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736B1 -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736B1
KR102483736B1 KR1020220166018A KR20220166018A KR102483736B1 KR 102483736 B1 KR102483736 B1 KR 102483736B1 KR 1020220166018 A KR1020220166018 A KR 1020220166018A KR 20220166018 A KR20220166018 A KR 20220166018A KR 102483736 B1 KR102483736 B1 KR 10248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weight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환
최웅조
김현도
장은환
Original Assignee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7/00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통풍공(110)이 형성된 안전모 몸체(100); 및 상기 통풍공(110)에 있어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투습방수막(200); 및 상기 투습방수막(200)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통풍공(110)에 억지끼움결합되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410)이 형성되고 외부 전면에 방수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정틀(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SAFETY CHECK AND DIAGNOSTICS HELMET}
본 발명은 통풍공을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막으로 덮어서, 우천시에는 작업자의 땀과 열이 방출되는 통풍성을 유지하면서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 기능을 가지며, 동절기에는 방풍 및 보온 기능을 가지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는 각종 구조물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외부 낙하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전모를 작업자가 하절기에 착용하는 경우, 안전모 내부의 통기 부족으로 인하여 안전모 내부가 고온으로 유지됨에 따라, 작업자가 두통을 호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각종 구조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중단해야 되므로, 작업 효율 저하 및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3015호는 안전모의 외면에 연장된 덕트를 가지며, 덕트 측벽에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홈을 이루는 통풍공이 형성되며, 덕트 측벽의 통풍공에 의해 통기성이 강화된 안전모가 공개된 바 있다.
또한, 통풍공이 덕트 측벽에 구성됨으로써, 우천시 안전모의 외면에서 튕겨진 우수가 통풍공에 침투되어 작업자의 머리가 젖게 되는 문제점과 통풍공이 상시 개방됨으로써 동절기에 외부 추위가 통풍공으로 침투되어 작업자가 외부 추위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통풍공을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막으로 덮어서 우천시에는 작업자의 땀과 열이 방출되는 통풍성을 유지하면서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 기능을 가지며, 동절기에는 방풍 및 보온 기능을 가지는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역시 실온의 분위기에서는 어느 정도의 소수성과 내구성을 지닐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이고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장기간 작업 시, 특히 2시간 이상 작업 시, 고정틀을 통해 여전히 누수가 관찰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필요한 상황이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2194131호 2. 일본 공개특허 제11-189910호 3. 한국 등록특허 제10-2071601호 4. 중국 공개특허 제102715683호 5. 한국 등록특허 제10-0988079호 6. 한국 등록특허 제10-1532972호 7.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12891호 8. 한국 공개실용 제20-2013-00030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풍공을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막으로 덮어서, 우천시에는 작업자의 땀과 열이 방출되는 통풍성을 유지하면서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 기능을 가지며, 동절기에는 방풍 및 보온 기능을 가지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통풍공(110)이 형성된 안전모 몸체(100), (b) 상기 통풍공(110)을 덮기 위한 것으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막(200), 및 (c) 상기 투습방수막(200)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통풍공(110)에 억지끼움결합되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410)이 형성되는 고정틀(400)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로서;
상기 투습방수막(200)은 (b1) 상기 고정틀(400)의 일단을 감싸는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 및 (b2) 상기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틀(400)의 둘레면을 감싸는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261)가 제1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안전모 몸체(100)에 접합되고; 상기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262)가 제2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고정틀(400)에 접합되며;
상기 제1접착제는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및 내열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1:2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5 내지 0.8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부 및 점착부여제 5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가 1:2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5 내지 0.8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교제는 2,5-디메틸-2,5-디(3급-부틸 퍼옥시)헥산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N-메틸-1,6-헥산디아민 및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이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이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 수지, 수소화 테르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고정틀(400)은 평균 입경이 50~150 ㎛인 탄소계 분말 및 소수성 고분자가 6:4 내지 8:2 중량비로 혼합된 유무기 복합체로 형성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탄소계 분말은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그라파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고정틀(400)의 외부 전면은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 후 경화시킨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21중량%,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28-29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2-3중량%, 디메틸올프로피온산 3-4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8-9중량%,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2-3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34-36중량%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22129383767-pat00001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는 통풍공을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막으로 덮어서, 우천시에는 작업자의 땀과 열이 방출되는 통풍성을 유지하면서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방수 기능을 가지며, 동절기에는 방풍 및 보온 기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고정틀(400)에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킨 코팅층이 형성시킴으로써, 미코팅 고정틀(400)이 지녔던 통상의 분위기에서의 소수성과 내구성은 그대로 지니면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이고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장기간, 특히 2시간 이상 작업 시에도 고정틀(400)을 통한 누수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1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2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3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3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4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5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5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6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7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7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8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9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1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안전모 몸체(100) 및 투습방수막(200)을 포함한다.
