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134B1 -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134B1
KR101826134B1 KR1020170086449A KR20170086449A KR101826134B1 KR 101826134 B1 KR101826134 B1 KR 101826134B1 KR 1020170086449 A KR1020170086449 A KR 1020170086449A KR 20170086449 A KR20170086449 A KR 20170086449A KR 101826134 B1 KR101826134 B1 KR 10182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ng whether
burned
relay
displaying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Priority to KR102017008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01R31/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장요소가 발생하여 복수의 보호계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차단(trip)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104)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1);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1)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3002); 상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3002)에서 과부하 기기를 표시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4);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3005);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on Equipment with diagnosing and repairng fault}
본 발명은 고장요소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배전반의 보호계전기 동작시 응급조치를 위한 고장요소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보호계전기 동작시 비전문가는 당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제품 메뉴얼을 숙지하고 있는 전문가도 응급조치를 적절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바, 각 고장요소에 대한 응급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장요소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계통이 선간단락 또는 지락고장 등으로 고장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이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개폐장치를 차단장치 또는 차단기라 한다.
전기품질은 획일적으로 좋고 나쁨에 대한 기준을 정하기는 어렵다. 그 기준이 전력을 공급받는 장비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냉장고 모터에 적합한 전기품질이 개인용 컴퓨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순간정전은 모터나 전열 기구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나 전자시계 혹은 컴퓨터 등 민감한 부하에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종래에는 주파수유지율, 전압유지율, 정전횟수 등으로만 전기품질을 평가하였으나, 최근에는 순시정전, 저압, 과전압, 서지, 고조파, 순시전압강하, 순시전압상승, 플리커, 전압 불평등 등이 전기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외란들은 그 크기가 작고, 순간적이며 국지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평가가 어려워서 이를 대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배전선로에서 발생되는 고장의 종류는 고장지속 시간에 따라 순간고장, 일시고장과 고장 형태에 따라 지락고장, 단락고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순간고장은 고장지속시간이 5분 미만의 고장을 말하며, 배전선로 고장의 98%를 점유하고, 일시고장은 5분 이상 지속되는 고장을 의미한다. 또한 배전선로 고장의 대부분은 지락고장이고, 그 외 2상 또는 3상 단락과 같은 단락고장이 있다.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앞에 설명한 고장의 원인들을 사전에 예방함이 필요하며, 불가피하게 고장발생시 계통에 미치는 악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해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전선로 보호장치로는 자동 재폐로 차단기(Recloser), Gas 절연용 개폐기(Gas Switch), 선로용 퓨즈(Line Fuse),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SS, ASBS) 등이 있다.
선로용 퓨즈(Line Fuse)는 단상 분기선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경제적인 과전류 보호기기로, 외부 기기장치인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와 내부의 퓨즈 링크(Fuse Link)로 구성되는 수동식 보호기기이다.
선로용 퓨즈의 구성은 컷아웃스위치(COS: Cut Out Switch)와 용단부분인 퓨즈 링크로 구분되어 있으며, 배전선로에서 후비 보호장치와 협조하여 단상 분기를 보호하는 경제적인 기기이다.
자동 재폐로 차단기는 설치지점의 부하 측 고장 발생 시,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지정된 시간에 과전류를 스스로 고속도 차단하고, 자동으로 재폐로 동작을 수행하여 고장구간에 재 가압한다. 순간고장 시 차단기는 차단-재폐로 동작을 되풀이하여 순간고장을 제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선로의 정전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일시고장 시 차단기는 정정횟수 만큼 동작한 후에 영구 개방됨으로써, 고장구간을 분리하여 정전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전류 감지식 과전류 보호장치이다. 수목접촉 등의 이물접촉 고장과 같은 순간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야외지역의 장 긍장 선로에서 차단기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력계통은 수많은 발전소, 변전소, 및 송배전 선로 등의 요소를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계통은 일정한 전압과 주파수를 가져야 하고, 수요에 맞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신뢰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요자의 의사에 따라 항상 변동하는 전력 수요와 자연 상태에서의 고장은 전압, 주파수 등에 영향을 미쳐 신뢰성 있는 전력의 공급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 지점에서는 매우 큰 전류가 발생하여 인명 피해나 수많은 재산 피해는 물론 대규모 정전을 유발하게 될 수 있다.
