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217B1 - 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217B1
KR102483217B1 KR1020210017922A KR20210017922A KR102483217B1 KR 102483217 B1 KR102483217 B1 KR 102483217B1 KR 1020210017922 A KR1020210017922 A KR 1020210017922A KR 20210017922 A KR20210017922 A KR 20210017922A KR 102483217 B1 KR102483217 B1 KR 10248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link
vertical lin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434A (ko
Inventor
윤길호
최형규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2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 고정장치는 문의 일면에 마련된 손잡이 홀에 일단이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수평면에 평행하게 좌우로 이동하여 문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수평링크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수평면에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링크부; 상기 수직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문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을 도어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수직링크부를 윗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 고정장치{DOO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관문 등 각종 문에 설치되어 필요 시 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문 손잡이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용 도어에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문의 앞쪽이나 뒤쪽에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문을 고정하기 위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의 현관문 등의 문(D)의 외측 주로 하단부에 별도의 문 고정장치(F)를 설치하여야 한다. 종래의 문 고정장치(F)는, 힌지케이스(H)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말굽부재(C)를 내려놓으면, 말굽부재(C)가 바닥면에 닿아서 문(D)이 닫히지 않게 지탱해주게 된다. 말굽부재(C)를 올려 제자리로 원위치시키면 문(D)을 다시 닫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형태의 문 고정장치(F)를 사용하게 되면, 문을 버팀 고정 및 버팀 해제 때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문 고정장치(F)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말굽부재(C)를 내려서 버팀 고정을 행하거나 말굽부재(C)를 들어올려서 버팀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의 경우 발을 이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구두를 신은 경우 구두 겉면에 흠집이 생기기 쉽고, 슬리퍼를 신은 경우라면 발에 상처를 입기 쉬운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말굽부재(C)를 들어올리려면 발을 말굽부재(C)와 문(D) 사이에 밀어넣은 다음에 발 안쪽 면으로 말굽부재(C)를 들어올려야 되는데, 이때 발 안쪽 면이 말굽부재(C)에 쉽게 긁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흠집이나 상처를 입기 쉬운 것이다. 물론, 허리를 숙여서 손으로 들어올릴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매번 조작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는 발을 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서 버팀과 해제의 조작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문 고정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문에 대한 버팀 고정과 버팀 해제 조작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문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문 고정장치는 문의 일면에 마련된 손잡이 홀에 일단이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수평면에 평행하게 좌우로 이동하여 문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수평링크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수평면에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링크부; 상기 수직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문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을 도어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수직링크부를 윗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문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복귀부 사이에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장된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홀의 외부에 배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홀에 삽입된 상기 손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걸림쇠와 제2 걸림쇠를 포함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링크부는 상기 회전링크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1 걸림쇠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평링크를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링크부는 상기 회전링크가 제2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2 걸림쇠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직링크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링크부는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링크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문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은 상기 수평링크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문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문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체결 홈에서 체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양 측면에 가이드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요철은 대응되는 문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요철과 걸어물림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컴플라이언트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고정면적에 일정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링크부, 수직링크부, 고정부, 복귀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복귀부의 일부가 문 외부로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문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해제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 고정장치가 문 내부에 매립 설치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 고정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고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가 설치된 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가 설치된 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회전 버팀 고정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부 하단의 변위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문 고정장치는 손잡이부(10), 수평링크부(20), 수직링크부(30), 연결부(40), 고정부(50) 및 복귀부(6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는 손잡이(11)와, 회전링크(12)를 포함한다. 손잡이(11)는 도어의외측에 마련되고 이외의 부재는 모두 문 안쪽에 삽입 설치된다. 즉 회전링크(12)는 문 안쪽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12H)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문에는 손잡이부(10)가 설치될 수 있는 손잡이 홀이 마련되어야 한다.
관통구멍(12H)을 통해 손잡이(11)와 연결된다. 손잡이(11)를 올리거나 내리면 회전링크(12)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링크(12)는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걸림쇠(13, 14)를 포함한다. 한쌍의 걸림쇠(13, 14)는 수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측의 걸림쇠(13)는 후술되는 수평링크부(20) 및 수직링크부(30)에 손잡이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수평링크부(20)는 회전링크(12)의 회동에 따라 문을 닫힘 또는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개폐돌기(21)를 포함한다. 회전링크(12)의 회동에 따라 문이 닫힘 상태가 되면 개폐돌기(21)는 문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를 위하여 문이 닫힌 상태일 때 대응하는 벽면에는 개폐돌기(21)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야 한다. 즉, 문이 닫힌 상태일 때 개폐돌기(21)는 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용부에 삽입됨으로써, 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수평링크부(20)는 개폐돌기(21)로부터 도어 내측으로 연장된 일단에는 회전링크(12)측으로 돌출된 수평 걸림돌기(22)를 더 포함한다. 수평 걸림돌기(22)는 회전링크(12)의 상측의 걸림쇠(13)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수평링크부(20)를 도어 내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링크(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상측의 걸림쇠(13)가 수평 걸림돌기(22)를 문의 내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개폐돌기(21)가 문의 내측으로 밀려나면서 개폐돌기(21)는 문의 삽입홀의 구속에서 벗어나 문이 열리게 된다.
