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752B1 - 드럼연습용 패드 - Google Patents

드럼연습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752B1
KR102485752B1 KR1020210039731A KR20210039731A KR102485752B1 KR 102485752 B1 KR102485752 B1 KR 102485752B1 KR 1020210039731 A KR1020210039731 A KR 1020210039731A KR 20210039731 A KR20210039731 A KR 20210039731A KR 102485752 B1 KR102485752 B1 KR 10248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am
shell
drum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273A (ko
Inventor
박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럼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3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3Practice drumkits or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4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with sound e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는,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틀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에 대응되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된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를 덮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타격시 타격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의 외측면에 박피 형태로 씌워진 제1외피와,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외피와 반대쪽에 적층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되고, 내부에 타격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쪽과 반대쪽인 외측면이 개방된 공명실이 구비된 울림통과, 상기 드럼 스틱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울림통의 공명실에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울림통의 공명실의 개방된 외측면을 덮으며 외부에 노출된 제2외피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를 이용하면, 주변환경에 따른 패드의 양쪽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주변에 민폐를 끼지지 않으면서 실제 드럼을 연습하는 것과 같이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연습용 패드{Pad for practicing drum}
본 발명은 주변에 민폐를 끼치지 않으면서 연주용 실제 드럼으로 연습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드럼연습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드럼 특성상 연주소리가 너무나 커서 실제 연주용 드럼을 연습하려고 하는 경우 소음 문제 때문에 아파트나 주택에서는 불가능하다. 또한 실제 연주용 드럼은 고가이기 때문에 구매가 쉽지 않다. 또한 매일 학원을 가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학원처럼 방음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집 등에서 드럼 연습을 하는 경우, 주로 드럼 스틱만 가지고 단순 때리기 연습만 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3304호(공개일자;2012년10월15일)에는 ‘드럼세트 연습을 할 수 있는 멀티연습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드럼과 동일한 느낌이 들도록 각기 다른 강도의 패드를 배치하여 실제 드럼으로 연습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3304호(공개일자;2012년10월15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드럼으로 연습하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주며, 주변 환경에 따라 소음을 일으키지 않고 연습할 수도 있고 또는 실제 드럼과 같은 타격음을 들으면서 연습할 수 있는 드럼연습용 패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는,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틀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에 대응되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된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를 덮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타격시 타격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의 외측면에 박피 형태로 씌워진 제1외피와,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외피와 반대쪽에 적층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되고, 내부에 타격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쪽과 반대쪽인 외측면이 개방된 공명실이 구비된 울림통과, 드럼 스틱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공명실에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울림통의 공명실의 개방된 외측면을 덮으며 외부에 노출된 제2외피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외피 및 발포체, 울림통, 제2외피를 둘러싸며 측면에 밀접된 링형의 측면부와, 상기 제1,제2외피의 가장자리에 적층되어 밀접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제2단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제1,제2단면부의 외측면에는 미세돌기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제1,제2단면부의 외측면은 수평 유지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제1,제2단면부에는 각각 그 링형의 둘레를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받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는 수평 유지될 수 있도록 동일 두께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는 드럼세트배치에 대응하여 경도에 따라 복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명실은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드럼세트배치에 대응하여 서로 공명음이 상이한 복수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는, 주변환경에 따라 패드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소음,진동없이 타격감을 느끼며 연습하거나, 타격감과 아울러 타격음을 들으면서 실제 드럼을 연주하는 것과 같이 연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울림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울림통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포체의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는, 프레임(10)과, 발포체(20)와, 제1외피(30)와, 울림통(40)과, 제2외피(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드럼연습용 패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내,외형 모두 십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경우, 가벼우면서도 경제적이며, 발포체(20) 등 나머지 구성요소들과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결속력이 우수하다. 특히 실리콘 재질의 프레임(10)의 경우, 자체 탄력에 의해 타격 충돌을 흡수할 수 있고, 타격 충돌에 의한 미끄럼방지가 가능하다.
