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50B1 -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5750B1 KR102065750B1 KR1020190143437A KR20190143437A KR102065750B1 KR 102065750 B1 KR102065750 B1 KR 102065750B1 KR 1020190143437 A KR1020190143437 A KR 1020190143437A KR 20190143437 A KR20190143437 A KR 20190143437A KR 102065750 B1 KR102065750 B1 KR 102065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amera
- module
- buff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저면에 설치된 지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상을 투영하는 투영장치 및 투영장치와 통신하여 항공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투영장치의 자세가 변동되어도 지상카메라가 투영 중인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비행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인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지도와 같이 정사투영의 형태로 보정함으로써 확보된다. 여기에서 편위수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발생된 경사(기울기)와 축척(촬영배율) 등을 수정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사영상은 정사항공투영으로 지상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정사항공촬영 사진이미지에 수치표고모델(DEM)을 활용하여 오류 없는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다시 정사영상의 색상을 보정하며 집성하고 오류 보정과 최종 품질검사를 거쳐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구축된다.
영상이미지(정사영상이미지) 확보를 위한 정사항공투영은 항공기 노선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60% 이상 중복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는 30% 이상을 중복하여 투영된 사진이미지를 확보한다.
수치표고모델은 중심투영으로 항공투영된 사진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정사영상 사진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사영상의 사진이미지는 색상, 명암 등을 보정하는 색상보정과정 및 낱장 단위의 영상이미지를 이웃한 영상이미지와 합성하는 영상집성과정을 거친다.
정사항공투영으로 확보된 정사영상 이미지의 색상보정과 영상집성 등이 포함되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가 완성되고, 정사영상지도의 각 지점에 대응되는 지상 각 위치에서 정밀하게 측량된 좌표정보(위치정보)를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를 확보하는 과정 중 항공기를 이용하는 정사투영 과정은 가장 처음 시작되는 과정이면서 후속처리 과정의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으로써 정사사진지도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의 기술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기류 변화, 기후 변화, 비행속도 조절, 고도조정, 선회 등에 의하여 예기치 못한 요동, 진동, 롤링 등이 발생하며, 이러한 요동, 진동 등은 항공촬영용 카메라에 관성 영향을 주어 촬영각도 및 촬영배율 등에 영향을 주므로 정사영상이미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영상이미지의 확보를 위한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항공촬영으로 정확한 식별이 어려운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지상에서 별도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촬영할 필요가 있으므로 매우 번거롭다.
다시 말하면,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은 한 번 촬영 후 다음 촬영까지의 대기시간이 길고 비용이 비싸므로 주기적으로 자주 촬영할 수 없어 지형지물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항공기가 고속으로 촬영지점을 통과하기 때문에 촬영 지역에 머무를 수 없고, 필요시 항공기를 선회하여 재촬영해야 하는 문제점과 이에 따른 비용 증가, 시간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영장치의 자세가 변동되어도 지상카메라가 투영 중인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비행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기존 영상정보 데이터와 대비한 후 변화된 부분이 감지되면 이를 곧바로 보정할 수 있는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저면에 설치된 지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상을 투영하는 투영장치; 및 투영장치와 통신하여 항공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투영장치는, 중앙에 배치되는 투영본체; 투영본체의 측부로 연장되는 4개의 날개부; 날개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프로펠러; 투영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제어부; 투영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상을 투영하는 지상카메라가 내장된 카메라부; 및 날개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상 안착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의 GPS 위치좌표를 측정 연산하는 지피에스모듈; 투영본체의 고도계측기 및 수평감지기와 연동하면서 투영본체가 현재 위치한 고도와 기체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고도 및 수평 상태에 따라 지상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인식모듈; 및 영상처리장치와 통신하여 항공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부는, 투영본체 하부에 결합되며 반구형 피봇홀이 형성되는 카메라베이스; 그 상부에 연장된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구형 결속체를 매개로 피봇홀에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카메라케이스; 카메라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며 지상을 촬영하는 지상카메라; 카메라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 카메라케이스의 내부에 카메라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개폐부; 및 연장부에 설치되며 연장부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무게추를 승강시키는 중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케이스의 하부에는 지상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홀이 형성되고, 카메라개폐부에는 개방홀과 이격되어 있다가 카메라개폐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홀과 포개어지는 개폐홀이 형성되며, 실린더의 측부에는 역삼각형 형태의 누름부가 형성되고, 카메라개폐부의 단부에는 누름부에 대응하여 삼각형 형태의 이동부가 형성되며, 실린더의 하단에는 초음파발사기가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누름부가 이동부를 눌러서 이동부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카메라개폐부는 카메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좌측으로 이동되어 개폐홀이 개방홀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실린더가 상부로 이동되면 누름부가 더 이상 이동부를 누르지 않게 되어 카메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카메라개폐부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개폐홀은 개방홀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중력부는, 연장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수직검출부; 연장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소정의 무게를 지니는 링 형태의 무게추; 및 