수직링크부(30)는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수평면에 수직하게 도어 내측에 배치된다. 수직링크부(30)는 하단부에 회전링크(12) 측으로 돌출된 수직걸림돌기(31)를 포함한다.
수직걸림돌기(31)는 회전링크(12)의 하측의 걸림쇠(14)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수직걸림돌기(31)를 포함하는 수직링크부(30)를 문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킨다.
수직링크부(30)는 하부가 연결부(40)의 일단에 연결된다. 수직링크부(30)가 하부로 이동하면 연결부(40)의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압박받게 된다.
연결부(40)는 타단이 고정부(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직링크부(30)가 문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부(40) 및 고정부(50)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부(40) 및 고정부(50)는 문의 내부에 마련되지만, 수직링크부(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고정부(50)도 문의 하단측으로 수직이동하여, 고정부(50)의 하단 일부가 수평면(바닥)으로 돌출된다. 고정부(50)의 하단부가 문 하단 아래부분으로 돌출되면, 마찰력과 바닥의 수직항력에 의해 바닥에 고정된다. 이로써, 문은 개방된 상태로 버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40)를 중심으로 수직링크부(30)와 수평링크부(20)가 앞 뒤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50)는 문의 측면 방향에 가이드 요철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 요철은 대응하는 문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요철과 수평방향으로 걸어물림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50)의 양 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고, 대응하는 문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앞뒤로 걸어물림될 수 있는 요철 홈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50)의 가이드 요철에 의해 고정부(50)는 문의 앞 뒤 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다.
고정부(50)는 문의 버팀 고정을 위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고정부(50)를 컴플라이언트 메커니즘(compliant mechanism)의 위상기하학 최적화(Topology optimization)를 통해 설계하여 고정면적에 힘이 일정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컴플라이언트 메커니즘이란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일부분 혹은 전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설계자가 원하는 운동을 발생시키는 기구 구조물을 말한다.
연결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긴 원통형이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스프링이 내장된다. 연결부(40)는 수직링크부(30)에 의해 수직으로 힘을 받으면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압축되게 된다. 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결부(40)는 수직링크부(30)로부터 받은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복귀부(60)는 수직링크부(30)가 수직으로 힘을 받아 아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수직링크부(30)의 상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복귀부(60)는 수직링크부(30)와 접촉이전 수직링크부(30) 방향으로 돌출된 버튼(61)을 갖는다. 버튼(61)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수직링크부(30)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는 복귀부(6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32)를 포함한다. 돌출부(32)는 수직링크부(30)가 수직으로 힘을 받아 아래방향으로 이동할 때, 문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 홈에 돌출부(32)가 걸리게 되어 연결부(40) 및 고정부(50)가 복귀하려는 힘을 지지한다. 수직링크부(30)가 수직으로 힘을 받아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 수직링크부(30)의 돌출부(32)는 버튼(61)을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버튼(61)은 수직링크부(30)에 의해 눌려지면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버튼(61)은 문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를 위해 문의 버튼(61)에 대응하는 부분은 버튼 홀이 마련되어야 한다.
문의 버튼 홀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61)을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버튼(61)은 다시 수직링크부(30)의 돌출부(32)가 문의 체결 홈에서 체결 해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수직링크부(30) 내측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직링크부(30)가 다시 본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로써, 수직링크부(30)와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된 고정부(50)도 도어 내측의 본래 자리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평링크부(20)가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동작하고, 수직링크부(30)까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동작하도록 기재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그 반대인 경우에도 구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11)와 연결된 회전링크(1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링크(12)가 회전하면서 걸림쇠(13)가 수평링크부(20)의 수평 걸림돌기(22)에 걸리면서 손잡이의 회전동력을 수평링크부(20)에 전달된다. 이로써, 수평링크부(20)가 문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평링크부(20)의 개폐돌기(21)가 도어의 삽입홀의 구속에서 벗어나 문이 열리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고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11)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11)와 연결된 회전링크(1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링크(12)가 회전하면서 걸림쇠(14)가 수직링크부(30)의 수직 걸림돌기(31)에 걸리면서 손잡이의 회전동력을 수직링크부(30)에 전달된다. 이로써, 수직링크부(30)가 문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직링크부(30)와 연결된 연결부(40)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연결부(40)와 연결된 고정부가 문의 하단으로 돌출되고 수평면(지면)에 고정되어 문의 회전을 버팀 고정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개폐 각도에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문의 개폐 각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링크부(30)가 문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귀부(60)의 버튼(61)을 누르게 되어, 버튼(61)은 문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문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61)을 누름으로써 수직링크부(30) 및 이와 연결된 고정부를 본래 자리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문의 버팀 고정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가 설치된 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장치가 설치된 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8의 (a)는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 및 도 8의 (b)는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도 8의 (a)을 참조하면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문 내부 마련된 복귀부 버튼 또는 고정부가 문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문 외부에서는 손잡이와 문 이외에 고정부가 보이지 않는다.
도 7의 (b)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복귀부 버튼 및 고정부가 문 외부로 돌출되어 문 외부에서 복귀부 버튼 및 고정부가 보이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회전 버팀 고정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문 회전 버팀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문 회전 버팀 고정된 상태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문 회전 버팀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선 문이 수평면(지면)과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문 회전 버팀이 고정된 상태에선 문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가 수평면(지면)과 접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부 하단의 변위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고정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10의 (b)는 고정부의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손잡이에 의해 일정 힘이 가해질 때 고정부 하단에 발생하는 변위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위치에서 최소 변위 편차가 나타나고 b 위치에서 최대 변위편차가 나타나며, 이들의 차이는 약 1.12×10-8 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손잡이부
11 : 손잡이
12 : 회전링크
20 : 수평링크부
21 :개폐돌기
22 : 수평 걸림돌기
30 : 수직링크부
31 : 수직 걸림돌기
40 : 연결부
50 : 고정부
60 : 복귀부

