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99B1 - 부싱용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부싱용 회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5199B1 KR102485199B1 KR1020210081270A KR20210081270A KR102485199B1 KR 102485199 B1 KR102485199 B1 KR 102485199B1 KR 1020210081270 A KR1020210081270 A KR 1020210081270A KR 20210081270 A KR20210081270 A KR 20210081270A KR 102485199 B1 KR102485199 B1 KR 102485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ing
- rotating device
- main bracket
- enclosure
- spro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8—Connections to in or out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16H55/303—Chain-wheels for round linked chains, i.e. hoisting chains with identical lin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싱용 회전장치이다. 본 발명은 전력기기(10)의 외함(12)에 설치된 부싱(2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외함(12)은 고정부(12')와 상기 부싱(20)이 설치되고 회전되는 회전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에는 메인브라켓(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에는 감속기(36) 및 구동원(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에는 구동스프라킷(5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12")에는 종동스프라킷(5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을 걸어감아서 체인(5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40)의 구동력을 상기 체인(52)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부싱(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싱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싱은 변압기, 차단기 등의 전력기기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전류를 외함과 절연하여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부싱은 특히 고전압에서 절연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부싱은 일반적으로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외함에서 연장되어 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싱은 하나의 전력기기에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부싱은 전력기기의 외함에서 돌출되어 부싱을 포함하는 전력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부싱을 포함하는 전력기기는 공장에서 조립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영구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기간동안 특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바일 변압기가 사용되면서, 부싱을 포함하는 전력기기를 운송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력기기에 사용되는 다수개의 부싱은 실제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기 때문에, 이를 차량으로 이송하는 경우에 도로의 사정에 따라 많은 제한이 발생한다. 도로의 폭과 통과높이 때문에 부싱을 포함하는 전력기기의 운송이 쉽지 않다.
따라서, EP 2 615 705A1, EP 2 733 802B1, US 9,768,594 등의 선행문헌에서는 부싱을 회전시켜서 부싱을 포함하는 전력기기의 전체 폭과 높이를 조절하여 이송하고, 실제 사용 시에는 부싱을 원래의 위치에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부싱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부싱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기어열에 의한 감속을 통해 구동원의 용량을 줄일 수는 있지만, 한계가 있다.
그리고, 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원의 동력을 부싱 회전을 위해 전달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기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구동원의 설치 위치가 회전되는 부분에 인접해 있어야 하여 설계자유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의 회전을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에서 구동원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줄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의 회전을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에서 구동원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의 회전을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를 상대적으로 설계가 용이한 체인과 스프라킷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의 회전을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에서 체인의 장력설정을 간단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의 회전을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에서 체인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된 부싱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고정부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에 설치되고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라킷과, 상기 외함의 고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상기 부싱측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킷과,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에 걸어감아져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스프라킷으로 전달하여 상기 부싱을 회전시키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에는 상기 구동스프라킷을 구동하는 상기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 표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대 회전되고 상기 메인커버 및 메인브라켓과 체결 및 분리되는 연결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과 메인커버에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축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감속기를 통해 나온 구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에 상기 구동스프라킷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의 감속기축에 구비된 출력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스프라킷은 반원형의 제1편과 제2편으로 나눠져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외함의 고정부에 대해 회전되는 부싱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편과 제2편의 각각의 단부에는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절단면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종동스프라킷이 상기 부싱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단면의 위치는 상기 종동스프라킷에서 중력방향과 중력반대방향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함의 고정부에는 상기 부싱측의 회전을 안내하는 클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클램프에는 회전되는 상기 부싱 측의 회전을 안내하는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메인커버와 함께 소정의 각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클램프몸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안내판 및 제2안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안내판에 상기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싱용 회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원에서 전달된 동력을 감속기로 감속함과 함께 구동스프라킷, 종동스프라킷, 체인을 사용하여 추가로 감속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싱의 회전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감속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원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소형화된 부싱용 회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체인을 사용하므로 회전대상과 구동원 사이의 거리를 단순히 체인의 길이를 달리함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설치되는 위치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서, 회전가능한 부싱을 가지는 전력기기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력기기에서 사용되는 부싱의 회전을 위해, 체인과 스프라킷을 사용할 수 있다. 