카메라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무게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중력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완충부는, 날개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이 형성되는 완충지지부; 완충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및 완충헤드홀 및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볼트는,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기존의 영상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저장모듈; 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영상수신모듈; 수신된 항공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좌표합성모듈에 의해 GPS좌표가 입력된 항공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동일 배율로 편집하는 배율편집모듈; 및 동일 배율로 편집된 항공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대비하여 상이점을 추출하는 영상보정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좌표합성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항공이미지를 편집하여 형태와 규격을 맞추는 형태설정모듈; 형태설정모듈에서 재단한 항공이미지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설정모듈; 기준점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기준점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비교점을 설정하는 비교점설정모듈; 및 기준점의 실제 GP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항공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확인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보정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고 좌표합성모듈과 배율편집모듈을 통해 처리된 항공이미지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가공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가공이미지모듈; 영상저장모듈에 저장된 기존 영상이미지와 가공이미지를 비교하여 상이점을 검출하는 비교검출모듈; 및 비교검출모듈에 의해 판독대상물로 분류된 가공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 위에 배치하여 새로운 편집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편집이미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투영장치의 저면에 장착된 지상카메라가 투영장치의 자세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연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오차 없는 정사투영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영장치로 실시간 수집된 영상정보 데이터를 기존 영상정보 데이터와 대비하여 변화된 부분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정보는 저장하며 검증이 완료되면 정식 데이터로 저장하므로 영상신호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투영장치의 비행 중 발생하는 비행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정사투영 사진이미지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영상 처리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편집모듈을 이용하여 항공이미지를 축소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편집모듈을 이용하여 항공이미지를 축소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크게 투영장치(1000)와 영상처리장치(2000)로 구성되고, 상기 투영장치(1000)와 영상처리장치(20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다.
상기 투영장치(1000)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저면에 설치된 카메라부(1400)의 지상카메라(1430)가 연직 방향을 유지하면서 지상을 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영장치(1000)에는 제어부(1600)가 내장되어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투영장치(1000)의 제어부(1600)는 지피에스모듈(1610), 위치인식모듈(1620) 및 통신모듈(1630)을 포함하며, 지상카메라(143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피에스모듈(1610)은 GPS 전용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현재 위치 좌표를 연산한 다음 출력할 수 있다. 연산된 위치 좌표는 지상카메라(1430)가 정사투영한 항공이미지와 링크되어 기록된다.
상기 위치인식모듈(1620)은 투영장치(1000)의 고도계측기, 방위계측기 및 기울기센서 등과 통신하여 투영장치의 현재 고도, 운항속도 및 수평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인식모듈(1620)은 투영장치(1000)의 비행 상태에 따라 지상카메라(1430)의 최적 정사투영 시점을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작업자)가 최적 정사투영 고도 및 위치정보 등을 위치인식모듈(1620)에 설정하면, 위치인식모듈(1620)은 투영장치(1000)의 고도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원하는 지점에 다다르면 지상카메라(1430)가 지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위치인식모듈(1620)은 투영장치(1000)의 기울기센서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투영장치(100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며, 투영장치(1000)가 수평 안정 범위에 이르면 지상카메라(1430)가 지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상카메라(1430)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도 위치인식모듈(1620)이 최적의 정사투영 시점을 파악해 지형지물을 촬영하므로 실수로 촬영을 누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630)은 촬영 후 저장된 항공이미지를 지상에 위치한 영상처리장치(2000)에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것으로서, 통신모듈(1630)에 의해 전송되는 항공이미지에는 지피에스모듈(1610)에서 확인된 위치정보가 링크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2000)는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영상저장모듈(2100), 영상수신모듈(2200), 좌표합성모듈(2300), 배율편집모듈(2400) 및 영상보정모듈(25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영상저장모듈(2100)은 기존의 영상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수신모듈(2200)은 투영장치(1000)로부터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즉, 영상저장모듈(2100)에는 지형 변화가 발생하기 전의 영상이미지가 저장되어 있고, 영상수신모듈(2200)은 지형 변화가 발생한 후에 촬영된 항공이미지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좌표합성모듈(2300)은 투영장치(1000)로부터 촬영된 항공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한다. 상기 좌표합성모듈(2300)은 형태설정모듈(2310), 기준점설정모듈(2320), 비교점설정모듈(2330) 및 좌표확인모듈(2340)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설정모듈(2310)은 영상수신모듈(2200)에서 수신한 항공이미지를 편집하여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투영장치(1000)를 통해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다른 영상이미지들과 합성하기 위해 그 형태와 규격을 맞추는 것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영상수신모듈(2200)에서 수신한 항공이미지는 사각의 이미지로 그 형태가 재단되고, 사각이미지의 가로·세로 길이가 규격에 맞게 설정된다.
