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19B1 -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19B1
KR102485119B1 KR1020220111314A KR20220111314A KR102485119B1 KR 102485119 B1 KR102485119 B1 KR 102485119B1 KR 1020220111314 A KR1020220111314 A KR 1020220111314A KR 20220111314 A KR20220111314 A KR 20220111314A KR 102485119 B1 KR102485119 B1 KR 10248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driv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관
오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2011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19B1/ko
Priority to PCT/KR2023/009870 priority patent/WO20240489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소 및 운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충전소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충전소 기본정보부; 충전소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 전기차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부; 충전소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 및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고,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ized charging station based on charging station utilization rate and charg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의 이용률 및 운전자의 충전특성에 따른 충전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추천할 수 있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유해 가스 저감을 위하여, 종래의 화석 연료 차량을 대신할 수 있는 친환경 차량인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모터에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모터에 공급하여 모터의 구동이 이루어져, 전기차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차의 주행 중에 회생 제동이 이루어질 때, 모터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배터리의 방전이 이루어지기에, 전기차가 일정 거리 주행한 후에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은 충전소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충전기는 고속도로 휴게소, 대형 마트, 관공서, 공영 주차장 등에 설치된 공용 충전기, 충전기 소유자만 이용할 수 있는 개인용 충전기의 일 형태인 비공용 충전기,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입주민에 의해서만 이용될 수 있는 부분 공용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소는 전기차의 수에 비하여 부족한 설정이다. 이로 인해, 전기차의 운전자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소를 방문하여 장시간 동안 대기하기도 하고, 전기차의 충전 시간에 비하여 과도하게 대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자신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특성에 맞는 충전소를 방문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소의 이용 실태인 충전기 이용현황을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충전에 따른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에 대한 운전자의 충전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기차의 충전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소 및 운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충전소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충전소 기본정보부; 충전소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 전기차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부; 충전소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 및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고,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요금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거나,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가까운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설정치 이하의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의 충전소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며,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전기차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의 평균 충전 시간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는 소정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설정치 횟수 이상 전송받은 경우, 소정의 충전소 위치에 따른 충전소를 선호 충전소로 지정하고, 충전소 기본정보부는 선호 충전소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선호 충전소 정보로 지정하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기로 선호 충전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은, (a) 충전소 기본정보부가 충전소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가 충전소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c)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가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전기차 충전 관리부가 전기차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 (e)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가 충전소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e)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가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f)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g)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가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요금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거나,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가까운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설정치 이하의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의 충전소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며,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전기차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의 평균 충전 시간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 단계에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는 소정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설정치 횟수 이상 전송받은 경우, 소정의 충전소 위치에 따른 충전소를 선호 충전소로 지정하고, 충전소 기본정보부는 선호 충전소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선호 충전소 정보로 지정하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기로 선호 충전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충전소의 이용 실태인 충전기 이용현황을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가 충전에 따른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2) 전기차에 대한 운전자의 충전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가 전기차의 충전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은 충전소(10), 전기차(20) 및 운전자 단말기(3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소 기본정보부(101),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 및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는 전기차(20)를 이용하거나 소유한 상태로 운전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전기차(2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충전소(1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충전기를 포함하며, 충전기를 네트워크(1)에 연결하면서 관리하는 충전소 관리 서버(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기본정보부(101),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 및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은 충전소(10), 전기차(20) 및 운전자 단말기(30)의 각각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충전소(10), 전기차(20) 및 운전자 단말기(30)의 각각에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운전자 단말기(30)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3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충전소(10)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방식, 