체인은 동일한 부품을 다수개 반복하여 연결하여 만드는 것이어서 상대적으로 설계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에 체인을 걸어 감을 때 구동스프라킷이 설치된 메인브라켓을 외함에 대해 위치조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스프라킷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체인을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에 걸어감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에 체인을 걸어감은 후에 구동스프라킷의 위치를 이동시키므로 체인의 장력설정이 간단하게 되어 조립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동스프라킷이 설치된 메인브라켓을 덮는 메인커버에 대해 연결편이 회전개폐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편을 개방한 상태에서 구동스프라킷에 체인을 걸어감을 수 있어서 체인의 설치가 용이하여 조립작업이 편리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싱용 회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적용된 전력기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가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가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브라켓과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종동스프라킷과 결합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원 A부분을 표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클램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체인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이는 작업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체인의 장력을 설정하는 것을 메인브라켓을 삭제한 상태에서 설명하는 작업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가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가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메인브라켓과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종동스프라킷과 결합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원 A부분을 표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클램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체인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이는 작업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체인의 장력을 설정하는 것을 메인브라켓을 삭제한 상태에서 설명하는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력기기(10)의 외관 일부를 외함(12)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함(12)의 내부에는 도체, 차단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함(12)의 내부에는 절연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외함(12)은 고정부(12')와 회전부(12")로 나눠질 수 있다. 상기 외함(12)의 고정부(12')에 대해 상기 회전부(12")가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의 일측에는 고정부플랜지(14)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고) 상기 고정부플랜지(14)는 원형의 링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플랜지(14)와 결합 또는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12")에는 회전부플랜지(1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플랜지(14)와 회전부플랜지(14')는 서로 대응되는 치수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플랜지(14)와 회전부플랜지(14')는 외함체결구(15)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의 타측에는 본체장착플랜지(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장착플랜지(16)도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본체장착플랜지(16)는 전력기기(10)의 본체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2')의 타측에는 부싱장착플랜지(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부싱장착플랜지(18)는 부싱(20)과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부싱장착플랜지(18)도 원형의 링형상일 수 있다.
부싱(20)은 내부에 도체가 있는 부싱몸체(22)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싱몸체(22)의 외부를 둘러서는 절연물(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절연물은 외부와의 절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부싱몸체(22)의 일단부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함장착플랜지(2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함장착플랜지(26)는 상기 부싱장착플랜지(18)와 대응되는 형상과 치수를 가지고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외함장착플랜지(26)의 반대쪽 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부싱몸체(22)에는 터미널(2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28)은 선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12')의 일측에는 메인브라켓(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감속기(36)와 구동원(3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부플랜지(14)에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메인브라켓(30)은 상기 고정부플랜지(14)와 상기 본체장착플랜지(16) 사이의 어디에라도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에서 상기 고정부(12')에 체결되는 부분은 상기 고정부(12')의 외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메인브라켓(30)의 해당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의 곡면을 가진다.
상기 메인브라켓(30)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에는 상기 고정부(12')에의 체결을 위한 장착공(32)과 장착장공(3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공(32)은 정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장공(32')은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장공(32')은 상기 메인브라켓(30)이 상기 고정부(12')에 임시로 결합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착장공(32')도 메인브라켓(30)을 고정부(12')에 완전결합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32)은 메인브라켓(30)을 고정부(12')에 완전결합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32)과 장착장공(32')을 관통해서 브라켓장착체결구(33)가 상기 고정부(1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32)과 장착장공(32')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브라켓(30)의 크기에 따라 그 갯수는 달리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메인체결구(34)가 감속기(36)를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장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36)에는 구동원(38)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체결구(34)에 의해 상기 구동원(38)이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원(38)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감속기(36)는 상기 구동원(38)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감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36)의 출력축인 감속기축(40)의 일측에는 출력기어(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기어(42)는 상기 감속기(36)의 출력을 아래의 구동기어(4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축(40)은 상기 감속기(36)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브라켓(30)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36)의 설치 위치가 상기 메인브라켓(30)의 다른 표면인 경우에는 감속기축(40)이 메인브라켓(30)을 관통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과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커버(7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축(4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44)은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메인커버(70)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4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44)에는 구동기어(48)가 구동축(44)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48)는 상기 출력기어(42)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축(44)에는 상기 구동기어(48)와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동스프라킷(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킷(50)은 상기 구동축(44)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킷(50)은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메인커버(70)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킷(50)에는 체인(52)이 걸어감아질 수 있다. 