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815B1 -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815B1
KR102484815B1 KR1020220091832A KR20220091832A KR102484815B1 KR 102484815 B1 KR102484815 B1 KR 102484815B1 KR 1020220091832 A KR1020220091832 A KR 1020220091832A KR 20220091832 A KR20220091832 A KR 20220091832A KR 102484815 B1 KR102484815 B1 KR 10248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ground
ae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숙
Original Assignee
천지지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지지에스티(주) filed Critical 천지지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22009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항공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드론촬영을 병행하여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이에 더하여 촬영대상 좌표별로 지상촬영을 병행함으로써 항공기에 의한 촬영대상 좌표별 평면이미지는 물론 지상촬영에 있어 다수 카메라가 차량의 전후방은 물론 양측방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더욱 입체적인 지상 이미지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대한 주변 이해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정확한 영상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항공 영상 촬영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mpose processing of aerial image data and ground images}
본 발명은, 항공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드론촬영을 병행하여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이에 더하여 촬영대상 좌표별로 지상촬영을 병행함으로써 항공기에 의한 촬영대상 좌표별 평면이미지는 물론 지상촬영에 있어 다수 카메라가 차량의 전후방은 물론 양측방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더욱 입체적인 지상 이미지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대한 주변 이해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정확한 영상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항공 영상 촬영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항공기에서 확보된 지상의 다수 항공영상이미지는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결합시키는 영상처리(image processing)를 통하여 정교하게 합성되므로 대형의 영상이미지로 변환처리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로 정교하게 합성 변환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상의 지형도(지형이미지)로 변환 또는 지도화한 것이 도화이미지이고, 이러한 지도이미지의 각 지점에 수치에 의한 해당 좌표정보, 위치정보, 수치정보를 반영한 것이 수치지도이며, 수치지도는 수정도화방법, 해석도화방법 또는 수치도화방법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확보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정교하게 합성하는 영상처리 기술은 지도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 중에 하나하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영상처리에 의하여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정교하게 합성처리하기 위하여서는 지상의 해당 지역에 대한 정밀한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신속하게 실측할 필요가 있고, 확보된 지상의 위치정보(좌표정보)는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제공시켜 반영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도 또는 내비게이션의 배경인 수치지도는 촬영기술 및 영상이미지 처리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실사를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실사 기반을 위해 항공촬영이 이루어지고, 항공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지도 배경이 이루어지는데, 즉, 일정고도에 위치한 항공기가 지상을 촬영하면서,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게 된다. 물론, 항공촬영은 고도에 따라 그 촬영면적이 한정되므로 넓은 범위에 대한 지도제작을 위해서 동일 구간에 대한 다수 개의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고, 이 영상이미지를 잇는 별도의 편집 및 영상처리 업무를 진행해야 한다.
그런데, 영상이미지는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고도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항공기의 연직 방향에 위치한 지상물을 제외하곤 이와 인접하는 다른 지상물들은 측면이 포함돼 촬영될 수밖에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촬영지역의 경우에는 정확한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해 재촬영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고, 재촬영 하더라도 원하는 정밀도의 영상 데이터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지도제작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한 번거롭고 복잡한 처리 과정이 요구되므로 많은 불편이 따른다.