계전기(Relay)는 위와 같은 비정상적인 계통 조건을 검출하고 가능한 한 신속하게 반응하여 계통을 정상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계전기는 보호계전기(Protective Relay)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설치한 시스템을 보호계전 시스템(Protective Relay System)이라고 한다.
그런데 수배전반의 보호계전기 동작시 비전문가는 당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제품 메뉴얼을 숙지하고 있는 전문가도 응급조치를 적절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응급조치를 하는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일관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5401호에 나타나는 종래의 자가 진단이 가능한 지능형 배전반에서는 전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수배전반에서 수전 받은 전력의 전압, 전류, 주파수 측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력 품질을 측정 및 분석하여 주요기기들의 모니터링 및 고장 예지를 수행하고 있으나, 유지보수는 전문가에게 맡기고 있는바,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2466호에 나타나는 종래의 IoT 기반의 스마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수배전반에서는 수배전반 내부 환경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기술자의 모바일기기로 직접 전송하고 있을 뿐이므로, 여전히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결국 종래의 수배전반에서는 전력계통의 고장을 검출하거나 고장 예지를 수행하고 있을 뿐이고, 이로부터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전문가에 의한 응급조치에 있어서도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540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92466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장요소에 대한 조치 요령을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계전기의 차단 신호에 대한 조치 요령을 문답식으로 제공하여 손쉽게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장요소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장요소가 발생하여 복수의 보호계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차단(trip)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과부하 기기를 표시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단 신호가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 또는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이 아닌 경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퓨즈 용단이 아닌 경우, 케이블 단선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인 경우, 한전복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퓨즈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선된 케이블이 재결선되는 경우 또는 상기 한전복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선로전압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 또는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시요소가 아닌 경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단 신호가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 또는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 또는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상기 차단 신호에 대한 고장요소가 확인되어 제거되는 경우에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장요소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장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보호계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차단 신호 발생부와, 상기 차단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과부하 기기를 표시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단 신호가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101) 또는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102)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이 아닌 경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퓨즈 용단이 아닌 경우, 케이블 단선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인 경우, 한전복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퓨즈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선된 케이블이 재결선되는 경우 또는 상기 한전복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선로전압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 또는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시요소가 아닌 경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단 신호가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 또는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 또는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상기 차단 신호에 대한 고장요소가 확인되어 제거되는 경우에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장요소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장요소에 대한 조치 요령을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계전기의 차단 신호에 대한 조치 요령을 문답식으로 제공하여 손쉽게 응급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장요소 분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장요소 분석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상 계전기와 저전압 계전기로부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로부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과전압 계전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로부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과전류 계전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로부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과전류 지락 계전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로부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과전압 지락 계전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로부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저주파수 계전기, 과주파수 계전기, 차동주파수 계전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로부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호계전기(100), 제어부(200), 차단신호발생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입력부(500)를 포함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호계전기(100)는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101),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102),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103), 과전류 계전기(OVR: Over Current Relay)(104),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105),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106),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107),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108),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1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보호계전기(100)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차단 신호 발생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차단 신호 발생부(300)는 상기 보호계전기(100)로부터의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00)로 전송한다.