상기 기준점설정모듈(2320)은 형태설정모듈(2310)에서 재단한 항공이미지(P1)의 정중앙을 기준점(C)으로 잡는 것이다. 이때, 기준점(C)으로 잡힌 항공이미지(P1)의 해당지점은 지형지물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점설정모듈(2330)은 기준점(C)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임의의 지점을 비교점(R)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비교점(R)은 항공이미지(P1)의 대상인 실제 지리와 항공이미지(P1) 사이의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값이 된다. 비교점(R)의 설정은 특별한 제한조건이 없으므로 기준점(C)을 중심으로 항공이미지(P1)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좌표확인모듈(2340)은 기준점(C)의 실제 GP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항공이미지(P1)에 기준점(C)을 중심으로 한 GPS좌표의 합성작업을 준비한다.
이때, GPS좌표의 규격을 항공이미지(P1)의 규격에 맞추어야 하므로 비교점(R)의 GPS좌표를 확인하여 기준점(C)과 비교점(R) 사이의 '실제 거리'와 항공이미지(P1) 상에서의 기준점(C)과 비교점(R) 사이의 '이미지 거리'를 각각 확인한다. 상기 좌표확인모듈(2340)은 이렇게 확인된 '실제 거리'와 '이미지 거리'의 비율을 연산하여 그 축척에 따라 GPS좌표를 축소 또는 확대한다.
상기 좌표확인모듈(2340)은 이렇게 축소 또는 확대된 GPS좌표를 항공이미지(P1)에 합성하여 기준점(C)과 비교점(R)을 포함하여 당해 항공이미지(P1) 전체에 GPS좌표가 적용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율편집모듈을 이용하여 항공이미지를 축소 편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투영장치를 통해 촬영된 항공이미지(P1) 및 이러한 항공이미지(P1)의 배율을 편집한 항공이미지(P1')이고, 도 3(b)는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P2)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율편집모듈(2400)은 GPS 좌표가 입력된 항공이미지(P1)를 기존에 저장된 영상이미지(P2)와 동일 배율로 편집하는 것으로, 항공이미지(P1) 자체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기존의 영상이미지(P2)와 정확히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율편집모듈(2400)은 다양한 배율을 갖는 이미지(P1, P1', P2)의 배율을 일치시키기 위해 이미지(P1, P1', P2)의 해당 기준점(C)과 비교점(R) 사이의 거리(D)를 확인하고, 이러한 거리(D)가 일치되도록 이미지(P1, P1', P2)의 배율을 조정한다. 이때, 선택된 기준점(C) 및 비교점(R)은 새로이 촬영된 항공이미지(P1)와 기존에 저장된 영상이미지(P2)에서 동일한 지점일 것이다.
상기 영상보정모듈(2500)은 동일 배율로 편집된 항공이미지(P1')를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P2)와 대비하여 판독하는 것으로, 가공이미지모듈(2510), 비교검출모듈(2520) 및 편집이미지모듈(2530)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이미지모듈(2510)은 영상수신모듈(2200)을 통해 수신되고 좌표합성모듈(2300)과 배율편집모듈(2400)을 통해 처리된 항공이미지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가공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가공이미지모듈(2510)은 보정에 필요한 건물, 도로, 고도, 담장, 내륙수계의 레이어를 추출하며, 이를 와핑(Warphing) 작업을 하여 해독이 가능한 해상도를 가지도록 처리한 가공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비교검출모듈(2520)은 영상저장모듈(2100)에 저장된 기존 영상이미지와 가공이미지를 비교하여 상이점을 검출한다. 상기 비교검출모듈(2520)은 생성된 가공이미지와 기존 영상이미지를 비교하여 위치 및 모양의 상이점을 검출하여 각각의 가공이미지를 판독대상물 또는 비판독대상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처럼 기준점(C) 부근의 사거리를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 다수의 건물이 새로이 추가(모양 상이)된 경우, 해당 가공이미지는 판독대상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편집이미지모듈(2530)은 비교검출모듈(2520)에 의해 판독대상물로 분류된 가공이미지를 분석한 후, 지형지물의 변화가 있는 것이 최종 판독되면, 가공이미지의 추출된 레이어를 기존의 영상이미지 위에 덧씌워 새로운 편집이미지 파일을 생성·저장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항공이미지를 기저장된 영상이미지와 대비하여 상이점이 있는 영상이미지는 최신의 항공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수집한 항공이미지, 즉 영상정보 데이터를 정식 데이터로 저장하여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 영상이미지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영장치(1000)는, 중앙에 배치되는 투영본체(1100), 투영본체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날개부(1200) 및 날개부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프로펠러(1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1300)가 작동함에 따라 투영장치(1000)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투영본체(1100)의 내부에는 제어부(1600)가 내장되어 지상카메라(14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1300)는 중앙에 배치되어 회전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중앙부(1310) 및 중앙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중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외측에 회전날개(1330)가 결합되는 날개회전부(1320)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회전부(132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날개회전부(1320)의 내측에는 다수의 'T'자형 멜팅부(13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앙부(1310)에는 'T'자형 멜팅부(13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에 멜팅부(1321)가 맞물림에 따라 회전모터의 회전력이 날개회전부(132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멜팅부(1321)는 중앙부(1310) 및 날개회전부(1320)보다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펠러(1300)에 이물질이 끼여 프로펠러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고 과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경우, 용융점이 낮은 멜팅부(1321) 먼저 녹아서 끊어짐에 따라 회전모터와 날개회전부(1320) 사이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멜팅부(1321)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부(1310) 및 날개회전부(1320)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소재는 용융점이 약 160℃ 정도로 폴리아미드 소재에 비해 약 80℃ 정도 낮은 용융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고가의 회전모터가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사용자는 날개회전부(1320) 부분과 회전날개(1330) 부분만 교체하여 다시 프로펠러(130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영본체(1100)의 하부에는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지상카메라(1430)가 내장된 카메라부(1400)가 결합되고, 날개부(1200)의 하부에는 완충부(1500)가 결합된다. 