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841B1 -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 Google Patents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841B1
KR102484841B1 KR1020220104940A KR20220104940A KR102484841B1 KR 102484841 B1 KR102484841 B1 KR 102484841B1 KR 1020220104940 A KR1020220104940 A KR 1020220104940A KR 20220104940 A KR20220104940 A KR 20220104940A KR 102484841 B1 KR102484841 B1 KR 10248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d
air
independent space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원
윤정일
최운락
Original Assignee
위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병상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격리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에어빔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재실자 출입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는 상기 병상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BED-LINKED FACILITY PROVIDING INDEPENDENT SPACE}
본 발명은 병상과 연계되고 외부로부터 격리된 독립 공간을 제공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염성이 강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또는 감염원)는 비말 등을 통해 쉽게 확산될 수 있다. 감염자로부터 병원체가 확산되는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감염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사람들의 건강과 삶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수 있다. 병원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병원에서는 감염병에 걸린 환자들을 음압(negative pressure) 병실에 격리하여 치료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그런데 음압 병실에 수용될 수 있는 인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자 수가 크게 증가하면 일부 감염자는 격리되지 못한 채 병원체가 확산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임시로 격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이동식 또는 모듈식 음압 격리 설비에 관한 기술이 다수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4043호(2021.02.03.)에는 이동확장형 음압병동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임시 음압 격리 설비들은 설치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고, 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서 복수의 설비를 설치하게 될 경우 상당히 큰 규모의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임시 격리 설비를 급히 설치해야 하는 상황에서, 설치할 수 있는 인력 없이는 설치하기가 어렵고, 설치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신속한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나아가 종래의 임시 음압 격리 설비들은 수일의 격리가 필요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개인에게 독립된 격리 생활 공간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함과 동시에 적절한 치료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격리 설비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간만 차지하면서도 격리 공간에서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는 기존 병상을 환자가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상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그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공간 내 환경을 음압으로 유지하고, 의료진으로부터 의료행위를 받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흡기 감염병 등 집단 격리가 필요한 환경에서 개인별로 사용 가능하도록 공공성을 갖춘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병상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격리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에어빔(air beam)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재실자 출입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는 상기 병상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에어빔은 상기 병상의 네 귀퉁이 부분 간의 이격 거리보다 더 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세로 방향으로 기립되는 복수의 제1 에어빔 및 상기 복수의 제1 에어빔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에어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에어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에어빔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측면에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게 하는 병상 출입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병상 출입 도어의 하단은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병상 출입 도어의 상단은 상기 병상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빔은 상기 병상의 귀퉁이 부분에 각각 안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기립되는 복수의 제1 에어빔 및 상기 복수의 제1 에어빔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에어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에어빔을 포함하고, 상기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본체의 일 측 하단과 타 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스트랩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를 상기 병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병상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스트랩끼리 버클 결합하여 상기 병상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1 에어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크로스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에어빔 및 상기 제2-1 에어빔과 상기 제2-2 에어빔에 연결되는 제2-3 에어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에어빔과 상기 제2-2 에어빔은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1 에어빔과 상기 제2-2 에어빔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면을 불균일적 크기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3 에어빔은 상기 복수의 경사면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사면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경사면을 구획하며, 상기 복수의 경사면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사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한 재질의 경사면의 내측에는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본체의 실내 공간을 노출시키거나 가리는 커튼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튼부는 상기 윈도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벨크로 결합되어 노출 또는 가리는 정도를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 측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유입부에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공기 배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의해 제공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환경으로 조성하는 음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병상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상측을 향해 바라볼 때 상기 제2 에어빔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조명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패스 포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스 포켓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띠 형태의 자석, 상기 구멍의 하단 라인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멍의 하단 라인을 따라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자석에 부착 가능한 재질의 부재를 구비하거나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패스 포켓 커버, 상기 패스 포켓 커버의 개방 범위를 수평 위치까지 제한되게 하도록 상기 구멍의 둘레와 상기 패스 포켓 커버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패스 포켓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내외 경계에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투명 재질의 플렉시블 파트 및 상기 플렉시블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게 하는 개폐 조작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상기 패스 포켓 커버, 상기 