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28B1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28B1
KR102485328B1 KR1020160167636A KR20160167636A KR102485328B1 KR 102485328 B1 KR102485328 B1 KR 102485328B1 KR 1020160167636 A KR1020160167636 A KR 1020160167636A KR 20160167636 A KR20160167636 A KR 20160167636A KR 102485328 B1 KR102485328 B1 KR 10248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charging
connecto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611A (ko
Inventor
장정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28B1/ko
Priority to US15/646,499 priority patent/US10326177B2/en
Priority to CN201710618113.1A priority patent/CN108233452A/zh
Publication of KR2018006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30Auxiliary equip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각각의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여 충전단자에 연결된 충전기의 충전 전원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APPARATUS FOR CHARGE CONTROLLING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 동력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차량에 필요한 구동력을 얻는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는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승용 전기차는 360V 정도의 배터리가 장착된다.
한편, 전기 버스와 같은 상용 전기차는 승용 전기차와 달리 600V 이상의 높은 전압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용 전기차는 구동모터의 출력이 높아 낮은 전압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전류로 인해 효율이 저하되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600V 이상의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경우 충전 표준의 제한이 따르며, 기존 승용 자동차를 위한 충전기의 사용이 불가하고, 상용 전기차를 위한 더 비싼 충전기를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용 전기차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상용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승용 전기차용 배터리를 적용하여 승용 전기차용 충전기를 통해 충전기 가능하도록 하고, 승용 전기차용 배터리를 직렬 연결하여 상용 전기차의 전압 체계를 만족시키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각각의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여 충전단자에 연결된 충전기의 충전 전원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을 연결하는 제3 커넥터, 및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4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는 전기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라인 상에 상기 제1 릴레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의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은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의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중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간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의 온 또는 오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전압 밸런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의 만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간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제1 배터리와 연결된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된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제2 배터리와 연결된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된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와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 개의 충전단자와 연결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1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는, 상용 전기차의 전압 용량의 1/2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는, 각각 250V 내지 450V의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여 복수 개의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이 대응되는 상기 제1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 및 제1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 제2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을 연결하는 제3 커넥터, 및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4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는 전기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라인 상에 상기 제1 릴레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 및 제2 단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 및 제2 단은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1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는, 상용 전기차의 전압 용량의 1/2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제1 전압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각각의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전압의 충전기와 연결되는 제1 충전단자, 상기 제1 전압 보다 큰 제2 전압의 충전기와 연결된 제2 충전단자, 및 상기 제1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며, 상기 제2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2 전압의 1/2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 전기차에 승용 전기차용 배터리를 복수 개 구비하여 직렬/병렬 연결함으로써 상용 전기차의 전압 체계를 만족시키면서, 600V 이상의 고가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승용 전기차용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기(50)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입력 받아 전달하는 충전단자(210), 구동유닛(60)으로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250),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와 충전단자(210) 및 출력단자(250) 사이의 신호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부(100) 및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에 따라 스위치부(100)의 각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전기 자동차, 예를 들어, 600V 이상의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버스와 같은 상용 전기차에 구비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상용 전기차에서 요구되는 구동 전원의 1/2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으로 한다. 일 예로, 상용 전기차에서 요구되는 구동 전원은 500V 내지 900V이고,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각각 250V 내지 450V의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일 수 있다.