Claims (10)

  1. 문의 일면에 마련된 손잡이 홀에 일단이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수평면에 평행하게 좌우로 이동하여 문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수평링크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수평면에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링크부;
    상기 수직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문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을 도어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수직링크부를 윗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컴플라이언트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고정면적에 일정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복귀부 사이에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장된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문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홀의 외부에 배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홀에 삽입된 상기 손잡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걸림쇠와 제2 걸림쇠를 포함하는 회전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링크부는
    상기 회전링크가 제1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1 걸림쇠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평링크를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링크부는
    상기 회전링크가 제2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2 걸림쇠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직링크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링크부는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링크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문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수직링크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문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문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체결 홈에서 체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 측면에 가이드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요철은 대응되는 문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요철과 걸어물림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링크부, 수직링크부, 고정부, 복귀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복귀부의 일부가 문 외부로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장치.

KR1020210017922A 2021-02-08 2021-02-08 문 고정장치 KR10248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22A KR102483217B1 (ko) 2021-02-08 2021-02-08 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22A KR102483217B1 (ko) 2021-02-08 2021-02-08 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34A KR20220114434A (ko) 2022-08-17
KR102483217B1 true KR102483217B1 (ko) 2022-12-30

Family

ID=8311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22A KR102483217B1 (ko) 2021-02-08 2021-02-08 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2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0217A1 (en) * 2002-10-11 2004-04-15 Demlow Durand K. Door securing device
KR101019282B1 (ko) * 2008-07-18 2011-03-07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0217A1 (en) * 2002-10-11 2004-04-15 Demlow Durand K. Door securing device
KR101019282B1 (ko) * 2008-07-18 2011-03-07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34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632B2 (en) Storage cabinet with latching mechanism
KR101188995B1 (ko) 도어락
US8146961B2 (en) Exit device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US8756961B2 (en) Door assembly and casing having the same
JP2006125179A (ja) 引き戸
KR102483217B1 (ko) 문 고정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US7697277B1 (en) Auto-depress disk drive bracket mechanism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4759525B2 (ja) 引き戸
JP3553818B2 (ja) ドアストッパ
JPH0247489A (ja) 引出し等のラッチ機構
JP4441236B2 (ja) 物品収納什器の施解錠装置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88198B1 (ko) 매립형 손잡이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JP4255206B2 (ja) ラッチ装置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2151621B1 (ko) 방 개폐 장치
JP2010106457A (ja) 折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