플렉시블 파트 및 상기 개폐 조작 파트는 상기 본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에서 분기된 절개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두 지퍼는 상기 분기된 절개 라인의 분기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을 따라 서로 다른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홀더에는 상기 분기된 절개 라인을 따라 상하에 각각 케이블 거치를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홀더는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보다 더 큰 절개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비상 탈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탈출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도 함께 열리도록,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은 상기 비상 탈출 도어의 경계 안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 홀더의 일 단은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타 단은 상기 비상 탈출 도어의 절개 라인에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글로브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글로브 홀의 둘레에는 글로브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은 실내 공간을 향해 3~8° 기울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병상의 크기보다 조금 큰 정도의 크기로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병상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면서 병상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는 기존 병상을 환자가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본체와 일체화된 에어빔으로 인하여 최소 한 번의 공기 주입으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황에 따라 병상에 안착되는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병상을 감싸는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채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재실자 출입 도어가 병상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형태에 상관없이 음압 환경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글로브 홀, 케이블 홀더 등 의료진으로부터 의료행위를 받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재실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스 포켓, 폐기물 처리부 등을 구비하여 재실자의 편의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를 나타내는 시사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를 나타내는 시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의 패스 포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의 케이블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의 글로브 홀 및 폐기물 처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의 음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가 병상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간만 차지하면서도 격리 공간에서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는 기존 병상을 환자가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병상 연계”란, 병상을 어떠한 물체에 물리적으로 연결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독립 공간”이란 벽 또는 면에 의해 외부와 분리된 공간이며, 여기서 더 나아가, 전염병 환자나 면역성이 없는 환자를 분리 또는 격리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독립 공간은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 공간은 아닐 수 있으며, 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독립 공간은 공기의 온도, 압력, 습도 등 대기환경을 외부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그 공간에 설치 가능하며, 외부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공간 내 환경을 음압으로 유지하고, 의료진으로부터 의료행위를 받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설비”라고만 지칭되더라도 이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를 나타내는 시사도이다.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본체(110), 에어빔(air beam)(120), 및 재실자 출입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10)는 병상(20)에 안착되거나 병상(2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격리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10)가 병상(20)에 안착된다는 것은,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병상(20) 위에 본체(110)가 올려진 상태라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본체(110)가 병상을 감싼다는 것은 본체(110) 내에 병상(20)이 수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체(110)가 병상(20)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여기서 본체(110)가 병상(20)을 감싼다고 할 때에는, 본체(110)의 내부에 병상(20) 대비 과도하게 큰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그 공간 내에 병상(20)이 수용되는 것과는 구분된다. 본체(110)의 내부에 병상(20) 대비 과도하게 큰 공간이 마련되고, 그 공간 내에 병상(20)이 수용되는 것은 병상과의 연계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과의 연계성이 필요하며, 병상(20)을 수용하면서 본체(110) 내에 재실하게 될 1인의 재실자가 격리 생활을 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공간이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병상의 크기가 가로(좌우) 약 1m, 세로(머리-발 방향) 약 2.2m, 높이 약 1m 정도라면, 본체(110)의 크기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50cm 이내의 범위에서 병상보다 크고, 높이는 재실자가 기립했을 경우를 고려하여 설치 시를 기준으로 약 2m 이내인 것이 적합하다.
본체(110)의 지지는 에어빔(120)으로 이루어진다. 에어빔(air beam)이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됨에 따라 팽창하여 지지력을 갖게 되는 구조물을 가리킨다. 더 강한 지지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다른 부재가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체가 투명하거나 전체가 불투명할 수 있으며, 일부는 투명하고 나머지 일부는 불투명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10)의 투명성은 의료진과 재실자(또는 환자) 모두가 본체(110)의 안팎 상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진이 재실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본체(110)의 투명성은 본체(110) 내부에 격리되어 있는 재실자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본체(110)의 불투명성도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는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이 적절히 혼합되어 있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평균 신장을 가진 성인의 의료진이 기립했을 때를 기준으로 눈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의 일부 영역은 의료진의 의료행위를 위해, 혹은 외부 사용자의 시야에 잘 띄지 않는 상부 영역은 재실자의 개방감을 위해 투명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합성고무(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CS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는 소재에 따라 적절한 내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두께가 정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이중막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어빔(120)은 본체(110)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본체(11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빔은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는 직육면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부에서는 양측으로 비대칭하게 경사진 지붕 형상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에어빔(120)은 내부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본체(11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에어빔(120)은 적어도 하나의 에어 주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빔(120)의 지지력 강화를 위해 에어빔의 내부에는 보강사(補絲)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사란 에어빔의 내주면끼리 연결하여 에어빔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어빔(120)은 내부 전체에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에어빔(120)의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막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에어빔(120)의 내부에 분리막이 존재하는 경우 각 영역에 에어 주입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도록 한다.
