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966B1 -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966B1
KR102485966B1 KR1020210036238A KR20210036238A KR102485966B1 KR 102485966 B1 KR102485966 B1 KR 102485966B1 KR 1020210036238 A KR1020210036238 A KR 1020210036238A KR 20210036238 A KR20210036238 A KR 20210036238A KR 102485966 B1 KR102485966 B1 KR 10248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flange
mounting ho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105A (ko
Inventor
이영탁
정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츠텍
Priority to KR102021003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9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트북 등의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회전에 따른 개폐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은,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플랜지와; 일단이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함께 회전하는 제1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을 파지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는 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는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클립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외주면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과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 FOLDABLE MOBILE TERMINAL HINGE MODULE }
본 발명은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트북 등의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회전에 따른 개폐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통신 및 방송 등의 서비스를 무선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PDA, 노트북, 및 DMB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정보화 시대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 초, 중, 고등학생과 노인 등에 이르기까지 보급 대상이 매우 광범위하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수요량과 사용자층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디자인이나 기능이 부여된 제품을 기대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는 덮개가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에 대한 덮개의 개폐 구조에 따라 폴더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 스윙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폴더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이 적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폴더 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힌지 장치를 통하여 덮개를 본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데, 그 힌지장치는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각도(대략 150~180)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서 활용하기 위해 덮개를 본체에 대하여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당업계에서는 두 개의 샤프트를 구비하고, 각각의 샤프트에 상호 치합되는 기어를 구성한 힌지장치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힌지 모듈은, 회전시 두 개의 샤프트와 그 외 다른 부품들간의 공차에 의해, 힌지 모듈 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는 결국 폴더블 휴대단말기가 일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조금씩 샤트프의 회전방향을 따라 흔들리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2-0006005 등록특허 10-094983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트북 등의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회전에 따른 개폐시 부품의 공차에 따른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은,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플랜지와; 일단이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함께 회전하는 제1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을 파지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는 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는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클립부재의 내측면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외주면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과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1장착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장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장착공의 내경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1샤프트 타단의 삽입시 상기 제1장착공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2장착공의 내경은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2샤프트 타단의 삽입시 상기 제2장착공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에 밀착된다.
상기 제1장착공 및 제2장착공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장착공의 내경과 상기 제2장착공의 내경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상기 클립부재는 다수개가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관통하는 제1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상기 클립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다.
상기 제1샤프트의 외주면에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의 외주면에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아이들기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되,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 사이에서 회전축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 직교되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샤프트 또는 제2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아이들기어는 공회전한다.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관통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된다.
상기 아이들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컬기어는 상부 및 하부보다 중심부가 더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외주면에 밀착된 클립부재에 의해 노트북 등의 휴대단말기가 회전에 따른 개폐 동작을 할 때, 부품의 공차에 따른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 아이들기어가 헬리컬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의 회전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힌지모듈이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대한 항상 균등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의 사시도 - 전개된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작동과정도.
본 발명의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은, 노트북과 같이 접혀지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상호 360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20)와,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와, 클립부재(50)와, 제2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2)와, 지지축(63)과, 고정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플랜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제1패널(P1)에 결합된다.