운영 시간, 충전 요금, 최대 충전량 및 이용 대상을 포함하는 충전소 기본 정보와 정상, 고장, 대기, 방전 등에 따른 충전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기본 정보는 충전소(10)의 관리자에 의해 충전소(1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용 대상은 해당 충전소에 따른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등록된 운전자 및 로밍 운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로밍 운전자는 해당 충전소의 충전기와는 상이한 충전기에 해당되고 해당 충전소에 따른 충전서비스사업자에 제휴된 운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충전 가능 여부는 충전 가능(예를 들어, 정상 등) 또는 충전 불가(예를 들어, 고장, 대기, 방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전송받은 충전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상태 정보는 운전자에 의한 충전소 이용에 의해 변경될 수 있어,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변경되는 충전소 상태 정보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는 충전소(10)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전기차(20)가 충전소(10)에 연결되어 충전될 때, 충전소(10)는 충전 정보를 생성하여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는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는 충전소별로 충전기 이용률, 최대 이용 시간 및 최소 이용 시간을 충전소 기본 정보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 이용률은 설정 기간 동안 충전기의 사용 시간을 백분율로 산출한 값을 의미하고, 충전기의 충전 점유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 이용률은 기간별 이용률 및 요일별 이용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간별 이용률은 설정 기간(예를 들어, 일, 월, 시간 등) 동안 충전기의 사용 시간을 설정 기간의 총 시간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산출한 값이고, 요일별 이용률은 설정 기간(예를 들어, 년, 월 등) 동안 특정 요일(예를 들어, 월, 화, 수, 토, 일 등)에 대한 충전기의 사용 시간을 설정 기간의 특정 요일의 총 시간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산출한 값이다.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는 설정 기간을 기준으로 한 충전소의 이용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0% 내지 1%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15분을 나타내고,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1.1% 내지 2.8%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40분을 나타내며,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2.9% 내지 4.2%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60분을 나타내고,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4.3% 내지 5.6%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80분을 나타내며,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5.7% 내지 6.9%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100분을 나타내고,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7.0%이상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101분 이상을 나타낸다.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전기차(20)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전기차(20)가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전기차(20)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상태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배터리 최대용량 및 현재 배터리 충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 충전속도는 현재 배터리 충정율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시 단위시간 당 충전량을 의미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속도는 현재 배터리 충전율이 80%보다 클 때보다 현재 배터리 충전율이 80%이하일 때 빠를 수 있다. 즉,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현재 배터리 상태 정보에 맞도록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정보에서 현재 배터리 충전율이 설정치 이하일 때,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한 전기차(20)에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30)에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는 자신의 전기차(20)에 대한 충전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충전소(10)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전기차(20)가 충전소(10)에 연결되어 충전될 때, 충전소(10)는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는 충전 집중도, 충전 빈도, 평균 충전량, 평균 충전시간, 평균 충전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소정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설정치 횟수 이상 전송받은 경우, 소정의 충전소 위치에 따른 충전소(10)를 선호 충전소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선호 충전소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선호 충전소 정보로 지정하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기(30)로 선호 충전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충전 시작 시각과 충전 종료 시각의 차이로부터 1회 충전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1회 충전시간에 따른 충전량으로부터 1회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1회 충전량과 해당 충전소(10)의 이용 요금을 조합하여 1회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1회 충전량은 전기차(20)가 충전될 때 전기차(20)의 전기차 충전용량일 수 있다.
또한, 산출된 1회 충전시간, 1회 충전량 및 1회 충전요금은 각각 합산된 이후에 전체 충전 회수로 나누어져, 평균 충전시간, 평균 충전량 및 평균 충전 요금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소정의 회차 충전(예를 들어, 1회차 충전)의 충전 종료 시각과 소정의 회차 충전의 다음 회차 충전(예를 들어, 2회차 충전)의 충전 시작 시각을 바탕으로 하여 충전 빈도를 산출할 수 있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충전 시작 시각을 충전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충전시간을 고려하여 충전 집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운전자 단말기(30)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개인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운전자 연락처, 충전서비스사업자, 선호 충전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개인 정보는 전기차 위치, 전기차 충전 방식, 충전 희망 시간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30)는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로부터 알람 신호를 전송받을 때, 운전자 개인 정보를 자동으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충전소 정보는 운전자에 대하여 최적의 충전소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추천 목록을 운전자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충전소(10)의 충전기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요금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거나,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가까운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10) 또는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거나 선호하는 충전소(10)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추출된 충전소 정보로부터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설정치 이하의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의 충전소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추천 목록을 운전자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충전기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목록은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위치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아 대기시간이 짧은 충전소(10)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추출된 충전소 정보로부터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전기차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의 평균 충전 시간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추천 목록을 운전자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충전기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목록은 평균 충전 시간을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위치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자 