에어빔(120)의 단면의 모양은 제한이 없으나 원 또는 타원이 가장 바람직하다. 에어빔(120)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지지력이 부족할 수 있고, 반대로 크기가 너무 크면 본체(110) 내부의 활용 공간이 과도하게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에어빔(120)의 단면이 원이라면 에어빔(120)의 단면의 직경은 100mm 내지 150mm인 것이 적합하다.
에어빔은(120)은 본체(1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빔(120)은 본체(110)에 접착 또는 부착되어 있어, 에어빔(12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뼈대를 형성함과 동시에 본체(110)가 복수의 편평한 벽 또는 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설치를 위한 전문 인력 없이도 누구나 쉽고 빠르게 설치 가능하다.
에어빔(120)은 본체(110)의 면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에 존재할 수 있으며, 에어빔(120)의 일부는 내측에, 나머지 부분은 외측에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빔(120)은 복수의 제1 에어빔(121) 및 복수의 제2 에어빔(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에어빔(121)은 병상(20)의 네 귀퉁이 부분 간의 이격 거리보다 더 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세로 방향으로 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방향이란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근사 수직 방향을 포함하며, 근사 수직 방향이란 완전한 수직이 아니더라도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수직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킨다.
이때, 복수의 제1 에어빔(121) 간의 이격 거리는 병상(20)이 본체(110) 안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면 충분하다. 따라서,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20)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클 뿐이므로, 설치 면적이 작아서 복수의 설비를 설치할 경우 동일 공간에 더 많은 격리자(또는 환자)를 수용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일반 병실에서 병상(20)을 그대로 둔 채로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일반 병실을 음압 병실로 전환하는 것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복수의 제2 에어빔(122)은 복수의 제1 에어빔(121)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1 에어빔(12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교차하는 방향이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근사 수평 방향과 경사 방향을 포함하며, 근사 수평 방향이란 완전한 수평이 아니더라도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수평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경사 방향이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를 비대칭 지붕 향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두 개의 제1 에어빔(121)끼리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어빔(112)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본체(110)에 형성되며, 병상(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은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가 설치되는 장소의 기저 부분을 말한다.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병상(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는 하나의 이유는 병상(20)과의 연계성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가 병상(20)에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된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가 병상(20)을 감싸게 되었을 때,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바닥에서부터 개방된다면 바퀴가 달린 병상(20)이 본체(110)의 외부로 이탈에 버릴 수 있다. 그러므로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병상(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음압 환경”이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내부가 “음압 환경”으로 조성된다는 것은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가 된다는 것을 말한다. 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도록 형성한다면 공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내부에 격리된 감염환자의 호흡 또는 기침으로 인해 발생한 공기 중 병원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열리면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의 음압 환경이 깨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본체(110)의 내부를 음압 환경(또는 상태)으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도어가 개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만약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병상(20)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고 병상(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형성되면, 재실자가 지나가지 않는 공간이 불필요하게 노출되어 본체(110) 내부의 음압이 쉽게 깨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본체(110)는 병상(20)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체(110)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따라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높이를 달리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체(110)가 병상(20)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병상(20)의 높이가 본체(110)의 하단과 거의 일치하므로,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본체(110)의 하단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 과 도 4 참조). 반면, 본체(110)가 병상(20)을 감싸는 경우에는 병상(20)의 높이가 본체의 하단보다 높으므로,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본체(110)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병상 전체를 감싸는 형태(이하, “병상 커버형”)의 설비를 사용할 것인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병상에 거치(또는 안착)시키는 형태(이하, “병상 거치형”)의 설비를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병상(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맞춤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복수의 제1 에어빔(121)에 의해 구획되는 본체(110)의 측면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병상(20)에 누웠을 때 병상(20)에 누운 사람의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은 다른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며,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본체(110)의 측면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측면에는 본체(110)의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게 하는 병상 출입 도어(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과 2에서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측면이란 사람이 병상(20)에 누웠을 때 병상(20)에 누운 사람의 머리 쪽과 발 쪽에 위치하는 측면을 가리킨다.
