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207B1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3207B1 KR102483207B1 KR1020200090562A KR20200090562A KR102483207B1 KR 102483207 B1 KR102483207 B1 KR 102483207B1 KR 1020200090562 A KR1020200090562 A KR 1020200090562A KR 20200090562 A KR20200090562 A KR 20200090562A KR 102483207 B1 KR102483207 B1 KR 1024832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corydalis
- extract
- preventing
- od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현호식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생물 군집에서 액취증과 관련된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의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서 액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취는 인간의 몸에 분포하는 땀샘(sweat gland)에서 분비되는 땀과 노폐물이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이며, 인종,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중 겨드랑이 등 체모가 많은 부분에 주로 분포하는 아포크린 땀샘(apocrine sweat gland)의 분비물은 지방, 단백질, 피지, 신체 노폐물 등의 함량이 높은데, 이 분비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액취로 일컬어지는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액취증은 격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땀과 피지 분비, 또는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악화될 수 있으며, 또한 향취가 강한 식품, 카페인이 많이 포함된 음료, 음주 및 흡연 등도 액취증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액취를 억제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마스킹 방법과 땀 억제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마스킹 방법은 다른 향을 이용하여 액취를 감추는 방법이다. 하지만 액취를 가리기 위해 잘못된 향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더 강한 악취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땀 억제제 사용은 아포크린 땀샘에 작용하는 화학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액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지만, 문제가 없던 다른 부위에서 땀 및 액취가 증가하는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에 액취를 유발하는 미생물 군집을 변화시킴으로써 액취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기반의 치료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현호색의 학명은 Corydalis remota이며,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다년초이다. 현호색은 예로부터 경련을 진정시키거나 진통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액취증 개선 효과가 있다는 점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현호색 추출물을 액취증 환자들의 겨드랑이에 도포하고 도포 전후의 냄새 측정, 액취증 개선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 및 미생물 군집 분포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현호색 추출물이 액취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현호색은 꽃, 잎, 종자, 줄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특정 부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현호색은 생물(건조되지 않은 신선한 것), 건조, 또는 이들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피부 미생물 군집에서 액취 유발 물질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um sp.) 미생물 및 아나에로코커스속(Anaerococcus sp.) 미생물의 비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um sp.) 미생물 및 아나에로코커스속(Anaerococcus sp.) 미생물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간의 겨드랑이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집(microbiome)에서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이 차지하는 비율을 낮추는 것일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물를 액취증 환자의 겨드랑이에 도포하면 겨드랑이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에서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였다. 반면, 프로피오니박테리움속(Propionibacterium), 크리세오박테리움속(Chryseobacterium) 및 라이시니바실러스속(Lysinibacillus) 미생물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이 감소 효과는 단순히 현호색 추출물의 해당 미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에 의한 결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미생물 군집의 변화는 다른 미생물의 생육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과 상호작용하는 제3의 미생물에 대한 영향에 의한 결과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 포함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70% 메탄올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실온 또는 가온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가온 조건은 약 4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상온은 15 내지 40℃, 15 내지 30℃, 15 내지 25℃, 또는 20℃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현호색을 용매에 침지하고 진탕 또는 교반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12시간 내지 7일, 12시간 내지 3일, 12시간 내지 48시간, 또는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겨드랑이 부위에 소정의 양을 도포한 다음 닦아 내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겨드랑이 부위에 도포 후 방치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간편성 및 효과의 극대화 측면에서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테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른 양상은, 분말화한 현호색을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말화한 현호색은 건조된 현호색을 분말화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현호색은 꽃, 잎, 종자, 줄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알코올의 함량은 30 내지 70%(v/v)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열풍건조, 냉풍건조, 원적외선건조, 전기건조, 마이크로웨이브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건조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침지는 상온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온은 15 내지 40℃, 15 내지 30℃, 15 내지 25℃, 또는 2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면, 액취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현호색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을 GC/TOF-MS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라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액취 강도를 냄새 측정기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시험 전후의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겨드랑이 미생물 군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좌측의 ANOSIM 결과는 R=0.584, p=0.001이고, 우측의 ANOSIM 결과는 R=-0.077, p=0.824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겨드랑이 미생물 군집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라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액취 강도를 냄새 측정기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시험 전후의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겨드랑이 미생물 군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좌측의 ANOSIM 결과는 R=0.584, p=0.001이고, 우측의 ANOSIM 결과는 R=-0.077, p=0.824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겨드랑이 미생물 군집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현호색 추출물 제조
건조된 현호색의 꽃, 잎, 종자, 및 줄기껍질 혼합물 100g을 분말화한 후 70% 메탄올 용액 1L에 침지하여 48시간 동안 실온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현호색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액취증 환자군의 피부 미생물 수집
글로벌의학연구센터를 통해 액취증으로 고민하는 8명 및 액취증으로 고민하지 않는 정상인 8명, 총 16명의 피험자를 모집하였다. 피험자 모두는 30대 내지 50대 나이의 여성이었다.