상기 체인(52)은 무한궤도 형태로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체인(52)은 상기 구동스프라킷(50)에 걸어 감아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12")에 설치된 종동스프라킷(54)에도 동시에 걸어 감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인(52)은 구동스프라킷(50)의 회전을 감속하여 종동스프라켓(5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킷(50)의 직경보다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상기 구동스프라킷(50), 체인(52) 그리고 종동스프라킷(54)에 의해 감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인(52)은 아우터플레이트(53) 쌍과 인너플레이트(53') 쌍이 핀(52')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폐곡선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인(52)을 폐곡선으로 연결하고 분리해서 직선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의 아우터플레이트(53)를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라고 명명한다. 예를 들어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를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핀(52")에 설치된 분할핀(52s)을 분리함에 의해 폐곡선의 체인(52)을 직선으로 만들어서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에서 상기 결합핀(52")이 관통하는 관통공에는 직선구간을 두고 상기 결합핀(52")에도 외면 일측에 대응되는 평면구간을 두어서 결합핀(52")의 결합 방향을 규제할 수 있다. 이때 직선구간이 있는 관통공을 가지는 결합 아우트플레이트(53c)를 중력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분할핀(52s)이 체인(52)을 기준으로 반드시 중력반대방향에서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아우트플레이트(53c)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편(60) 사이의 위치, 또는 제1편(56)과 제2편(56') 각각의 중간 부분에서 체인(52)의 결합과 분리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은 본 실시례에서는 제1편(56)과 제2편(56')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은 상기 회전부(12")의 회전부플랜지(14')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다르게는 상기 종동스프라킷(54)에 부싱(20)의 외함장착플랜지(26)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은 제1편(56)과 제2편(56')이 각각 반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이 합쳐져서 하나의 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에는 각각 체결홈(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58)은 상기 회전부플랜지(14')에 안착되는 면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58)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편(56)과 제2편(56')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58)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공(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58)에는 결합편(6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60)은 일부는 상기 체결홈(58)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60)은 사각형 판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편(60)에는 관통공(62',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62')을 결합편체결구(62)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58')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64')을 플랜지체결구(64)가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플랜지(1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60)은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을 상기 회전부플랜지(14')에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의 양측 단부에 절단면(66)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절단면(66)은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이 회전부플랜지(14')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메인커버(7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메인커버(7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메인커버(70)는 도 4에 도시된 지지용 서포트(72)에 의해 상기 메인브라켓(3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서포트(72)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메인커버(7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서포트(72)를 상기 메인브라켓(30) 및 메인커버(70)에 결합하기 위해 서포트체결구(74)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체결구(74)는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70)의 일측 표면에는 인양용 고리(7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양용 고리(76)는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메인커버(70) 등의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70)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편(80)과 힌지(71)로 연결되어 있어서, 연결편(80)이 상기 메인커버(70)에 대해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70)가 메인커버(70)에 대해 힌지(71)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체결볼트(7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볼트(78)는 연결편(80)과 상기 메인커버(70)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에 의해 상기 힌지(71)를 기준으로 한 상기 연결편(8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70)에서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마주보는 면에는 패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램프(84)에 있는 패드(92)와 동일한 것이다. 이 패드는 표면이 매끄러워서 상기 회전부(12") 측과 마찰되더라도 회전부(1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회전부(12')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브라켓(30)과 상기 메인커버(70)의 각각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연결편(8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편(80)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메인커버(7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편(80)이 사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연결편(80)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메인브라켓(30)과도 직교하고 상기 메인커버(70)와도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80)은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제2체결볼트(8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볼트(82)는 상기 연결편(80)을 관통해서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볼트(82)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3개의 제2체결볼트(82)가 사용되었다.