스위치부(100)는 복수 개의 커넥터(미도시) 및 복수 개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기 라인 또는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릴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에 따라 제어부(200)가 복수 개의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는 하나의 충전기(5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제1 배터리(10)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110) 및 제2 커넥터(120), 제2 배터리(20)와 연결되는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는 제1 배터리(10)의 제1 단과 연결되며, 제2 커넥터(120)는 제1 배터리(10)의 제2 단과 될 수 있다. 또한, 제3 커넥터(130)는 제2 배터리(20)의 제1 단과 연결되며, 제4 커넥터(140)는 제2 배터리(20)의 제2 단과 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는 전기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배터리(10)의 제2 단 및 제2 배터리(20)의 제1 단은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에는 제1 릴레이(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 내지 제4 커넥터(140)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와 충전단자(211, 221) 및/또는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제1 커넥터(110)는 충전단자의 제1 단자(211) 및 출력단자의 제1 단(251)과 제1 배터리(10)의 제1 단을 각각 연결한다. 또한, 제2 커넥터(120)는 충전단자의 제2 단자(221)와 제1 배터리(10)의 제2 단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커넥터(130)는 충전단자의 제1 단자(211)와 제2 배터리(20)의 제1 단을 연결한다. 또한, 제4 커넥터(140)는 충전단자의 제2 단자(221) 및 출력단자의 제2 단(261)과 제2 배터리(20)의 제2 단을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10) 및 제3 커넥터(130)는 충전단자의 제1 단자(211)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120) 및 제4 커넥터(140)는 충전단자의 제2 단자(22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와 충전단자(211, 221) 사이의 각 충전 라인에는 제2 릴레이(160~19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릴레이(150) 및 제2 릴레이(160~190)는 제어부(200)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릴레이(150) 및 제2 릴레이(160~190)의 온 상태는 릴레이 스위치가 단락(close)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제1 릴레이(150) 및 제2 릴레이(160~190)의 오프 상태는 릴레이 스위치가 단선(open)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를 의미한다.
충전단자(211, 221)에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5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기(50)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각각으로 300V의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충전기(5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를 충전하는 경우, 먼저 제1 릴레이(150)를 오프 제어하여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제1 릴레이(150)를 오프 제어한 이후, 제어부(200)는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와 충전단자(211, 221) 사이의 충전 라인들에 배치된 각각의 제2 릴레이(160~190)를 온 제어하여 충전기(50)의 충전 전원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 각각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간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그에 따라 해당되는 릴레이를 제어하여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전압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0)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충전 시 제1 배터리(10)의 전압이 제2 배터리(20)의 전압보다 높을 경우, 제1 배터리(10)가 만 충전된 후 제1 커넥터(110) 및 제2 커넥터(120)와 연결된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된 제2 릴레이(160~190)를 오프 제어한다. 이 경우, 충전기(5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은 제2 배터리(20)로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구동 전원을 출력단자에 연결된 구동유닛(60)으로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와 충전단자 사이의 충전 라인들에 배치된 각각의 제2 릴레이(160~190)를 오프 제어하여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구동 전원이 충전 라인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릴레이(150)를 온 제어하여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 배터리(10)의 제2 단 및 제2 배터리(20)의 제1 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직렬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직렬 연결로 인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의 전압 용량이 더해진 전압 용량의 구동 전원이 출력단자(251, 26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릴레이(150)가 온 되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부터 500V 내지 900V의 구동 전원이 출력단자(251, 26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a는 제1 실시예의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충전 시 릴레이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충전 시, 제어부(200)는 제1 릴레이(150)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 릴레이(160~190)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충전 시,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에 배치된 제1 릴레이(150)는 제어부(200)의 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와 충전단자 사이의 충전 라인들에 배치된 각각의 제2 릴레이(160~190)는 제어부(200)의 온 제어신호에 의해 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배터리(10)는 제2 릴레이_1(160)(160),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및 제2 릴레이_2(170)와 연결된 충전 라인을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제2 배터리(20)는 제2 릴레이_3(180), 제3 커넥터(130), 제4 커넥터(140) 및 제2 릴레이_4(190)와 연결된 충전 라인을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를 300V의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로 구비하고, 이를 승용 전기차용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의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부터 구동 전원 출력 시 릴레이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부터 구동 전원 출력 시, 제어부(200)는 제1 릴레이(150)로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 릴레이(160~190)로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부터 구동 전원 출력 시,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와 충전단자 사이의 충전 라인들에 배치된 각각의 제2 릴레이(160~190)는 제어부(200)의 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에 배치된 제1 릴레이(150)는 제어부(200)의 온 제어신호에 의해 온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 인해 제1 배터리(10)의 제2 단 및 제2 배터리(20)의 제1 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제1 커넥터(110) 및 제4 커넥터(140)와 연결된 출력단자(251, 261)를 통해 구동 전원을 차량의 구동유닛(60)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는 복수 개의 충전기(5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에 커플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터리(10)와 병렬로 연결된 제3 배터리(30) 및 제2 배터리(20)와 병렬로 연결된 제4 배터리(40)가 추가로 구비된 것으로 한다.
