 42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 nm 내지 420 nm의 범위 안에 있는 중심 방출 파장을 가지는) LED들의 맥락에서 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LED들의 방사선 출력이 임의의 특정 파장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큐어링하고자 하는 포토폴리머 플레이트에 대한 화학 방사선인 한 그러하다. 직사각형 어레이가 도 7에서는 칼럼(column)들과 열(row)들로 된 보통의 어레이로 도시되어 있지만, LED들의 어레이는 열부터 열까지 또는 칼럼부터 칼럼까지 엇갈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소스는 하나 이상의 종류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종류는 상이한 공통 중심 방출 파장을 가지며, 개개의 종류는 반복되는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LED들은,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공동 출원인이 출원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프린팅 플레이트를 노출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US AND METHOD FOR EXPOSING PRINTING PLAT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이라는 제목의 2019년 4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839,17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2020년 4월 26일자로 출원된 PCT 출원 제PCT/EP20/06155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분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이와 같은 파장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통합되어 있는 앞선 참조사항에 따라, 소스는 칼럼들과 열들로 된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EDs)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LED들은 복수의 종류(예컨대 2가지, 3가지, 4가지 등)의 LED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종류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멤버들과 상이한 공통 중심 방출 파장을 가진 복수의 멤버들을 가진다. 각각의 종류의 LED들은 바람직하게는 UV 스펙트럼 안에 있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 nm 내지 420 nm 범위 안에 있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360 nm 내지 420 nm, 예컨대 3가지 종류 구성으로 365 nm, 395 nm 및 415 nm의 중심 방출 파장을 가진다. 어레이는, 번갈아 있는 열들이 열에서 단일의 종류로 이루어져 있거나 선택사항으로 엇갈린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패턴, 또는 인접한 열들 안에서 동일한 종류의 인접한 멤버들이 대각선방향으로 정렬하도록 각각의 열에서 번갈아 있는 종류가 분포되어 있는 패턴과 같이, 반복되는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개객의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어레이의 컨트롤러는 각각의 종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도 하고, LED의 개개의 종류의 인접한 멤버들의 방출 패턴들이 플레이트 상에서 서로 중첩하도록 복수의 종류를로 하여금 동시에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도 하다. 상이한 종류는 개개의 종류로부터 상대적인 방출 세기들의 상이한 혼합들이나 상이한 집합적인 방출 세기들을 제공하도록 튜닝될 수 있다. 각각의 종류의 LED들의 멤버들은, 종류 안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멤버들 각각으로 하여금 공통 세기를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통 드라이버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이를 구비하는 각각의 소스는 사용자 조정가능 방출 세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조정가능 방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복수의 소스들은 하나의 소스가 다른 소스와 상이한 방출 특성을 동시에 방출하는 것을 용인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소스가 노출 지속기간의 상이한 부분들 동안 상이한 방출 특성들을 방출하는 것을 용인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개개의 종류의 LED들의 상대적인 세기들은 또한 플레이트들의 상이한 뱃치들 중에서 노출 민감도의 차이들을 보상하도록 튜닝될 수 있고, 또는 개개의 노출 시스템들 사이의 차이들을 보상하도록 튜닝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종류 또는 분포 패턴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위하여 단면도들만이 제공되어 있지만, LED들이 각각의 소스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다는 점, 및 이러한 분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앞선 62/839,171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패턴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단일의 종류의 패턴이나 다수의 종류의 패턴을 포함하여, 보통의 직사각형 어레인 안에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형광 전구들을 위한 대체로서의 소스들의 사용,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들로 포토폴리머 플레이트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기존의 뱅크 라이트 시스템을 개조하는 것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어 있지만, 이들을 사용하기 위한 소스들과 시스템들이 적용처들을 개조하기 위해서 제한없이 임의의 사용을 위하여 설계된 원래 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나타나 있는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다양한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청구범위의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세부사항들로 행해질 수 있다.