상기 액취증으로 고민하는 8명의 피험자들은 현호색 추출물을 겨드랑이(Axilla)에 하루에 2번씩 1주일간 도포하였고, 해당 기간 동안 다른 화장품, 향수, 및 항균 비누의 사용을 제한하였다(이하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로 지칭할 수 있다). 정상인 8명은 현호색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일주일 간 다른 화장품, 향수, 및 항균 비누의 사용을 제한하였다(이하 무처리구로 지칭할 수 있다).
현호색 추출물의 도포 전과 일주일간 도포 후에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의 겨드랑이(Axilla)에서 피부 미생물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무처리구도 마찬가지로 실험 참여 전과 일주일 후에 무처리구의 겨드랑이(Axilla)에서 피부 미생물을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의 겨드랑이의 약 50 cm2 면적을 보존액을 적신 멸균된 면봉으로 약 3분 가량 문질러서 미생물을 수집하였다. 피부 미생물 채취가 완료된 면봉은 0.1% Tween20, 0.15 M NaCl, 0.2% agar powder가 포함된 보존액에 넣어 DNA 추출 전까지 -8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3: 현호색 추출물의 유효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현호색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고자, GC/TOF-MS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추출물의 유효 성분 분석은 3회 반복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분석에 사용된 혼합물 또한 분석의 quality control을 위해 유효 성분 분석과 동일하게 3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도 1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 성분의 성분은 질량을 기준으로 아미노산이 39%, 지방산 9%, 탄수화물(당)이 30%, 기타 성분(Organic) 2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겨드랑이의 냄새 측정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의 현호색 추출물 사용 전과 일주일간 사용한 후, 그리고 무처리구의 실험 참여 전과 일주일 후에 냄새 강도를 측정하였다. 냄새 강도 측정은 가스 센서를 탑재한 냄새 측정기 OMX-ADM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겨드랑이로부터 3 cm 거리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OMX-ADM은 에탄올, 아세톤, 수소, 암모니아 등의 가스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측정된 냄새 강도는 일본 환경성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기준에 따라 계산된 값이다.