더불어서, 지상촬영 시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가가 차량 내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으로 지상촬영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어 이를 해소할 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항공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드론촬영을 병행하여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이에 더하여 촬영대상 좌표별로 지상촬영을 병행함으로써 항공기에 의한 촬영대상 좌표별 평면이미지는 물론 차량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가 차량 전후방은 물론 차량 양측방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더욱 입체적인 지상 이미지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대한 주변 이해를 손쉽게 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영상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항공 영상 촬영정보에 대한 정밀도를 높이는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다수 카메라의 촬영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차량 운행시 차량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여 오류가 없고 정밀한 지상 이미지의 획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항공 영상데이터와 지상 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제어부인 MCU(Main Control Unit)(1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촬영유닛(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DB(2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영상DB(2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스캔하여 해상도가 규정이하로 낮은 부분만을 검출하는 불량확인부(3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상기 불량확인부(30)가 확인한 불량 부분에 대한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4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촬영 대상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대한 측면영상을 지상촬영유닛(100)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지상촬영영상DB(5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촬영시 촬영불량 지역을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에 탑재된 드론(DR)으로 촬영하여 평면영상을 저장하는 드론촬영영상DB(6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각 영상에 코팅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불량지역 항공영상을 드론촬영 영상으로 교체 편집하며 지상촬영유닛(100)에 의해 촬영된 해당지역 지상영상을 항공촬영된 평면영상과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만드는 영상합성부(70)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은 이동가능한 차량(C)과, 상기 차량(C)의 지붕에 탑재되되 다수의 카메라(400)를 구비하는 지상촬영기(1000)와, 상기 차량(C)에 탑재되는 드론(DR)과, 상기 지상촬영기(1000)를 제어하도록 차량(C)의 운전석에 탑재된 컨트롤러(CTR)와, 상기 차량(C)의 지붕에 설치된 무선통신용 안테나(ANT) 및 좌표확인을 위한 GNSS수신기(GNSS)를 구비하고, 상기 지상촬영기(1000)는, 차량(C)의 지붕에 설치되는 진동흡수판(600); 상기 진동흡수판(6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지로드(710); 상기 지지로드(710)상에 설치되되, 지상촬영기(1000)가 구비하는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촬영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800); 상기 높이조절부(800) 상에 설치되는 승강로드(700); 상기 승강로드(700)상에 설치되되,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4대 카메라가 각각 끼워져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500);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하우징(500)은, 승강로드(700) 상에 설치되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과, 하판 하우징 패널(530)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40)과, 상기 지지기둥(540)의 끝단에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51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카메라(410) 및 제2카메라(420)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과 중앙 하우징 패널(52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제3카메라(430) 및 제4카메라(440)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과 하우징 커버(51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410)는 전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2카메라(420)는 우측방을 향해 배치되며, 제3카메라(430)는 좌측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4카메라(440)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되, 상기 제1카메라(410) 및 제4카메라(440)는 2개의 지지가이드(550) 사이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2카메라(420) 및 제3카메라(430)는 지지기둥(540)과 지지가이드(550) 사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는 각각 하부에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450)을 구비하고, 하판 하우징 패널(530) 또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 홈(580)을 따라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4카메라(440)가 배치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하단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와 제3카메라(430)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에는 각각 제1 지지스프링(57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710)는, 진동흡수판(600)의 안착 홈(630)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진동흡수판(600) 내로 삽입된 지지로드(710)는 다수의 고리(650)에 끼워지고, 다수의 고리(650)는 진동흡수판의 측부 패널(620)까지 연장되는 고리 지지대(640)와 연결되며, 상기 고리 지지대(640)와 진동흡수판의 하부 패널(610)간에는 제2 지지스프링(660)이 배치되고, 상기 진동흡수판(600)의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의하면, 항공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드론촬영을 병행하여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이에 더하여 촬영대상 좌표별로 지상촬영을 병행함으로써 항공기에 의한 촬영대상 좌표별 평면이미지는 물론 다수 카메라가 차량의 전후방은 물론 양측방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더욱 입체적인 지상 이미지도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지역에 대한 주변 이해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정확한 영상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항공 영상 촬영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카메라의 촬영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차량 운행시 차량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여 오류가 최소화된 정밀한 지상 이미지의 획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항공 영상데이터와 지상 