병상 출입 도어(140)의 하단은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서 본체(110)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병상 출입 도어(140)의 상단은 병상(2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병상이 본체(110)에 출입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병상 출입 도어(140)의 하단이 본체(110)의 하부면에 탈부착 되는 메커니즘은 벨크로가 바람직하다. 벨크로 외에 지퍼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병상(20)의 바퀴가 지나가면서 지퍼를 훼손할 수 있다. 반면, 병상(20)의 바퀴가 지나가더라도 벨크로는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병상 출입 도어(140)는 한글 자음의 디귿(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는 반드시 벨크로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하단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라인은 지퍼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를 참조하면, 병상 출입 도어(140)가 형성된 본체(110)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2 에어빔(122) 중 단 하나도 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병상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지 않으면, 본체(110)에 병상이 출입하면서 제2 에어빔(122)을 바퀴로 누르며 지나갈 수 있고, 이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내구성을 해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병상(20)은 에어빔(120) 또는 본체(110)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파스너(fastener)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스너는 병상(20)을 결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태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를 나타내는 시사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가 병상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가 “병상 커버형”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도 3 및 도 4는 “병상 거치형”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에어빔(121)은 병상(20)의 귀퉁이 부분에 각각 안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기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에어빔(122)은 복수의 제1 에어빔(121)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1 에어빔(12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세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의미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에어빔(122)은 병상(20)에서 생활하게 될 재실자의 생활 공간 확보를 위해, 경우에 따라 미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1 에어빔(121)과 본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에어빔(122)에 의한 지지력이 부족하지 않아야 한다.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본체(110)의 일 측 하단과 타 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스트랩(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트랩(150)은 일 측 하단과 타 측 하단 각각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110)의 모든 측면의 하단 각각에 스트랩(15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본체(110)를 상기 병상(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스트랩(150)으로 병상(20)의 하부를 감싸면서 스트랩(150)끼리 버클 결합하여 병상(2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트랩(150)은 본체(110)가 병상(20)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스트랩(150)은 본체(110)를 병상(20)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부재로 교체될 수 있으며, 스트랩(150)과 병상(20)의 고정을 위한 다른 부재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20)에 안착되거나 병상(2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기존 병상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기존 병상은 베드(bed)가 여러 섹션으로 나뉘어 각 섹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접이식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는 등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다. 이러한 만큼,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는 기존 병상을 환자가 그대로 이용한다면 환자의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20)보다 조금 클 뿐으로, 차지하는 면적도 크지 않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면서 기존 병상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편의를 극대화하였다.
한편,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에어빔(122)은 제2-1 에어빔(1221), 제2-2 에어빔(1222) 및 제2-3 에어빔(1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에어빔(1222)은 제2-1 에어빔(122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크로스(또는 교차)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1 에어빔(1221)과 제2-2 에어빔(1222)은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어 본체(110)의 상부면을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2-1 에어빔(1221)과 제2-2 에어빔(1222)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면을 불균일적 혹은 비대칭적 크기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제2-1 에어빔(1221)과 제2-2 에어빔(1222)에는 제2-3 에어빔(1223)이 연결될 수 있다. 제2-3 에어빔(1223)은 상기 복수의 경사면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사면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경사면을 구획할 수 있다.
본체(110)의 상부면을 비대칭적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재실자에 대한 편의성 제공과, 본체(110) 내부를 음압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음압기(210)의 설치를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경사면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사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윈도우(160)가 형성될 수 있다. 호흡기 감염병의 경우 약 1주일 정도의 격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체(110)의 벽면이 불투명하면 재실자에게 답답함을 유발하게 된다. 윈도우(160)는 재실자에게 개방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개방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윈도우(160)가 형성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110)의 상부면을 비대칭적 경사 구조로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면적에 윈도우(160)를 형성하여 개방감 제공 효과를 향상시킨다.
반대로 음압기(210)가 설치되어야 하는 영역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영역이 아니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에 음압기(210)를 설치하더라도 무방하다. 음압기(210)에 대하여는 추가 후술한다.
다만, 윈도우(160)는 외부의 빛을 투과하기 위한 것으로, 윈도우(160)를 통해서는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될 수 없다.
상기 투명한 재질의 경사면의 내측에는 커튼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커튼부(170)는 윈도우(160)를 통해 본체(110)의 실내 공간을 노출시키거나 가릴 수 있다. 커튼부(170)는 윈도우(160)의 둘레를 따라 윈도우(160)의 내측면에 벨크로 결합되어 노출 또는 가리는 정도를 조절 가능하다.
한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공기 유입부(180), 공기 배출부(190), 필터(200) 및 음압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유입부(180)는 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180)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일 측은 재실자(또는 환자)가 병상(20)에 누웠을 때 발쪽에 가까운 면이 바람직하다.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입부(180)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180)에는 필터(20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200)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들을 필터링 하여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2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지만, 필터(200)가 시트형 필터(예를 들어, HEPA 필터 등)라면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 배출부(190)는 공기 유입부(180)에 대향하도록 본체(110)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부(190)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타 측은 재실자(또는 환자)가 병상(20)에 누웠을 때 머리쪽에 가까운 면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기 배출부(190)가 재실자의 머리쪽에 가까운 것이 호흡기 감염병의 확산 방지에 있어 바람직하다.