충전특성에 맞는 충전소(10)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추출된 충전소 정보로부터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전기차(20)의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충전소(10)를 추천하는 데에 있어서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에 따른 충전소(10)의 이용현황을 고려한 상태로 충전소(10)(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은 충전소(10))를 추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기차(20)의 충전에 따른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전기차(20)의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충전소(10)를 추천하는 데에 있어서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운전자의 충전특성에 맞는 충전소(10)를 추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기차(20)의 충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가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을 때,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운전자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20)에 따른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전기차 충전속도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예상 시간을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에 전송된 운전자 개인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배터리 최대용량 X (1 - 현재 배터리 충전율)을 통해 산출된 충전 요청량을 전기차 충전속도로 나누어 충전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맞충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때,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면서 충전 희망 시각으로부터 충전 예상 시간 동안 이용가능한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기차(2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이에 따른 전기차 충전 속도를 고려하여 충전소(10)를 추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은 전기차(20)를 이용하거나 소유한 상태로 운전하면서 전기차(2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운전자에게 충전소(10)를 추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은 앞서 언급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충전소 기본정보부(101)가 충전소(10)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01)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방식, 운영 시간, 충전 요금, 최대 충전량 및 이용 대상을 포함하는 충전소 기본 정보와 정상, 고장, 대기, 방전 등에 따른 충전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기본 정보는 충전소(10)의 관리자에 의해 충전소(1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용 대상은 해당 충전소에 따른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등록된 운전자 및 로밍 운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로밍 운전자는 해당 충전소의 충전기와는 상이한 충전기에 해당되고 해당 충전소에 따른 충전서비스사업자에 제휴된 운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충전 가능 여부는 충전 가능(예를 들어, 정상 등) 또는 충전 불가(예를 들어, 고장, 대기, 방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전송받은 충전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상태 정보는 운전자에 의한 충전소 이용에 의해 변경될 수 있어,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변경되는 충전소 상태 정보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가 충전소(10)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02)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전기차(20)가 충전소(10)에 연결되어 충전될 때, 충전소(10)는 충전 정보를 생성하여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가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는 충전소별로 충전기 이용률, 최대 이용 시간 및 최소 이용 시간을 충전소 기본 정보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기간별 이용률은 설정 기간(예를 들어, 일, 월, 시간 등) 동안 하나의 충전소에서 전기차(20)에 충전된 충전량의 총합을 하나의 충전소에서 최대 가능 충전량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산출한 값이고, 요일별 이용률은 설정 기간(예를 들어, 년, 월 등) 동안 설정 요일(예를 들어, 월, 화, 수, 토, 일 등)에 대한 하나의 충전소에서 전기차(20)에 충전된 충전량의 총합을 하나의 충전소에서 최대 가능 충전량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산출한 값이다. 즉,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102)는 특정 기간 및 특정 요일을 기준으로 한 충전소의 이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0% 내지 1%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15분을 나타내고,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1.1% 내지 2.8%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40분을 나타내며,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2.9% 내지 4.2%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60분을 나타내고,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4.3% 내지 5.6%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80분을 나타내며,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5.7% 내지 6.9%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100분을 나타내고, 기간별 이용률 또는 요일별 이용률이 7.0%이상의 충전소(10)의 경우, 전기차(20)의 충전 시간은 101분 이상을 나타낸다.
이어서,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가 전기차(20)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04)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전기차(20)가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전기차(20)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상태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배터리 최대용량 및 현재 배터리 충전율을 포함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 충전속도는 현재 배터리 충정율을 기준으로 하여 충전시 단위시간 당 충전량을 의미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속도는 현재 배터리 충전율이 80%보다 클 때보다 현재 배터리 충전율이 80%이하일 때 빠를 수 있다. 즉,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현재 배터리 상태 정보에 맞도록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정보에서 현재 배터리 충전율이 설정치 이하일 때,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한 전기차(20)에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30)에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는 자신의 전기차(20)에 대한 충전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가 충전소(10)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05)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전기차(20)가 충전소(10)에 연결되어 충전될 때, 충전소(10)는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가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6)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는 충전 집중도, 충전 빈도, 평균 충전량, 평균 충전시간, 평균 충전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소정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설정치 횟수 이상 전송받은 경우, 소정의 충전소 위치에 따른 충전소(10)를 선호 충전소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기본정보부(101)는 선호 충전소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선호 충전소 정보로 지정하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기(30)로 선호 충전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106 단계에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충전 시작 시각과 충전 종료 시각의 차이로부터 1회 충전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1회 충전시간에 따른 충전량으로부터 1회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1회 충전량과 해당 충전소(10)의 이용 요금을 조합하여 1회 충전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1회 충전량은 전기차(20)가 충전될 때 전기차(20)의 전기차 충전용량일 수 있다.
S106 단계에서, 산출된 1회 충전시간, 1회 충전량 및 1회 충전요금은 각각 합산된 이후에 전체 충전 회수로 나누어져, 평균 충전시간, 평균 충전량 및 평균 충전 요금이 산출될 수 있다.