여기서, 커플러는 제1 커넥터(110) 및 제3 커넥터(130)와 연결되는 제1 커플러(201) 및 제2 커넥터(120) 및 제4 커넥터(140)와 연결되는 제2 커플러(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플러(201)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단자들의 제1 단자(211~215)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커플러(205)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단자들의 제2 단자(221~225)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충전기(5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제1 배터리(10) 내지 제4 배터리(40)를 충전하는 경우, 제어부(200)가 제1 릴레이(150)를 오프 제어하고, 제2 릴레이(160~190)를 온 제어하여 충전기(50)의 충전 전원이 제1 배터리(10) 내지 제4 배터리(40)로 각각 공급되도록 한다.
다만, 제2 실시예는 커플러(201, 205)에 의해 복수 개의 충전단자(211~215, 221~225)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충전단자(211~215, 221~225)를 통해 복수 개의 충전기(5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10) 및 제3 커넥터(130)에는 복수 개의 충전단자의 제1 단자(211~215)가, 제2 커넥터(120) 및 제4 커넥터(140)에는 복수 개의 충전단자의 제2 단자(221~225)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충전단자(211~215, 221~225)에 연결된 복수 개의 충전기(5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이 제1 배터리(10) 내지 제4 배터리(40)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충전기(5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10~40)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10~40)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는 복수 개의 충전기(5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승용 전기차용 충전기 및 상용 전기차용 충전기를 모두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 충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승용 전기차용 250V 내지 450V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충전기(미도시)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충전단자(211~215, 221~225) 및 상용 전기차용 500V 내지 900V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충전기(미도시)와 연결되는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전단자(211~215, 221~225)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충전단자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충전단자(211~215, 221~2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충전단자(211~215, 221~225)는 커플러(201, 205)를 통해 제1 커넥터(110) 내지 제4 커넥터(14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충전단자(211~215, 221~225)는 제1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250V 내지 450V의 충전 전원을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충전단자(211~215, 221~225)를 통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를 충전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릴레이(150)를 오프 제어하고, 복수 개의 제2 릴레이(160~190)를 온 제어한다.
한편, 제2 충전단자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부터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251, 261)가 충전단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충전단자는 제2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500V 내지 900V의 충전 전원을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충전단자를 통해 제2 배터리(20) 및 제2 배터리(20)를 충전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릴레이(150)를 온 제어하고, 복수 개의 제2 릴레이(160~190)를 오프 제어한다.
제1 릴레이(150)가 온 되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직렬 연결된 상태가 되며, 제2 충전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500V 내지 900V의 충전 전원이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다.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사이에는 퓨즈와 같은 안전플러그(safety plug)(1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전 플러그(155)는 제1 릴레이(150)와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플러그(155)는 제2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500V 내지 900V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250V 내지 450V의 전압 용량을 갖는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를 충전하는 동안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 사이에 과전류가 발생하면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는 복수 개의 충전기(5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는 커플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충전단자를 구비하였다면,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10) 및 제4 커넥터(140)에 각각 대응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는 제1 배터리(10)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110) 및 제2 커넥터(120), 제2 배터리(20)와 연결되는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는 충전단자 및 출력단자와 제1 배터리(10)의 제1 단을 연결하고, 제2 커넥터(120)는 충전단자와 제1 배터리(10)의 제2 단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커넥터(130)는 충전단자 및 제2 배터리(20)의 제1 단을 연결하고, 제4 커넥터(140)는 충전단자 및 출력단자와 제2 배터리(20)의 제2 단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10) 및 제2 커넥터(120)는 제1 충전단자의 제1 단자(211) 및 제2 단자(221)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커넥터(130) 및 제4 커넥터(140)는 제2 충전단자의 제1 단자(215) 및 제2 단자(225)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충전단자(211, 221)에 연결된 충전기(50)는 250V 내지 450V의 충전 전원을 제1 충전단자(211, 221)를 통해 제1 배터리(10)로 공급한다. 또한, 제2 충전단자(215, 225)에 연결된 충전기(50)는 250V 내지 450V의 충전 전원을 제2 충전단자(215, 225)를 통해 제2 배터리(20)로 공급한다.
