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141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41B1
KR102484141B1 KR1020220075535A KR20220075535A KR102484141B1 KR 102484141 B1 KR102484141 B1 KR 102484141B1 KR 1020220075535 A KR1020220075535 A KR 1020220075535A KR 20220075535 A KR20220075535 A KR 20220075535A KR 102484141 B1 KR102484141 B1 KR 10248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go compartment
battery
cargo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원
Original Assignee
그래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래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래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운전석(10)이 마련되고,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칸(20)이 마련되며, 상기 화물칸(20)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칸(20)의 내부에 안정되게 적재될 수 있도록 각 측판 및 상판이 밀폐되게 형성된 도어가 구비된 운송 차량으로서, 상기 화물칸(20)의 각 측판, 상판과 바닥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불연재패널(110);을 마련하여 화물칸 내면에 불연재패널을 설치함으로써 화물칸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화물칸으르 옮겨 붙지 않게 되고, 불연재패널은 불연재인 질석으로 제1 질석플레이트와 제2 질석플레이트에 의해 화염이 외부로 전이되지 않으며,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운모 재질로 제1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폐리튬배터리에 남은 잔여 전원을 안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Vehicle battery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에 폐리튬배터리의 운송 도중에 폐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등에 의해 화물칸의 외부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운전자를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등과 같은 중대형의 디바이스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이차 전지인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폴리머 전해질 전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라 하고,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한편 리튬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 원통형 및 각형으로 된 캔 타입 이차 전지와,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고 가격경쟁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파손에 약한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캔 타입 이차 전지는 내구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최근 전기자동차(EV) 내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용 리튬 이차 전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리튬 이차 전지는 파우치 타입에서 캔 타입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향후 전기자동차 등에서 폐기되는 캔 타입 리튬 이차전지 역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캔 타입 폐리튬배터리의 처리방법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종래 폐리튬배터리는 폐기 및 재활용을 위하여 처리 설비가 구비된 곳까지 이송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화물차량 등에 적재하고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폐리튬배터리의 경우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가연성 가스가 배출될 수 있고, 이러한 가연성 가스의 발화 또는 외부에서의 충격 등에 의해 폭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리튬배터리를 전용으로 이송하는 차량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폐리튬배터리를 운송하기 위하여 화물 차량에 적재시킨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폐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로 인해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폐리튬배터리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폐리튬배터리가 완전 연소되기 전까지 화재를 진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폐리튬배터리의 화재 시 리튬배터리가 완전 연소되기까지 기다리거나 물을 뿌려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물이 연소를 촉진시키는 우려가 있고, 리튬배터리의 연소 시 인체에 유독한 불화수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폐리튬배터리 운송용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폐리튬배터리 운송용 차량은 방에는 운전석이, 후방에는 이차 전지의 폐리튬배터리가 적재되는 화물칸이 구비된 폐리튬배터리 운송용 차량으로서, 상기 화물칸에 고정되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고 각 구역마다 폐리튬배터리가 적재되어 보관되는 컨테이너 박스와, 상기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각 구역마다 고정되어 폐리튬배터리가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폐리튬배터리가 운송 시 5
Figure 112022064688505-pat00001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 박스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기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내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측면은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테이너 박스 내부에는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는 복수개가 설치되고, 일부는 적재되는 폐리튬배터리에 접촉하여 폐리튬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온도 센서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적재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컨테이너 박스 내측 양쪽 벽면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는 운송 혹은 보관을 위한 전기차 배터리를 상면에 적재하도록 판상으로 제작된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면에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저면부를 받치도록 형성된 복수의 받침 돌부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차 배터리를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좌대의 상면 후반부에 정해진 간극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대의 상면에 적재된 전기차 배터리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측면을 스토퍼로 밀어 고정하고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후반부 폭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퍼가 위치 이동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측면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대의 상면 후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대의 상면에 적재된 전기차 배터리의 후단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 돌부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뒤로 밀림을 방지하는 후단 걸림부와, 상기 좌대의 상면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대의 상면에 적재된 전기차 배터리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벨트로 감아 고정하고 상기 전기차 배터리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결속기를 구비한다.
