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01B1 -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01B1
KR102486101B1 KR1020220112289A KR20220112289A KR102486101B1 KR 102486101 B1 KR102486101 B1 KR 102486101B1 KR 1020220112289 A KR1020220112289 A KR 1020220112289A KR 20220112289 A KR20220112289 A KR 20220112289A KR 102486101 B1 KR102486101 B1 KR 102486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switchgear
switchboard
input
standard si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698A (ko
Inventor
나정범
김재창
장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1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7Testing of electronic pro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보호배전반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모듈; 입출력 모듈을 통해 보호배전반의 표준단선도 내 차단기 또는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이면 보호배전반으로 고장 신호를 전달한 후, 보호배전반으로부터 전달된 보호배전반의 동작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DIAGNOSTIC APPARATUS FOR PROTECTION AND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호배전반의 성능 상태를 검증하는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호배전반은 송변전설비들을 직접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보호배전반은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 및 기타 접점 요소의 입력을 통해 송변전설비에 발생한 고장에 응동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도록 지령하는 보호계전기를 구비한다.
보호배전반은 다양한 송변전설비들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써지(Surge), 과전압 또는 과전류 등의 이상상태 발생 시 공급 전력을 차단해 보호배전반에 연결된 각종 전력설비들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배전반은 발/변전소 및 송/수전설비의 전력계통상 이상발생 여부를 상시 검출하여 발/변전소 또는 송/수전설비내 전력계통상의 이상발생시, 이를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보호배전반 자체적인 결함발생으로 인해 감시동작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배전반의 정상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발/변전소 또는 전력계통 설비별로 분기에 한번 또는 수시로 보호배전반의 특성 변화등 자체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한 정기, 임시동작 점검시험을 수행하여 보호배전반의 정상동작여부를 수시로 체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53540호(2019.12.02)의 '보호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보호배전반 준공시험시 우선 보호계전기가 적정치로 적절하게 동작하는지 개체시험(성능검사)을 진행하고 GIS 설비(차단기)와 제어회로 결선 후 연동시험을 통하여 고장 발생시 관련 차단기가 트립(Trip), 재폐로 등의 시퀀스(Sequence)에 의하여 동작하는지를 최종 검증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호배전반 개체 시험 완료 후 연동시험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인력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345kV 송전선로 재폐로 시험이나 모선보호반 시험 등 다양한 동작조건에 따른 연동시험시 단시간에 반복적으로 차단기에 수회 내지 수십회의 동작지령을 전달하게 되므로, 변전설비(차단기) 수명이 단축되고, 동작 메커니즘에 손상(345kV GIS Control Block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며, 설비 연속 동작에 따른 소음 민원이 요인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호배전반의 성능 상태를 검증하는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보호배전반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모듈; 상기 보호배전반의 각 입출력 접점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보호배전반의 표준단선도 내 차단기 또는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이면 상기 보호배전반으로 고장 신호를 전달한 후, 상기 보호배전반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보호배전반의 동작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단선도는 상기 보호배전반별로 각각 등록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보호배전반에 상기 차단기와 상기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DO(Digital Output) 모듈; 및 상기 보호배전반으로부터 상기 보호배전반의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DI(Digital Input)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표준단선도를 신규로 제작하고, 상기 신규 제작된 표준단선도를 상기 표준단선도 중 어느 하나로 새롭게 등록하는 사용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해당 선로와 변압기 등의 전력설비에 대한 신설이나 증설 또는 대체시 시행하는 휴전 및 설비 설치 후 시행하는 보호배전반 연동시험 시간을 최소화시켜 휴전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보호배전반 신설 및 노후 대체 물량 증대에 따른 효율적 인력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반복적 차단기 동작시험에 따른 변전설비(차단기)의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한 보호배전반의 손상 및 수명 단축을 최소화하고, 연동시험 강화(사전 모의, 실계통 설비)를 통한 보호배전반 동작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실제 설비없이 진단 기기를 활용하여 보호배전반 모의 연동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계통보호설비 이해도 향상을 통한 직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의 시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대상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4kV 변압기 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4kV 송전선로 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4kV 모선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5kV 변압기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54kV 송전선로 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5kV 모선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모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의 시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진단 기기(30) 및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한다.