완충부(1500)는 투영장치(1000)가 지상에 안착될 때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400)는 카메라베이스(1410), 카메라케이스(1420), 지상카메라(1430), 실린더(1440), 카메라개폐부(1450) 및 중력부(1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베이스(1410)는 투영본체(1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카메라베이스(1410)의 하단에는 반구형 피봇홀(1411)이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구형 결속체(1423)가 전후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반구형 피봇홀(14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형 결속체(1423)의 하부에는 연장부(1422)가 결합되고, 연장부(1422)의 하부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카메라케이스(1420)가 결합되어 항상 연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영본체(1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카메라베이스(1410)는 같은 자세로 기울어지나, 구형의 결속체(1423)는 피봇홀(1411)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카메라케이스(1420)는 자중에 의해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피봇홀(1411)은 결속체(14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되되, 오픈된 하단부의 직경이 결속체(1423)의 최대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결속체(1423)가 빠지지 않게 수용하면서 결속체(1423)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케이스(1420)는 연장부(1422) 및 결속체(1423)를 매개로 카메라베이스(14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상카메라(1430)는 카메라케이스(142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며, 지상을 향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상의 지형지물을 촬영한다.
상기 실린더(1440)는 카메라케이스(1420)의 내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카메라케이스(1420)의 하부에는 초음파홀이 형성되고, 실린더(1440)의 하단에는 초음파발사기(144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실린더(144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초음파발사기(1442)가 카메라케이스(14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실린더(1440)가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초음파발사기(1442)가 카메라케이스(142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발사기(1442)는 사람의 가청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발생시켜 투영장치(1000) 주변으로 조류 등의 간섭체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형지물이 정확하게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개폐부(1450)는 카메라케이스(1420)의 내부에 카메라스프링(1451)을 매개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카메라개폐부(1450)의 중앙 부분에는 개폐홀(1452)이 천공된다.
상기 카메라케이스(1420)의 하부에는 지상카메라(14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상카메라(14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홀(1421)이 형성되는데, 개폐홀(1452)은 카메라개폐부(1450)의 이동에 따라 개방홀(1421)로부터 이격되거나 포개어 겹쳐질 수 있다.
즉, 카메라개폐부(1450)가 카메라스프링(1451)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 개폐홀(1452)은 개방홀(1421)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개폐부(1450)가 개방홀(1421)을 덮어 지상카메라(14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카메라개폐부(1450)가 카메라스프링(1451)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좌측으로 이동되면, 개폐홀(1452)은 개방홀(1421)과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지상카메라(1430)가 개폐홀(1452) 및 개방홀(14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1440)의 측부에는 역삼각형 형태의 누름부(1441)가 형성되고, 카메라개폐부(1450)의 우측 단부에는 누름부(1441)에 대응하여 삼각형 형태의 이동부(1453)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144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누름부(1441)가 이동부(1453)를 눌러서 이동부(1453)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카메라개폐부(1450)는 카메라스프링(1451)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1440)가 상부로 이동되면 누름부(1441)가 더 이상 이동부(1453)를 누르지 않게 되므로 카메라스프링(1451)의 탄성력에 의해 카메라개폐부(1450)는 우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상카메라(1430)의 노출을 원하는 시점에만 지상카메라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부 이물질로부터 지상카메라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상카메라의 수명을 더욱 늘릴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린더(1440)의 단부에 결합된 초음파발사기(1442)의 노출과 연동하여 지상카메라(1430)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1차로 초음파발사기를 통해 조류 등의 간섭체를 쫓아내고 2차로 지상카메라가 지형지물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력부(1460)는 연장부(1422)에 설치되며 연장부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무게추(1462)를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중력부(1460)는 수직검출부(1461), 무게추(1462) 및 중력조절부(146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검출부(1461)는 연장부(1422)의 외주면 하측에 설치되어 연장부(1422)가 수직방향 상태로 위치하는지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는지를 검출하여 위치인식모듈(1620)에 전달한다.
무게추(1462)는 연장부(1422)의 외경과 동일 유사한 내경을 가지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장부(142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 부분에 승강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연장부(1422)의 외경에 삽입된다.