프레임(10)은 링형의 측면부(12)와, 링형의 제1,제2단면부(14,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측면부(12)는 제1외피(30) 및 발포체(20), 울림통(40), 제2외피(50)를 둘레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것으로 제1외피(30) 및 발포체(20), 울림통(40), 제2외피(50)의 측면에 밀접된다. 프레임(10)의 측면부(12)는 제1외피(30) 및 발포체(20), 울림통(40), 제2외피(50)의 적층높이에 대응되는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제1,제2단면부(14,16)는 제1외피(30) 및 발포체(20), 울림통(40), 제2외피(50)의 적층방향인 프레임(10)의 두께방향을 따라, 제1,제2외피(30,5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적층되어 밀접된다. 프레임(10)의 제1,제2단면부(14,16)는 본 발명의 드럼연습용 패드를 배치했을 때, 바닥을 향한 제1,제2외피(30,50)이 바닥에 닿지 않고 충분한 거리를 두고 띄워져 있을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두께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제2단면부(14,16)의 외측면에는 바닥과의 부착력이 향상되어 미끄럼방지될 수 있도록 미세돌기(미도시)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제1,제2단면부(14,16)의 외측면은 본 발명의 드럼연습용 패드가 수평 유지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그 두께가 일정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드럼 스틱과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프레임(10)의 제1,제2단면부(14,16)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충분한 값으로 설계할 수 없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제1,제2단면부(14,16)에는 각각 그 링형의 둘레를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받침부(19)가 돌출 형성되되, 복수개의 받침부(19)는 본 발명의 드럼연습용 패드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동일 두께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의 경우, 측면부(12)와 제1,제2단면부(14,16)에 의해 발포체(20) 등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끼움홈(10a)이 형성되어 프레임(10)과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결속될 수 있기때문에 프레임(10)에 의해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측면부(12)와 제1,제2단면부(14,16)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따로 제조되어 일체로 결속될 수도 있다. 프레임(10)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프레임(10)은 일체형 구조로 제조되며, 인서트 성형방법 또는 가열팽창압입방법 등에 의해 발포체(20) 및 울림통(40) 등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즉 인서트 성형방법의 경우 프레임(10)의 성형금형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인입된 상태에서 프레임(10)의 성형이 이루어지거나, 가열팽창압입방법의 경우 프레임(10) 성형 후, 프레임(10)을 가열 팽창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프레임(10)의 내측에 압입 후 프레임(10)을 상온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그 두께방향으로 두 개로 분할 제조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결합된 후 그 분할라인부분이 접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발포체(20)는 타격감을 위한 소정 경도의 탄력성 및 소음,진동 방지를 위한 흡음성, 방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와 같은 다공성 물질이나 플라스틱 수지의 발포성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체(20)의 경도는 요구되는 타격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발포체(20)는 프레임(10)의 빈 내측을 채울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빈 내측에 대응되는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20)는 프레임(10)의 내형에 대응하여 십각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포체(20)는 프레임(10)의 측면부(12)의 내형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제1,제2단면부(14,16)의 내형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또한 발포체(20)는 울림통(40) 등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함께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프레임(10)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제1외피(30)는 발포체(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덮고, 제1외피(30)가 외부에 노출되어 타격시 타격감을 줄 수 있도록 발포체(20)의 외측면에 씌워진다. 제1외피(30)는 발포체(20)와 밀접된 상태로 타격될 수 있도록 얇은 박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외피(30)는 요구되는 타격감 및 방음성, 방진성, 발포체(20)의 경도 등을 고려하여 가죽이나 직물, 실리콘 재질 또는 발포체(20)와 다른 경도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울림통(40)은 내부에 타격시 타격음이 발생되는 공명실(42)이 구비될 수 있는 얇은 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울림통(40)은 프레임(10)의 빈 내측을 채울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빈 내측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울림통(40)은 프레임(10)의 내형에 대응하여 십각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울림통(40)은 프레임(10)의 측면부(12)의 내형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제1,제2단면부(14,16)의 내형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울림통(40)은 발포체(20) 등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함께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프레임(10)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울림통(40)은 발포체(20)를 기준으로 제1외피(30)와 반대쪽에 적층된다. 즉 울림통(40)은 프레임(10)의 제1,제2단면부(14,16)의 이격배열방향인 프레임(10)의 두께방향을 따라 발포체(20)와 일렬로 적층되며, 이에 따라 울림통(40)의 내측면과 발포체(20)의 내측면이 서로 밀접된다.