안전모 몸체(100)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전모 몸체(100)의 내측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재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재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머리 상부를 밴드 형태로 감싸는 헤어밴드(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완충재는 통기를 위한 다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전모 몸체(110)는 두께 방향으로 통풍을 위한 통풍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모 몸체(100)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터폴리머((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terpolymer, ABS) 40~60 중량%,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25~30 중량%, 보강섬유 10~20 중량% 및 충격흡수제 5~10 중량%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모 몸체(100)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터폴리머((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terpolymer, ABS) 55 중량%,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28 중량%, 보강섬유 12 중량% 및 충격흡수제 5 중량%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모 몸체(100)는 특히 보강섬유 및 충격흡수제를 혼합함으로써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가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는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제는 폴리스티렌계 고무, 폴리노르보넨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고무, 폴리노르보넨 고무 및 실리콘 고무가 1: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투습방수막(200)은 통풍공(110)을 덮으며,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투습방수막(200)은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은 고어텍스, 미크로텍스, 타이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습방수막(200)은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은 고어텍스, 미크로텍스, 타이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고어텍스(Goretex)는 테플론계 수지를 가열하여 신장하여 다수의 미세한 구성이 생긴 엷은 막이며, 이를 나일론 천에 접착한 것이 고어텍스 섬유가 된다. 고어텍스 섬유는 1제곱인치당 0.2미크론의 구멍을 최소 90억 개 이상 가진 얇은 막으로, 물방울은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공기와 수증기는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의 구동 원리는 불소 수지 막의 미세한 구멍 크기에 있다. 이 구멍은 물방울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작고, 공기와 수증기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미크로텍스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을 가열하여 연장하여 1제곱인치당 0.6미크론의 구멍을 얇은 막으로, 공기와 수증기가 고어텍스보다 잘 통과하나 물방울도 잘 통과하여 방수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타이벡은 듀폰사에서 독자적으로 생산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을 직조한 필름으로, 외부로 통하는 다수의 구멍을 가져서 물방울이 쉽게 증발하는 특징이 있다.
고어텍스, 미크로텍스, 타이벡 중 방수 성능이 가장 좋은 재질은 고어텍스이다. 따라서, 투습방수막(200)은 고어텍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통풍공(110)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되, 안전모 몸체(100)의 상부에 집중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안전모 몸체(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땀과 열이 안전모 몸체(100) 상부로 상승 한 후, 안전모 몸체(100) 상부의 통풍공(110)들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수막(200)은 통풍공(110)을 모두 덮는다. 투습방수막(200)은 단일체인 제1투습방수부(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투습방수부(210)는 안전모 몸체(100)의 내면에 배치되어 통풍공(110)을 모두 덮는다. 다시 말해, 단일의 제1투습방수부(210)가 다수의 통풍공(110)의 일단을 모두 덮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1은 제1투습방수부(210)에 의해 통풍공(110)의 일단만 덮어짐에 따라, 통풍성이 비교적 좋으므로, 하절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하되, 투습방수막(200)이 제2투습방수부(220)를 추가로 가진다.
제2투습방수부(220)는 안전모 몸체(100)의 외면에 배치되어 통풍공(110)을 모두 덮는다. 다시 말해, 단일의 제2투습방수부(220)가 다수의 통풍공(110)의 타단을 모두 덮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2는 제1투습방수부(210) 및 제2투습방수부(220)에 의해 통풍공(110)의 양단이 덮어짐에 따라, 방풍 및 보온 기능이 비교적 향상되므로, 동절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3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3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3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안전모 몸체(100)의 모든 부위에 통풍공(110)이 배열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 3의 안전모 몸체(100)의 통풍공(110) 배열 간격이 실시예 1의 안전모 몸체(100)의 통풍공(110) 배열 간격보다 넓다. 따라서 실시예 3은 안전모 몸체(100)의 내구성이 비교적 좋으므로, 낙하물이 많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4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4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4는 실시예 3과 동일하되, 투습방수막(200)이 제2투습방수부(220)를 추가로 가진다.
제2투습방수부(220)는 제1투습방수부(210)와 동일한 것으로, 안전모 몸체(100)의 외면에 배치되어 통풍공(110)을 덮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5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5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5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5는 안전모 몸체(100) 및 투습방수막(200)을 포함한다.