Claims (44)

  1. 형광 튜브(800)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뱅크 라이트 노출 유닛(900)을 개조하고 화학 방사선으로 포토폴리머 프린팅 플레이트를 큐어링하기 위한 방사선 소스로서, 상기 형광 튜브는 전력 공급 장치(918)에 연결된 뱅크 라이트 노출 유닛의 제2 세트의 전기 커넥터(910ul, 910ur)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1 세트의 전기 커넥터(812)를 가지는, 방사선 소스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소스는:
    복수의 핀을 갖는 히트 싱크를 구비하되 축을 따라 폭과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로서, 길이는 폭보다 더 큰, 베이스;
    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로서,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은 자외선 중심 방출 파장을 갖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LED)을 집합적으로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LED들은 베이스의 길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
    상기 복수의 LED들에 대한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952)로서, 단위 전류당 상기 LED들에 의해 방출되는 상이한 출력 강도를 보상하기 위해 복수의 LED들 (101)을 통해 원하는 전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컨트롤러(952);
    상기 제2 세트의 전기 커넥터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한 세트의 전기 커넥터(954);및
    베이스 상에 장착되면서 화학 방사선에 대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커버로서, 커버는 베이스와 함께 복수의 LED들을 위한 인클로저를 정의하는, 커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LED는 방출 각도로 표적 조명 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화학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스는 방출 각도로 화학 방사선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방출 각도는 베이스의 축에 대해 수직하는 제 1 평면에서 단일의 LED의 방출 각도보다 더 크기도 하고, 베이스의 축을 포함하고 있거나 베이스의 축에 대해 평행하되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수직하는 제 2 평면에서 단일의 LED의 방출 각도보다 더 크기도 하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베이스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면서 서로에 대하여 비스듬한 복수의 표면들을 구비하며, 서브세트를 이루는 복수의 LED들 및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이나 그 중 일부는 복수의 표면들 각각의 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면들은 3개의 표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7. 제 6 항에 있어서,
    3개의 표면들은 우각으로 서로에 대하여 비스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우각은 210 도 내지 240 도의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9.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커버의 대응하는 표면을 수용하기 위하여 평평한 커버 장착 영역을 구비하고,
    평평한 커버 장착 영역은 표적 조명 평면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커버는, 베이스 안의 하나 이상의 짝 부재들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의 하나 이상의 양각 부재나 음각 부재를 구비하는 경계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와 베이스를 압축적인 관계에 있게 붙들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구조체 또는 굴절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커버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프레넬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복수의 LED들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프린팅 플레이트를 향하고 있는 직사각형 LED 장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는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는 밑면 부위를 구비하고,
    직사각형 장착 표면은 밑면 부위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고, LED들은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폭을 가로질러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LED들을 포함하는 어레이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어레이는 폭넓은 5개의 LED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소스는 직경을 가지는 튜브를 구비하는 형광 전구를 대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폭은 튜브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8.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표적 조명 평면을 향하고 있는 정면 부위, 및 표적 조명 평면으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밑면 부위를 구비하고,
    밑면 부위는 반원통을 정의하는 기하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는 반원통형 기하구성을 정의하는 방사상 엣지들과 서로 떨어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핀들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스는 특정된 길이를 가지는 형광 전구, 및 개개의 소켓들 안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양쪽 단부들에 있는 세트를 이루는 전기 커넥터들을 대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스는 상기 특정된 길이를 가지고, 세트를 이루는 전기 커넥터들은 개개의 소켓들 안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안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LED들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자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어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 제어 전자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원격 제어 수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23. 제 1 항에 있어서,
    LED들은 자외선 중심 방출 파장을 가지고,
    베이스는 복수의 LED들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프린팅 플레이트를 향하고 있는 직사각형 LED 장착 표면을 구비하고,
    복수의 LED들은 직사각형 장착 표면의 폭과 길이를 가로질러 어레이로 분포되어 있고,
    커버는 직사각형이고,
    방사선 소스는 전력 소스에 대해 방사선 소스를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하기 위하여 제 2 세트를 이루는 짝 전기 커넥터들과 상호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세트를 이루는 전기 커넥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소스.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에 대응하는 표적 조명 평면에서 프린팅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 안에서 복수의 원격 제어 수신기들 쪽으로 신호들을 보내기 위한 원격 제어 송신기를 더 구비하고, 원격 제어 송신기는 원격 제어 수신기들 쪽으로 송신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입력들은 방사선 소스들을 위하여 원하는 조명 세기를 세팅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28. 제 2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검출기들을 더 구비하고, 각각의 광검출기는 원격 제어 송신기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 쪽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방사선 소스들에 의해 방출되는 그 세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29. 제 24 항에 있어서,
    기판의 제 1 표면 위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세트를 이루는 소스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기판은 화학 방사선에 대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제 1 표면 반대쪽에 있는 기판의 제 2 표면 아래로 이격되어 있는 제 2 세트를 이루는 소스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31. 제 24 항에 있어서,
    노출 시스템은 형광 튜브들과의 사용을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소스들은 형광 튜브들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소스는 인접한 소스들의 인접한 엣지들 사이의 갭을 정의하는 인접한 소스들의 축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소스들 사이의 갭은 소스들이 대체하는 형광 튜브들 사이의 대응하는 갭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33. 프린팅 플레이트를 노출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 24 항의 노출 시스템 안에서 표적 조명 평면 상에 프린팅 플레이트를 자리배치시키는 단계, 및 그 플레이트로 방향조정된 화학 방사선을 제공하기 위해서 방사선 소스들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표적 조명 평면에서 조사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조사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방사선 소스들 안에 있는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LED들의 노후화에 의해 유발되는 출력 전력 저하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제 1 소스 안에 있는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 2 소스 안에 있는 개개의 복수의 LED들의 성능 특성들에 대하여 제 1 소스 안에 있는 LED들의 성능 특성들에서의 차이들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복수의 LED들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적용 요건들에 따라 방사선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적용 요건들에 따라 방사선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프린팅 플레이트 안에 라운드 탑 도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노출 특성 및 프린팅 플레이트 안에 플랫 탑 도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노출 특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적용 요건들에 따라 방사선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 1 세기보다 더 높은 제 2 세기를 갖는 제 2 노출이 다음에 오는, 제 1 세기를 갖는 제 1 노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제 2 노출과 함께 조합되는 제 1 노출은 플레이트를 큐어링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의 총 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하나 이상의 방사선 소스들을 구비하는 노출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소스들 각각에 의해 방출되는 조사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센서, 및 측정된 조사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방사선 소스들 각각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42. 제 41 항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제 2 소스의 성능 특성들에 대하여 제 1 소스의 성능 특성들에서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제 1 소스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43. 제 41 항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 1 소스의 성능 특성들에서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제 1 소스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44. 제 41 항에 있어서,
    노출 시스템은 제 2 세트를 이루는 전기 커넥터들과 전력 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시스템.