울림통(40)의 공명실(42)은 제2외피(50)를 통한 타격에 의해 타격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두께방향을 따라 발포체(20)쪽과 반대쪽으로서 제2외피(50)가 적층되는 외측면이 개방된다. 공명실(42)의 내측면은 발포체(20)와 밀접되는 면으로서, 타격음이 발포체(20)에 의해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 즉 울림통(40)의 공명실(42)은 일면만 개방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울림통(40)의 공명실(42)은 요구되는 타격음에 따라, 하나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복수개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홈으로 형성되거나, 팬형 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울림통(40)의 공명실(42)은 구획된 복수개의 홈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홈의 크기나 형상이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2외피(50)는 드럼 스틱에 의해 타격되어 울림통(40)의 공명실(42)에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울림통(40)의 공명실(42)의 개방된 외측면을 덮으며 외부에 노출될 수 있게 울림통(40)의 외측면에 씌우진다. 제2외피(50)는 울림통(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박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외피(50)는 요구되는 타격음 및 타격감 등을 고려하여 가죽이나 직물, 실리콘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는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양면 사용이 가능하다.
즉 아파트나 주택과 같이 소음이나 진동에 조심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드럼연습용 패드를 제1외피(30)가 위를 향하고 제2외피(50)가 아래를 향하도록 놓고, 드림 스틱으로 제1외피(30)를 타격하며 드럼 연습을 할 수 있다. 즉 드럼 스틱으로 제1외피(30)를 타격하더라도 발포체(20)에 의해 타격음이 흡수되어 주변에 소음이나 진동을 일으키지 않지만, 발포체(20)의 탄력에 의해 실제 드럼을 두드리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느낄 수 있다. 이때 드럼 스틱의 타격력이 발포체(20)를 통해 울림통(40)으로 전달되지 않고 발포체(20)에 흡수됨으로써 울림통(40)에서의 타격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위와 반대로 본 발명의 드럼연습용 패드를 뒤집어서 제1외피(30)가 바닥을 향하고 제2외피(50)가 위를 향하도록 놓고, 드럼 스틱으로 제2외피(50)를 타격하면, 제2외피(50)의 탄력에 의해 실제 드럼을 두드리는 것과 같은 타격감과 아울러 울림통(40)의 공명실(42)에서 실제 드럼을 연주하는 것과 같은 울림이 발생하여 실제 드럼을 연주하는 것처럼 연습이 가능하다.
한편 실리콘 재질의 프레임(10)에 의해 타격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고, 타격 충돌이 바닥으로 전달되지 않고 프레임(1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의 경우, 특히 발포체(20)는 실제 드럼세트배치에 대응하여 경도에 따라 복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발포체(20)는 영역별로 탄력 내지 반동이 상이하도록 소재나 듀로미터(durometer) 등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높은 소리의 구성 위치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의 듀로미터값을 갖는 경질 영역으로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소리의 구성 위치에는 상대적은 낮은 수치의 듀로미터값을 갖는 연질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포체(20)의 중심(A)은 심벌A에 대응되고, 발포체(20)를 둘레방향을 따라 4등분(S1,S2,S3,S4)하여 ‘’영역은 스네어드럼, ‘’영역은 각각 탐2,3,4에 대응되게 구성하며, 발포체(20)의 가장자리 중 스네어드럼과 탐2사이 영역(B)을 심벌B, 탐2와 탐3 사이 영역(C)를 심벌C, 탐3과 탐4 사이 영역(D)을 심벌 D, 그리고 탐4와 스네어드럼 사이 영역(Z)를 카우벨에 대응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울림통(40)의 공명실(42) 또한 발포체(20)의 복수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홈(42a,42b,42c)으로 구성되며, 각 홈(42a,42b,42c)에서 발생되는 타격음 내지 공명음이 드럼세트의 각 구성의 특성에 맞춰 음 높낮이 차이를 가질 수 있도록 각 홈(42a,42b,42c)의 크기나 형상, 깊이 등이 제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럼연습용 패드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변환경에 따라 양쪽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주변에 소음,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고, 타격음을 들어가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드럼 스틱 타격 위치에 따라 상이한 타격감, 타격음을 느낄 수 있어 실제 드럼세트를 연주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연습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측면부
14; 제1단면부 16; 제2단면부
20; 제1외피 30; 발포체
40; 울림통 42; 공명실
50; 제2외피

Claims (8)

  1.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틀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에 대응되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된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를 덮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타격시 타격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의 외측면에 박피 형태로 씌워진 제1외피와;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외피와 반대쪽에 적층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되고, 내부에 타격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쪽과 반대쪽인 외측면이 개방된 공명실이 구비된 울림통과;