안전모 몸체(100)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전모 몸체(100)의 내측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재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재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머리 상부를 밴드 형태로 감싸는 헤어밴드(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완충재는 통기를 위하여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안전모 몸체(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습방수막(200)은 통풍공(110)을 덮기 위한 것으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통풍공(110)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되, 안전모 몸체(100)의 상부에 집중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안전모 몸체(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땀과 열이 안전모 몸체(100) 상부로 상승 한 후, 안전모 몸체(100) 상부의 통풍공(110)들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수막(200)은 통풍공(110)에 대응하는 갯수로 구성되어 통풍공(110)을 개별로 덮는다. 투습방수막(200)은 제3투습방수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3투습방수부(230)는 안전모 몸체(100)의 내면에 배치되어 통풍공(110)을 개별로 덮는다. 다시 말해, 다수의 제3투습방수부(230)가 각각 다수의 통풍공(110)의 일단을 개별로 덮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3투습방수부(230)가 각각 다수의 통풍공(110)의 일단을 개별로 덮는 이유는 제3투습방수부(230)의 크기를 줄여서 제3투습방수부(230)의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3투습방수부(230)를 안전모 몸체(100)의 곡면에 맞춰서 접합하는 과정(후술됨)에서 제3투습방수부(230)가 원주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제3투습방수부(230)가 가진 구멍들도 넓어져서 제3투습방수부(230)의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데, 제3투습방수부(230)의 크기를 줄일수록 원주방향 신장율이 작아져서 방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5는 제3투습방수부(230)에 의해 통풍공(110)의 일단이 덮어짐에 따라, 통풍성이 비교적 좋으므로, 하절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6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6은 실시예 5와 동일하되, 투습방수막(200)이 제4투습방수부(240)를 추가로 가진다.
제4투습방수부(240)는 안전모 몸체(100)의 외면에 배치되어 통풍공(110)을 덮는다. 다시 말해, 다수의 제4투습방수부(240)가 각각 다수의 통풍공(110)의 타단을 덮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6은 제3투습방수부(230) 및 제4투습방수부(240)에 의해 통풍공(110)의 양단이 덮어져서 방풍 및 보온 기능이 비교적 향상되므로, 동절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7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7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7은 실시예 5과 동일하되, 안전모 몸체(100)의 모든 부위에 통풍공(110)이 배열 형성 된다.
또한, 실시예 7의 안전모 몸체(100)의 통풍공(110) 배열 간격이 실시예 5의 안전모 몸체(100)의 통풍공(110) 배열 간격보다 넓다. 따라서 실시예 7은 안전모 몸체(100)의 내구성이 비교적 좋으므로, 낙하물이 많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8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8은 실시예 7과 동일하되, 투습방수막(200)이 제4투습방수부(240)를 추가로 가진다.
제4투습방수부(240)는 안전모 몸체(100)의 외면에 배치되어 통풍공(110)을 덮는다.
다시 말해, 다수의 제4투습방수부(240)가 각각 다수의 통풍공(110)의 타단을 덮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8은 내구성, 방풍성, 보온 기능이 비교적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의 실시예 9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9는 실시예 5 또는 7의 안전모 몸체(100)를 가지되, 투습방수막(200)이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 및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를 가지며, 고정틀(400)을 포함한다.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와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는 투습방수막(200)이 고정틀(400)을 감싸며 고정틀(400)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는 후술할 고정틀(400)의 일단을 감싸며 후술할 고정틀(400)의 일단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는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와 연결되고 후술할 고정틀(400)의 둘레면을 감싸며 후술할 고정틀(400)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틀(400)은 투습방수막(200)에 의해 감싸져서 통풍공(110)에 억지끼움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틀(400)의 일단은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로 감싸지며, 고정틀(400)의 둘레면은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로 감싸진다.