도 2는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의 현호색 추출물의 사용 전과 사용 후, 그리고 무처리구의 실험 참여 전과 일주일 후의 냄새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의 평균적인 냄새 강도는 3.4에서 3.2로 감소하였다. 반면, 무처리구의 냄새 강도는 3.1에서 3.2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액취증 환자에 본 발명의 현호색 추출물을 사용하면 액취의 강도를 정상인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피험자들의 개선도 평가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과 무처리구에게 실험 참여 전후의 냄새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공통적으로 개인 신상, 도포방법의 준수여부, 액취 고민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에 대해서는 도포 전후의 액취 정도, 및 개선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고, 무처리구에 대해서는 실험참여 전후의 액취 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액취의 정도는 '매우 나쁨(5점)', '나쁨(4점)', '보통(3점)', '좋음(2점)', '매우 좋음(1점)' 5단계로 구별하였고, 개선 여부는 긍정과 부정 2단계로 평가하였다. 액취 정도 및 개선 여부는 본인의 주관적 평가를 기준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현호색 추출물 처리 피험자 | 액취 고민 여부 | 도포 전 액취 정도 (점) | 도포 후 액취 정도 (점) | 개선 여부 |
S11 | 있음 | 3 | 2 | 있음 |
S12 | 있음 | 4 | 4 | 있음 |
S13 | 있음 | 4 | 2 | 있음 |
S14 | 있음 | 5 | 1 | 있음 |
S15 | 있음 | 4 | 2 | 있음 |
S21 | 있음 | 3 | 3 | 없음 |
S22 | 있음 | 4 | 2 | 있음 |
S23 | 있음 | 4 | 2 | 있음 |
무처리 피험자 | 액취 고민 여부 | 실험 참여 전 액취 정도 | 일주일 후 액취 정도 | - |
S01 | 없음 | 2 | 3 | - |
S02 | 없음 | 3 | 3 | - |
S03 | 없음 | 3 | 2 | - |
S04 | 없음 | 1 | 1 | - |
S06 | 없음 | 2 | 2 | - |
S07 | 없음 | 3 | 3 | - |
S09 | 없음 | 2 | 2 | - |
S10 | 없음 | 3 | 3 | - |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 8명은 모두 도포 방법을 준수하였으며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고 답변하였다. 상기 표 1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물을 도포하기 전에는 액취의 정도가 '매우 나쁨'으로 답변한 피험자는 1명이고, '나쁨'으로 답변한 피험자는 5명, '보통'으로 답변한 피험자가 2명이었다. 현호색 처리구 8명 중 7명이 현호색 추출물 사용에 의해 액취가 개선되었다고 답변하였다.
상기 표 2에 따르면, 무처리구 8명 중 실험 참여 전 액취의 정도가 '보통'으로 답변한 피험자는 4명, '좋음'으로 답변한 피험자는 3명, '매우 좋음'으로 답변한 피험자는 1명이었다. 무처리구는 일주일 후 액취 정도에 대한 답변 비율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도 3은 상기 설문조사에서 개인이 느끼는 체취 정도에 대한 답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무처리구는 실험 기간 체취의 변화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ns),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는 실험 후 체취가 개선되었다고 느끼는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액취증이 개선된 피험자의 미생물 군집의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미생물의 군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owerSoil DNA Pro Kit (QIAGEN, Germany)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total DNA를 추출하고, 16S rRNA V4-V5 영역(515F: 5′-GTGCCAGCMGCCGCGG-3′, 907R: 5′-CCGTCAATTCMTTTRAGTTT-3′)을 PCR로 증폭하였다. 증폭 산물을 Illumina MiSeq 장비를 사용하여 서열을 분석하였다. 서열 데이터는 QIIME version 1.9.1를 통해 OTUs picking을 진행하였고, Greengenes database에 등재되어 있는 표준 염기서열과 97% 이상의 상동성을 기준으로 박테리아를 분류하였다.
