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32B1 - 저주파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32B1
KR102485132B1 KR1020200070735A KR20200070735A KR102485132B1 KR 102485132 B1 KR102485132 B1 KR 102485132B1 KR 1020200070735 A KR1020200070735 A KR 1020200070735A KR 20200070735 A KR20200070735 A KR 20200070735A KR 102485132 B1 KR102485132 B1 KR 10248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cable
pad
frequency generat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862A (ko
Inventor
황선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메디앤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메디앤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메디앤라이트
Priority to KR102020007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저주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패드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Rising Edge) 부분을 곡선의 형태로 변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기판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패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으로 마련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한 저주파를 상기 패드부로 전달하는 케이블과, 회전 방향에 따라서 케이블을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도록 코일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원웨이 방식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롤러부가 상기 저지부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케이블의 일단이 통과되는 제1관통홀과, 케이블의 타단이 통과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볼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는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모듈과, 실리콘고무로 마련되어 상기 삽입모듈의 상면 또는 하면의 상기 삽입홀의 주위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모듈과 접촉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양각 또는 음각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을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주파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LOW FREQUENCY}
본 발명은 저주파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Rising Edge) 부분을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는 저주파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건강증진을 위한 각종 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일반인들에게 보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저주파 제공 장치는 저주파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로 신체의 특정부위를 자극함으로써 신체의 결림이나 통증을 완화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기존의 저주파 제공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저주파 인가시에 발생되는 자극에 의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저주파 제공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이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된 저주파를 출력할 수 있는 저주파 제공 장치를 개발하여 완성하였다.
한편, 본원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481호(2018.08.14.)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을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는 저주파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저주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패드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Rising Edge) 부분을 곡선의 형태로 변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기판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패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으로 마련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한 저주파를 상기 패드부로 전달하는 케이블과, 회전 방향에 따라서 케이블을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도록 코일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원웨이 방식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롤러부가 상기 저지부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케이블의 일단이 통과되는 제1관통홀과, 케이블의 타단이 통과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볼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는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모듈과, 실리콘고무로 마련되어 상기 삽입모듈의 상면 또는 하면의 상기 삽입홀의 주위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모듈과 접촉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양각 또는 음각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제공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의 슬루율(Slew Rate)을 조절하여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상기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의 상기 슬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을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이 회전부에 권취되어 보관됨으로써 케이블의 꼬임이나 엉킴으로 인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펄스의 변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연결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펄스의 변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연결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의 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100)는 본체부(110), 저주파 발생부(120), 제어부(130), 패드부(140) 및 기판(15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부(120)와 제어부(13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11)와 연결부(112)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1)는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부(120)와 제어부(130)가 설치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외면에는 제어부(13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이 설치된다.
연결부(112)는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부(120)와 패드부(14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11)에 설치된다. 연결부(112)는 저주파 발생부(120)와 패드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저주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저주파를 패드부(140)로 전달한다.
저주파 발생부(120)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30)와 패드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삭제
삭제
그러나, 기존의 저주파 제공 장치에서 사용되는 구형파, 삼각파와 같은 파형은 저주파 인가시에 발생되는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는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저주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저주파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저주파 제공 장치에서 사용되는 구형파는
Figure 112022086738415-pat00001
에서 10V를 출력하였을 경우 10V까지 도달하는 기울기의 미분값이 무한대로 형성되어 상승에지 부분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저주파 제공 장치는 저주파 인가시 사용자가 상승에지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따르면 저주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저주파의 상승에지를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주파 펄스인 구형파 및 삼각파의 상승에지 부분을 변조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주파 발생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130)는 상승에지 부분의 슬루율(Slew Rate)을 조절하여 상승에지 부분을 변조한다.
슬루율이란, 시간에 대한 출력전압의 최대 변화율이며, 선형적으로 상승하는 출력 파형의 기울기를 말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의 슬루율을 조절한다.
즉,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20060019237-pat00002
에서 10V를 출력하였을 경우 제어부(130)는 출력전압에 도달하기까지 가장 완만한 곡선을 계산하여
Figure 112020060019237-pat00003
Figure 112020060019237-pat00004
사이의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사용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저역통과필터는 출력전압의 시간변화를 조절하고, 시간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승에지 부분의 기울기를 완만한 곡선으로 변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30)에 따르면,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의 기울기를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다.