중력조절부(1463)는 카메라케이스(1420)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무게추(146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중력조절부(1463)는 승강모터(1464) 및 승강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승강스크류(1465)로 구성되고, 승강스크류(1465)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킴에 따라 무게추(1462)가 승강 또는 하강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무게추(1462)에는 승강스크류(1465)의 위치에 대응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무게추(1462)는 소정의 무게를 지니므로 연장부(1422)의 무게 중심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22)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것이 확인되면 무게추(1462)는 아래로 이동하여 연장부(1422)의 무게 중심점을 낮춰줌으로써 연장부(1422)가 빠르게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연장부(1422)가 연직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무게추(1462)는 현위치를 유지하거나 위로 이동하여 연장부(1422)가 안정적으로 현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위치인식모듈(1620)은 수직추적앱이 설치되고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며 운영데이터를 로딩(loading)하고, 중력조절부(1463)를 제어하여 무게추(1462)를 상사점 위치로 이동시킨다(S10).
상사점 위치는 무게추(1462)가 중력조절부(1463)의 구동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위치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사점 위치는 무게추(1462)가 중력조절부(1463)의 구동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는 가장 낮은 위치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인식모듈(1620)은 설치된 수직추적앱이 활성화된 상태에 의하여 중력조절부(1463)의 승강모터(1464)를 최고회전속도로 구동시켜 무게추(1462)가 상사점과 하사점의 주행구간 사이를 2회 이상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승강모터(1464)를 감시하여 주행구간 사이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회전하는 평균 총 회전회수와 평균 최고 회전속도를 각각 검출한다(S20).
위치인식모듈(1620)은 검출된 평균 최고 회전속도 및 이를 10 %씩 낮추어 70 % 의 회전속도가 될 때까지의 4 단계를 각각 제 1 내지 제 4 회전속도로 설정하고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S30).
또한, 위치인식모듈(1620)은 검출된 평균 총 회전회수를 3 개 구간으로 구획하여 구분된 4 단계의 회전회수에 의하여 승강모터(1464)가 회전하면서 무게추(1462)가 위치하는 지점을 각각 제 1 내지 제 4 중력조정점으로 설정하고, 무게추(1462)가 제 1 내지 제 4 중력조정점에 위치하기 위하여 승강모터(1464)가 회전하는 회전회수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S40).
위치인식모듈(1620)은 무게추(1462)가 제 1 중력조정점으로부터 각 중력조정점 까지 직접 이동하는데 승강모터(1464)가 회전하는 각각의 회전회수를 저장하는 동시에 특정한 중력조정점으로부터 각각 다른 중력조정점 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각각의 회전회수를 모두 저장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중력조정점은 무게추(1462)가 위치할 수 있는 최하단 위치 또는 하사점 위치이고, 제 4 중력조정점은 무게추(1462)가 위치할 수 있는 최상단 위치 또는 상사점 위치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위치인식모듈(1620)에 의하여 수직검출부(1461)를 감시하고 기울기 값이 20 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확인)되면, 무게추(1462)가 제 1 중력조정점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승강모터(1464)를 제 1 회전속도(최고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S50).
위치인식모듈(1620)에 의하여 수직검출부(1461)를 감시하고 기울기 값이 15 도 이상이고 20 도 미만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확인)되면, 무게추(1462)가 제 2 중력조정점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승강모터(1464)를 제 2 회전속도(최고 회전속도의 90 %)로 회전시킨다(S60).
위치인식모듈(1620)에 의하여 수직검출부(1461)를 감시하고 기울기 값이 10 도 이상이고 15 도 미만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확인)되면, 무게추(1462)가 제 3 중력조정점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승강모터(1464)를 제 3 회전속도(최고 회전속도의 80 %)로 회전시킨다(S70).
위치인식모듈(1620)에 의하여 수직검출부(1461)를 감시하고 기울기 값이 0 도 이상이고 10 도 미만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확인)되면, 무게추(1462)가 제 4 중력조정점(상사점)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승강모터(1464)를 제 4 회전속도(최고 회전속도의 70 %)로 회전시킨다(S80).
이 후, 위치인식모듈(1620)의 수직추적앱이 계속 운영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울기 판단 단계(S40과 S50 사이)로 궤환(feedback)하고, 수직추적앱이 계속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로 진행한다.
즉, 수직검출부(1461)로부터 큰 값의 기울기 값이 검출되면, 승강모터(1464)를 최고 회전속도인 제 1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무게추(1462)를 빠르게 제 1 중력조정점(하사점) 위치로 이동시키고, 단계적으로 기울기 값이 줄어들수록 승강모터(1464)의 회전속도를 줄이면서 10 도 미만의 범위로 기울기 값이 검출되면 최저 회전속도인 제 4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무게추(1462)를 제 4 중력조정점(상사점)의 위치로 느리게 이동시킨다.