삭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차단 신호 발생부(300)로부터 차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 신호가 상기 보호계전기(100) 중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101),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102),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103), 과전류 계전기(OVR: Over Current Relay)(104),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105),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106),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107),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108),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109) 중 어디로부터의 신호에 기인하는지 표시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500)는 다음의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고장요소 분석을 위한 문답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 수단은 지문 인식 등을 통하여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수배전반의 도어 유리에 장착하여 조작 가능하도록 하여 수배전반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보호계전기를 검색할 수 있고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에 더욱 더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 외에도 별도의 터치 입력 수단 등을 구비한 모니터를 더 구비하거나 모바일 장치 또는 전력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구비하여 고장요소 분석 및 조치요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장요소 분석 및 조치요령을 수행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여러 현장의 사고유형을 분석하고 태양광 발전소의 경우 지역, 날씨 또는 한전선로의 부하변동 및 부하 불평형에 따라 발생하는 보호계전기 동작으로 정전시간을 최소화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장요소 분석 및 조치요령은 기계학습을 통하여 스스로 진화할 수도 있다.
삭제
상기 차단 신호 발생부(300)는 보호계전기(1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계전기별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고장요소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104)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고장요소가 한시요소에 의한 것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1001).
사용자는 보호계전기의 사고이력 내역을 조회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한시요소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00)는 고장요소가 한시요소에 의한 것인지의 신호를 보호계전기로 전송하여 상기 보호계전기로부터 사고이력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한시요소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시요소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1001) 과부하 기기 확인을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1002), 기기소손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1003).
사용자는 육안으로 파손 및 그을음 등을 확인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기기소손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1003) 소손기기 교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1004), 소손기기 교체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1010).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로 사용자가 입력하게 되면(1003) 원인파악 및 제거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1005), 원인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1010).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한시요소가 아닌 경우로 입력하거나 제어부(200)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하게 되면(1001), 순시요소인지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되고(1006), 보호계전기의 사고이력 내력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순시요소인 경우로 입력하거나 제어부(200)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하게 되면(1006),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1007).
사용자는 육안으로 파손 및 그을음 등을 확인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기기소손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1007), 소손기기 교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1008), 소손기기 교체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1020).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1007), 원인파악 및 제거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1009), 원인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1020).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101) 또는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102)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고장요소가 한전정전에 의한 것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1001).
사용자는 통전표시기를 확인하여 입력부(500)를 통하여 한전정전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한전정전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2001) 한전복전을 기다리게 되며, 한전복전이 이루어지면(2002)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통전표시기의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0)에서 한정정전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한전정전이 아닌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2001), 고장요소가 퓨즈 용단에 의한 것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되고(2003), 퓨즈 용단인 경우로 사용자가 입력하게 되면(2003) 퓨즈 교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2004), 퓨즈 교체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2010).
퓨즈 용단이 아닌 경우로 입력되면(2003) 고장요소가 케이블 단선에 의한 것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되고(2005), 케이블 단선인 경우로 사용자가 입력하게 되면 재결선을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2006), 재결선이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퓨즈 용단시 수배전반 도어(DOOR) 전면에 황색램프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나, 퓨즈 용단시 황색램프의 점등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하여 퓨즈 용단 여부를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퓨즈 용단이 아닌 경우 보호계전기의 표시되는 3상 전압의 각 전압을 확인한 후 하나의 전압이라도 상이한 경우 제어부 계기용 전압 변성기(PT: Potential Transformer) 2차측에서 보호계전기 입력단까지의 케이블 단선 여부를 확인하도록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되며, 상기 계기용 전압 변성기의 1차측은 전원에 연결되고 2차측에 보호계전기가 연결된다. 상기 3상 전압의 각 전압을 비교기를 통하여 비교하여 그 결과로부터 케이블 단선 여부를 확인하도록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103)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고장요소가 기기소손에 의한 것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3001).
사용자는 육안으로 파손 및 그을음 등을 확인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기기소손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3001) 소손기기 교체를 지시하게 되며(3002), 소손기기 교체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3010).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3001), 선로전압 확인을 지시하게 되며(3003), 과전압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되고(3004),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3010). 상기 과전압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입력전압(V)이 정격전압(Vn)에 비하여 1.15배 큰 경우이다.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105) 또는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106)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여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고장요소가 한시요소에 의한 것인지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4001, 5001).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한시요소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한시요소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4002, 5002).