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구성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지상촬영유닛의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지상촬영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카메라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카메라 하우징의 하판 하우징 패널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진동흡수부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지지로드, 고리 및 고리 지지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의 공급밸브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은, 메인 제어부 역할을 수행하는 MCU(Main Control Unit)(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CU(10)에는 항공기와 같은 항공촬영유닛(22)에 의해 촬영된 항공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DB(20)가 연결되며, MCU(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항공영상DB(20)로부터 필요한 항공 영상정보를 추출,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CU(10)에는 불량확인부(30)가 연결되며, 상기 불량확인부(30)는 항공영상DB(20)에 저장된 항공 영상정보를 스캔하여 해상도가 규정 이하로 낮은 부분만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해상도의 기준은 우리나라 전역(93,500km2)을 대상으로 할 때, 해상도 규격을 12~25cm의 범위 내에서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MCU(10)에는 불량확인부(30)가 확인한 불량 부분에 대한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인해 항공촬영시 불량지역만을 확인하여 해당 부분만을 다시 촬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를 통해 촬영하지 않고 후술되는 지상촬영유닛(100)에 포함되어 있는 드론(DR)을 이용하여 항공촬영함으로써 더욱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드론(DR)에 적용되는 축적은 항공기에 의한 촬영과 유사한 조건을 갖도록 조절해야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MCU(10)에는 지상촬영영상DB(50)가 연결되는데, 상기 지상촬영영상DB(50)는 촬영 대상지역을 차량(C, 도 2 참조)으로 이동하면서 획득한 차량의 전방 이미지, 후방 이미지, 좌측면 이미지 및 후측면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지상촬영유닛(100)에 탑재되는 지상촬영기(1000)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시스템에 의하면 항공촬영에 의해 얻은 평면이미지와 지상촬영에 의해 얻은 차량 전후방, 좌우측방의 지형, 건조물 등의 측면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어 3차원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더 정확하고 디테일한 영상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의 지상촬영기(1000)는, 항공촬영 대상지역을 동일하게 지상 촬영하여야 하며 GNSS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좌표값이 각 지상 영상정보에 코딩되도록 하여 항공촬영 영상과 합치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은 차량(c)에 드론(DR)을 함께 탑재하고 다니면서 촬영불량 지역에 대한 좌표정보에 따라 불량지역만을 별도로 드론(DR)을 통한 항공촬영 영상을 함께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촬영시 발생된 불량영상을 완벽하게 수정할 수 있다.이 경우, 상기 드론(DR)이 촬영한 영상정보는 MCU(10)에 연결된 드론촬영영상DB(60)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MCU(10)에는 영상합성부(70)가 연결된다. 상기 영상합성부(70)는 각 영상에 코팅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불량지역 항공영상을 드론촬영 영상으로 교체 편집하고, 더불어서 지상촬영유닛(100)에 의해 촬영된 해당지역 지상의 지형, 건조물 등의 측면영상을 항공촬영된 평면영상과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지상촬영유닛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이동가능한 차량(C)과, 상기 차량(C)에 탑재되되 다수의 카메라(400)를 구비하는 지상촬영기(1000)와, 상기 차량(C)에 탑재되는 드론(DR)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드론(DR)은 차량(C)의 천정면에 설치된 드론하우징(DHC) 상에 탑재되며, 필요시 꺼내어 무선조정하도록 구성되고, 드론(DR)의 하부면에는 드론카메라(DCM)가 구비되어 있어 공중에서 호버링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C)의 운전석에는 상기 지상촬영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되며, 상기 차량(C)의 지붕에는 무선통신용 안테나(ANT) 및 좌표확인을 위한 GNSS수신기(GNSS)가 더 구비되고, 이들은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공지의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다수의 카메라(4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상촬영기(1000)에 의해 촬영된 지상 영상 정보는 지상촬영영상DB(5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불량지역으로서 재촬영이 필요한 경우, 차량(C)의 지붕에 있는 드론(DR)을 꺼내 무선 조정하면서 정해진 촬영좌표로 이동한 후 지상을 향해 평면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정보는 드론촬영영상DB(6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촬영영상을 각 DB에 저장하는 방식은 유에스비 등을 이용하여 직접 옮겨 저장할 수도 있고, 무선통신을 통해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지상촬영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지상촬영기(1000)는, 차량(C)의 지붕에 설치되는 진동흡수판(600)과, 상기 진동흡수판(6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지로드(710)와, 상기 지지로드(710)상에 설치되되, 지상촬영기(1000)가 구비하는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촬영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800)와, 상기 높이조절부(800) 상에 설치되는 승강로드(700)와, 상기 승강로드(700)상에 설치되되,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4대 카메라가 각각 끼워져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판(600)은 차량의 내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카메라(400)의 흔들림으로 인한 촬영 오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진동흡수판(600)의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은 탄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로드(710)는 높이조절부(800)를 지지하되, 지지로드(710)의 끝단은 진동흡수판(600)내에 형성되는 안착홈(6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진동흡수판(600) 내로 삽입된 지지로드(710)는 다수의 고리(650)에 끼워지고, 다수의 고리(650)는 진동흡수판의 측부 패널(620)까지 연장되는 고리 지지대(640)와 연결되며, 상기 고리 지지대(640)와 진동흡수판의 하부 패널(610)간에는 제2 지지스프링(660)이 배치되어 차량 내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800)는 지지로드(7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810), 승강로드(700), 높이조절판(830), 유압펌프(840) 및 공급밸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카메라 하우징(50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촬영 고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는 승강로드(700)가 배치되되 승강로드(700)는 카메라 하우징(5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500)은, 승강로드(700) 상에 설치되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과, 하판 하우징 패널(530)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40)과, 상기 지지기둥(540)의 끝단에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51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을 구비한다.