이러한 고정틀(400)은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와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작업자의 땀이나 우천시 물방울 등이 고정틀(400)을 통해 통과하지 못하도록 소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틀(400)은 평균 입경이 50~150 ㎛인 탄소계 분말 및 소수성 고분자가 6:4 내지 8:2 중량비로 혼합된 유무기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틀(400)은 평균 입경이 50~150 ㎛인 탄소계 분말 및 소수성 고분자가 7:3 중량비로 혼합된 유무기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수성 고분자 및 탄소계 분말의 혼합비 범위를 벗어날 경우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상기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와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형태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분말은 평균 입경이 50~150 ㎛의 분말 형태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특성을 갖는 소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계 분말은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그라파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라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틀(400)은 작업자의 땀이나 우천시 물방울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소수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다만, 위에서 살펴본 소재로 고정틀(400)을 구성함으로써 실온의 상황에서는 이러한 소수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조건,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 및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장기간, 특히 2시간 이상, 작업 시 고정틀(400)을 통한 누수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틀(400)의 전면이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 후 경화시킨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프로피온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및 메틸에틸케톤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21중량%,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28-29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2-3중량%, 디메틸올프로피온산 3-4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8-9중량%,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2-3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34-36중량%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틀(400)에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킨 코팅층이 형성시킴으로써, 미코팅 고정틀(400)이 지녔던 통상의 분위기에서의 소수성과 내구성은 그대로 지니면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이고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 장기간, 특히 2시간 이상 작업 시에도 고정틀(400)을 통한 누수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고온 및 우천 시 장기 작업시간에서도 소수성이 저하되지 않는 위와 같은 효과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위에 열거한 각 코팅 조성물의 함량과 그 중에서도 스파이로파이란의 함량인 2-3중량%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해서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을 이해하고 재현함에 있어 필요한,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도 필요한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347호 및 제10-1961392호를 포함하여 공지된 문헌을 참고하여 쉽게 습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고정틀(400)과 통풍공(110) 간에 억지끼움이 용이하도록 고정틀(400)과 통풍공(110)은 서로 대응하는 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와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는 고정틀(400)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됨에 따라,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고정틀(400)의 내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410)이 형성된다. 관통공(410)은 통풍공(110)의 통풍 역할을 대체한다.
한편, 고정틀(400)을 통풍공(110)에 억지끼움할 때, 고정틀(400)이 통풍공(110)을 완전히 통과하여 이탈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400)의 타단에는 제한턱(4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턱(420)은 고정틀(400)의 일단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며, 고정틀(400)을 통풍공(110)에 억지끼움할 때 안전모 몸체(100)에 걸려서 상기한 이탈 상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투습방수막(200)은 공기와 수증기만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가지기 때문에, 그 미세한 구멍들로 접착제가 스며들기 어렵고, 표면 장력도 매우 작은 편이다. 이로 인해, 투습방수막(200)을 안전모 몸체(100)의 표면과 고정틀(400)의 표면에 접합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투습방수막(200)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리고 투습방수막(200)과 안전모 몸체(100) 간의 접합력 및 투습방수막(200)과 고정틀(400) 간에 접합력을 향상시킬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다.
우선, 투습방수막(200)의 표면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14 및 도 16을 기준으로, 투습방수막(200)은 제1요철부(261) 및 제2요철부(262)를 가질 수 있다.
제1요철부(261)는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외주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안전모 몸체(100)의 통풍공(110)의 둘레면에 접합된다.
제2요철부(261)는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내주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틀(400)의 둘레면에 접합된다. 제1요철부(261)와 제2요철부(262)는 사포나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요철부(261)가 제1접착제를 매개로 안전모 몸체(100)의 통풍공(110)의 둘레면에 접합되고, 제2요철부(262)가 제2접착제를 매개로 고정틀(400)의 둘레면에 접합된다.
제1접착제는 제1요철부(261)에 도포되는 것으로,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및 내열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1:2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5 내지 0.8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부 및 점착부여제 5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착제는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및 내열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6 중량부, 점도조절제 1.5 중량부 및 점착부여제 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는 내열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점착부여제를 더 혼합함으로 인해 소재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2,5-디메틸-2,5-디(3급-부틸 퍼옥시)헥산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N-메틸-1,6-헥산디아민 및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이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 수지, 수소화 테르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테르펜 페놀 수지일 수 있다.
제2접착제는 제2요철부(262)에 도포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가 1:2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5 내지 0.8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가 1:2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6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는 소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소재 자체의 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교제 및 점도조절제는 상기 제1 접착제와 동일한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안전모 몸체 110 : 통풍공
200 : 투습방수막 201 : 요철부
202 : 도금부 210 : 제1투습방수부
220 : 제2투습방수부 230 : 제3투습방수부
240 : 제4투습방수부 250 :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
260 :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 261 : 제1요철부
262 : 제2요철부 400 : 고정틀
410 : 관통공 420 : 제한턱

Claims (1)

  1. (a)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통풍공(110)이 형성된 안전모 몸체(100), (b) 상기 통풍공(110)을 덮기 위한 것으로 공기와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막(200), 및 (c) 상기 투습방수막(200)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통풍공(110)에 억지끼움결합되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410)이 형성되는 고정틀(400)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로서;
    상기 투습방수막(200)은 (b1) 상기 고정틀(400)의 일단을 감싸는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 및 (b2) 상기 제1밀폐형 투습방수부(250)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틀(400)의 둘레면을 감싸는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261)가 제1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안전모 몸체(100)에 접합되고; 상기 제2밀폐형 투습방수부(2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요철부(262)가 제2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고정틀(400)에 접합되며;
    상기 제1접착제는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및 내열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1:2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5 내지 0.8 중량부, 점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부 및 점착부여제 5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가 1:2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5 내지 0.8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교제는 2,5-디메틸-2,5-디(3급-부틸 퍼옥시)헥산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N-메틸-1,6-헥산디아민 및 디에틸톨루엔디아민이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이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테르펜 페놀 수지, 수소화 테르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고정틀(400)은 평균 입경이 50~150 ㎛인 탄소계 분말 및 소수성 고분자가 6:4 내지 8:2 중량비로 혼합된 유무기 복합체로 형성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탄소계 분말은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그라파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고정틀(400)의 외부 전면은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 후 경화시킨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21중량%,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28-29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2-3중량%, 디메틸올프로피온산 3-4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8-9중량%,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2-3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34-36중량%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화학식 1]
    Figure 112022129383767-pat00002
    .