상기 좌대의 모서리 지점에서 다른 좌대의 저면부를 받쳐 적층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모서리 받침축 및 상기 모서리 받침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서로 적층되는 좌대 사이에 상기 전기차 배터리 적재 공간을 확보하는 포스트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2-000858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01715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673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폐리튬배터리의 운송 도중에 폐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시 화염이 차량의 외부로 전이되지 않도록 화염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리튬배터리의 운송 도중에 화재 발생 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 차량의 화물칸 내부 전체를 불연재 재질의 패널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폐리튬배터리가 화물칸 내부에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은 전방에 운전석(10)이 마련되고,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칸(20)이 마련되며, 상기 화물칸(20)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칸(20)의 내부에 안정되게 적재될 수 있도록 각 측판 및 상판이 밀폐되게 형성된 도어가 구비된 운송 차량으로서, 상기 화물칸(20)의 각 측판, 상판과 바닥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불연재패널(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연재패널(110)은 상기 화물칸(20) 내에 적재된 폐리튬배터리와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111); 상기 화물칸(20)의 화재 발생 시 상기 화물칸(20)으로 화염이 전이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소정의 두께로 적층되는 제2 플레이트(113);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전기 절연이 이루어지는 운모를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13)는 불연성 재질인 질석을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일면에 부착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116); 상기 플레이트본체(116)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절곡부(117);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117)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부착부(1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떨어지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볼트구멍(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3)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구멍(112)에 고정볼트(114)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114)는 난연성 재질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에 의하면, 화물칸 내면에 불연재패널을 설치함으로써 화물칸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화물칸으르 옮겨 붙지 않게 되고, 불연재패널은 불연재인 질석으로 제1 질석플레이트와 제2 질석플레이트에 의해 화염이 외부로 전이되지 않으며,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운모 재질로 제1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에 남은 잔여 전원을 안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에 의하면, 화물칸 내에 적재된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화재로 인한 2차 화재 및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화물칸을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화물칸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화물칸을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은 전방에 운전석(10)이 마련되고,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칸(20)이 마련되며, 상기 화물칸(20)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칸(20)의 내부에 안정되게 적재될 수 있도록 각 측판 및 상판이 밀폐되게 형성된 도어가 구비된 운송 차량으로서, 상기 화물칸(20)의 각 측판, 상판과 바닥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불연재패널(11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화물칸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은 전방에 운전석(10)이 마련되고, 차량의 후방에는 화물, 즉 전기자동차용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를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칸(20)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화물칸(20)은 전기자동차용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가 비 등에 젖지 않도록 화물칸(20)의 각 측판, 바닥판, 상판 및 도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화물칸(20)의 내면에는 다수의 측판, 바닥판, 상판 및 도어에 화재가 화물칸(20)의 외부로 옮겨붙지 않도록 하는 불연재패널(110)이 설치된다.
상기 불연재패널(110)은 상기 화물칸(20) 내에 적재된 전기자동차용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와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화물칸(20)의 각 측판, 바닥판, 상판 및 도어에 밀착되는 제1 플레이트(111)와, 상기 화물칸(20)의 화재 발생 시 상기 화물칸(20)으로 화염이 전이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소정의 두께로 적층되는 제2 플레이트(113)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에 고정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상기 불연재패널(110)은 화물칸(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물칸(20) 내부에 적재된 전기자동차용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에서 스파크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시 화재가 화물칸(20)의 외부로 전이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불연재패널(110)은 전기자동차용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에 의해 발생된 화재가 화물칸(20)의 외부로 옮겨 붙지 않도록 하여 화물칸(20) 내부에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전기 절연이 이루어지는 운모를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13)는 불연성 재질인 질석을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화물칸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화물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화물칸(20)의 각 측판, 바닥판, 상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1 플레이트(111)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전기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금속이 아닌 운모 재질로 형성되며, 폐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한 전기가 화물칸(20)으로 통하지 않는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화물칸(20)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는 제2 플레이트(113)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구멍(11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구멍(112)은 제1 플레이트(11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는 제2 플레이트(113)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113)는 불연 재질인 질석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2 플레이트(113)는 화물칸(20)에 화재가 옮겨붙지 않도록 불연 재질인 질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113)는 일정 두께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플레이트(113)는 일정 두께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로써, 제1 질석플레이트(113a)와 제2 질석플레이트(113b)로 이루어진다.
이는 2개의 질석플레이트(113)를 설치함으로써, 화염에 의해 제1 질석플레이트(113a)가 파손되더라도 제2 질석플레이트(113b)에 의해 화재가 화물칸(20)으로 옮겨붙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전기 절연이 이루어지는 운모를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13)는 불연성 재질인 질석을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일면에는 제2 플레이트(113)를 감싸는 제1 고정플레이트(11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제2 플레이트(113)의 일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116)와, 상기 플레이트본체(116)의 선단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17)와, 상기 절곡부(117)의 선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부착부(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본체(116)는 제2 플레이트(113)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본체(116)의 선단에는 제2 플레이트(113)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117)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17)의 선단에서 제2 플레이트(113)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부착부(11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1)와 제1 고정플레이트(115) 사이에는 제1 고정플레이트(11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제2 고정플레이트(119)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은 화물칸(20)의 측판, 바닥판, 상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불연재패널(110)을 설치한다.