이때,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는 전기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 배터리(10)의 제2 단 및 제2 배터리(20)의 제1 단은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전기 라인에는 제1 릴레이(1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120) 및 제1 충전단자와, 제4 커넥터(140) 및 제2 충전단자 사이의 충전 라인에는 제2 릴레이(170, 1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릴레이(150) 및 제2 릴레이(170, 190)는 제어부(200)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두 개의 충전기(50)가 제1 충전단자(211, 221) 및 제2 충전단자(215, 225)에 각각 연결된 경우, 제1 릴레이(150)를 오프 제어하여 제2 커넥터(120) 및 제3 커넥터(130)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제2 커넥터(120) 및 제4 커넥터(140)와 연결된 충전 라인에 배치된 제2 릴레이(170, 190)를 온 제어하여 제1 충전단자(211, 221)를 통해 입력된 충전 전원이 제1 배터리(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충전단자(215, 225)를 통해 입력된 충전 전원이 제2 배터리(20)로 공급되도록 한다.
물론,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로부터의 구동 전원을 출력단자(251, 261)를 통해 구동유닛(60)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2 릴레이(170, 190)를 오프 제어하고, 제1 릴레이(150)를 온 제어한다. 따라서, 제1 릴레이(150)가 단락됨으로써 직렬 연결된 제1 배터리(10) 및 제2 배터리(20)는 686V의 구동 전원을 출력단자(251, 261)를 통해 구동 유닛으로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40: 배터리
50: 충전기
60: 구동유닛
100: 스위치부
110~140: 커넥터
150~190: 릴레이
200: 제어부
201, 205: 커플러
210, 211, 215, 221, 225: 충전단자
250, 251, 261: 출력단자

Claims (20)

  1.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각각의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여 충전단자에 연결된 충전기의 충전 전원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을 연결하는 제3 커넥터; 및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4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는 전기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라인 상에 상기 제1 릴레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의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은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의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중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간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의 온 또는 오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전압 밸런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의 만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간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제1 배터리와 연결된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된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제2 배터리와 연결된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된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와 연결되고, 타단이 복수 개의 충전단자와 연결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1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는,
    상용 전기차의 전압 용량의 1/2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는,
    각각 250V 내지 450V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2.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여 복수 개의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이 대응되는 상기 제1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배터리로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 및 제1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
    제2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을 연결하는 제3 커넥터; 및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4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는 전기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 라인 상에 상기 제1 릴레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 및 제2 단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 및 제2 단은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구동 전원 출력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제2 단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1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제2 단은 상기 출력단자의 제2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는,
    상용 전기차의 전압 용량의 1/2 전압 용량을 갖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19. 전기 자동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로 제1 전압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각각의 충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제1 전압의 충전기와 연결되는 제1 충전단자;
    상기 제1 전압 보다 큰 제2 전압의 충전기와 연결된 제2 충전단자; 및
    상기 제1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온 제어하며, 상기 제2 충전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통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충전 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2 전압의 1/2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KR1020160167636A 2016-12-09 2016-12-09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KR10248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36A KR102485328B1 (ko) 2016-12-09 2016-12-09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US15/646,499 US10326177B2 (en) 2016-12-09 2017-07-11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CN201710618113.1A CN108233452A (zh) 2016-12-09 2017-07-25 用于控制电动车辆的充电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36A KR102485328B1 (ko) 2016-12-09 2016-12-09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611A KR20180066611A (ko) 2018-06-19
KR102485328B1 true KR102485328B1 (ko) 2023-01-06

Family

ID=6249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36A KR102485328B1 (ko) 2016-12-09 2016-12-09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26177B2 (ko)