공기 배출부(190)에는 음압기(210)가 결합(또는 설치)될 수 있다. 음압기(210)는 본체(110)에 의해 제공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음압기(210)는 모터를 포함하고 있어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환자로부터 너무 가까운 위치에 공기 배출부(190)를 형성하는 것은 지양하도록 한다.
음압기(210)가 본체(110)의 경사진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면, 음압기(210)는 재실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발 쪽을 향하게 된다. 음압기(21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발 쪽을 향하게 되므로, 이러한 배치는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부(180)에 양압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양압기는 음압기(210)와 달리 본체(110)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도입하는 기능한다. 다만, 본체(110)의 내부를 음압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 양압기가 필수인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병상(20)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상측을 향해 바라볼 때 제2 에어빔(122)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조명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220)는 외부가 어두울 때 내부를 밝게 비추기 위한 것이다. 조명부(220)를 제2 에어빔(122)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은 간접조명 효과를 위한 것으로, 설비에 격리되어 있는 재실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명부(220)로부터 방출된 빛이 재실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는 음압 환경 모니터링, 재실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장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압 환경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차압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차압계는 본체(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감지하게 된다. 차압계가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다면, 차압계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재실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화재 경보기, 소화기, 널스콜(nurse call) 장비등이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재실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조명부(220)의 전원이나 기타 장비들을 온/오프 하기 위한 리모콘, 전기 멀티탭 등의 장비등이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장비의 전원 제공을 위한 전기 케이블(C) 등은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전기 케이블(C)이 본체(110)를 관통하는 위치는 케이블(C)로 인한 음압 환경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C)의 주위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감염병의 경우 재실자의 산소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의료장비가 본체(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의료장비에 필요한 전력은 전기 케이블(C)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본체(110)에 설치되는 패스 포켓(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스 포켓(230)은 도 1과 도 2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 3과 도 4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패스 포켓(23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패스 포켓(2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스 포켓(230)은 자석(231), 패스 포켓 커버(232), 플렉시블 파트(233) 및 개폐 조작 파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231)은 본체(110)에 형성되는 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띠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자석(231)은 상기 구멍의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구멍의 둘레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한글 자음의 미음(ㅁ)에서 하단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세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패스 포켓 커버(232)는 본체(110)에 형성되는 구멍의 하단 라인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멍의 하단 라인을 따라 본체(110)에 연결되며, 자석(231)에 부착 가능한 재질의 부재를 구비하거나 자석(231)에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스 포켓 커버(232)에는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으며, 손잡이를 이용하여 패스 포켓 커버(232)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플렉시블 파트(233)는 패스 포켓 커버(232)의 개방 범위를 수평 위치까지 제한되게 하도록 상기 구멍의 둘레와 패스 포켓 커버(232)의 둘레를 따라 본체(110)와 패스 포켓 커버(2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파트(233)는 본체(110)의 내외 경계에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파트(233)는 투명 재질이며,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 조작 파트(234)는 플렉시블 파트(233)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게 할 수 있다. 개폐 조작 파트(234)에 의해 플렉시블 파트(233)가 개방되면, 플렉시블 파트(233)에 의해 형성된 독립된 공간에 접근이 가능해진다. 개폐 조작 파트(234)는 예를 들어 지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석(231), 패스 포켓 커버(232), 플렉시블 파트(233) 및 개폐 조작 파트(234)는 본체(1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패스 포켓(230)은 자석(231), 패스 포켓 커버(232), 플렉시블 파트(233) 및 개폐 조작 파트(234)를 각각 2개씩 포함할 수 있다.
패스 포켓(230)은 본체(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체를 반입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물체를 반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에서 패스 포켓(230)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물체를 반입하는 방법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10)의 외부에 있는 사람은 본체(110)의 외측에 있는 패스 포켓 커버(232)를 열고, 본채(110)의 내부에 있는 재실자는 본체(110)의 내측에 있는 패스 포켓 커버(232)를 연다. 그러면, 양측의 플렉시블 파트(233)가 펼쳐지면서 하나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다음, 본체(110)의 외측에 있는 개폐 조작 파트(234)를 조작하여 상기 공간이 외부와 통하도록 한다.
그 다음, 본체(110)의 외부에 있는 사람은 상기 공간에 반입할 물건을 놓고 다시 본체(110)의 외측에 있는 개폐 조작 파트(234)를 조작하여 상기 공간을 차단한다.