보호배전반(10)은 모선 및 차단기에 연결된 송/배전선로와 발/변전소의 전력계통을 감시하며, 송/배전선로상에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의 동작상태 및 계측값을 확인하고 이상발생시 고장구간선로를 온/오프 제어하여 이상발생의 파급을 방지시킨다.
사용자 단말(20)은 진단 기기(3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진단 기기(30)에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전달하고, 진단 기기(30)로부터 전달된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한다.
예컨데, 사용자 단말(20)은 진단 기기(30)에 보호배전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기와 단로기 각각에 대한 조작 명령을 진단 기기(30)에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진단 기기(30)로부터 보호배전반(10)의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는 보호배전반(10)에 대한 모의 진단시,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진단 기기(30)를 제어하여 보호배전반(10)에 대한 모의 진단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20)은 노트북 컴퓨너,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단말, PDA(Personal Assistant Digital)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은 각종 통신 기기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진단 기기(3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과 진단 기기(30)의 유무선 통신망으로는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시리얼(Serial) 통신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넷 통신망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은 사용자의 통신 환경이나 진단 환경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진단 기기(30)는 입출력 모듈(30)을 통해 보호배전반(10)의 표준단선도 내 차단기 또는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이면 보호배전반(10)으로 고장 신호를 전달한 후, 보호배전반(10)의 내부 연산을 통해 고장신호를 송출하며, 송출된 신호에 의해 차단기가 개방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기의 동작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표시한다.
표준단선도는 345/154kV의 송전선로, 변압기 모선등의 전력설비를 일반적으로 나타낸 계통도로써 예컨데, 보호배전반(10)의 송전선로의 표준 단선도는 변전소로 공급된 전력을 각 수용가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송/배전선로상에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의 이상발생시 고장구간선로를 온/오프 제어하여 이상발생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 또는 단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배전반(10)은 154kV 변압기 보호반, 154kV 송전선로 보호반, 154kV 모선보호반, 345kV 변압기보호반, 3454kV 송전선로 보호반, 및 345kV 모선보호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표준단선도는 이들 보호배전반(10)별로 각각 등록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표준단선도는 사용자가 신규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임의로 표준단선도를 제작하는 경우, 이러한 신규 제작된 표준단선도도 기존의 보호배전반(10)과 동일하게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배전반(10)이 신규로 설치된 경우나 보호배전반 교육을 위해 표준단선도를 신규로 제작하고, 이러한 신규 제작된 표준단선도를 토대로 상기한 기존의 보호배전반(10)과 같이 모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진단 기기(30)는 입출력 모듈(30), 디스플레이부(32), 사용자 설정부(33) 및 제어부(34)를 포함한다.
입출력 모듈(30)은 보호배전반(10)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기반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30)은 DI(Digital Input) 모듈(312) 및 DO(Digital Output) 모듈(311)을 포함한다.
DI 모듈(312)은 보호배전반(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호배전반(10)으로부터 보호배전반(10)의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PLC를 통해 변환하여 제어부(34)에 입력한다.
보호배전반(10)의 동작상태 정보에는 보호배전반(10)의 트립(Trip) 정보 및 BFI(Breaker Failure Initiate)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O 모듈(311)은 보호배전반(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4)로부터 입력된 보호배전반(10)에 차단기와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DS 상태 및 CB 상태)를 PLC를 통해 변환하여 보호배전반(10)에 전달한다.
차단기와 단로기의 상태 정보는 보호배전반(10) 내 차단기와 단로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이며, 보호배전반(10)은 차단기와 단로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정상 계통운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인터페이스부는 보호배전반(10)의 각 입출력 접점과 연결된다.
즉, 보호배전반(10)과 진단 기기(3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입출력 모듈(30)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는 보호배전반(10)의 모의 진단을 위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데, 디스플레이부(32)는 보호배전반(10)의 표준단선도를 표시하고 보호배전반(10)의 동작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는 보호배전반(10)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2)는 제어부(34)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호배전반(10)의 모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와 모의 진단 결과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호배전반(10)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설정부(33)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표준단선도를 신규로 제작하고, 신규 제작된 표준단선도를 표준단선도 중 어느 하나로 새롭게 등록한다.
