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057B1 -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057B1
KR102485057B1 KR1020220066819A KR20220066819A KR102485057B1 KR 102485057 B1 KR102485057 B1 KR 102485057B1 KR 1020220066819 A KR1020220066819 A KR 1020220066819A KR 20220066819 A KR20220066819 A KR 20220066819A KR 102485057 B1 KR102485057 B1 KR 10248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ep relay
latch
reset
stat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508A (ko
Inventor
김남순
김성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6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0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8Relays having both armature and contacts within a sealed casing outside which the operating coil is located, e.g. contact carried by a magnetic leaf spring or reed
    • H01H51/284Polarised relays
    • H01H51/285Polarised relays for latching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8Indicators; Distinguishing ma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킵 릴레이는, 제1 세트 스위치, 제2 세트 스위, 세트 코일, 세트 래치, 리셋 래치, 및 접점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트 스위치는,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트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개폐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세트 래치는, 상기 세트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고, 상기 접점가동부는,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킵 릴레이를 세트 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세트 스위치는,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세트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KEEP RELAY TO CUT OFF CONTUNUOUS POW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레이(relay)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도통하는 경우에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전류가 도통되지 않는 경우에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릴레이의 작동 상태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인 릴레이 대신 킵 릴레이(keep relay)(또는 래칭 릴레이(latching rela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킵 릴레이는 전자석과 영구 자석(또는 구속 물체)을 조합하여 구성되고, 영구 자석의 자력(또는 구속 물체를 통한 위치 고정 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동작 상태(예: 세트(set) 상태 또는 리셋(reset)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 전력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137346호(2019.12.11 공개, 실시간 상태제어가 가능한 래치 릴레이, 래치 릴레이의 상태제어 방법 및 실시간 상태제어가 가능한 래치 릴레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개시되어 있다.
킵 릴레이는 제어 회로의 일시적인 펄스 입력 신호(또는 펄스 전압 입력)에 기반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있으나, 실제 전력설비를 운영하는 현장에서는 제어 회로가 지속적인 입력 신호를 킵 릴레이로 송신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킵 릴레이의 코일에 연속적인 전압이 인가되어, 킵 릴레이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로부터 지속적인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킵 릴레이의 수명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제어 회로로부터 지속적인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킵 릴레이의 수명을 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는, 제1 세트 스위치, 제2 세트 스위, 세트 코일, 세트 래치, 리셋 래치, 및 접점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트 스위치는,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트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개폐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세트 래치는, 상기 세트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고, 상기 접점가동부는,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킵 릴레이를 세트 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세트 스위치는,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세트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킵 릴레이는, 제1 리셋 스위치 및 리셋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셋 스위치는,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리셋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리셋 스위치의 접점을 개폐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리셋 래치는, 상기 리셋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상기 세트 래치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세트 래치는, 상기 리셋 래치가 하강되면,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접점가동부는,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킵 릴레이를 리셋 상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킵 릴레이는, 제2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셋 스위치는,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리셋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리셋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리셋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리셋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킵 릴레이는, 롤러형 상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형 상태 표시기는,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세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리셋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은, 킵 릴레이의 제1 세트 스위치가,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킵 릴레이의 세트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개폐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세트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상기 킵 릴레이의 세트 래치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킵 릴레이의 리셋 래치에 구속되는 단계, 상기 킵 릴레이의 접점가동부가,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상기 킵 릴레이를 세트 상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세트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킵 릴레이의 제2 세트 스위치가,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킵 릴레이의 제1 리셋 스위치가,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리셋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리셋 스위치의 접점을 개폐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리셋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상기 리셋 래치가, 상기 세트 래치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강되는 단계, 상기 리셋 래치가 하강되면, 상기 세트 래치가,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접점가동부가,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킵 릴레이를 리셋 