KR1020220166018A 2022-12-01 2022-12-01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KR10248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18A KR102483736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18A KR102483736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736B1 true KR102483736B1 (ko) 2023-01-05

Family

ID=8492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018A KR102483736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73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910A (ja) 1997-12-25 1999-07-13 Seki Create International Kk 通気性を有する安全帽
KR20000059762A (ko) * 1999-03-08 2000-10-05 박명환 광섬유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040012891A (ko) 2001-06-04 2004-02-11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핀홀 검출기
KR20100013741A (ko) * 2008-08-01 2010-02-1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졸-겔 법에 의한 스피로피란 함유 광변색 코팅막의제조방법
KR100988079B1 (ko) 2010-05-26 2010-10-18 손봉우 레져 스포츠용 귀마개
CN102715683A (zh) 2012-05-28 2012-10-10 吴江市精工铝字制造厂 一种安全帽
KR20130003015U (ko) 2011-11-14 2013-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KR20130117845A (ko) * 2011-05-31 2013-10-28 에스디씨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증기서림 방지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
KR101532972B1 (ko) 2014-01-23 2015-07-01 이창우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KR102071601B1 (ko) 2019-11-25 2020-01-30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KR102194131B1 (ko) 2019-11-26 2020-12-22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910A (ja) 1997-12-25 1999-07-13 Seki Create International Kk 通気性を有する安全帽
KR20000059762A (ko) * 1999-03-08 2000-10-05 박명환 광섬유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040012891A (ko) 2001-06-04 2004-02-11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핀홀 검출기
KR20100013741A (ko) * 2008-08-01 2010-02-1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졸-겔 법에 의한 스피로피란 함유 광변색 코팅막의제조방법
KR100988079B1 (ko) 2010-05-26 2010-10-18 손봉우 레져 스포츠용 귀마개
KR20130117845A (ko) * 2011-05-31 2013-10-28 에스디씨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증기서림 방지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
KR20130003015U (ko) 2011-11-14 2013-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CN102715683A (zh) 2012-05-28 2012-10-10 吴江市精工铝字制造厂 一种安全帽
KR101532972B1 (ko) 2014-01-23 2015-07-01 이창우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KR102071601B1 (ko) 2019-11-25 2020-01-30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KR102194131B1 (ko) 2019-11-26 2020-12-22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131B1 (ko) 투습방수성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US20120000010A1 (en) Energy-absorbing pads
CN201550655U (zh) 一种防静电抗菌防皱面料
US20160130747A1 (en) Coated fabrics
KR102483736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안전모
KR102483743B1 (ko) 안전 진단용 안전모
KR102483747B1 (ko) 고온 투습방지용 안전모
KR102576024B1 (ko) 투습방지용 안전모
JP6715612B2 (ja) ジョイント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塗膜防水工法
JP2007000181A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JP3795747B2 (ja) 透湿防水性シートおよび壁構造
WO2002000433A1 (fr) Tissu thermo-isolant, impermeable a l'eau et permeable a l'humidite, et film de resine thermo-isolant, impermeable a l'eau et permeable a l'humidite dote d'un papier anti-adhesif
JP2002020916A (ja) フィルムグ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グローブ
JP4921198B2 (ja) 防護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護衣服
CN211942385U (zh) 一种防水型面料
DE4003765A1 (de) Wasserdampfdurchlaessiges, wasserdichtes material mit adsorbierenden eigenschaften
JP2006327021A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JP2006183197A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JP4006646B2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JP4000530B2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JP2008190093A (ja) 防護材料および防護衣服
CN211195175U (zh) 一种具有透气防水鞋面
CN210085359U (zh) 一种有机硅透气复合膜
JP2005273028A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JP4948812B2 (ja) 防護材料及び防護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