제어부(34)는 입출력 모듈(30)을 통해 보호배전반(10)의 표준단선도 내 차단기 또는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이면 보호배전반(10)으로 고장 신호를 전달한 후, 보호배전반(10)으로부터 전달된 보호배전반(10)의 동작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제어부(34)의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대상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4kV 변압기 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4kV 송전선로 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4kV 모선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5kV 변압기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 8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54kV 송전선로 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 내지 도 9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45kV 모선보호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모드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20)은 모의 시험이 가능한 보호배전반(10)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모의 시험 대상이 되는 보호배전반(10)을 선택한다.
도 3 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모의 진단이 가능한 보호배전반(10)이 나열된 화면이 도시된다. 보호배전반(10)은 154kV 변압기 보호반, 154kV 송전선로 보호반, 154kV 모선보호반, 345kV 변압기보호반, 3454kV 송전선로 보호반, 및 345kV 모선보호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의 진단을 수행할 보호배전반(10)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4)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모의 진단 대상이 되는 보호배전반(10)을 선택한다. 제어부(34)는 보호배전반(10)이 선택되면 해당 보호배전반(10)의 표준단선도를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표시한다.
이어, 제어부(34)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표준단선도 상의 차단기 또는 단로기 각각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해당 조작 명령에 따라 차단기 또는 단로기를 시행한다.
이어 제어부(34)는 상기한 차단기 또는 단로기 각각의 상태 정보를 DO 모듈(311)을 통해 보호배전반(10)에 전달한다.
이 경우, 보호배전반(10)은 입력된 차단기 또는 단로기 각각의 상태 정보로 정상 계통운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정상 계통운전 조건이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34)는 보호배전반(10)으로 고장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보호배전반(10)은 제어부(34)로부터 전달된 고장신호에 따라 트립 출력 접점이 동작하여 DI 모듈(312)을 통해 보호배전반(10)의 동작상태 정보, 예컨데 트립 정보 또는 BFI 정보를 전달한다.
DI 모듈(312)은 트립 정보 또는 BFI 정보를 제어부(34)에 입력하고, 제어부(34)는 해당 트립 정보 또는 BFI 정보에 따라 표준단선도를 통해 해당 보호배전반(10)의 상태를 표시한다.
즉, 제어부(34)는 도 4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4kV 송전선로 보호반, 154kV 모선보호반, 345kV 변압기보호반, 3454kV 송전선로 보호반, 및 345kV 모선보호반 각각에 대한 표준단선도를 토대로 해당 보호배전반(10)에 대한 모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신규 제작된 표준단선도를 토대로 해당 보호배전반(10)에 대한 모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해당 선로와 변압기 등의 전력설비에 대한 신설이나 증설 또는 대체시 시행하는 보호배전반 연동시험 시간을 최소화시켜 휴전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보호배전반 신설 및 노후 대체 물량 증대에 따른 효율적 인력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반복적 차단기 동작시험에 따른 변전설비(차단기)의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한 보호배전반(10)의 손상 및 수명 단축을 최소화하고, 연동시험 강화(사전 모의, 실계통 설비)를 통한 보호배전반 동작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는 실제 설비없이 진단 기기(30)를 활용하여 보호배전반 모의 연동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계통보호설비 이해도 향상을 통한 직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보호배전반 20: 사용자 단말
30: 진단 기기 30: 입출력 모듈
311: DO 모듈 312: DI 모듈
32: 디스플레이부 33: 사용자 설정부
34: 제어부

Claims (1)

  1. 보호배전반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모듈;
    상기 보호배전반의 각 입출력 접점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보호배전반의 표준단선도 내 차단기 또는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정상 계통운전 조건 상태이면 상기 보호배전반으로 고장 신호를 전달한 후, 상기 보호배전반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보호배전반의 동작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단선도는 상기 보호배전반별로 각각 등록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보호배전반에 상기 차단기와 상기 단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DO(Digital Output) 모듈; 및 상기 보호배전반으로부터 상기 보호배전반의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DI(Digital Input)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표준단선도를 신규로 제작하고, 상기 신규 제작된 표준단선도를 상기 표준단선도 중 어느 하나로 새롭게 등록하는 사용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9A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48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289A KR102486101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4A KR102442183B1 (ko) 2020-06-30 2020-06-30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9A KR102486101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4A Division KR102442183B1 (ko) 2020-06-30 2020-06-30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98A KR20220126698A (ko) 2022-09-16
KR102486101B1 true KR102486101B1 (ko) 2023-01-10

Family

