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425B1 -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425B1
KR102482425B1 KR1020220100599A KR20220100599A KR102482425B1 KR 102482425 B1 KR102482425 B1 KR 102482425B1 KR 1020220100599 A KR1020220100599 A KR 1020220100599A KR 20220100599 A KR20220100599 A KR 20220100599A KR 102482425 B1 KR102482425 B1 KR 10248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image
blood
light source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헬스케어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케어다온 filed Critical (주)헬스케어다온
Priority to KR102022010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측정 대상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피부에 제1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피부에 제2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이 조사한 피부에 혈관이 투영되도록 빛을 방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방사된 빛을 상기 피부로 유도하는 미러부재; 상기 카메라,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혈류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 및 혈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혈관 스캔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카메라,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DEVICE FOR MEASURING INFORMATION RELATED TO BLOOD VESSEL AND BLOOD FLOW}
아래 실시예들은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 및 생활습관병에 의한 혈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적 및 경제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혈압은 하루 중 다이나믹하게 변하며, 혈압의 변동성이 클수록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류 역시 혈압과 마찬가지로 측정 시 변동성을 보이며, 뇌혈관의 자동 조절 기능으로 인해 혈압이 뇌로 가는 혈류를 모두 반영할 수 없다. 특히, 뇌혈관 질환 및 혈관 질병을 갖고 있는 환자의 경우, 병원 진료실에서의 혈압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측정한 가정 혈압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근래에는 혈관의 질병 진단을 위해 혈관 내 혈류 속도 및 협착도 측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혈류 속도 및 협착도 측정으로 혈관 내의 혈류의 속도 검출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는 초음파 진단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도플러 초음파 센서를 기반으로 혈관 상태를 측정하는 초음파 진단장치는 다양한 혈역학적 평가는 가능하지만, 현재의 병원 내 대형장비를 통한 짧은 시간, 통제된 환경에서 측정한 혈류 및 혈관 상태 정보로는 혈관 건강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좀 더 용이하게 측정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46953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8996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166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67509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측정 대상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피부에 제1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1 광원, 피부에 제2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2 광원, 제2 광원이 조사한 피부에 혈관이 투영되도록 빛을 방사하는 프로젝터, 프로젝터에서 방사된 빛을 피부로 유도하는 미러부재와, 카메라, 제1 광원, 제2 광원 및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측정 대상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피부에 제1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피부에 제2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이 조사한 피부에 혈관이 투영되도록 빛을 방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방사된 빛을 상기 피부로 유도하는 미러부재; 상기 카메라,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혈류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 및 혈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혈관 스캔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카메라,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에서, 상기 제1 광원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에 따른 산란 정도를 확인하고, 상기 피부의 부위별 혈류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산란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되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관 스캔 동작에서, 상기 제2 광원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혈관이 투영된 피부의 이미지인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류량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이 적은 부분에 대한 혈류량이 많은 부분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부위를 제1 부위로 확인하고, 상기 제1 부위에 대해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한 뒤, 상기 혈류량 이미지에 상기 혈관 스캔 이미지를 중첩(overlap)하여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상기 혈관 스캔 동작에서, 혈관이 스캔될 부위가 상기 제1 부위로 선택되면, 상기 혈류량 이미지에서 상기 제1 부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부위의 주된 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주된 색상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색상으로 상기 혈관 스캔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상기 구분되는 색상의 빛이 출력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통해, 레이저 혈류량 측정 및 혈관 스캔을 하나의 장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통해, 혈류량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혈관 스캔이 필요한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통해, 혈류량 측정 이미지 및 혈관 스캔 이미지를 중첩하여 분석 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통해, 혈류량과 혈관 스캔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혈관 스캔을 다양한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스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부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는 혈류량 측정 및 혈류 스캐너(100), 프로세서(200) 및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혈류량 측정 및 혈류 스캐너(100)는 카메라(110), 제1 광원(120), 제2 광원(130), 프로젝터(140) 및 미러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이미지 프로세서로, 레이저를 통해 혈류량을 확인하고 혈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프로젝터(140)에서 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광원(120)는 레이저 광원으로, 혈류량 측정을 위한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광원(130)은 LED 광원으로, 혈관 스캔을 위한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원(120) 및 제2 광원(130) 각각은 피부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140)는 혈관을 피부에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140)는 피부 특정 부위에 시각적으로 혈관의 위치가 투영되도록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미러부재(150)는 프로젝터(140)에서 방사되는 빛을 피부로 유도하기 위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미러부재(150)는 프로젝터(14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원(130)이 스캔이 필요한 피부 전체에 빛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젝터(140)가 제2 광원(130)이 조사하고 있는 영역에 빛을 조사하면, 해당 영역에 혈관이 투영될 수 있다. 