이러한 불연재패널(110)의 제1 플레이트(111)는 전기절연이 이루어지는 운모 재질로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113)는 불연성 재질인 질석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2 플레이트(113)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1 고정플레이트(115)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의 선단에는 제2 플레이트(113)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절곡부(117)가 일체로 형성되고, 절곡부(117)에는 제2 고정플레이트(119)에 고정되게 부착부(118)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3) 사이에는 제2 고정플레이트(119)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의 부착부(118)는 제2 플레이트(113)와 제2 고정플레이트(119)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은 불연재패널(110)은 화물칸(20)의 각 측판, 바닥판, 상판 및 도어의 내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화물칸(20) 내에 적재된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된 스파크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질석으로 이루어진 제2 플레이트(113a, 113b)에 의해 화물칸(20)으로 전이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11)는 전기 절연이 이루어지는 운모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폐리튬배터리에서 잔여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화물칸(20)으로 통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화물칸(20) 내에 적재된 폐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불연재패널(110)에 의해 화염이 화물칸(20)의 외부로 옮겨 붙지 않게 된다.
아울러 폐리튬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운전자는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불연재패널 111: 제1 플레이트
112: 볼트구멍 113: 제2 플레이트
114: 고정볼트 115: 제1 고정플레이트
116: 플레이트본체 117: 절곡부
118: 부착부 119: 제2 고정플레이트

Claims (5)

  1. 전방에 운전석(10)이 마련되고,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칸(20)이 마련되며, 상기 화물칸(20)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화물칸(20)의 내부에 안정되게 적재될 수 있도록 각 측판 및 상판이 밀폐되게 형성된 도어가 구비된 운송 차량으로서,
    상기 화물칸(20)의 각 측판, 상판과 바닥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불연재패널(110);을 포함하고,
    상기 불연재패널(110)은 상기 화물칸(20) 내에 적재된 전기자동차용 리튬배터리 또는 폐리튬배터리와의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절연성 재질인 운모를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화물칸(20)의 각 측판, 상판과 바닥판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111);
    상기 화물칸(20)의 화재 발생 시 상기 화물칸(20)으로 화염이 전이되지 않도록 불연성 재질인 질석을 압축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적층되되, 화염에 의해 제1 질석플레이트(113a)가 파손되더라도 제2 질석플레이트(113b)에 의해 화재가 화물칸(20)으로 옮겨붙지 않도록 제1 질석플레이트(113a)와 제2 질석플레이트(113b)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 플레이트(113);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1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113)의 일면에 부착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116)와, 상기 플레이트본체(116)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절곡부(117)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가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117)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부착부(11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3) 사이에는 제2 고정플레이트(119)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115)의 부착부(118)는 제2 플레이트(113)와 제2 고정플레이트(119)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111)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볼트구멍(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3)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구멍(112)에 고정볼트(114)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114)는 난연성 재질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KR1020220075535A 2022-06-21 2022-06-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KR10248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35A KR102484141B1 (ko) 2022-06-21 2022-06-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35A KR102484141B1 (ko) 2022-06-21 2022-06-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141B1 true KR102484141B1 (ko) 2023-01-04

Family

ID=8492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535A KR102484141B1 (ko) 2022-06-21 2022-06-2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1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90Y1 (ko) * 1999-09-22 2000-03-15 이정환 컨테이너 하우스용 벽면 적층판넬
KR102201715B1 (ko) 2020-08-06 2021-01-12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KR20210137271A (ko) * 2020-05-07 2021-11-1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운송 박스
KR20220008584A (ko)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에코비트프리텍 폐리튬배터리 운송용 차량
KR102367324B1 (ko) 2021-07-28 2022-02-24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차폐 슬리브를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90Y1 (ko) * 1999-09-22 2000-03-15 이정환 컨테이너 하우스용 벽면 적층판넬
KR20210137271A (ko) * 2020-05-07 2021-11-1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운송 박스
KR20220008584A (ko)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에코비트프리텍 폐리튬배터리 운송용 차량
KR102201715B1 (ko) 2020-08-06 2021-01-12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KR102367324B1 (ko) 2021-07-28 2022-02-24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차폐 슬리브를 구비한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228A (ko) 화재 억제를 위한 격벽과 단열층이 구비된 전지 모듈
JP4907362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JP6695800B2 (ja) 熱暴走緩和を伴う携帯式電気エネルギー蓄電装置
US8143847B2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9075303A (ja) 電池パック
KR101462041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2014353A1 (ja) 電池モジュール
US9577241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US11942617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469243B2 (ja) その場形成可能な流体チャネルを備えた携帯型電気エネルギー蓄電装置
AU2020295214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base plate having gas discharge passag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106924A (ko) 열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지 모듈
KR10248414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운송 차량
CN114365328A (zh) 多级冷却型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20210127320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20220093987A1 (en) Apparatus for insulating battery of electric vehicle
JP202355318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10016289A (ko) 전기 구동 차량용 전력 저장 시스템
KR2022012091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60134125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220093976A1 (en) Apparatus for resisting flame of battery of electric vehicle
US20240145859A1 (en) Battery module enclosure with stiffening structure
US20240030544A1 (en) Mitigating thermal runaway of lithium-ion batteries
KR102622859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611921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