클램프(8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함(12)의 고정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84)는 상기 고정부(12')의 고정부플랜지(14)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12")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84)의 골격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몸체(86)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몸체(86)에는 일단에서 제1안내판(88)이 돌출되고, 타단에서 제2안내판(88')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판(88)과 제2안내판(88')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몸체(86)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몸체(86)는 상기 고정부(1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몸체(86)는 상기 고정부플랜지(1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몸체(86)를 고정부(12")에 체결하기 위해 클램프체결구(9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체결구(90)가 상기 제1안내판(88)과 고정부플랜지(14)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몸체(86)의 제2안내판(88') 일면에는 패드홈(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홈(91)은 상기 제1안내판(88)과 마주보는 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홈(91)에는 패드(9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92)는 상기 회전부(12")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패드(92)는 적어도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패드(92)는 상기 회전부(12") 측과 마찰되더라도 회전부(1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92)는 패드체결구(92')로 상기 패드홈(91) 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패드체결구(92')는 상기 패드(92)를 관통하여 상기 패드홈(91)에 형성된 체결공(91')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싱용 회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회전장치는 부싱(20)을 회전시킬 때에만 상기 외함(12)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력기기(10)의 설치나 이동을 위해 상기 부싱(20)의 연장방향을 달리해야 할 경우에 본 발명의 회전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력기기(10)의 운송이 마쳐진 후에 설치 위치에 설치한 후, 실제 사용을 위해서 상기 부싱(20)을 원래의 위치로 돌릴 때에도 본 발명의 회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함(12)에 본 발명의 회전장치를 장착하기 전에 상기 외함(12) 내에 충진된 가스 압력을 소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지 않았으나 상기 외함체결구(15) 중 일부에 의해 접지본드가 상기 고정부(12')와 회전부(12")에 동시에 접촉되어 있다. 이 접지본드를 1개씩 분리해 낸다. 접지본드를 분리한 후에는 상기 외함체결구(15)를 다시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12")의 회전부플랜지(14')에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은 제1편(56)과 제2편(56')이 결합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데, 상기 종동스프라킷(54)에 체결되어 있는 결합편(60)을 플랜지체결구(64)로 상기 회전부플랜지(14')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체결구(64)는 상기 회전부플랜지(14')에 가체결한 상태이다.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의 절단면(66)은 상기 메인브라켓(30)이 위치되는 부분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위치에 작업자가 있으면서 장착과 탈착작업을 할 수 있다. 이 위치는 또한 상기 외함(12)을 기준으로 중력방향 하측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면(66)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는 외함(12)을 기준으로 중력방향 하측과 증력방향 상측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를 정하면 장착작업 시에 상기 제1편(56)과 제2편(56')을 작업자가 취급하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인(52)을 상기 종동스프라킷(54)에 걸어감는다. 즉, 제1편(56)과 제2편(56')에 동시에 체인(52)이 걸어 감아지도록 하여, 제1편(56)과 제2편(56')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이 후에 상기 플랜지체결구(64)를 완전체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인(52)은 아직 폐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상기 플랜지체결구(64)를 완전 체결한 후에는 상기 체인(52)을 상기 종동스프라킷(54)에 분리해 낸다.
이후에는 상기 구동축(44)에 구동기어(48), 구동스프라킷(50), 베어링(46)을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축(44)에, 구동기어(48), 구동스프라킷(50), 베어링(46)이 설치된 조립체를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장착하기에 앞서 상기 메인체결구(34)를 상기 메인브라켓(30)에 미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체를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80)을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상기 제2체결볼트(82)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70)를 상기 연결편(80)에 힌지(71)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메인커버(70)와 상기 메인브라켓(30)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용서포트(72)를 서포트체결구(74)를 사용하여 체결하여 상기 메인커버(70)와 메인브라켓(30) 사이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브라켓(30), 연결편(80) 그리고 메인커버(70) 및 관련 부품이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지면, 상기 메인브라켓(30)을 상기 브라켓장착체결구(33)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부(12')에 가조립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장착체결구(33)는 상기 장착장공(32')을 관통한다. 상기 브라켓장착체결구((33)는 상기 장착장공(32')에서 상대적으로 메인브라켓(30)의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를 통과하여 상기 메인브라켓(30)이 되도록 상기 외함(12) 쪽으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소정의 길이로 만들어진 체인(52)을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에 걸어감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메인브라켓(30)을 상기 외함(12)의 고정부(12")에 장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메인커버(70)에 있는 패드와 회전부플랜지(14')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라이너(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갭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체인(52)을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에 걸어 감는다. 상기 구동스프라킷(5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기 외함(12)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는 상기 브라켓장착체결구(33)가 상기 장착장공(32')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메인브라켓(30) 내측 쪽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설치된 구동스프라킷(50)이 상대적으로 종동스프라킷(54)에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체인(52)을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에 걸어 감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잇다.