KR (1) KR102485328B1 (ko)
CN (1) CN1082334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0306B2 (ja) * 2017-09-05 2021-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US11358492B2 (en) * 2018-09-04 2022-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balancing switching control of dual-pack rechargeable energy storage system with series and parallel modes
KR102625324B1 (ko) * 2018-11-07 2024-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직류변환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615923B2 (en) 2019-06-07 2023-03-28 Anthony Macaluso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vehicle
US11432123B2 (en) 2019-06-07 2022-08-30 Anthony Macaluso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s energy via a wireless network
US11641572B2 (en) 2019-06-07 2023-05-02 Anthony Macaluso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s energy via a wireless network
US11837411B2 (en) 2021-03-22 2023-12-05 Anthony Macaluso Hypercapacitor switch for controlling energy flow between energy storage devices
US11289974B2 (en) 2019-06-07 2022-03-29 Anthony Macaluso Power generation from vehicle wheel rotation
US11685276B2 (en) 2019-06-07 2023-06-27 Anthony Macaluso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vehicle
JP7311471B2 (ja) * 2020-08-28 2023-07-19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
JP2022054542A (ja) * 2020-09-28 2022-04-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EP4298737A1 (en) * 2021-02-24 2024-01-03 BlueHalo LLC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ly beamformed phased array feed
US11472306B1 (en) 2022-03-09 2022-10-18 Anthony Macalus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11577606B1 (en) 2022-03-09 2023-02-14 Anthony Macaluso Flexible arm generator
US11955875B1 (en) 2023-02-28 2024-04-09 Anthony Macaluso Vehicle energy gener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78B1 (ko) 2011-06-17 2014-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9610T2 (de) 2000-04-13 2007-04-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Elektrisches Verbindungsgehäuse
JP4097392B2 (ja) 2000-08-09 2008-06-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US7782013B2 (en) * 2007-04-17 2010-08-24 Chun-Chieh Chang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recharging same
CN201061155Y (zh) * 2007-06-19 2008-05-14 殷国亮 电动车充电用串、并联转换器
JP5274046B2 (ja) * 2008-02-21 2013-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4315232B1 (ja) * 2008-03-17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KR101023885B1 (ko) 2008-11-27 2011-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졍션 박스
US8836272B2 (en) * 2010-02-26 2014-09-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133999B1 (ko) 2010-07-05 2012-04-05 영화테크(주) 차량용 발전 제어기능이 내장된 정션박스
CN102120423A (zh) * 2011-01-04 2011-07-13 刘晓 电动车能量回收装置
CN103608210B (zh) * 2011-06-17 2015-11-25 裕罗有限公司 功率继电器组件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297148B1 (ko) * 2012-01-12 2013-08-21 주진관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원장치 및 상기 전원장치의 충방전 모드 전환방법
CN202616824U (zh) * 2012-05-17 2012-12-19 陈春飞 一种电池组的充电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78B1 (ko) 2011-06-17 2014-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26177B2 (en) 2019-06-18
CN108233452A (zh) 2018-06-29
KR20180066611A (ko) 2018-06-19
US20180166750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328B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US1058720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an inrush current prevention circuit
CN110719856B (zh) 用于驱动车辆的电源系统
US20190176729A1 (en) Hv batter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onboard network,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hv battery arrangement
CN109476266B (zh) 用于汽车的电池设备
US10322639B2 (en) Charging device that reduces an amount of noise flowing through a charging system in a vehicle
JP6593363B2 (ja) 電源システム
US9524838B2 (en) Method for protecting charging cable, and charging device
KR101956995B1 (ko) 차량용 obc의 충전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8842408B2 (en) Power supply circuit
KR102161639B1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180019448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US11046202B2 (en) Power supply and recharging assembly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the power supply and recharging assembly
US11648851B2 (en) On-board electrica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n-board network
US11338690B2 (en) Power-supply and recharge groups
CN110635565A (zh) 双电源切换装置和双电源切换控制方法
EP2518859B1 (en) Power supply device
US11285841B2 (en) Multi-voltage battery device and onboard electric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4380522A (zh) 蓄电池的安全方案
JP6668210B2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CN216819393U (zh) 用于机动车辆的多电压电池设备和多电压车载电网
WO2021106345A1 (ja) 車載電池システム
WO2023286184A1 (ja) 充電装置
CN117500684A (zh) 用于执行车辆的车载电网的预充电过程的方法和用于车辆的车载电网
WO2016009679A1 (ja) Usb電源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