여기서 승강모터(1464)의 회전속도를 최고 회전속도로부터 10 % 단계별로 줄이거나 늘리는 것은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최적 상태를 선택한 것이고, 구성이나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단계별 회전속도 값을 가감 변경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500)는 완충지지부(1510), 완충본체부(1520), 완충덮개부(1530) 및 완충볼트(154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지지부(1510)는 날개부(120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결합홀(1511)이 형성된다. 완충결합홀(1511)의 내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지지부(1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지지부(1510)는 투영장치(1000)가 지면에 내려앉았을 때, 카메라부(1400) 등의 부품이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완충본체부(1520)는 완충지지부(15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관통홀(152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152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완충결합홀(1511)과 차이가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15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투영장치(1000)의 착륙 또는 고장으로 인한 추락시 지면으로부터 투영장치(100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덮개부(1530)는 완충본체부(1520)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헤드홀(153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1521)과 마찬가지로 완충헤드홀(153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덮개부(1530)는 완충본체부(1520)의 하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완충덮개부(1530)는 완충본체부(1520)가 외부와 접촉되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충덮개부(1530)는 완충본체부(15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완충덮개부(1530)는 높은 경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상기 완충본체부(1520)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너무 높은 경도를 지니면 완충 기능을 거의 수행할 수 없고, 너무 낮은 경도를 지니면 지나치게 부드러워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즉, 2가지 성능을 한꺼번에 만족시키기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완충본체부(1520)는 최대한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완충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완충덮개부(1530)는 높은 경도의 소재로 구성하여 마모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2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볼트(1540)는 완충헤드홀(1531) 및 완충관통홀(1521)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1511)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1530), 완충본체부(1520) 및 완충지지부(1510)를 하나로 이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볼트(1540)는 완충결합홀(15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1541), 완충관통홀(152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1542) 및 완충헤드홀(153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154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관통부(1542)의 길이는 완충관통홀(152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완충볼트(1540)에 의해 완충본체부(1520)가 압착되지 않고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헤드부(1543)의 길이는 완충헤드홀(153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볼트헤드부(1543)가 완충헤드홀(1531)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0 : 투영장치 1100 : 투영본체 1200 : 날개부
1300 : 프로펠러 1310 : 중앙부 1320 : 날개회전부
1321 : 멜팅부 1330 : 회전날개 1400 : 카메라부
1410 : 카메라베이스 1411 : 피봇홀 1420 : 카메라케이스
1421 : 개방홀 1422 : 연장부 1423 : 결속체
1430 : 지상카메라 1440 : 실린더 1441 : 누름부
1442 : 초음파발사기 1450 : 카메라개폐부 1451 : 카메라스프링
1452 : 개폐홀 1453 : 이동부 1460 : 중력부
1461 : 수직검출부 1462 : 무게추 1463 : 중력조절부
1464 : 승강모터 1465 : 승강스크류 1500 : 완충부
1510 : 완충지지부 1511 : 완충결합홀 1520 : 완충본체부
1521 : 완충관통홀 1530 : 완충덮개부 1531 : 완충헤드홀
1540 : 완충볼트 1541 : 볼트나사부 1542 : 볼트관통부
1543 : 볼트헤드부 1600 : 제어부 1610 : 지피에스모듈
1620 : 위치인식모듈 1630 : 통신모듈 2000 : 영상처리장치
2100 : 영상저장모듈 2200 : 영상수신모듈 2300 : 좌표합성모듈
2310 : 형태설정모듈 2320 : 기준점설정모듈 2330 : 비교점설정모듈
2340 : 좌표확인모듈 2400 : 배율편집모듈 2500 : 영상보정모듈
2510 : 가공이미지모듈 2520 : 비교검출모듈 2530 : 편집이미지모듈
1300 : 프로펠러 1310 : 중앙부 1320 : 날개회전부
1321 : 멜팅부 1330 : 회전날개 1400 : 카메라부
1410 : 카메라베이스 1411 : 피봇홀 1420 : 카메라케이스
1421 : 개방홀 1422 : 연장부 1423 : 결속체
1430 : 지상카메라 1440 : 실린더 1441 : 누름부
1442 : 초음파발사기 1450 : 카메라개폐부 1451 : 카메라스프링
1452 : 개폐홀 1453 : 이동부 1460 : 중력부
1461 : 수직검출부 1462 : 무게추 1463 : 중력조절부
1464 : 승강모터 1465 : 승강스크류 1500 : 완충부
1510 : 완충지지부 1511 : 완충결합홀 1520 : 완충본체부
1521 : 완충관통홀 1530 : 완충덮개부 1531 : 완충헤드홀
1540 : 완충볼트 1541 : 볼트나사부 1542 : 볼트관통부
1543 : 볼트헤드부 1600 : 제어부 1610 : 지피에스모듈
1620 : 위치인식모듈 1630 : 통신모듈 2000 : 영상처리장치
2100 : 영상저장모듈 2200 : 영상수신모듈 2300 : 좌표합성모듈
2310 : 형태설정모듈 2320 : 기준점설정모듈 2330 : 비교점설정모듈
2340 : 좌표확인모듈 2400 : 배율편집모듈 2500 : 영상보정모듈
2510 : 가공이미지모듈 2520 : 비교검출모듈 2530 : 편집이미지모듈
Claims (1)
-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저면에 설치된 지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상을 투영하는 투영장치; 및 투영장치와 통신하여 항공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투영장치는,