상기 제2플랜지(20)는 상기 제1플랜지(10)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제2패널(P2)에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20)에 의해 상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은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샤프트(30)는 상기 제1플랜지(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랜지(10)와 함께 회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플랜지(10)에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제1샤프트(30)는 상기 제1플랜지(10)에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샤프트(40)는 상기 제2플랜지(20)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20)와 함께 회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플랜지(20)에는 상기 제2샤프트(40)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제2샤프트(40)는 상기 제2플랜지(20)에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는 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샤프트(30)의 외주면과 상기 제2샤프트(40)의 외주면에 각각 평기어가 형성되어 상호 기어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외주면에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제1기어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40)의 외주면에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제2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부(31)와 제2기어부(41)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아이들기어(3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아이들기어(35)는 상기 제1기어부(31)와 제2기어부(41) 사이에서 회전축이 상기 제1샤프트(30) 및 제2샤프트(40)와 직교되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위와 같이 헬리컬기어 구조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30) 또는 제2샤프트(40)의 회전시 상기 아이들기어(3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가 헬리컬기어 구조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회전시 본 발명의 힌지모듈이 상기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과 이루는 각도를 항상 균등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패널(P1)과 상기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1각도와, 상기 제2패널(P2)과 상기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2각도가,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의 헬리컬기어 연결 구조에 의해 항상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가 본 실시예의 헬리컬기어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평기어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1패널(P1)과 상기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1각도와, 상기 제2패널(P2)과 상기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2각도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 한 쪽의 각도가 크고 다른 쪽의 각도가 작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기어부(31)와 제2기어부(41) 사이에 상기 아이들기어(35)를 배치하고, 상호 헬리컬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P1)과 상기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1각도와, 상기 제2패널(P2)과 상기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2각도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패널(P1)과 제2패널(P2)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힌지모듈도 상기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회전 각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함께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플랜지(10)가 장착된 상기 제1패널(P1)을 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샤프트(30)와 아이들기어(35) 및 제2샤프트(40)의 기어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제2플랜지(20)가 장착된 상기 제2패널(P2)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회전각도를 동기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립부재(50)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을 파지한다.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는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5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클립부재(50)의 내측면은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 외주면 및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과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이 상기 제1샤프트(30) 및 제2샤프트(4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부재(50)의 일단에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1장착공(5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장착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장착공(51)의 내경은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1샤프트(30) 타단의 삽입시 상기 제1장착공(51)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장착공(52)의 내경은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2샤프트(40) 타단의 삽입시 상기 제2장착공(52)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장착공(51) 및 제2장착공(52)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장착공(51)의 내경과 상기 제2장착공(52)의 내경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장착공(51)과 제2장착공(52)에 각각 삽입된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는 상기 클립부재(50)에 강제 끼움결합되어 흔들림없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클립부재(50)의 일단과 타단에 강제 끼움 결합된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5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클립부재(50)는 다수개가 상기 제1샤프트(30) 및 제2샤프트(40)의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위와 같이 다수개의 클립부재(50)를 적층하여 배치함으로서, 상기 제1샤프트(30) 및 제2샤프트(40)와 상기 클립부재(50) 상호간의 밀착력 및 마찰력을 상기 클립부재(50)의 갯수를 통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61)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이 관통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62)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일단 및 상기 제2샤프트(40)의 일단이 관통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61)와 제2지지부재(62) 사이에는 상기 제1기어부(31)와 제2기어부(4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부(31)와 제2기어부(4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아이들기어(35)도, 상기 제1지지부재(61)와 상기 제2지지부재(6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들기어(35)는 상기 제1기어부(31), 제2기어부(41), 제1지지부재(61) 및 제2지지부재(6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배치됨으로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상기 아이들기어(35)는, 상기 제1지지부재(61)와 제2지지부재(62)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30) 및 제2샤프트(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제1기어부(31) 및 제2기어부(41)에 의해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기어(35)의 상하방향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아이들기어(35)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별도의 걸림판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판이 상기 제1기어부(31) 및 제2기어부(41)에 걸리거나 또는 상기 제1지지부재(61) 및 제2지지부재(62)에 걸려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들기어(35)의 상하방향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아이들기어(35)의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컬기어의 형상을 장구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즉, 상기 아이들기어(35)의 외주면의 형상을 상부 및 하부보다 중심부가 더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위와 같이 상기 아이들기어(35)의 형상을 상부 및 하부보다 중심부가 오목한 장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기어부(31)와 제2기어부(41)는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아이들기어(35)의 중심부에 끼워져 상기 아이들기어(3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축(63)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6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랜지(10) 및 제2플랜지(2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축(63)은 타단이 상기 클립부재(5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클립부재(50)는 상기 지지축(63)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64)는 상기 지지축(63)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클립부재(50)는 상기 제1지지부재(61)와 고정부재(6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63)의 타단은 상기 클립부재(5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64)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클립부재(50)와 고정부재(64) 사이에는 제3지지부재(65)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축(63)의 타단은 상기 제3지지부재(65)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부재(64)에 결합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는 상기 제1패널(P1)에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10)와 상기 제2패널(P2)에 결합된 제2플랜지(20)가 180도로 전개되어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샤프트(30)의 일단과 상기 제2샤프트(40)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2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과 상기 제2샤프트(40)의 타단은 상기 클립부재(50)에 의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는 상호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1기어부(31)와 상기 제2샤프트(40)의 제2기어부(41)가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아이들기어(35)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샤프트(30)와 제2샤프트(40)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서, 상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임의로 흔들리지 않게 되고, 이는 힌지모듈의 다양한 회전 각도에서도 동일하게 작용된다.