상기 중앙 하우징 패널(520)은 차량(c)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판 하우징 패널(53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면적도 하판 하우징 패널(53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하판 하우징 패널(530), 중앙 하우징 패널(520) 및 하우징 커버(510)가 구획하는 영역은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기둥(540)은 하판 하우징 패널(53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지지기둥 홀(590)에 삽입되어 결착하게 되며, 지지기둥(540)의 상부는 숫나사로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510)의 하부는 암나사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판 하우징 패널(530), 중앙 하우징 패널(520) 및 하우징 커버(510)가 구획하는 4개의 영역에 4개의 카메라(40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카메라(410) 및 제2카메라(420)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과 중앙 하우징 패널(52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제3카메라(430) 및 제4카메라(440)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과 하우징 커버(51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카메라(410)는 차량(C)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2카메라(420)는 차량(C)의 우측방을 향해 배치되며, 제3카메라(430)는 차량(C)의 좌측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4카메라(440)는 차량(C)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차량의 전후방 및 양측방의 각종 지형지물 및 건조물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덧붙이자면, 본 발명의 각 카메라의 배치는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바, 차량(C)의 전후좌후 방향으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카메라(410) 및 제4카메라(440)는 2개의 지지가이드(550) 사이로 삽입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카메라(420) 및 제3카메라(430)는 지지기둥(540)과 지지가이드(550)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카메라(420) 및 제3카메라(430)는 하나의 지지가이드(550)에 의해 삽입 배치되는데 그 배치 형태상 지지기둥(540)이 지지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가이드(550)는 각 카메라의 정확한 삽입 배치에 조력함과 동시에 각 카메라의 미세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카메라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3카메라(430) 및 제4카메라(440)는 그 배치 형태상 제3카메라(430)의 앞부분이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또는 제4카메라(440)의 전면 부위에 위치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하단은 제2카메라(420)에 의해 받는 지지가 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4카메라(440)가 배치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하단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와 제3카메라(430)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에는 각각 제1 지지스프링(570)을 배치하여 전체 카메라 하우징(500)의 지지력 및 견고함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500)의 하판 하우징 패널(530), 지지기둥(540), 하우징 커버(510) 및 중앙 하우징 패널(520)은 각각, 알루미늄(Al)을 기재로 하고, 여기에 철(Fe) 1.3~2.2 중량%, 티타늄(Ti) 0.8∼1.6 중량%, 니켈(Ni) 0.7~1.4 중량%, 규소(Si) 6.0∼9.0 중량%, 은(Ag) 0.5~1.3 중량% 이하, 망간(Mn) 0.3∼중량%, 마그네슘(Mg) 0.4∼7 중량%, 아연(Zn) 0.03~0.12 중량%, 주석(Sn) 0.02~0.06 중량%, 지르코늄(Zr) 0.01~0.04 중량%, 이트륨(Y) 0.02~0.05 중량%하, 스칸듐(Sc) 0.01~0.07 중량%이 포함되는 알루미늄 합금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 조성물로 카메라 하우징(500)을 형성하면, 기존 알루미늄 합금 에 비해 강도 및 피로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 고압에 잘 견딜 수 있으며, 성형시 연신율이 우수하여 가공성이 향상된다. 즉, 카메라 하우징(500)의 고강성 및 내구성이 담보되며, 차량 운행 시 외부의 온도, 바람에 의한 풍압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카메라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카메라 하우징의 하판 하우징 패널의 예시도이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는 각각 하부에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450)을 구비한다.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하판 하우징 패널(530) 및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상단에는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 홈(58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는 각각 하부에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450)을 구비하고, 하판 하우징 패널(530) 또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 홈(580)을 따라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의 레일(450)은, 질량%로, Al:4.3% 이상 5.8% 미만, Fe:1.1% 이상 2.7% 미만, Si:0.21% 이상 0.57% 미만, O:0.04% 이상 0.34% 미만 함유하고, 잔량부 티탄으로 이루어지는 티탄 합금 모재의 표층에, 그 단면의 비커스 경도가 표면으로부터 15~20㎛ 깊이에 있어서 300~400HV 이상인 산소가 고용된 경화층을 구비하는 티탄 합금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티탄 합금 부재로 레일(450)을 형성하면, 종래의 티탄 합금을 상회하는 내마모성, 피로 강도, 고강도를 갖고 상대적인 경량으로 가공이 용이하며, 따라서 미끄럼 이동방식의 레일 부재로 적정하며 그 제조비용도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진동흡수부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지지로드, 고리 및 고리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로드(710)는, 진동흡수판(600)의 안착 홈(630)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진동흡수판(600) 내로 삽입된 지지로드(710)는 다수의 고리(650)에 끼워지고, 다수의 고리(650)는 진동흡수판의 측부 패널(620)까지 연장되는 고리 지지대(640)와 연결되며, 상기 고리 지지대(640)와 진동흡수판의 하부 패널(610)간에는 제2 지지스프링(660)이 배치된다.