사용자는 보호계전기의 사고이력 내역을 조회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한시요소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00)는 고장요소가 한시요소에 의한 것인지의 신호를 보호계전기로 전송하여 상기 보호계전기로부터 사고이력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한시요소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기기소손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 소손기기 교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4003, 5003), 소손기기 교체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4010, 5010). 사용자는 육안으로 파손 및 그을음 등을 확인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로 사용자가 입력하게 되면(4002, 5002) 원인파악 및 제거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4004, 5004), 원인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4010, 5010).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한시요소가 아닌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 순시요소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4005, 5005).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순시요소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되고(4006, 5006), 보호계전기의 사고이력 내력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순시요소인 경우로 입력하거나 제어부(200)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하게 되면,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문답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되고, 기기소손인 경우로 입력하게 되면 소손기기 교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4007, 5007), 소손기기 교체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4020, 5020). 사용자는 육안으로 파손 및 그을음 등을 확인한 후, 입력부(500)를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로 사용자가 입력하게 되면 원인파악 및 제거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지시하며(4008, 5008), 원인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지면 차단기를 투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4020, 5020).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107) 또는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108) 또는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109)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여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단 신호에 대한 고장요소가 확인되어 제거되는 경우에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6010).
또한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경우 외에도 영상 인식을 통하여 기기소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고장요소 분석을 통한 고장의 원인이 되는 부품 및 그 위치를 3차원 그래픽을 통하여 표현하여 쉽게 파악하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장요소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장요소 분석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일 수 있다.
10: 고장요소 분석 장치 100: 보호계전기
101: 결상 계전기 102: 저전압 계전기
103: 과전압 계전기 104: 과전류 계전기
105: 과전류 지락 계전기 106: 과전압 지락 계전기
107: 저주파수 계전기 108: 과주파수 계전기
109: 차동 주파수 계전기 200: 제어부
300: 차단 신호 발생부 400: 디스플레이부
500: 입력부

Claims (12)

  1. 고장요소 분석 방법에 있어서,
    고장요소가 발생하여 복수의 보호계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차단(trip)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104)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1);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1)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3002);
    상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3002)에서 과부하 기기를 표시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4);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3005);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신호가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101) 또는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102)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1);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이 아닌 경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3);
    상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퓨즈 용단이 아닌 경우, 케이블 단선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5);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인 경우, 한전복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2);
    상기 퓨즈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선된 케이블이 재결선되는 경우 또는 상기 한전복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103)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1);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1)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2);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1)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선로전압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2003);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4);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105) 또는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106)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1, 5001);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1, 5001)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2, 5002);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2, 5002)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3, 5003);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2, 5002)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4004, 5004);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1, 5001)에서 한시요소가 아닌 경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5, 5005);
    상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5, 5005)에서 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6, 5006);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6, 5006)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7, 5007);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6, 5006)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4008, 5008);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10, 4020, 5010, 50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신호가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107) 또는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108) 또는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109)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상기 차단 신호에 대한 고장요소가 확인되어 제거되는 경우에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60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방법.