상기 체인(52)을 걸어 감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체결볼트(82)를 풀고 상기 연결편(80)을 상기 힌지(7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인(52)을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에 걸어감는다.
상기 체인(52)을 폐곡선으로 연결하는 결합부는 상기 종동스프라킷(54)의 제1편(56)과 제2편(56')의 정점위치, 즉 양측의 절단면(66)에서 동일한 거리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부싱(20)을 회전시키는 동작 후에 체인(52)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가 상기 메인브라켓(30)과 메인커버(70)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클램프(84)의 내측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가 중력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이를 결합핀(52")이 관통하고 상기 결합핀(52")을 분할핀(52s)이 횡으로 관통하여 상기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의 관통공에 직선구간이 있고 결합핀(52")에도 상기 직선구간에 대응되는 평면구간이 있으므로, 반드시 결합 아우터플레이트(53c)를 중력반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작업하는 것이 좋다. 반대의 위치에 이 부분이 있게 되면 상기 분할핀(52s)이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체인(52)을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종동스프라킷(54)에 걸어 감고 폐곡선으로 연결하고 나면, 상기 메인브라켓(30)을 상대적으로 외함(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0에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메인브라켓(30)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장공(32')에 있는 브라켓체결장착구(3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메인브라켓(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는 상기 메인브라켓(30)이 외함(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화살표 A방향으로 메인브라켓(30)이 이동하는 것은 메인브라켓(30)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인브라켓(30)이 이동하면 상기 구동스프라킷(50)로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스프라킷(50)과 상기 종동스프라킷(54)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체인(52)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체인(52)의 장력이 원하는 값으로 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브라켓(30)을 상기 브라켓체결장착구(33)로 체결하면 상기 체인(52)의 장력이 적절하게 설정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속기(36)를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감속기축(40)에 있는 출력기어(42)가 상기 구동기어(48)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감속기축(40)이 상기 구동축(44)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축(40)의 출력기어(42)와 상기 구동축(44)의 구동기어(48)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감속기축(40)에 상기 구동스프라킷(50)이 직접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감속기축(40)이 상기 구동축(44)에 커플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속기축(40)이 상기 구동축(44)의 내부에 동심으로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감속기(36)를 상기 메인브라켓(30)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메인브라켓(30)에 미리 장착되어 있던 메인체결구(3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36)를 메인브라켓(30)에 장착 한 후에는 상기 연결편(80)을 힌지(7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고 상기 연결편(80)과 상기 메인브라켓(30)을 상기 제2체결볼트(82)로 체결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클램프(84)를 각각 정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2개의 클램프(84)는 상기 메인브라켓(30)과 함께 각각 120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체결구(90)를 사용하여 클램프몸체(86)를 상기 고정부플랜지(14)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패드(92)는 상기 회전부플랜지(14')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패드체결구(92')의 머리부는 상기 패드(92)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회전부플랜지(14')와 간섭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원(38)을 상기 감속기(36)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클램프(84)의 설치 전에 상기 구동원(38)을 감속기(36)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의 회전장치가 전력기기(10)에 장착되어 상기 부싱(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외함(12)의 고정부(12')와 회전부(12") 사이를 체결하던 외함체결구(15)는 모두 제거되어서 상기 고정부(12')에 대해 상기 회전부(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부싱(20)을 회전시켜 운송이나 보관상태로 만들었다가, 상기 전력기기(10)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 후에는 상기 부싱(20)을 상기 전력기기(10)가 실제 사용하는 상태의 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부싱(20)을 실제 사용위치로 회전시킨 후에는 본 발명의 회전장치는 상기 전력기기(10)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회전장치를 분리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력기기 12: 외함