KR1020207037108A 2019-08-29 2020-08-28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KR10248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0213A KR102588061B1 (ko) 2019-08-29 2020-08-28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93395P 2019-08-29 2019-08-29
US62/893,395 2019-08-29
PCT/EP2020/074075 WO2021038039A1 (en) 2019-08-29 2020-08-28 Uv led radiation sources for use in photopolymer expos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213A Division KR102588061B1 (ko) 2019-08-29 2020-08-28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278A KR20210027278A (ko) 2021-03-10
KR102486138B1 true KR102486138B1 (ko) 2023-01-10

Family

ID=722925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108A KR102486138B1 (ko) 2019-08-29 2020-08-28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KR1020237000213A KR102588061B1 (ko) 2019-08-29 2020-08-28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213A KR102588061B1 (ko) 2019-08-29 2020-08-28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05769A1 (ko)
EP (2) EP4102298A1 (ko)
JP (1) JP7133083B2 (ko)
KR (2) KR102486138B1 (ko)
CN (1) CN112752997A (ko)
DK (1) DK3811155T3 (ko)
TW (1) TW202123787A (ko)
WO (1) WO2021038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3653B (zh) * 2021-06-04 2024-01-09 佛山市龙之声电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辐射构件的辐射孔设计方法和热辐射构件
WO2023089374A2 (en) 2021-11-22 2023-05-25 Esko-Graphics Imaging Gmbh Uvc led light finisher for detacking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99B2 (ja) * 1993-03-17 2001-08-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シリアル通信装置
JP2009137302A (ja) * 2007-12-07 2009-06-25 Heidelberger Druckmas Ag 印刷された材料を乾かす方法
KR100970856B1 (ko) * 2009-04-08 2010-07-20 주식회사 지엘비젼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램프
JP2010192347A (ja) * 2009-02-20 2010-09-02 Hitachi Ltd 光源モジュール、並びに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12038532A (ja) * 2010-08-05 2012-02-23 Hamai Denkyu Kogyo Kk トンネル照明灯具
JP2012079610A (ja) * 2010-10-05 2012-04-19 Furukawa-Sky Aluminum Corp 蛍光灯型ledランプ
US20160305617A1 (en) * 2014-01-06 2016-10-20 Lapwah Lin Led lighting fixture with heat sink casi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3823B1 (en) * 2000-02-11 2012-01-10 Altair Engineering, Inc. Light sources incorporating light emitting diodes
KR20030067935A (ko) * 2002-02-09 2003-08-19 김상건 올티프라즈를 포함하는 간경화(간경변증) 치료를 위한 간 조직 재생용 제약 조성물
CA2332190A1 (en) * 2001-01-25 2002-07-25 Efos Inc. Addressable semiconductor array light source for localized radiation delivery
US7507001B2 (en) 2002-11-19 2009-03-24 Denovo Lighting, Llc Retrofit LED lamp for fluorescent fixtures without ballast
CA2518276A1 (en) 2005-09-13 2007-03-13 Ignis Innovation Inc. Compensation technique for luminance degradation in electro-luminance devices
DK2145229T3 (en) 2007-05-08 2016-06-06 Esko-Graphics Imaging Gmbh Exposure of the printing plate using light-emitting diodes
US8389203B2 (en) * 2007-05-08 2013-03-05 Esko-Graphics Imaging Gmbh Exposing printing plat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DE102008018763A1 (de) * 2008-04-14 2009-11-05 Kristin Bartsch Lithografiebelichtungseinrichtung
US8578854B2 (en) 2008-05-23 2013-11-12 Esko-Graphics Imaging Gmbh Curing of photo-curable printing plates using a light tunnel of mirrored walls and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like a kaleidoscope
US8227769B2 (en) * 2008-05-27 2012-07-24 Esko-Graphics Imaging Gmbh Curing of photo-curable printing plates with flat tops or round tops
WO2010045534A1 (en) * 2008-10-17 2010-04-22 Atonometrics, Inc. Ultraviolet light exposure chamber for photovoltaic modules