마지막으로, 본체(110)의 내부에 있는 재실자는 본체(110)의 내측에 있는 개폐 조작 파트(234)를 조작하여 상기 공간이 내부와 통하도록 하고, 공간에 놓인 물건을 본체(110)의 내부로 반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양측에 있는 플렉시블 파트(233)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으므로, 음압 환경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케이블 홀더(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케이블 홀더(2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블 홀더(240)는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절개 라인에서 분기된 절개 라인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케이블 홀더(240)에는 상기 분기된 절개 라인을 따라 상하에 각각 케이블 거치를 위한 리세스(241)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41)는 케이블 홀더(240)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각종 케이블(예를 들어, 전선, 링거줄 등)이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홀더(240)는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케이블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는 천연 고무, 니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이 있을 수 있다.
케이블 홀더(240)는 재실자가 본체(110)의 내부와 외부를 오가더라도 사용중인 링거(linger)를 매번 제거하지 않아도 되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재실자 출입 도어(130)는 두 지퍼로 조작 가능하며,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두 지퍼는 상기 분기된 절개 라인의 분기 위치를 기준으로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절개 라인을 따라 서로 다른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절개 라인보다 더 큰 절개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비상 탈출 도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상 탈출 도어(250)의 개방 시 재실자 출입 도어(130)도 함께 열리도록,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절개 라인은 비상 탈출 도어(250)의 경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비상 탈출 도어(250)는 지퍼가 아닌 벨크로(velcro)나 자성체 등을 사용하여 본체(110)로부터 탈부착 되도록 하며, 이는 비상 시에 개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케이블 홀더(240)의 일 단은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절개 라인에서, 케이블 홀더(24)의 타 단은 비상 탈출 도어(250)의 절개 라인에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글로브 홀(260) 및 폐기물 처리부(2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측면에는 글로브 홀(26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측면에는 두 개의 글로브 홀(260)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글로브 홀(260)의 둘레에는 글로브(27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글로브 홀(260)에 결합된 한 쌍의 글로브(270)는 오른쪽 손과 왼쪽 손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로부터 공기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글로브(270)는 글로브 홀(260)에 긴밀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글로브 홀(260)을 통하여 본체(110) 외부에 있는 의료진은 환자에게 위생적으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
글로브 홀(260)과 글로브(270)가 마련되는 본체(110)의 측면은 실내 공간을 향해 3~8°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로브 홀(260)은 실내 공간을 향해 3~8° 기울어진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글로브 홀(260)은 의료진이 의료행위를 하기 용이하도록 적당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본체(110)의 측면의 기울어진 정도가 8°를 넘어서게 되면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글로브 홀(260)이 의료자로부터 멀어질 수 있어 오히려 의료행위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110)의 측면은 실내 공간을 향해 3~8° 정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폐기물 처리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폐기물 처리부(280)는 본체(110)에 수평으로 형성된 일자 형태의 절개선에 주머니 형태로 결합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처리부(280)는 상기 수납함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절개선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110)의 절개선과 상기 수납함의 절개선 모두 개폐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처리부(280)의 수납함은 본체(110)의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함이 본체(11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경우, 본체(110)의 절개선은 본체(110) 내부에서 개폐되고 상기 수납함의 절개선은 본체(110) 외부에서 개폐된다. 반대로 상기 수납함이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본체(110)의 절개선은 본체(110) 외부에서 개폐되고 상기 수납함의 절개선은 본체(110) 내부에서 개폐된다. 이렇게 폐기물 처리부(280)는 본체(110)의 안팎에서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체(110)에 격리된 재실자는 지퍼를 조작하여 상기 수납 공간에 각종 폐기물을 버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음압기(2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 배출부(190)에 결합되는 음압기(210)는 본체(110) 내부를 음압 환경으로 유지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음압기(210)는 팬(fan), 모터(motor) 및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압기(210)는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음압기로 흡입한 공기 중의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압기(210)는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음압기(210)는 음압기(210)를 제어하기 위해 음압기(210) 외면에 형성된 조작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단말기 등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며, 차압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압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음압기(210)는 상기 팬의 회전을 통해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본체(110)의 내부를 음압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음압기(210)의 필터는 중의 병원체를 필터링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압기(210)는 음압기(2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압기(210)가 배터리를 포함하는지 유무와 상관없이, 음압기(210)는 음압기(2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압기(210)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음압기(210)는 본체(110)의 공기 배출부(190)에 직접적으로 결합 또는 설치될 수 있지만, 배기관 등을 통하여 본체(110)의 공기 배출부(190)에 간접적으로 결합 또는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10)의 내부는 외부에 비해 기압이 낮은 음압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가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외부와 내부 간 기압 차이가 점점 줄어들어 음압 환경이 사라지게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음압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음압기(210)를 포함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부(190)에는 음압기(21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배출 구멍 둘레를 따라 띠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공기 배출부(190)와 음압기(210)가 맞닿는 부분에서 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음압기(210)의 결합에 이용되는 음압기 결합 커버(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띠와 커버(211)는 음압기(2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테두리를 위 아래에서 덮으면서 벨크로 등의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음압기 결합 커버(211)는 음압기(210)의 외관에 형성된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공기 배출부(190)의 띠와 결합될 수 있다. 