ID=7934778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4A KR102442183B1 (ko) 2020-06-30 2020-06-30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5A KR102485079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9A KR102486101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93A KR102487150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6A KR102485080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7A KR102485062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8A KR102486100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4A KR102442183B1 (ko) 2020-06-30 2020-06-30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5A KR102485079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293A KR102487150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6A KR102485080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7A KR102485062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1020220112288A KR102486100B1 (ko) 2020-06-30 2022-09-05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442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032B1 (ko) 2022-10-14 2023-03-06 주식회사 서호산전 이상온도 예측 제어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618658B1 (ko) 2023-07-20 2023-12-28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수배전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020B1 (ko) 2017-12-11 2019-03-1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소보호시스템 및 원자로정지차단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736B1 (ko) * 2010-05-25 2010-10-29 주식회사 파워토스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KR101619742B1 (ko) * 2014-06-09 2016-05-12 주식회사 현태 통합형 디스플레이 및 지능형 제어기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차단기 감시 제어시스템
KR102312689B1 (ko) * 2017-04-13 2021-10-13 엘에스일렉트릭(주)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101986891B1 (ko) * 2017-07-19 2019-06-0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기 상태 및 정전구간의 모니터링이 용이한 단선도 기반의 배전계통 시각화 장치
KR102631867B1 (ko) * 2018-05-09 2024-01-30 한국전기연구원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020B1 (ko) 2017-12-11 2019-03-1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소보호시스템 및 원자로정지차단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96A (ko) 2022-09-16
KR20220128596A (ko) 2022-09-21
KR20220126697A (ko) 2022-09-16
KR20220127211A (ko) 2022-09-19
KR102487150B1 (ko) 2023-01-12
KR102486100B1 (ko) 2023-01-10
KR20220001731A (ko) 2022-01-06
KR102485062B1 (ko) 2023-01-09
KR102485079B1 (ko) 2023-01-09
KR20220127210A (ko) 2022-09-19
KR20220126698A (ko) 2022-09-16
KR102485080B1 (ko) 2023-01-09
KR102442183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101B1 (ko)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US8174268B2 (en) Protective rela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omparing behavior patterns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09808B2 (en) Determination of a reliability state of an electrical network
KR101826134B1 (ko)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Babu et al. Reliability evaluation of distribution structure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false trips
Dolezilek Case study of a larg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ubstation automation project
KR102262653B1 (ko) 차단기 모의시험과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Altaher et al. Reliability investigation of digital substation networks design using fmea technique
Nunes et al. Impact of transmission and subtransmission failures on distribution reliability indices
KR100368425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동작상태 감시진단 방법
Genz et al. Test the Right Stuff: Using Data to Improve Relay Availability, Reduce Failures, and Optimize Test Intervals
KR102539224B1 (ko) 보호용 지능형 전자장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240885B (zh) 双母线隔离开关后台显示位置不对应故障查找方法
CN110994570A (zh) 一种配电网保护方法及其系统、保护设备、存储介质
TWI831043B (zh) 三端電力線路故障定位修正系統與方法、以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Elmore Introduction and General Philosophies
Evans Influence of power system protection on system blackouts
JP7259376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制御方法
KR100786238B1 (ko) 고속철도 비상단로기 리모터터미널유니트
CN116799673A (zh) 一种110kV变电站综合自动化改造过渡方法
Kazemi et al. Impacts of automatic loop restoration schemes on service reliability
KR20240021619A (ko) 변전소 통합 보호 시스템 및 변전소 통합 모니터링 방법
CN116298840A (zh) 一次开关设备动作诊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967081A (zh) 基于多源信息实现继电保护故障诊断处理的方法、装置、处理器及其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