12': 고정부 12": 회전부
14: 고정부플랜지 14': 회전부플랜지
15: 외함체결구 16: 본체장착플랜지
18: 부싱장착플랜지 20: 부싱
22: 부싱몸체 24: 절연물
26: 외함장착플랜지 28: 터미널
30: 메인브라켓 32: 장착공
32': 장착장공 33: 브라켓장착체결구
34: 메인체결구 36: 감속기
38: 구동원 40: 감속기축
42: 출력기어 44: 구동축
46: 베어링 48: 구동기어
50: 구동스프라킷 52: 체인
54: 종동스프라킷 56: 제1편
56': 제2편 58: 체결홈
58': 체결공 60: 결합편
62: 결합편체결구 62': 체결공
64': 체결공 64: 플랜지체결구
66: 절단면 70: 메인커버
71: 힌지 72: 지지용서포트
74: 서포트체결구 76: 인양용 고리
78: 제1체결볼트 80: 연결편
82: 제2체결볼트 84: 클램프
86: 클램프몸체 88: 제1안내판
88': 제2안내판 90: 클램프체결구
91: 패드홈 91': 패드체결구
92: 패드 92': 패드체결구
12': 고정부 12": 회전부
14: 고정부플랜지 14': 회전부플랜지
15: 외함체결구 16: 본체장착플랜지
18: 부싱장착플랜지 20: 부싱
22: 부싱몸체 24: 절연물
26: 외함장착플랜지 28: 터미널
30: 메인브라켓 32: 장착공
32': 장착장공 33: 브라켓장착체결구
34: 메인체결구 36: 감속기
38: 구동원 40: 감속기축
42: 출력기어 44: 구동축
46: 베어링 48: 구동기어
50: 구동스프라킷 52: 체인
54: 종동스프라킷 56: 제1편
56': 제2편 58: 체결홈
58': 체결공 60: 결합편
62: 결합편체결구 62': 체결공
64': 체결공 64: 플랜지체결구
66: 절단면 70: 메인커버
71: 힌지 72: 지지용서포트
74: 서포트체결구 76: 인양용 고리
78: 제1체결볼트 80: 연결편
82: 제2체결볼트 84: 클램프
86: 클램프몸체 88: 제1안내판
88': 제2안내판 90: 클램프체결구
91: 패드홈 91': 패드체결구
92: 패드 92': 패드체결구
Claims (10)
- 전력기기의 외함에 설치된 부싱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싱용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고정부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에 설치되고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라킷과,
상기 외함의 고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상기 부싱측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킷과,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종동스프라킷에 걸어감아져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스프라킷으로 전달하여 상기 부싱을 회전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에는 상기 구동스프라킷을 구동하는 상기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기가 설치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 표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대 회전되고 상기 메인커버 및 메인브라켓과 체결 및 분리되는 연결편을 더 구비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과 메인커버에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감속기를 통해 나온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상기 구동스프라킷이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의 감속기축에 구비된 출력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스프라킷은 반원형의 제1편과 제2편으로 나눠져 구성되어 상기 외함의 고정부에 대해 회전되는 부싱 측에 설치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과 제2편의 각각의 단부에는 절단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면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종동스프라킷이 상기 부싱 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절단면의 위치는 상기 종동스프라킷에서 중력방향과 중력반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고정부에는 상기 부싱측의 회전을 안내하는 클램프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클램프에는 회전되는 상기 부싱 측의 회전을 안내하는 패드가 구비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메인커버와 함께 소정의 각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클램프몸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안내판 및 제2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판에 상기 패드가 설치되는 부싱용 회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1270A KR102485199B1 (ko) | 2021-06-23 | 2021-06-23 | 부싱용 회전장치 |
PCT/KR2022/008828 WO2022270888A1 (ko) | 2021-06-23 | 2022-06-22 | 부싱용 회전장치 |
EP22828735.5A EP4362250A1 (en) | 2021-06-23 | 2022-06-22 | Rotating device for bushing |
SA523440296A SA523440296B1 (ar) | 2021-06-23 | 2023-04-09 | وسيلة دوارة لجلب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1270A KR102485199B1 (ko) | 2021-06-23 | 2021-06-23 | 부싱용 회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70443A KR20220170443A (ko) | 2022-12-30 |
KR102485199B1 true KR102485199B1 (ko) | 2023-01-05 |
Family