상기 안착홈(630)은, 상기 지지로드(700)의 끝단이 안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하며, 지지로드(700) 하부가 안착홈(630) 상부에 맞물려 끼워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650)는 단면에 있어서 한 면이 개방된 팔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로드(710)가 그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2 지지스프링(660)은 고리 지지대(640)와 하부 패널(610) 사이에 설치되며, 고리지지대(640)의 지지는 물론 하부 패널(610)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진동을 감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지지스프링(660)은 발명의 필요에 따라 원통형의 플라스틱 기둥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흡수판(600)의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은 탄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을 형성하는 탄성체는, 천연고무 60~80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고무(EPDM) 20~40중량%로 형성되는 혼합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 입경이 45nm 내지 55nm인 제1카본블랙 70 내지 85 중량% 및 평균 입경이 15nm 내지 30nm인 제2카본블랙 15 내지 30 중량%를 구비하는 카본블랙 30 내지 90 중량부 및 경화제로 디쿠밀퍼옥사이드 2.1 내지 3.7 중량부, 촉진제로 디오르소토릴 구아니딘(Diorthotolyl guanidine) 또는 다이페닐 구아니딘(Diphenyl guanidine) 0.4 내지 1.8 중량부, 노화방지제로 디페닐아민(4,4´-bis(α,α-dimethylbenzyl) diphenylamine) 또는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Octylated diphenylamines) 0.8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은,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큰 미립자 카본블랙을 적용함으로써, 탄성복원력은 물론 내열특성 및 내마모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탄성체를 형성하여 차량내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의 흡수와 더불어 진동흡수판(600) 내부의 구성요소의 지지 및 내구성 향상에 조력할 수 있다.
상기 고리(650)는 일반적인 고무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에 적용되는 탄성체 조성물로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의 공급밸브의 단면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800)는 진동흡수판(600) 및 지지로드(7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810), 승강로드(700), 높이조절판(830), 유압펌프(840) 및 공급밸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케이스(8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높이케이스(810)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오일 등)가 수용된다.
상기 승강로드(700)는 높이케이스(8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승강로드(700)의 상단에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이 결합된다. 승강로드(70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하판 하우징 패널(530)도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판(830)은 승강로드(700)의 측부에 결합되어 승강로드(700)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8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승강로드(700)는 상승되고,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승강로드(700)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승강로드(70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온도가 점차 올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밸브(900), 제1열교환기(850) 및 제2열교환기(86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밸브(900)는 일측이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85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된 제1열교환유로(851)와 접하는 높이케이스(810)의 내측에는 역류방지판(8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판(811)은 높이케이스(810)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제1열교환기(85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밸브(900)는 밸브케이스(910), 공급유로(920), 제1이동부(930), 중간유로(940), 제2이동부(950), 제1배출유로(960) 및 제2배출유로(97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의 (a)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폐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의 (c)는 제2개폐유닛(954)이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밸브케이스(910)는 내부가 온도감지실(911) 및 유체배출실(912)로 구획되어 있다. 온도감지실(911)의 하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높이케이스(8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920)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실(911)의 상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유체배출실(912)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940)가 형성된다.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좌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1열교환기(850)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960)가 형성되고,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우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2열교환기(8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9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911)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931), 제1이동케이스(9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932), 제1이동로드(9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940)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934) 및 제1이동케이스(931)와 제1개폐유닛(9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93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하일 경우,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지 않고,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높이조절부(8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경우,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1이동로드(932)를 우측으로 밀고,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중간유로(94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다.