  6. 고장요소 분석 장치에 있어서,
    고장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보호계전기(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차단 신호 발생부(300)와,
    상기 차단 신호 발생부(300)로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차단 신호가 결상 계전기(POR: Phase Open Relay)(101) 또는 저전압 계전기(UVR: Under Voltage Relay)(102)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1);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이 아닌 경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3);
    상기 퓨즈 용단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퓨즈 용단이 아닌 경우, 케이블 단선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5);
    상기 한전정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한전정전인 경우, 한전복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02);
    상기 퓨즈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선된 케이블이 재결선되는 경우 또는 상기 한전복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1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압 계전기(OVR: Over Voltage Relay)(103)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1);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1)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2);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1)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선로전압을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2003);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04);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선로전압이 과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2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104)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1);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1)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3002);
    상기 과부하 기기 확인을 표시하는 단계(3002)에서 과부하 기기를 표시하는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4);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03)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3005);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3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차단 신호가 과전류 지락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105) 또는 과전압 지락 계전기(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106)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1, 5001);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1, 5001)에서 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2, 5002);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2, 5002)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3, 5003);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2)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4004, 5004);
    상기 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1, 5001)에서 한시요소가 아닌 경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5, 5005);
    상기 순시요소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5, 5005)에서 순시요소인 경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6, 5006);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6, 5006)에서 기기소손인 경우 소손기기의 교체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7, 5007);
    상기 기기소손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06, 5006)에서 기기소손이 아닌 경우, 원인 파악 및 제거를 표시하는 단계(4008, 5008);
    상기 소손기기가 교체되는 경우 또는 상기 원인 파악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4010, 4020, 5010, 502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차단 신호가 저주파수 계전기(UFR: Under Frequency Relay) 또는 과주파수 계전기(OFR: Over Frequency Relay) 또는 차동주파수 계전기(DFR: Differential Frequency Relay)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인하는 경우 상기 차단 신호에 대한 고장요소가 확인되어 제거되는 경우에 차단기 투입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6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요소 분석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장요소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장요소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70086449A 2017-07-07 2017-07-07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KR10182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49A KR101826134B1 (ko) 2017-07-07 2017-07-07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49A KR101826134B1 (ko) 2017-07-07 2017-07-07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34B1 true KR101826134B1 (ko) 2018-02-06

Family

ID=6122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49A KR101826134B1 (ko) 2017-07-07 2017-07-07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051A (ko) 2018-03-16 2019-09-25 강문식 보호 계전기 정정값 자동 계산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79819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전력공사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44151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와이이씨 제어회로 원격감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051A (ko) 2018-03-16 2019-09-25 강문식 보호 계전기 정정값 자동 계산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79819A (ko) * 2018-12-26 2020-07-06 한국전력공사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276531B1 (ko) * 2018-12-26 2021-07-13 한국전력공사 정전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10044151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와이이씨 제어회로 원격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5913C2 (ru)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повреждений в мегавольтных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сетях
KR101003814B1 (ko)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35550B2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essing electrical circuits and method of operation
WO2018105989A1 (ko)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고장 처리 방법
KR101826134B1 (ko) 고장요소 분석 방법 및 장치, 이를 내장한 수배전반
CA2766968A1 (en) Protective rela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omparing behavior patterns
CN110504663A (zh) 一种智能断路器及其保护方法
KR101919042B1 (ko) 보호계전기 교육용 시뮬레이터
KR100305921B1 (ko) 배전계통의 지락/단락 발생 시험 장치
KR102579941B1 (ko) 스마트 파력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결상위치 검출 및 차단이 용이한 전력설비 보호용 수배전반
Pickett et al. Reducing outages through improved protection, monitoring, diagnostics, and autorestoration in transmission substations—(69 kV and above)
CN109950883A (zh) 用于配电网自动化开关的保护测控装置和保护测控方法
CN204905675U (zh) 具有配电故障处理功能的户外开关箱
Russell et al. Reliability improvement of distribution feeders through real-time, intelligent monitoring
Apostolov et al. Maintenance testing of multifunctional distance protection ieds
KR20180051811A (ko) 송출 전력의 전자제어 차단을 통한 주상변압기의 소손 방지 장치
KR20110043512A (ko) 송전선로 고장 유형 판단 시스템 및 방법
CN105186457A (zh) 低压电动机保护装置
WO2008067299A2 (en) Method and system for isolating disturbances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2539224B1 (ko) 보호용 지능형 전자장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9576692U (zh) 一种电力系统及其应急控制电源装置
Valdes et al. The New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70B-2023 Standard for Electrical Maintenance: The Major Points and Primary Intent
CN215833580U (zh) 一种电力系统短路检测装置
CN114899944B (zh) 通讯管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