    드럼 스틱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공명실에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공명실의 개방된 외측면을 덮으며 외부에 노출된 제2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제1외피 및 발포체, 울림통, 제2외피를 둘러싸며 측면에 밀접된 링형의 측면부와, 상기 제1,제2외피의 가장자리에 적층되어 밀접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제2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제1,제2단면부의 외측면에는 미세돌기들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연습용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틀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에 대응되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된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를 덮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타격시 타격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의 외측면에 박피 형태로 씌워진 제1외피와;
    상기 프레임의 빈 내측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포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외피와 반대쪽에 적층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결속되고, 내부에 타격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발포체쪽과 반대쪽인 외측면이 개방된 공명실이 구비된 울림통과;
    드럼 스틱에 의해 타격되어 상기 공명실에서 타격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공명실의 개방된 외측면을 덮으며 외부에 노출된 제2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제1외피 및 발포체, 울림통, 제2외피를 둘러싸며 측면에 밀접된 링형의 측면부와, 상기 제1,제2외피의 가장자리에 적층되어 밀접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된 제1,제2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제1,제2단면부에는 각각 그 링형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받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는 수평 유지될 수 있도록 동일 두께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연습용 패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드럼세트배치에 대응하여 경도에 따라 복수 영역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연습용 패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은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드럼세트배치에 대응하여 서로 공명음이 상이한 복수개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연습용 패드.
KR1020210039731A 2021-03-26 2021-03-26 드럼연습용 패드 KR10248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731A KR102485752B1 (ko) 2021-03-26 2021-03-26 드럼연습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731A KR102485752B1 (ko) 2021-03-26 2021-03-26 드럼연습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273A KR20220134273A (ko) 2022-10-05
KR102485752B1 true KR102485752B1 (ko) 2023-01-06

Family

ID=8359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731A KR102485752B1 (ko) 2021-03-26 2021-03-26 드럼연습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7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37Y1 (ko) * 2005-01-25 2005-06-20 손우영 드럼연습장치
JP2015040900A (ja) * 2013-08-20 2015-03-02 ヤマハ株式会社 打楽器パッド及び打楽器パッドの製造方法
US20180082667A1 (en) * 2016-09-16 2018-03-22 Michael H Bean Dual Volume Percussion Instru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304A (ko) 2011-04-05 2012-10-15 박민식 드럼세트 연습을 할 수 있는 멀티연습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37Y1 (ko) * 2005-01-25 2005-06-20 손우영 드럼연습장치
JP2015040900A (ja) * 2013-08-20 2015-03-02 ヤマハ株式会社 打楽器パッド及び打楽器パッドの製造方法
US20180082667A1 (en) * 2016-09-16 2018-03-22 Michael H Bean Dual Volume Percussion Instru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273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891B1 (ko) 소음에 효과적인 내구성 타악 패드, 무음 타악기, 무음타악기 세트 및 전자 타악 시스템
US9129585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JPH043356Y2 (ko)
EP1837860A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US9460699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US5492047A (en) Sound muffling, tone maintaining drum practice apparatus
JP2004198657A (ja) 電子打楽器および振動検出装置
US5811709A (en) Acoustic drum with electronic trigger sensor
JP6471410B2 (ja) 電子打楽器
US5965834A (en) Electronic cymbal instrument
US5396024A (en) Electric percussion instrument equipped with vibration sensor supported by retainer of vibration-transmissive substance
JP6741672B2 (ja) バスドラム用消音具およびバスドラム
US3105406A (en) Practice drum
KR102485752B1 (ko) 드럼연습용 패드
EP1089251B1 (en) Drum having shell consisting of more than one kind of vibratory element arrange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skin
GB2334366A (en) Drum
US5986196A (en) Impact pad for a drum head
US20070022863A1 (en) Drum damper systems
WO2003063130A1 (en) Rhythm shaker
US6245979B1 (en) Floating staccato waffle disk
JP6652157B2 (ja) 電子打楽器
JP2015230362A (ja) 打撃パッド
JP2005274727A (ja) 打楽器用パッド
JP2015028520A (ja) シンバルパッド
JP6111927B2 (ja) 打撃用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