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1열교환유로(85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간유로(940)와 제1배출유로(9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개폐유닛(954)은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가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951), 제2이동케이스(9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952), 제2이동로드(9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97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954) 및 제2이동케이스(951)와 제2개폐유닛(9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953)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이고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하일 경우,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상일 경우, 도 10(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2이동로드(952)를 우측으로 밀고,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 팽창하고,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에는 팽창하지 않으며 제2온도 이상일 때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한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고, 제2배출유로(97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되며,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2열교환유로(86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이상으로 고온일 경우 제1열교환기(850)와 제2열교환기(860)를 통해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더 빨리 냉각된 유체를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항공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드론촬영을 병행하여 불량 영상지역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이에 더하여 촬영대상 좌표별로 지상촬영을 병행함으로써 항공기에 의한 촬영대상 좌표별 평면이미지는 물론 다수 카메라가 차량의 전후방은 물론 양측방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더욱 입체적인 지상 이미지도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지역에 대한 주변 이해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정확한 영상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여 항공 영상 촬영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서, 본 발명은 다수 카메라의 촬영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차량 운행시 차량 내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하여 오류가 최소화된 정밀한 지상 이미지의 획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더 정밀한 항공 영상데이터와 지상 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MCU 20: 항공영상DB
30: 불량확인부 40: 좌표확인부
50: 지상촬영영상DB 60: 드론촬영영상DB
70: 영상합성부 100: 지상촬영유닛
400: 카메라 410: 제1카메라
420: 제2카메라 430: 제3카메라
440: 제4카메라 450: 레일
500: 카메라 하우징 510: 하우징 커버
520: 중앙 하우징 패널 530: 하판 하우징 패널
540: 지지기둥 550: 지지가이드
570: 제1 지지스프링 580: 레일 홈
590: 지지기둥 홀 600: 진동흡수판
610: 하부패널 620: 측부패널
630: 안착홈 640: 고리 지지대
650: 고리 660: 제2 지지스프링
700: 승강로드 710: 지지로드
800: 높이조절부 900: 공급밸브
1000: 지상촬영기

Claims (1)

  1. 메인 제어부인 MCU(Main Control Unit)(1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촬영유닛(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DB(2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영상DB(2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스캔하여 해상도가 규정이하로 낮은 부분만을 검출하는 불량확인부(3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상기 불량확인부(30)가 확인한 불량 부분에 대한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좌표추출부(4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촬영 대상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대한 측면영상을 지상촬영유닛(100)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지상촬영영상DB(5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항공촬영시 촬영불량 지역을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에 탑재된 드론(DR)으로 촬영하여 평면영상을 저장하는 드론촬영영상DB(60)와, 상기 MCU(10)에 연결제어되고 각 영상에 코팅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불량지역 항공영상을 드론촬영 영상으로 교체 편집하며 지상촬영유닛(100)에 의해 촬영된 해당지역 지상영상을 항공촬영된 평면영상과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만드는 영상합성부(70)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상촬영유닛(100)은 이동가능한 차량(C)과, 상기 차량(C)의 지붕에 탑재되되 다수의 카메라(400)를 구비하는 지상촬영기(1000)와, 상기 차량(C)에 탑재되는 드론(DR)과, 상기 지상촬영기(1000)를 제어하도록 차량(C)의 운전석에 탑재된 컨트롤러(CTR)와, 상기 차량(C)의 지붕에 설치된 무선통신용 안테나(ANT) 및 좌표확인을 위한 GNSS수신기(GNSS)를 구비하고;
    상기 지상촬영기(1000)는,
    차량(C)의 지붕에 설치되는 진동흡수판(600); 상기 진동흡수판(6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지로드(710); 상기 지지로드(710)상에 설치되되, 지상촬영기(1000)가 구비하는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촬영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800); 상기 높이조절부(800) 상에 설치되는 승강로드(700); 상기 승강로드(700)상에 설치되되,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의 4대 카메라가 각각 끼워져 배치되는 카메라 하우징(500);을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하우징(500)은, 승강로드(700) 상에 설치되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과, 하판 하우징 패널(530)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40)과, 상기 지지기둥(540)의 끝단에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510)와, 상기 하우징 커버(510)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카메라(410) 및 제2카메라(420)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과 중앙 하우징 패널(52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제3카메라(430) 및 제4카메라(440)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과 하우징 커버(51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410)는 전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2카메라(420)는 우측방을 향해 배치되며, 제3카메라(430)는 좌측방을 향해 배치되고, 제4카메라(440)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되,