상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리셋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킵 릴레이의 제2 리셋 스위치가,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리셋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리셋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리셋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은, 상기 킵 릴레이의 롤러형 상태 표시기가,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세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리셋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킵 릴레이의 코일이 여자된 이후, 코일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제어 회로로부터 지속적인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킵 릴레이의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의 외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서 동작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단선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의 외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a는 킵 릴레이의 외형을 도시하는 예시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킵 릴레이의 측면을 도시하는 예시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킵 릴레이(100)는 세트 코일(101), 리셋 코일(103), 세트 래치(105), 접점가동부(107), 및 리셋 래치(10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101)의 기동을 위한 연속적인 입력 신호가 킵 릴레이(100)로 송신되면, 킵 릴레이(100)의 세트 래치(105)가 제1 방향(예: 좌측)에서 제2 방향(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킵 릴레이(100)의 세트 래치(105)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세트 래치(105)는 리셋 래치(109)에 의해 구속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킵 릴레이(100)의 세트 래치(105)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킵 릴레이(100)의 접점가동부(107)가 상승하게 되며, 킵 릴리에(100)는 접점가동부(107)의 위치 변화에 의해 세트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킵 릴레이(100)는 세트 상태로 동작한 이후, 세트 코일(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제어 회로의 연속적인 입력 신호에 의해 킵 릴레이(100)의 수명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103)의 기동을 위한 연속적인 입력 신호가 킵 릴레이(100)로 송신되면, 킵 릴레이(100)의 리셋 래치(109)가 하강할 수 있다. 킵 릴레이(100)의 리셋 래치(109)가 하강하면, 리셋 래치(109)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세트 래치(105)가 해방되어,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트 래치(105)가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 접점가동부(107)가 하강하게 되며, 킵 릴리에(100)는 접점가동부(107)의 위치 변화에 의해 리셋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킵 릴레이(100)는 리셋 상태로 동작한 이후, 리셋 코일(103)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제어 회로의 연속적인 입력 신호에 의해 킵 릴레이(100)의 수명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킵 릴레이(200)(예: 도 1a 및 도 1b의 킵 릴레이(100))는 제1 세트 스위치(203), 제2 세트 스위치(205), 세트 코일(207), 제1 리셋 스위치(209), 제2 리셋 스위치(211), 및 리셋 코일(2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원 차단기(202)가 전원(201)과 킵 릴레이(200)를 연결시키면, 킵 릴레이(20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킵 릴레이(200)에 전력이 공급되더라도, 제어 회로(미도시)의 제어 신호가 미수신되면, 제1 세트 스위치(203) 또는 제1 리셋 스위치(209)의 기동 접점이 개로 상태를 유지하여, 세트 코일(207) 및 리셋 코일(213)에 전력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 회로(미도시)가 킵 릴레이(200)의 세트 코일을 여자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세트 스위치(203)로 인가하면, 제1 세트 스위치(203)의 접점(또는 기동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이동되어, 세트 코일(207)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2 세트 스위치(205)는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폐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리셋 스위치(209)는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개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회로는 연속적인 입력 신호를 각각의 스위치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세트 스위치(203)의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이동된 경우, 세트 코일(207)에 전력이 공급되어, 세트 코일(207)이 여자될 수 있다. 세트 코일(207) 여자되면, 킵 릴레이(200)의 세트 래치(예: 도 1b의 세트 래치(105))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리셋 래치(예: 도 1b의 리셋 래치(109))에 구속되고, 이에 따라, 킵 릴레이(200)의 접점가동부(예: 도 1b의 접점가동부(107))가 상승하게 되어, 킵 릴레이(200)가 세트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세트 스위치(205)는 세트 코일(207)이 여자된 이후,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207)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세트 스위치(205)는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207)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세트 스위치(205)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킵 릴레이(200)는 세트 상태로 동작한 이후, 제2 세트 스위치(205)를 통해 세트 코일(207)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전력 공급에 의해 세트 코일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 회로가 킵 릴레이(200)의 리셋 코일을 여자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리셋 스위치(209)로 인가하면, 제1 리셋 스위치(209)의 접점(또는 기동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이동되어, 리셋 코일(213)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2 리셋 스위치(211)는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폐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세트 스위치(203)는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개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회로는 연속적인 입력 신호를 각각의 스위치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리셋 스위치(209)의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이동된 경우, 리셋 코일(213)에 전력이 공급되어, 리셋 코일(213)이 여자될 수 있다. 리셋 코일(213) 여자되면, 킵 릴레이(200)의 리셋 래치(예: 도 1b의 리셋 래치(109))가 하강할 수 있다.