도 4는 실험에 참여한 16명의 피험자의 미생물 군집 변화를 주좌표분석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방법을 통해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는 현호색 추출물 사용 전과 후의 미생물 군집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구체적으로 현호색 추출물 사용 전후에 좌표상 위치가 크게 변화하였고(도 4의 붉은색 원과 파란색 원 참조), 좌표상 위치들을 종합한 면적의 크기 및 위치 또한 크게 변화하였다(도 4의 붉은색 면적과 파란색 면적 참조). 유사성 분석 (Analysis of similarities; ANOSIM) 결과, 현호색 추출물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미생물 군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무처리군 8명의 미생물 군집은 실험 참여 전후의 좌표상 위치 및 면적의 차이가 크지 않고, 유사성 분석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5는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 8명과 무처리구 8명 각각의 미생물 군집 비율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현호색 추출물 처리구는 현호색 추출물 사용에 의해 미생물 군집 내에서 액취를 유발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프로피오니박테리움속(Propionibacterium), 세라티아속(Serratia), 크리세오박테리움속(Chryseobacterium), 라이시니바실러스속(Lysinibacillus) 균주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반면 무처리구 8명은 미생물 군집 내 미생물의 비율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다만, 현호색 추출물의 사용에 의해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2 종의 미생물이 감소하였더라도, 이러한 결과가 현호색 추출물의 상기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2 종의 미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항균 또는 활성 억제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현호색 추출물이 다른 미생물의 군집을 증가시킴으로써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을 감소시킨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현호색 추출물이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제3의 미생물의 활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미생물을 감소시킨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현호색 추출물은 액취 물질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및 아나에로코커스속 세균의 군집 내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액취증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0)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피부 미생물 군집에서 아나에로코커스속(Anaerococcus sp.) 미생물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인,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상온 추출한 것인,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12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
-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분말화한 현호색을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호색 추출물은 피부 미생물 군집에서 아나에로코커스속(Anaeroccus sp.) 미생물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인,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호색은 꽃, 잎, 종자, 및 줄기를 포함하는 것인,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상온에서 실시하는 것인,
액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562A KR102483207B1 (ko) | 2020-07-21 | 2020-07-21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CT/KR2021/008204 WO2022019510A1 (ko) | 2020-07-21 | 2021-06-29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562A KR102483207B1 (ko) | 2020-07-21 | 2020-07-21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525A KR20220011525A (ko) | 2022-01-28 |
KR102483207B1 true KR102483207B1 (ko) | 2022-12-30 |
Family
ID=7972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562A KR102483207B1 (ko) | 2020-07-21 | 2020-07-21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3207B1 (ko) |
WO (1) | WO2022019510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24797A (zh) * | 2018-04-24 | 2018-07-27 | 刘春燕 | 一种治疗狐臭的中药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4032734A1 (de) * | 2004-03-18 | 2005-10-06 | Henkel Kgaa | Präbiotisch wirksame Substanzen für Deodorantien |
KR101059359B1 (ko) | 2008-07-14 | 2011-08-24 |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 약효가 증강된 현호색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함유하는 조성물 |
KR102101448B1 (ko) * | 2013-11-19 | 2020-04-17 | (주)아모레퍼시픽 |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
-
2020
- 2020-07-21 KR KR1020200090562A patent/KR1024832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6-29 WO PCT/KR2021/008204 patent/WO202201951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24797A (zh) * | 2018-04-24 | 2018-07-27 | 刘春燕 | 一种治疗狐臭的中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525A (ko) | 2022-01-28 |
WO2022019510A1 (ko)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18202B2 (ja) | 皮膚組成物 | |
KR101694707B1 (ko) |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 |
KR101926263B1 (ko) |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4728032A (zh) | 一种包含西洋蒲公英提取物的用于改善皮肤的化妆品成分组合物 | |
KR20130049980A (ko) | 뽕나무 부산물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 |
KR20130030032A (ko) |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112284A (ko) |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2000247864A (ja) | 化粧料組成物 | |
KR20160103756A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08938479A (zh) | 一种含睡莲提取物的洁面乳及其制备方法 | |
KR101307969B1 (ko) |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483207B1 (ko) | 현호색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CN109908045A (zh) | 利用藤茶的功能性化妆品组成物 | |
KR20220144537A (ko) |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141564A (ko) |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24675A (ko) |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27909B1 (ko)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 |
KR102528620B1 (ko) | 벌노랑이속 식물의 종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액취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20160060255A (ko) |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 |
CN118370711B (zh) | 一种具有祛狐臭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 |
KR102152290B1 (ko) | 진주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 |
KR102257667B1 (ko) | 커피콩, 녹두 및 죽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체취 발생 억제 및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JP3959595B2 (ja) | ウドからの抽出物を含む皮膚洗浄料 | |
CN106456596B (zh) | 不含儿茶素的茶水及包含该茶水的组合物 | |
KR102211761B1 (ko) | 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