상기 제1패널(P1)을 도 6(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패널(P2)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패널(P1)에 고정된 상기 제1플랜지(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플랜지(10)에 고정 결합된 상기 제1샤프트(30)는 상기 클립부재(50)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샤프트(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기어(35)는 공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아이들기어(35)의 공회전에 의해 상기 제2샤프트(40)는 상기 제1샤프트(3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헬리컬기어 연결 구조에 의해, 힌지모듈을 전체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패널(P1)과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1각도와, 상기 제2패널(P2)과 힌지모듈이 이루는 제2각도가 항상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에서 도 6(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P1)은 상기 제1패널(P1)의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도 동일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회전시 힌지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상호간의 공차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시 힌지모듈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상기 제1패널(P1) 또는 제2패널(P2)의 회전 각도에 맞게 균등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플랜지,
20 : 제2플랜지,
30 : 제1샤프트, 31 : 제1기어부, 35 : 아이들기어,
40 : 제2샤프트, 41 : 제2기어부,
50 : 클립부재, 51 : 제1장착공, 52 : 제2장착공,
61 : 제1지지부재, 62 : 제2지지부재, 63 : 지지축, 64 : 고정부재, 65 : 제3지지부재,
P1 : 제1패널, P2 : 제2패널,

Claims (8)

  1.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플랜지와;
    일단이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함께 회전하는 제1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과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을 파지하면서, 내측면이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외주면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과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저지하는 클립부재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관통하는 제1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는 기어 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는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클립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1장착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샤프트의 타단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2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단은 상기 제1장착공과 제2장착공 사이에서 상기 클립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샤프트의 외주면에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의 외주면에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제2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 아이들기어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 사이에서 회전축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X축)과 직교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배치방향(Y축)과 직교되는 상하방향(Z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샤프트 또는 제2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아이들기어는 공회전하며,
    상기 아이들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컬기어는 상부 및 하부보다 중심부가 중심방향으로 더 오목하게 함몰된 장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아이들기어의 중심부에 끼워져 상기 아이들기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공 및 제2장착공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장착공의 내경과 상기 제2장착공의 내경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다수개가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8. 삭제
KR1020210036238A 2021-03-19 2021-03-19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KR10248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238A KR102485966B1 (ko) 2021-03-19 2021-03-19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238A KR102485966B1 (ko) 2021-03-19 2021-03-19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05A KR20220131105A (ko) 2022-09-27
KR102485966B1 true KR102485966B1 (ko) 2023-01-10

Family

ID=8345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238A KR102485966B1 (ko) 2021-03-19 2021-03-19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9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4739A (ja) * 2010-11-25 2012-06-14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16003768A (ja) * 2014-06-12 2016-01-12 加藤▲でん▼▲き▼(香港)有限公司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62A (ko) * 2008-07-10 2010-01-21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힌지 및 그를 이용한 도어 어셈블리
KR200453515Y1 (ko) * 2008-10-24 2011-05-09 (주)나라테크놀로지 휴대 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KR100949839B1 (ko) 2009-07-23 2010-03-29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110034189A (ko) * 2009-09-28 2011-04-05 (주)제이엠씨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1142836B1 (ko) * 2010-06-25 2012-05-0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2축 힌지 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KR200466763Y1 (ko) 2011-02-18 2013-05-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4739A (ja) * 2010-11-25 2012-06-14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16003768A (ja) * 2014-06-12 2016-01-12 加藤▲でん▼▲き▼(香港)有限公司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05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5986B2 (en)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ing same
US7082642B2 (en) Hinge for anchoring and folding on a small pintle
US7016492B2 (en) Magnetic hinge apparatus
CN103148087B (zh) 铰链装置和具有铰链装置的折叠设备
KR20180062277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174226A1 (en) Multi-segment rotary shaft structure
KR102450835B1 (ko)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154171A1 (e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riction Hinge with a Range of Motion and Detent Separation Greater than 180 Degrees
US8205301B2 (en) Hinge assembly and ele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1556931B (zh) 开合机构及电子设备
US7987559B2 (en) Hinge assembly with restricting unit
KR102607393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142836B1 (ko) 2축 힌지 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US2023020975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10006929A (ko) 회전축 및 전자 기기
TW201306717A (zh) 電子裝置
US8185171B2 (en)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2485966B1 (ko)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힌지 모듈
JPH08121462A (ja) ヒンジ装置
KR100988605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CN101803212A (zh) 在无线电话中使用的转动铰链
JP2009138770A (ja) ヒンジ構造、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102644316B1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물방울 타입의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휴대단말기
KR102542067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KR20240025921A (ko) 휴대단말기용 360도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