킵 릴레이(200)의 리셋 래치가 하강하면, 리셋 래치에 구속되어 있던 세트 래치(예: 도 1b의 세트 래치(105))의 구속이 해방되어,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킵 릴레이(200)의 접점가동부(예: 도 1b의 접점가동부(107))가 하강하게 되어, 킵 릴레이(200)가 리셋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리셋 스위치(209)는 리셋 코일(213)이 여자된 이후,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213)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리셋 스위치(209)는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213)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리셋 스위치(209)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킵 릴레이(200)는 리셋 상태로 동작한 이후, 제2 리셋 스위치(209)를 통해 리셋 코일(213)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전력 공급에 의해 리셋 코일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킵 릴레이서 동작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킵 릴레이(300)(예: 도 1b의 킵 릴레이(100) 또는 도 2의 킵 릴레이(200))는 리셋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롤러형 상태 표시기(307)를 통해 킵 릴레이(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킵 릴레이(300)는 리셋 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세트 래치(303)(예: 도 1b의 세트 래치(105))가 리셋 래치(301)(예: 도 1b의 리셋 래치(109))로 해방되면, 롤러형 상태 표시기(307)와 연결된 기구(305)가 리셋 래치(301)에 의해 이동되며, 이에 따라, 기구(305)와 연결된 롤러형 상태 표시기(307)가 리셋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킵 릴레이(300)의 동작 상태가 리셋 상태에서 킵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킵 릴레이(300)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킵 릴레이(300)가 리셋 상태에서 세트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세트 래치(303)가 리셋 래치(301)로 구속되면, 롤러형 상태 표시기(307)와 연결된 기구(305)가 리셋 래치(301)를 따라 이동되며, 이에 따라, 기구(305)와 연결된 롤러형 상태 표시기(307)가 리셋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킵 릴레이(300)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킵 릴레이(300)의 동작 상태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킵 릴레이(예: 도 1b의 킵 릴레이(100), 도 2의 킵 릴레이(200), 또는 도 3의 킵 릴레이(300))는 세트 코일(예: 도 1b의 세트 코일(101) 또는 도 2의 세트 코일(207)) 기동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세트 스위치(예: 도 2의 제1 세트 스위치(203))의 접점을 개로 상태에로 폐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킵 릴레이(200)의 제1 세트 스위치(203)는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207)에 전력을 인가할 것을 요청하는 연속적인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세트 코일(207)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접점을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킵 릴레이(200)는 제1 세트 스위치(203)의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세트 래치(예: 도 1b의 세트 래치(105))를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트 스위치(203)의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세트 코일(207)이 여자되면, 킵 릴레이(200)의 세트 래치(예: 도 1b의 세트 래치(105))는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리셋 래치(예: 도 1b의 리셋 래치(109))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킵 릴레이(200)는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접점가동부(예: 도 1b의 접점가동부(107))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킵 릴레이(200)의 세트 래치가 이동에 의해 리셋 래치에 의해 구속되면, 세트 래치와 연계된 킵 릴레이(200)의 접점가동부가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킵 릴레이(200)는 세트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킵 릴레이(200)는 전원 차단 신호에 기반하여 제2 세트 스위치(205)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킵 릴레이(200)의 제2 세트 스위치(205)는 킵 릴레이(200)가 세트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207)의 전력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연속적인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세트 코일(207)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2 세트 스위치(205)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적인 전원 공급에 의해 킵 릴레이(200)의 세트 코일(207)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킵 릴레이(예: 도 1b의 킵 릴레이(100), 도 2의 킵 릴레이(200), 또는 도 3의 킵 릴레이(300))는 리셋 코일(예: 도 1b의 리셋 코일(103) 또는 도 2의 리셋 코일(213)) 기동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리셋 스위치(예: 도 2의 제1 리셋 스위치(209))의 접점을 개로 상태에로 폐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킵 릴레이(200)의 제1 리셋 스위치(209)는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213)에 전력을 인가할 것을 요청하는 연속적인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리셋 코일(213)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접점을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킵 릴레이(200)는 제1 리셋 스위치(209)의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세트 래치(예: 도 1b의 세트 래치(105))를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셋 스위치(209의 접점이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리셋 코일(213)이 여자되면, 킵 릴레이(200)의 리셋 래치(예: 도 1b의 리셋 래치(109))가 하강되며, 이에 따라, 리셋 래치에 구속된 세트 래치가 해방되어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킵 릴레이(200)는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접점가동부(예: 도 1b의 접점가동부(107))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킵 릴레이(200)의 세트 래치가 이동에 의해 리셋 래치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면,세트 래치와 연계된 킵 릴레이(200)의 접점가동부가 하강될 수 있다. 이 경우, 킵 릴레이(200)는 리셋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킵 릴레이(200)는 전원 차단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리셋 스위치(211)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킵 릴레이(200)의 제2 리셋 스위치(211)는 킵 릴레이(200)가 리셋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제어 회로로부터 리셋 코일(213)의 전력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연속적인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리셋 코일(213)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2 리셋 스위치(211)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적인 전원 공급에 의해 킵 릴레이(200)의 리셋 코일(213)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200, 300 : 킵 릴레이
101, 207 : 세트 코일
103, 213 : 리셋 코일
105 : 세트 래치
107 : 접점가동부
109 : 리셋 래치

Claims (2)

  1. 제1 세트 스위치;
    제2 세트 스위치;
    세트 코일;
    세트 래치;
    리셋 래치; 및
    접점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트 스위치는,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트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세트 래치는, 상기 세트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고,
    상기 접점가동부는,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킵 릴레이를 세트 상태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세트 스위치는,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세트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로 상태로 전환하고,
    롤러형 상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형 상태 표시기는,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세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리셋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롤러형 상태 표시기는, 상기 리셋 래치를 따라 이동하는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형 상태 표시기는, 상기 기구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킵 릴레이가 세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킵 릴레이가 리셋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 릴레이.