중앙에 배치되는 투영본체; 투영본체의 측부로 연장되는 4개의 날개부; 날개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프로펠러; 투영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제어부; 투영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상을 투영하는 지상카메라가 내장된 카메라부; 및 날개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상 안착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의 GPS 위치좌표를 측정 연산하는 지피에스모듈; 투영본체의 고도계측기 및 수평감지기와 연동하면서 투영본체가 현재 위치한 고도와 기체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고도 및 수평 상태에 따라 지상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인식모듈; 및 영상처리장치와 통신하여 항공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투영본체 하부에 결합되며 반구형 피봇홀이 형성되는 카메라베이스; 카메라베이스의 하부에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카메라케이스; 카메라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며 지상을 촬영하는 지상카메라; 카메라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실린더; 카메라케이스의 내부에 카메라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개폐부; 및 연장부에 설치되며 연장부의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무게추를 승강시키는 중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케이스의 상부에는 연장부가 연장되고, 연장부의 말단에는 구형 결속체가 형성되며, 구형 결속체는 피봇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케이스의 하부에는 지상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홀이 형성되고, 카메라개폐부에는 개방홀과 이격되어 있다가 카메라개폐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홀과 포개어지는 개폐홀이 형성되며, 실린더의 측부에는 역삼각형 형태의 누름부가 형성되고, 카메라개폐부의 단부에는 누름부에 대응하여 삼각형 형태의 이동부가 형성되며, 실린더의 하단에는 초음파발사기가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누름부가 이동부를 눌러서 이동부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카메라개폐부는 카메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좌측으로 이동되어 개폐홀이 개방홀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실린더가 상부로 이동되면 누름부가 더 이상 이동부를 누르지 않게 되어 카메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카메라개폐부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개폐홀은 개방홀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력부는,
연장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장부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수직검출부; 연장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소정의 무게를 지니는 링 형태의 무게추; 및 카메라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무게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중력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날개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이 형성되는 완충지지부; 완충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및 완충헤드홀 및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볼트는,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기존의 영상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영상저장모듈; 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영상수신모듈; 수신된 항공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 좌표합성모듈에 의해 GPS좌표가 입력된 항공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동일 배율로 편집하는 배율편집모듈; 및 동일 배율로 편집된 항공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기존의 영상이미지와 대비하여 상이점을 추출하는 영상보정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좌표합성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항공이미지를 편집하여 사각의 이미지로 형태를 재단하는 형태설정모듈; 형태설정모듈에서 재단한 항공이미지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준점설정모듈; 기준점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기준점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비교점을 설정하는 비교점설정모듈; 및 기준점의 실제 GP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항공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확인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보정모듈은,
영상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고 좌표합성모듈과 배율편집모듈을 통해 처리된 항공이미지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가공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가공이미지모듈; 영상저장모듈에 저장된 기존 영상이미지와 가공이미지를 비교하여 상이점을 검출하는 비교검출모듈; 및 비교검출모듈에 의해 판독대상물로 분류된 가공이미지를 기존의 영상이미지 위에 배치하여 새로운 편집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편집이미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437A KR102065750B1 (ko) | 2019-11-11 | 2019-11-11 |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437A KR102065750B1 (ko) | 2019-11-11 | 2019-11-11 |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5750B1 true KR102065750B1 (ko) | 2020-01-13 |
Family
ID=6915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437A KR102065750B1 (ko) | 2019-11-11 | 2019-11-11 |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575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2405B1 (ko) * | 2019-12-09 | 2020-02-03 | 주식회사 제이에스아이시스템 | 지형지물과 동일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입체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드론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
KR102101333B1 (ko) * | 2019-12-30 | 2020-04-17 | (주)지오투정보기술 | Gis 데이터와 공간정보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KR102345880B1 (ko) | 2021-09-28 | 2022-01-03 | 주식회사 파나시아 | 촬영되는 실시간 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KR102393882B1 (ko) | 2021-09-27 | 2022-05-09 | 대한항업(주) | 항공촬영 영상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 시스템 |
KR102484813B1 (ko) * | 2022-07-25 | 2023-01-09 | 천지지에스티(주) | 영상이미지를 정사투영하여 기존 영상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KR102597429B1 (ko) | 2023-04-11 | 2023-11-02 | 주식회사포앤텍 | 움직이는 지형지물을 관측 촬영한 영상신호 처리시스템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5524B1 (ko) * | 2008-05-21 | 2008-12-23 |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 기준점 적용에 따른 영상도화 작업의 보정시스템 |
KR101219165B1 (ko) * | 2012-09-26 | 2013-01-09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자동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촬영 장치 |
KR101358456B1 (ko) * | 2013-09-05 | 2014-02-05 | 삼아항업(주) | 고정밀 이미지를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
KR101547910B1 (ko) * | 2015-07-03 | 2015-08-28 | 서광항업 주식회사 |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통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
KR101551380B1 (ko) * | 2015-06-17 | 2015-09-09 | (주)혜성 |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
KR101591996B1 (ko) * | 2015-07-24 | 2016-02-04 | (주)미도지리정보 | 영상처리장치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 인식용 영상처리 방법 |
KR101873371B1 (ko) * | 2018-01-22 | 2018-07-03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량 조사시스템 |