음압기 결합 커버(211)와 공기 배출부(190) 간 결합은 음압기 결합 커버(211)와 공기 배출부(19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태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공기 배출부(190)와 음압기(210)의 접촉면 사이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패킹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음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채(110) 내부의 온도, 상대 습도 등 대기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음압기(210)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기압, 온도, 상대 습도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 또는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본체(110)의 하단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폐기물 처리부(280)는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형성된 측면이 아닌 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개방은 음압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개폐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재실자가 본체(110)의 외부로 외출하려는 경우, 우선 재실자는 미세입자를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적정 시간 이상 대기한다. 그러면 마스크의 착용과 음압기의 작동으로 인하여 내부 공기 중의 병원체가 감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재실자 출입 도어(130)를 개방하면 외부로 누출되는 병원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음압기(210)는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개방 직전에 팬의 회전을 가속할 수 있다. 이는 재실자 출입 도어(130)의 개방으로 인해 음압 환경이 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병상(20)의 크기보다 조금 큰 정도의 크기로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었으며, 동시에, 병상(20)에 안착되거나 병상(20)을 감싸도록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환자에게 최적화되어 있는 기존 병상을 환자가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본체(110)와 일체화된 에어빔(120)으로 인하여 최소 한 번의 공기 주입으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상황에 따라 병상(20)에 안착되는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병상(20)을 포함하는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채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재실자 출입 도어(130)가 병상(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형태에 상관없이 음압 환경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10)는 글로브 홀(260), 케이블 홀더(240) 등 의료진으로부터 의료행위를 받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재실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스 포켓(230), 폐기물 처리부(280) 등을 구비하여 재실자의 편의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병상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격리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에어빔(air beam);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재실자 출입 도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패스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는 상기 병상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스 포켓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띠 형태의 자석;
    상기 구멍의 하단 라인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멍의 하단 라인을 따라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자석에 부착 가능한 재질의 부재를 구비하거나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패스 포켓 커버;
    상기 패스 포켓 커버의 개방 범위를 수평 위치까지 제한되게 하도록 상기 구멍의 둘레와 상기 패스 포켓 커버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패스 포켓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내외 경계에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투명 재질의 플렉시블 파트; 및
    상기 플렉시블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게 하는 개폐 조작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상기 패스 포켓 커버, 상기 플렉시블 파트 및 상기 개폐 조작 파트는 상기 본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빔은,
    상기 병상의 네 귀퉁이 부분 간의 이격 거리보다 더 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세로 방향으로 기립되는 복수의 제1 에어빔; 및
    상기 복수의 제1 에어빔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에어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에어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에어빔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측면에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개방되게 하는 병상 출입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병상 출입 도어의 하단은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병상 출입 도어의 상단은 상기 병상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빔은,
    상기 병상의 귀퉁이 부분에 각각 안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기립되는 복수의 제1 에어빔; 및
    상기 복수의 제1 에어빔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에어빔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에어빔을 포함하고,
    상기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본체의 일 측 하단과 타 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스트랩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를 상기 병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병상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스트랩끼리 버클 결합하여 상기 병상에 결합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에어빔은,
    제2-1 에어빔;
    상기 제2-1 에어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크로스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에어빔; 및
    상기 제2-1 에어빔과 상기 제2-2 에어빔에 연결되는 제2-3 에어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에어빔과 상기 제2-2 에어빔은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1 에어빔과 상기 제2-2 에어빔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면을 불균일적 크기로 형성되게 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3 에어빔은 상기 복수의 경사면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사면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경사면을 구획하며,