S106 단계에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104)는 소정의 회차 충전(예를 들어, 1회차 충전)의 충전 종료 시각과 소정의 회차 충전의 다음 회차 충전(예를 들어, 2회차 충전)의 충전 시작 시각을 바탕으로 하여 충전 빈도를 산출할 수 있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충전 시작 시각을 충전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충전시간을 고려하여 충전 집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가 운전자 단말기(30)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S107)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개인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운전자 연락처, 충전서비스사업자, 선호 충전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개인 정보는 전기차 위치, 전기차 충전 방식, 충전 희망 시간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104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30)는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로부터 알람 신호를 전송받을 때, 운전자 개인 정보를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가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여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108)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충전소 정보는 운전자에 대하여 최적의 충전소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추천 목록을 운전자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충전소(10)의 충전기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요금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거나,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가까운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10) 또는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거나 선호하는 충전소(10)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S108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추출된 충전소 정보로부터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설정치 이하의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의 충전소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추천 목록을 운전자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충전기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목록은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위치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아 대기시간이 짧은 충전소(10)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S108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추출된 충전소 정보로부터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전기차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의 평균 충전 시간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추천 목록을 운전자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충전기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목록은 평균 충전 시간을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위치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자 충전특성에 맞는 충전소(10)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S108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추출된 충전소 정보로부터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충전소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은 운전자의 전기차(20)의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충전소(10)를 추천하는 데에 있어서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에 따른 충전소(10)의 이용현황을 고려한 상태로 충전소(10)(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은 충전소(10))를 추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기차(20)의 충전에 따른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은 운전자의 전기차(20)의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충전소(10)를 추천하는 데에 있어서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운전자의 충전특성에 맞는 충전소(10)를 추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기차(20)의 충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의 S107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가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을 때,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운전자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차(20)에 따른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전기차 충전속도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예상 시간을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에 전송된 운전자 개인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 충전 관리부(103)는 배터리 최대용량 X (1 - 현재 배터리 충전율)을 통해 산출된 충전 요청량을 전기차 충전속도로 나누어 충전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S108 단계에서, 맞충형 충전소 추천부(105)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때,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면서 충전 희망 시각으로부터 충전 예상 시간 동안 이용가능한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은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105)를 통해 전기차(2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이에 따른 전기차 충전 속도를 고려하여 충전소(10)를 추천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0: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101: 충전소 기본정보부
102: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
103: 전기차 충전 관리부
104: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
105: 맞춤형 충전 추천부

Claims (14)

  1. 전기차, 충전소 및 운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충전소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충전소 기본정보부;
    충전소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
    전기차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부;
    충전소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 및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고,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를 포함하되,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방식, 운영 시간, 충전 요금, 최대 충전량 및 이용 대상을 포함하는 충전소 기본 정보와 충전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충전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하고,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는 충전소별로 충전기 이용률, 최대 이용 시간 및 최소 이용 시간을 충전소 기본 정보와 함께 포함하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는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하고,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는 충전 집중도, 충전 빈도, 평균 충전량, 평균 충전시간, 평균 충전 요금을 포함하며,
    운전자 개인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운전자 연락처, 충전서비스사업자, 선호 충전소 정보, 전기차 위치, 전기차 충전 방식, 충전 희망 시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요금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거나,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가까운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설정치 이하의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의 충전소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며,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전기차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의 평균 충전 시간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는 소정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설정치 횟수 이상 전송받은 경우, 소정의 충전소 위치에 따른 충전소를 선호 충전소로 지정하고, 충전소 기본정보부는 선호 충전소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선호 충전소 정보로 지정하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기로 선호 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8. (a) 충전소 기본정보부가 충전소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가 충전소로부터 충전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c) 충전소 이용내역 관리부가 전송받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전기차 충전 관리부가 전기차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차 충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