KR101875879B1 (ko) * | 2018-01-22 | 2018-07-06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
KR101935823B1 (ko) * | 2018-11-29 | 2019-01-07 | 네이버시스템(주) | 항공촬영이미지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KR101942031B1 (ko) * | 2018-11-29 | 2019-01-24 | 네이버시스템(주) | 지상정보와 항공촬영정보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
KR101948543B1 (ko) * | 2018-11-29 | 2019-02-15 | 네이버시스템(주) | 위치정보와 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
KR102014191B1 (ko) * | 2019-05-27 | 2019-08-26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디지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
2019
- 2019-11-11 KR KR1020190143437A patent/KR102065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5524B1 (ko) * | 2008-05-21 | 2008-12-23 |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 기준점 적용에 따른 영상도화 작업의 보정시스템 |
KR101219165B1 (ko) * | 2012-09-26 | 2013-01-09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자동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촬영 장치 |
KR101358456B1 (ko) * | 2013-09-05 | 2014-02-05 | 삼아항업(주) | 고정밀 이미지를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
KR101551380B1 (ko) * | 2015-06-17 | 2015-09-09 | (주)혜성 |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
KR101547910B1 (ko) * | 2015-07-03 | 2015-08-28 | 서광항업 주식회사 |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통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
KR101591996B1 (ko) * | 2015-07-24 | 2016-02-04 | (주)미도지리정보 | 영상처리장치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 인식용 영상처리 방법 |
KR101873371B1 (ko) * | 2018-01-22 | 2018-07-03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량 조사시스템 |
KR101875879B1 (ko) * | 2018-01-22 | 2018-07-06 |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
KR101935823B1 (ko) * | 2018-11-29 | 2019-01-07 | 네이버시스템(주) | 항공촬영이미지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KR101942031B1 (ko) * | 2018-11-29 | 2019-01-24 | 네이버시스템(주) | 지상정보와 항공촬영정보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
KR101948543B1 (ko) * | 2018-11-29 | 2019-02-15 | 네이버시스템(주) | 위치정보와 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
KR102014191B1 (ko) * | 2019-05-27 | 2019-08-26 |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 디지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2405B1 (ko) * | 2019-12-09 | 2020-02-03 | 주식회사 제이에스아이시스템 | 지형지물과 동일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입체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드론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
KR102101333B1 (ko) * | 2019-12-30 | 2020-04-17 | (주)지오투정보기술 | Gis 데이터와 공간정보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KR102393882B1 (ko) | 2021-09-27 | 2022-05-09 | 대한항업(주) | 항공촬영 영상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 시스템 |
KR102345880B1 (ko) | 2021-09-28 | 2022-01-03 | 주식회사 파나시아 | 촬영되는 실시간 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KR102484813B1 (ko) * | 2022-07-25 | 2023-01-09 | 천지지에스티(주) | 영상이미지를 정사투영하여 기존 영상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KR102597429B1 (ko) | 2023-04-11 | 2023-11-02 | 주식회사포앤텍 | 움직이는 지형지물을 관측 촬영한 영상신호 처리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5750B1 (ko) |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합성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
KR102065758B1 (ko) | 드론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영상정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
CN113038016B (zh) | 无人机图像采集方法及无人机 | |
JP6122591B2 (ja) | 写真測量用カメラ及び航空写真装置 | |
US9409656B2 (en) | Aerial photographing system | |
KR102203450B1 (ko) | 드론을 통한 실시간 수집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
CN205353774U (zh) | 一种伴随拍摄飞行器的无人机航拍系统 | |
KR102311384B1 (ko) | 디지털 촬영이미지의 위치별 3차원 가시화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 |
FI3596570T4 (fi) | Menetelmä polun määrittämiseksi objektiä pitkin, järjestelmä ja menetelmä objektin tutkimiseksi automaattisesti | |
KR102075441B1 (ko) | 드론을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입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
KR101591996B1 (ko) | 영상처리장치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 이미지 인식용 영상처리 방법 | |
KR101547910B1 (ko) |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통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 |
CN111567032B (zh) | 确定装置、移动体、确定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 |
JPWO2018163571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KR101517824B1 (ko) |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 시스템 | |
WO2017203646A1 (ja) | 撮像制御装置、影位置特定装置、撮像システム、移動体、撮像制御方法、影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569713B1 (ko) | 영상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팅 영상처리시스템 | |
KR102186199B1 (ko) | 다시점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화면분할 기반 영상처리시스템 | |
CN110809746A (zh) | 控制装置、摄像装置、移动体、控制方法以及程序 | |
KR102074713B1 (ko) | 영상이미지를 오류없이 정사투영하여 기존 영상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
KR102066432B1 (ko) |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 |
KR101948543B1 (ko) | 위치정보와 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 |
JP2006051864A (ja) | 自動飛行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動飛行制御方法 | |
KR102174823B1 (ko) |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합성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
CN110770667A (zh) | 控制装置、移动体、控制方法以及程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