    상기 제1카메라(410)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 상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가이드(550) 사이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4카메라(440)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 상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가이드(550) 사이로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2카메라(420)는 하판 하우징 패널(530) 상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1개의 지지가이드(550)와 지지기둥(540)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3카메라(430)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 상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1개의 지지가이드(550)와 지지기둥(540) 사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410) 내지 제4카메라(440)는 각각 하부에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450)을 구비하고, 하판 하우징 패널(530) 또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 단면이 'ㅗ'자형 레일 홈(580)을 따라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4카메라(440)가 배치되는 중앙 하우징 패널(520)의 하단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와 제3카메라(430) 및 하판 하우징 패널(530) 사이에는 각각 제1 지지스프링(57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710)는,
    진동흡수판(600)의 안착 홈(630)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진동흡수판(600) 내로 삽입된 지지로드(710)는 다수의 고리(650)에 끼워지고, 다수의 고리(650)는 진동흡수판의 측부 패널(620)까지 연장되는 고리 지지대(640)와 연결되며, 상기 고리 지지대(640)와 진동흡수판의 하부 패널(610)간에는 제2 지지스프링(660)이 배치되고, 상기 진동흡수판(600)의 하부 패널(610) 및 측부 패널(620)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20091832A 2022-07-25 2022-07-25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8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32A KR102484815B1 (ko) 2022-07-25 2022-07-25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832A KR102484815B1 (ko) 2022-07-25 2022-07-25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815B1 true KR102484815B1 (ko) 2023-01-09

Family

ID=8489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832A KR102484815B1 (ko) 2022-07-25 2022-07-25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845B1 (ko) * 2022-10-13 2023-03-30 (주)위상공감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변하는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수정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5844B1 (ko) * 2022-10-13 2023-03-30 (주)위상공감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96656B1 (ko) * 2023-03-20 2023-11-01 (주)신한항업 항공촬영용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안정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87B1 (ko) * 2017-10-16 2018-02-09 (주)우주공간정보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7844B1 (ko) * 2021-04-12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87B1 (ko) * 2017-10-16 2018-02-09 (주)우주공간정보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7844B1 (ko) * 2021-04-12 2021-12-09 삼부기술 주식회사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845B1 (ko) * 2022-10-13 2023-03-30 (주)위상공감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변하는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수정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15844B1 (ko) * 2022-10-13 2023-03-30 (주)위상공감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596656B1 (ko) * 2023-03-20 2023-11-01 (주)신한항업 항공촬영용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안정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815B1 (ko) 항공 영상 데이터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N103038761B (zh) 自校准的远程成像和数据处理系统
KR101853901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 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KR102368284B1 (ko) 실시간 오류의 원격 수정이 용이한 수치지도 제작 운용 시스템
KR102068325B1 (ko) 정밀한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영상도화 편집시스템
CN109479126A (zh) 3d多孔径成像装置、多孔径成像装置、提供3d多孔径成像装置的输出信号的方法、及捕捉全视场的方法
KR102382232B1 (ko) 측량기의 수평을 유지하여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JP2018536892A (ja) チャネル特有の調整可能性を有するマルチ開口撮像装置、マルチ開口撮像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全視野の取込み方法
KR101358456B1 (ko) 고정밀 이미지를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CN103959126A (zh) 投影光学系统和投影型图像显示装置
KR102065750B1 (ko)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TE511056T1 (de) Stativkopf mit einem kugelgelenk für das unterstützen eine optische oder video- /fotografische ausrüstung
KR102474068B1 (ko)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7367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정사영상 중첩방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827487B1 (ko)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76678B1 (ko) 수정대상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N110082922A (zh) 基板层叠装置、基板层叠方法及立体图像显示装置
KR101830901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2337844B1 (ko)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US11307374B2 (en) Lens device, imaging system, movable object, and control method
KR102493359B1 (ko) 도화이미지 및 gps 정보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반영하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2484814B1 (ko) 영상 왜곡의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210445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584475B1 (ko) 지상 지형지물의 3차원 형상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484813B1 (ko) 영상이미지를 정사투영하여 기존 영상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