JP2011108424A (ja) * 2009-11-13 2011-06-02 Keiji Iimura 蛍光チューブを備えたledランプ
US20100154244A1 (en) * 2008-12-19 2010-06-24 Exfo Photonic Solutions Inc. System, Method, and Adjustable Lamp Head Assembly, for Ultra-Fast UV Curing
WO2010117210A2 (ko) 2009-04-08 2010-10-14 주식회사 지엘비젼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
KR101045509B1 (ko) * 2009-09-02 2011-06-30 주식회사 남영전구 Led 형광등
US8772740B2 (en) * 2011-04-08 2014-07-08 Esko-Graphics Imaging Gmbh UV curing creating flattop and roundtop structures on a single printing plate
US9109777B2 (en) * 2012-04-16 2015-08-18 Phoseon Technology, Inc. Linear fresnel optic for reducing angular spread of light from LED array
US8790864B2 (en) 2012-08-27 2014-07-29 Kyle P. Baldwin Method of improving print performance in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US10732507B2 (en) * 2015-10-26 2020-08-04 Esko-Graphics Imaging Gmbh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exposure of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and adjusting the floor thereof
DE202016008961U1 (de) * 2015-10-26 2021-02-08 Esko-Graphics Imaging Gmbh System zur gesteuerten bzw. geregelten Belichtung von flexografischen Druckplatten
US10036956B2 (en) * 2016-05-03 2018-07-31 Macdermid Graphics Solutions, Llc Method of making relief image printing elements
JP7004996B2 (ja) 2017-07-12 2022-01-21 株式会社ユメックス 露光用のled光源
KR102337233B1 (ko) * 2017-09-20 2021-12-09 유버 주식회사 경화 장치
CN108644628B (zh) * 2018-06-06 2024-03-29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高良率低成本大面积柔性oled照明模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99B2 (ja) * 1993-03-17 2001-08-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シリアル通信装置
JP2009137302A (ja) * 2007-12-07 2009-06-25 Heidelberger Druckmas Ag 印刷された材料を乾かす方法
JP2010192347A (ja) * 2009-02-20 2010-09-02 Hitachi Ltd 光源モジュール、並びに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0970856B1 (ko) * 2009-04-08 2010-07-20 주식회사 지엘비젼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램프
JP2012038532A (ja) * 2010-08-05 2012-02-23 Hamai Denkyu Kogyo Kk トンネル照明灯具
JP2012079610A (ja) * 2010-10-05 2012-04-19 Furukawa-Sky Aluminum Corp 蛍光灯型ledランプ
US20160305617A1 (en) * 2014-01-06 2016-10-20 Lapwah Lin Led lighting fixture with heat sink ca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52997A (zh) 2021-05-04
EP3811155B1 (en) 2022-07-27
JP2022191212A (ja) 2022-12-27
JP2022501628A (ja) 2022-01-06
DK3811155T3 (da) 2022-08-29
KR20210027278A (ko) 2021-03-10
EP4102298A1 (en) 2022-12-14
JP7133083B2 (ja) 2022-09-07
EP3811155B8 (en) 2022-08-31
KR20230008914A (ko) 2023-01-16
KR102588061B1 (ko) 2023-10-13
WO2021038039A1 (en) 2021-03-04
US20220305769A1 (en) 2022-09-29
EP3811155A1 (en) 2021-04-28
TW202123787A (zh)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4518B2 (en) Linear fresnel optic for reducing angular spread of light from LED array
KR102486138B1 (ko) 포토폴리머 노출에서의 사용을 위한 uv led 방사선 소스들
US8810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hotovoltaic devices
JP2013541172A (ja) 発光ダイオードプロジェクタ
US9388967B2 (en) Edge weighted spacing of LEDs for improved uniformity range
US9133989B2 (en) Mechanical attachment system for linear light modules
US2012014014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251075B2 (ja) Led光源装置
JP3197315U (ja) 照明モジュールのためのラップアラウンド・ウィンドウ
KR101880974B1 (ko) 색편차 조절형 led모듈
KR101765552B1 (ko) 확장형 led 광원
KR20180126073A (ko) 좁은 폭 방사를 통한 방출 및 경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31821B1 (ko) 개선된 라인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광조사 장치 및 광조사 방법
KR20230137822A (ko) 광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토마스크 묘화 장치
TWM491847U (zh) 曝光設備之光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