ID=8453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1270A KR102485199B1 (ko) | 2021-06-23 | 2021-06-23 | 부싱용 회전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362250A1 (ko) |
KR (1) | KR102485199B1 (ko) |
SA (1) | SA523440296B1 (ko) |
WO (1) | WO2022270888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6018A (ja) | 2004-06-17 | 2006-01-05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回転道具 |
JP2015133840A (ja) | 2014-01-14 | 2015-07-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ブッシングの引出し方向の変更方法、ブッシングの引出し方向の変更用の回転器具、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 |
JP2017208907A (ja) | 2016-05-17 | 2017-1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ブッシング更新装置、及びブッシング更新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74166A1 (en) * | 2006-12-20 | 2008-06-26 | Abb Research Ltd | A bush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EP2615705A1 (en) | 2012-01-16 | 2013-07-17 | ABB Technology AG | Outdoor bushing for an electric switchgear installation |
EP2733802B1 (en) | 2012-11-14 | 2016-04-27 | ABB Technology AG | Actuating device for an electric switchgear |
KR101638330B1 (ko) * | 2014-02-06 | 2016-07-12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
KR20160001308U (ko) * | 2014-10-13 | 2016-04-2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부싱 유닛 이동 장치 |
KR101695753B1 (ko) * | 2015-05-13 | 2017-01-12 | 주식회사 포스코 | 부싱회전장치 및 이를 갖춘 래들 |
DE102017208477A1 (de) * | 2017-05-19 | 2018-11-22 | Icotek Project Gmbh & Co. Kg | Kabeldurchführung |
-
2021
- 2021-06-23 KR KR1020210081270A patent/KR1024851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6-22 WO PCT/KR2022/008828 patent/WO202227088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22 EP EP22828735.5A patent/EP4362250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4-09 SA SA523440296A patent/SA523440296B1/ar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6018A (ja) | 2004-06-17 | 2006-01-05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回転道具 |
JP2015133840A (ja) | 2014-01-14 | 2015-07-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ブッシングの引出し方向の変更方法、ブッシングの引出し方向の変更用の回転器具、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 |
JP2017208907A (ja) | 2016-05-17 | 2017-1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ブッシング更新装置、及びブッシング更新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70888A1 (ko) | 2022-12-29 |
SA523440296B1 (ar) | 2024-07-02 |
KR20220170443A (ko) | 2022-12-30 |
EP4362250A1 (en) | 2024-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10033B1 (en) | Support device for a rotating shaft of a solar tracker | |
CA1316905C (en) | Lifting machine | |
US20060237150A1 (en) | Shaft coupling for barrier movement operators | |
JP2005137097A (ja) | ケーブル設置装置及び方法 | |
KR102485199B1 (ko) | 부싱용 회전장치 | |
WO2021133009A1 (ko) | 기지국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 |
KR101913756B1 (ko) | 레일에의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주행 장치 | |
CN212572027U (zh) | 一种具有防振荡的线夹回旋式间隔棒 | |
CN1547796A (zh) | 双轴和旋转电机联轴器 | |
WO2015132850A1 (j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 | |
KR20190107802A (ko) | 중공 구조를 활용한 자중보상 매니퓰레이터 | |
FI113574B (fi) | Kiinnitysväline | |
JP2015133840A (ja) | ブッシングの引出し方向の変更方法、ブッシングの引出し方向の変更用の回転器具、およびガス絶縁開閉装置 | |
CN221408225U (zh) | 一种电力工程线缆安装用紧线器 | |
CN217990768U (zh) | 电缆弯折装置 | |
WO2014077477A1 (ko) | 중장비 스윙베어링의 볼트체결장치 | |
KR20120074464A (ko) | 기판이송장치 | |
RU218968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ода кабеля | |
CN211769999U (zh) | 电动拉升装置 | |
CN113819302B (zh) | 一种市政管道安装用的支撑装置 | |
CN110901783B (zh) | 一种绝缘子串行走装置 | |
JP3449448B2 (ja) | 回転電機のファンガイド組立用治具 | |
EP4236041A1 (en) | Rotary electrical machine | |
CN220509778U (zh) | 一种多线并线机构 | |
CN111013041B (zh) | 一种导轨转向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