패드부(140)는 저주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저주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후술하는 케이블(112a)에 의해 저주파 발생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패드부(140)는 절연부와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절연부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전극부는 전도성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40)는 저주파 자극을 인체에 전달하는 도자(導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40)는 젤패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젤패드는 장기간 사용으로 부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젤패드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면 부착력이 회복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드부(140)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에 붙일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패드부(140)는 패드보관부에 보관될 수 있다. 이 때, 패드부(140)의 가장자리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끈이 형성되는데, 패드보관부에 보관된 패드부(140)를 꺼낼 때 이러한 끈을 파지한 후 외력을 가하면 패드보관부로부터 패드부(140)를 쉽게 탈착할 수 있다.
한편, 패드부(140)와 연결부(112)가 결합되는 부분은 마그네틱 볼 조인트(Magnetic Ball Joint)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볼 조인트에 따르면, 패드부(140)와 연결부(112)가 결합되는 부분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패드부(140)와 연결부(112)가 결합되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12)는 보다 상세하게, 케이블(112a), 케이스(112b), 회전부(112c), 롤러부(112d), 저지부(112e) 및 버튼부(112f)를 포함한다.
케이스(112b)는 하우징부(1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블(112a)이 권취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케이블(112a)의 일단이 통과되는 제1관통홀과 케이블(112a)의 타단이 통과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다.
케이블(112a)은 저주파 발생부(120)에서 발생한 저주파를 패드부(14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저주파 발생부(120)와 패드부(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보다 상세하게, 일단은 케이스(112b)의 제1관통홀을 통과하여 패드부(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회전부(112c)에 권취된 후 케이스(112b)의 제2관통홀을 통과하여 저주파 발생부(12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회전부(112c)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케이블(112a)을 귄취 및 권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코일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112c)는 케이블(112a)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즉, 사용자가 케이블(112a)에 연결된 패드부(140)를 파지하여 당기는 경우)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블(112a)이 권출될 수 있고, 케이블(112a)이 권출될 경우에 회전부(112c)의 판 스프링은 수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회전부(112c)는 케이블(112a)에 인가된 장력이 사라지는 경우(즉, 사용자가 파지한 패드부(140)를 놓을 경우), 수축되어 있던 회전부(112c)의 판 스프링이 이완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케이블(112a)을 권취한다.
롤러부(112d)는 회전부(112c)와 맞물려 회전하는 원웨이(One-Way)방식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롤러부(112d)는 후술하는 저지부(112e)와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될 수 없으므로, 케이블(112a)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부(112d)가 저지부(112e)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는 회전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112a)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저지부(112e)는 롤러부(112d)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롤러부(112d)와 접촉됨으로써 롤러부(112d)의 회전을 저지하여 케이블(112a)이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부(112f)는 사용자가 버튼부(112f)를 누를 경우, 롤러부(112d)가 저지부(112e)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 때, 롤러부(112d)와 맞물려있던 회전부(112c)는 회전하며 케이블(112a)을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상술한 케이블(112a), 케이스(112b), 회전부(112c), 롤러부(112d), 저지부(112e) 및 버튼부(112f)를 포함하는 연결부(112)에 따르면, 케이블(112a)이 권취되어 케이스(112b)내부에 보관됨으로써, 케이블(112a)의 꼬임이나 엉킴으로 인한 케이블(112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판(150)은 저주파 발생부(120) 또는 제어부(13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111)의 내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설치된다.