    상기 복수의 경사면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경사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한 재질의 경사면의 내측에는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본체의 실내 공간을 노출시키거나 가리는 커튼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튼부는 상기 윈도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벨크로 결합되어 노출 또는 가리는 정도를 조절 가능한,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 측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부;
    상기 공기 유입부에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공기 배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의해 제공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환경으로 조성하는 음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병상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상측을 향해 바라볼 때 상기 제2 에어빔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7. 삭제
  8. 병상에 안착되거나 병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격리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기립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에어빔(air beam);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재실자 출입 도어; 및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에서 분기된 절개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는 상기 병상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두 지퍼는 상기 분기된 절개 라인의 분기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을 따라 서로 다른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홀더에는 상기 분기된 절개 라인을 따라 상하에 각각 케이블 거치를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홀더는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는,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보다 더 큰 절개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비상 탈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탈출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도 함께 열리도록,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은 상기 비상 탈출 도어의 경계 안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 홀더의 일 단은 상기 재실자 출입 도어의 절개 라인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타 단은 상기 비상 탈출 도어의 절개 라인에서 각각 분기되는,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글로브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글로브 홀의 둘레에는 글로브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은 실내 공간을 향해 3~8° 기울어진,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KR1020220104940A 2022-08-22 2022-08-22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KR10248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940A KR102484841B1 (ko) 2022-08-22 2022-08-22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940A KR102484841B1 (ko) 2022-08-22 2022-08-22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841B1 true KR102484841B1 (ko) 2023-01-09

Family

ID=8489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940A KR102484841B1 (ko) 2022-08-22 2022-08-22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8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959A (ja) * 1992-08-31 1994-03-22 Aoki Corp リカバリークリーンブース
JP2005028058A (ja) * 2003-07-05 2005-02-03 Crestem Inc クリーン隔離搬送カプセル
JP2008508948A (ja) * 2004-08-03 2008-03-27 ビバックス・メディカル・コーポレーション 携帯型隔離囲繞器
KR100848009B1 (ko) * 2007-12-28 2008-07-24 주식회사 매크로바이오 캡슐
KR102014213B1 (ko) *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KR102331450B1 (ko) * 2021-08-30 2021-12-02 주식회사 웃샘 컴퓨터 단층 촬영이 가능한 환자 이송용 음압백
KR102365137B1 (ko) * 2013-07-10 2022-02-17 토마스 윌리엄스 개선된 이동식 페인트 부스 시스템 및 차량에 페인트를 도포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959A (ja) * 1992-08-31 1994-03-22 Aoki Corp リカバリークリーンブース
JP2005028058A (ja) * 2003-07-05 2005-02-03 Crestem Inc クリーン隔離搬送カプセル
JP2008508948A (ja) * 2004-08-03 2008-03-27 ビバックス・メディカル・コーポレーション 携帯型隔離囲繞器
KR100848009B1 (ko) * 2007-12-28 2008-07-24 주식회사 매크로바이오 캡슐
KR102365137B1 (ko) * 2013-07-10 2022-02-17 토마스 윌리엄스 개선된 이동식 페인트 부스 시스템 및 차량에 페인트를 도포하는 방법
KR102014213B1 (ko) * 2019-05-08 2019-08-27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에어텐트를 이용한 가설 음압 장치
KR102331450B1 (ko) * 2021-08-30 2021-12-02 주식회사 웃샘 컴퓨터 단층 촬영이 가능한 환자 이송용 음압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235B1 (en) Face mask with fan attachment
US20210307985A1 (en) Negative pressure aerosolization mitigation devices and methods
US77898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inuous access to an isolation space while maintaining isolation
US8394074B2 (en) Undergarment for incontinent person and treatment device connected to an undergarment
US73230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isolation against infections
KR102382746B1 (ko) 베드형 음양압 겸용 의료 챔버 장치
EP0417051B1 (en) Protective device, individual portable, with total insulation and controlled atmosphere
JPH07461A (ja) 患者隔離装置
PT1171065E (pt) Aparelho para tratamento de feridas que emprega pressão reduzida
WO2001058405A2 (en) Convertible patient isolation pod
JPH09222247A (ja) 無菌治療室ユニット
KR102265551B1 (ko) 선별진료소 시스템
CN111297587A (zh) 防护隔离系统、及应用该系统的防护隔离床
KR102484841B1 (ko) 병상 연계 독립 공간 설비
JP5027279B2 (ja) 簡易の隔離設備、隔離壁およびトイレ付ベッド
TW202207892A (zh) 負壓遮罩裝置
CN111821597A (zh) 一种穿戴式鼻腔连接呼吸口罩
JPH08252315A (ja) 細菌フィルタ器付き一方向バルブ
US20220062081A1 (en) Isolation room systems and methods
US20210386501A1 (en) Patient respiratory isolation shield devices and methods
US20240130830A1 (en) Portable system for isolation and regulation of surgical site environments
JPH07241318A (ja) 無菌ブース
KR20210156971A (ko) 출입구가 분리되어 있는 음압 텐트
KR102251406B1 (ko) 자급식 호흡 장치
KR20230053170A (ko) 신속한 격리를 위한 음압 격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