    (e)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가 충전소로부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e)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가 전송받은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f)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운전자 개인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g)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가 충전기 이용현황 정보 및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전송받은 운전자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방식, 운영 시간, 충전 요금, 최대 충전량 및 이용 대상을 포함하는 충전소 기본 정보와 충전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충전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하고,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는 충전소별로 충전기 이용률, 최대 이용 시간 및 최소 이용 시간을 충전소 기본 정보와 함께 포함하며,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는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충전소 위치, 충전 시작 시각, 충전 종료 시각 및 충전량을 포함하고,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는 충전 집중도, 충전 빈도, 평균 충전량, 평균 충전시간, 평균 충전 요금을 포함하며,
    운전자 개인 정보는 전기차 차량 번호, 운전자 연락처, 충전서비스사업자, 선호 충전소 정보, 전기차 위치, 전기차 충전 방식, 충전 희망 시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요금을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할 수 있거나,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가까운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 또는 선호 충전소 정보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우선순위로 배열되도록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고, 설정치 이하의 충전기 이용률을 포함하는 충전소 이용현황 정보의 충전소 위치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g) 단계에서, 맞춤형 충전소 추천부는 충전 가능의 충전소 상태 정보를 포함하면서,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서비스사업자에 대응되는 이용대상,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충전 방식에 대응되는 충전 방식, 운전자 개인 정보의 충전 희망 시각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 및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위치로부터 설정치 이내의 거리에 위치된 충전소 위치 또는 운전자 개인 정보의 선호 충전소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소 위치를 포함하는 충전소 정보를 추출하며, 운전자 개인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전기차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충전특성 정보의 평균 충전 시간에 대응되는 운영 시간을 포함하는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며, 추가로 추출된 충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e) 단계에서, 운전자 충전특성 분석부는 소정의 충전소 위치를 포함한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를 설정치 횟수 이상 전송받은 경우, 소정의 충전소 위치에 따른 충전소를 선호 충전소로 지정하고, 충전소 기본정보부는 선호 충전소에 대응되는 충전소 정보를 선호 충전소 정보로 지정하고 운전자 충전내역 정보의 전기차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기로 선호 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충전소 추천 방법.
KR1020220111314A 2022-09-02 2022-09-02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48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14A KR102485119B1 (ko) 2022-09-02 2022-09-02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3/009870 WO2024048979A1 (ko) 2022-09-02 2023-07-11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14A KR102485119B1 (ko) 2022-09-02 2022-09-02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119B1 true KR102485119B1 (ko) 2023-01-06

Family

ID=8492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14A KR102485119B1 (ko) 2022-09-02 2022-09-02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5119B1 (ko)
WO (1) WO20240489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79A1 (ko)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339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KR20190134881A (ko) * 2018-05-03 2019-12-05 (주)대륜엔지니어링 IoT망을 활용한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138082A (ko) * 2018-06-04 2019-12-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예약 시스템
KR20210006274A (ko) * 2019-07-08 2021-01-1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온라인 주차장 예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20066632A (ko) * 2020-11-16 202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9824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충전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119B1 (ko) * 2022-09-02 2023-01-06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339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KR20190134881A (ko) * 2018-05-03 2019-12-05 (주)대륜엔지니어링 IoT망을 활용한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138082A (ko) * 2018-06-04 2019-12-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예약 시스템
KR20210006274A (ko) * 2019-07-08 2021-01-1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온라인 주차장 예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20066632A (ko) * 2020-11-16 202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9824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충전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방법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79A1 (ko) * 2022-09-02 2024-03-07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79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13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US11917431B2 (en) Connected vehicle network data transfer optimization
US9184778B2 (en) Vehicle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US11126932B2 (en) Reservation management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EP2476578B1 (en) Dynamic load profiling
Ren et al. An intelligent big data collection technology based on micro mobile data centers for crowdsensing vehicular sensor network
CN104918819A (zh) 用于启动电动车充电过程的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
KR102485119B1 (ko) 충전소 이용률 및 충전특성을 기반한 맞춤형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4339733B (zh) 模型训练方法及相关设备
Cao et al. Toward distributed battery switch based electro-mobility using publish/subscribe system
US11856511B2 (en) Connected vehicle bandwidth-based network selection
CN111083727A (zh) 连接服务质量的预测方法及装置
KR102517062B1 (ko) 전기차를 위한 구독형 충전 예약 보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899281B1 (ko) 차량 대여 시스템 및 방법
Belakaria et al. Optimal vehicle dimensioning for multi-class autonomous electric mobility on-demand systems
Drogeanu et al. Web Interface for IoT Vehicle Monitoring System
CN103847536A (zh) 电动车辆充电监控的车用装置及其方法
US20130178188A1 (en) Modeling billing impacts in data sensitive environments
KR102673309B1 (ko) 차량의 전원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240071532A (ko) 전기차 충전 인프라 운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2041116A1 (en) Management for background da ta transfer (bdt) based on dynamic tariff da ta
KR20240071531A (ko) 전기차 충전 인프라 운영 시스템
KR20240071530A (ko) 전기차 충전소의 대기 관리 시스템
CN115871513A (zh) 一种充电前电池热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7485187A (zh) 服务器及电力调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