이 때, 체결부재는 기판(150)에 형성된 삽입홀에 나사 형태로 결합되는데, 저주파 제공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복적으로 체결부재를 나사결합하다 보면 삽입홀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어, 체결부재가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고 기판(150)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을 별도의 삽입모듈(150a)에 형성하고, 삽입모듈(150a)이 기판(1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하면, 유지보수를 위한 기판(150)의 반복적인 탈부착으로 삽입홀의 직경이 증가하여 결합이 헐거워지는 경우, 기판(15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삽입모듈(150a)만을 교체함으로써 기존의 기판(150)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주파 제공 장치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삽입모듈(150a)의 상면 또는 하면의 삽입홀 주위에는 탄성부재(150b)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0b)는 기판(150)이 설치된 하우징부(111) 내부의 상승된 온도에 견딜 수 있도록 고내열성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삽입모듈(150a)이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스와 체결되는 경우, 체결부재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삽입모듈(150a)이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50b)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양/음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탄성부재(150b)의 저면의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체결부재가 삽입모듈(150a)과 하우징부(111)를 고정시킬 때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체부(110), 저주파 발생부(120), 제어부(130), 패드부(140) 및 기판(150)을 포함하는 저주파 제공 장치(100)에 따르면,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을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변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제공 장치
110 : 본체부
111 : 하우징부
112 : 연결부
112a : 케이블
112b : 케이스
112c : 회전부
112d : 롤러부
112e : 저지부
112f : 버튼부
120 : 저주파 발생부
130 : 제어부
140 : 패드부
150 : 기판
150a : 삽입모듈
150b : 탄성부재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상기 저주파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패드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Rising Edge) 부분을 곡선의 형태로 변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기판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패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으로 마련되어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발생한 저주파를 상기 패드부로 전달하는 케이블과, 회전 방향에 따라서 케이블을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도록 코일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원웨이 방식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와 접촉되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롤러부가 상기 저지부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케이블의 일단이 통과되는 제1관통홀과, 케이블의 타단이 통과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볼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는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모듈과, 실리콘고무로 마련되어 상기 삽입모듈의 상면 또는 하면의 상기 삽입홀의 주위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모듈과 접촉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양각 또는 음각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제공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의 슬루율(Slew Rate)을 조절하여 곡선의 형태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상기 저주파 펄스의 상승에지 부분의 상기 슬루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제공 장치.
  5. 삭제
KR1020200070735A 2020-06-11 2020-06-11 저주파 제공 장치 KR10248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35A KR102485132B1 (ko) 2020-06-11 2020-06-11 저주파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35A KR102485132B1 (ko) 2020-06-11 2020-06-11 저주파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862A KR20210153862A (ko) 2021-12-20
KR102485132B1 true KR102485132B1 (ko) 2023-01-09

Family

ID=7903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35A KR102485132B1 (ko) 2020-06-11 2020-06-11 저주파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110B1 (ko) * 2016-06-20 2017-05-29 김민수 중주파를 이용한 복부지방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41B1 (ko) * 2011-07-18 2013-07-24 (주)서흥메가텍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KR20160073105A (ko) * 2014-12-16 2016-06-24 이슬기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FR3056113A1 (fr) * 2016-09-20 2018-03-23 L'oreal Dispositif de traitement de la peau comprenant un modulateur d’impul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110B1 (ko) * 2016-06-20 2017-05-29 김민수 중주파를 이용한 복부지방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862A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7339A (en) Implantable nerve stimulating electrode and lead
US4590946A (en) Surgically implantable electrode for nerve bundles
US7711434B2 (en) Wireless intravascular medical device with a double helical antenna assembly
ES2306495T3 (es) Estimulador electrico neuromuscular con medicion de las respuestas musculares a los impulsos electricos de estimulacion.
US20070067000A1 (en) Implantable pulse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nctional and/or therapeutic stimulation of muscles and/or nerves and/or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
US20070060979A1 (en) Implantable pulse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nctional and / or therapeutic stimulation of muscles and / or nerves and / or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
CA2165064A1 (en) Nerve stimulating device and asociated support device
JP5128166B2 (ja) 電極パッド
US20070173914A1 (en) Self-locking electrode assembly usable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2013505793A5 (ko)
WO2007134288A2 (en) Electrode-battery assembly for tens device
JP7087346B2 (ja) 電気治療器、制御方法、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102485132B1 (ko) 저주파 제공 장치
EP2460559B1 (en) Living tissue stimulation apparatus
CN112386795A (zh) 一种植入式神经电刺激系统
JP2021510328A (ja) 電極パッチ
CN110325243A (zh) 外科植入系统
JP2014008282A (ja) 生体埋植装置及び該生体埋植装置の製造方法。
SE7906665L (sv) Kontaktanordning for muskelstimulering
JP3219139U (ja) バンド式電気刺激器
WO2020198453A1 (en) Ileus prevention device
JP2000126312A (ja) 電子治療器
CN213852770U (zh) 一种具有超薄电极的可穿戴电刺激系统
KR20200127376A (ko) Ems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ems 의류
JP7070089B2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