  2. 킵 릴레이의 제1 세트 스위치가, 제어 회로로부터 세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킵 릴레이의 세트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개로 상태에서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세트 코일이 전원 공급에 의해 여자되면, 상기 킵 릴레이의 세트 래치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킵 릴레이의 리셋 래치에 구속되는 단계;
    상기 킵 릴레이의 접점가동부가, 상기 세트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상기 킵 릴레이를 세트 상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킵 릴레이가 상기 세트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킵 릴레이의 제2 세트 스위치가,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세트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세트 스위치의 접점을 폐로 상태에서 개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킵 릴레이의 롤러형 상태 표시기가,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에 구속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세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 래치가 상기 리셋 래치로부터 해방되면, 상기 킵 릴레이가 리셋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롤러형 상태 표시기는,
    상기 리셋 래치를 따라 이동하는 기구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킵 릴레이가 세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킵 릴레이가 리셋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 릴레이의 동작 방법.
KR1020220066819A 2020-05-28 2022-05-31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819A KR102485057B1 (ko) 2020-05-28 2022-05-31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54A KR102405756B1 (ko) 2020-05-28 2020-05-28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20066819A KR102485057B1 (ko) 2020-05-28 2022-05-31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54A Division KR102405756B1 (ko) 2020-05-28 2020-05-28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508A KR20220079508A (ko) 2022-06-13
KR102485057B1 true KR102485057B1 (ko) 2023-01-06

Family

ID=78868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54A KR102405756B1 (ko) 2020-05-28 2020-05-28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20066819A KR102485057B1 (ko) 2020-05-28 2022-05-31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54A KR102405756B1 (ko) 2020-05-28 2020-05-28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57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679B2 (ja) * 1989-09-27 1996-09-11 アンリツ株式会社 ラッチングリレ―の駆動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679B2 (ja) * 1989-09-27 1996-09-11 アンリツ株式会社 ラッチングリレ―の駆動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79A (ko) 2021-12-07
KR20220079508A (ko) 2022-06-13
KR102405756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7880B2 (ja) 電磁接触器の補助接点機構
US8576028B2 (en) Switch device, switch device system, and switch apparatus including switch device or switch device system
KR102485057B1 (ko) 연속 전원을 차단하는 킵 릴레이 및 그 동작 방법
DK1340238T3 (da) Hybrid elektrisk afbryderindretning
JP2010071991A (ja) 電子接触器の寿命予測装置
JP2014023296A (ja) 電力伝送コイル
US11948764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WO2015098145A1 (ja) 開閉装置
US10186390B2 (en) Relay circuit for contact preserv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circuit
US9374025B2 (en) Control circuit and electrical device
JP2008305680A (ja) 回路遮断器の電磁石装置
JPWO2019181274A1 (ja) 電磁継電器及び制御方法
TWI748156B (zh) 開關、顯示保持方法以及顯示保持程式
ATE410781T1 (de) Unterbrecherschalter-kontaktor mit piezoelektrisch gesteuerter verriegelung
JP6292132B2 (ja) 電磁継電器
CN113853666B (zh) 断路器
JP2008053434A (ja) 操作感覚呈示装置
JP4910759B2 (ja) 電磁接触器
JP2009153267A (ja) 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電力供給制御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
KR20160091156A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KR101803341B1 (ko) 소형 모터 가동 컨트롤 장치
JP7310887B2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080006425A (ko) 키를 이용한 전자석 접점 장치
Eniliev PRINCIPLE OF OPERATION AND APPLICATION AREA OF ELECTROMAGNETIC RELAY
JP2019169394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