이때, 제2 광원(130)은 스캔이 필요한 피부 전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각도 변경이 가능한 미러부재(150)를 통해 프로젝터(140)가 조사하는 빛의 방향을 변경하여 혈관이 투영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혈관이 투영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동안, 카메라(110)에서 복수의 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합성하면, 프로세서(200)는 피부 전체에 대한 혈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0)는 파노라마 방식으로 합성하여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10)는 측정 대상자의 피부를 촬영할 수 있고, 제1 광원(120)은 피부에 제1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광원(130)은 피부에 제2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프로젝터(140)는 제2 광원(130)이 조사한 피부에 혈관이 투영되도록 빛을 방사할 수 있고, 미러부재(150)는 프로젝터에서 방사된 빛을 피부로 유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측정 및 혈류 스캐너(100)와 연결되어, 혈류량 측정 및 혈류 스캐너(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카메라(110), 제1 광원(120), 제2 광원(130) 및 프로젝터(14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혈류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이 수행되도록, 카메라(110), 제1 광원(120), 제2 광원(130) 및 프로젝터(14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혈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되도록, 카메라(110), 제1 광원(120), 제2 광원(130) 및 프로젝터(14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혈관 스캔 동작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300)는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기기로, 카메라(11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는 프로세서(20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00)의 제어를 통해 화면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는 프로세서(200) 및 메모리(도면 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도 2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메모리는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광원(120)에서 방사된 빛이 피부에 도달하면 산란되고, 카메라(110)는 이 산란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빛이 산란되는 정보는 혈류량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여 혈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0)는 제1 광원(120)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에 따른 산란 정도를 확인하고, 피부의 부위별 혈류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산란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되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혈류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혈류량이 많은 곳과 적은 곳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표시하는 과정을 통해,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는 레이저를 통해 혈류량을 측정하고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하는 혈류량 측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120)은 레이저를 피부에 조사할 수 있고, 카메라(110)는 피부에 조사된 빛을 수신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프로세서(200)는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혈류량의 차이에 따라 이미지를 처리하여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량이 많은 부분은 적색으로 표시되고 혈류량이 적은 부분은 청색으로 표시된 혈류량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량 이미지는 레이저를 이용한 LSCI(Laser Speckle Contrast Imaging)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LSCI는, 레이저의 스페클 패턴의 영상 대조도 변화 분석을 기반으로 혈류를 모니터링하는 비침습적 영상 기법을 의미할 수 있다. 스페클 패턴(Speckle Pattern)은 간섭성 빛이 생물학적 조직과 같은 산란 매체에 의해 후방 산란 (back scattering)될 때 발생하는 무작위적 간섭 패턴으로, 움직이는 산란체에 따라, 입사광의 간섭성과 표면의 거칠기에 따라 변화한다.
LSCI는 입사된 레이저가 적혈구와 같은 움직이는 입자에서 후방 산란된 빛을 검출하여 혈류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기본 원리는 레이저 도플러 방식과 동일하며, 후방 산란된 빛의 검출 및 분석 방식이 레이저 도플러 방식과 다소 상이하나, LSCI와 레이저 도플러 방식은 움직이는 입자에서 빛의 산란 정도 차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LSCI는 간섭성의 특성을 가진 적색/근적외선 파장의 저출력 레이저를 측정이 필요한 부위에 조사하고, 레이저의 간섭 현상에 의한 레이저 스페클 패턴의 대조도 변화를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하여 혈류의 변화를 분석하게 된다. LSCI는 높은 공간 및 시간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관심 부위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이저 스페클 패턴을 영상화 하게 되면, 카메라의 노출 시간 동안 움직이는 레이저 스페클 패턴은 영상에서 번짐(blurring) 현상을 보인다. 물체의 움직임이 빨라지게 되면, 레이저 스페클 패턴의 강도 변동은 더 급속하게 이루어진다. 레이저 스페클 패턴의 번짐 현상을 분석하게되면, 물체의 움직임 정보와 물체의 상대적인 속도 정보를 정량화할 수 있다. 획득한 레이저 스페클 패턴을 단위 픽셀 당 표준편차 대비 평균 밝기 값으로 나누어 분석하게 되면 스페클 패턴 대조도 K를 아래 수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2084112453-pat00001
스페클 패턴 대조도 K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은 단위 영역 내의 스페클 패턴 세기 변화의 표준편차와 평균세기가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물체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K가 0에 가까운 것은 물체의 움직임이 활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스패클 패턴의 번짐 정도를 이용하여, 혈류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스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광원(130)에서 피부에 빛을 조사하고, 프로젝터(140)에서 발생된 빛은 미러부재(150)를 통해 피부로 전달되고, 프로젝터(140)에서 발생된 빛에 의해 피부에 혈관이 투영될 수 있다. 이때, 혈관이 투영된 피부를 카메라(110)가 촬영하여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0)는 제2 광원(130)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프로젝터(14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110)는 프로젝터(140)에 의해 혈관이 투영된 피부의 이미지인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프로세서(200)는 카메라(110)를 통해 혈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혈관 스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혈관 스캔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혈류량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이 적은 부분에 대한 혈류량이 많은 부분의 비율이 기준 이상인 부위를 제1 부위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부위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200)는 제1 부위에 대해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되도록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1 부위의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모양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0)는 피부의 부위별 혈류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산란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되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혈류량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이 적은 부분에 대한 혈류량이 많은 부분의 비율이 기준 이상인 부위를 제1 부위로 확인할 수 있고, 혈류량 이미지에서 제1 부위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부위의 크기 및 위치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정하여, 설정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량 이미지에서 제1 부위의 위치가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에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표식이 유저 인터페이스로 표시될 수 있고, 혈류량 이미지에서 제1 부위의 위치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에는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 표식이 유저 인터페이스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이 수행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류량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혈류량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1 부위가 확인되면, 제1 부위에 대한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1 부위에 대한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위에 대한 혈관 스캔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한 뒤, 혈류량 이미지에 혈관 스캔 이미지를 혈관 스캔 이미지를 중첩(overlap)하여,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혈류량 이미지와 도 4의 (b)에 도시된 혈관 스캔 이미지의 중첩을 통해, 도 4의 (c)에 도시된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생성된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혈관 스캔 동작에서, 프로젝터(140)에 조사되는 빛의 색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혈류량 이미지에서 특정 색상으로 표시된 부위에 대한 혈관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특정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으로 혈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해당 부위를 스캔할 때, 프로젝터(140)에서 특정 색상과 구분되는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140)에서 조사된 색상에 따라 피부 상에 혈관이 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량 이미지에서 적색으로 표시된 부위에 대한 혈관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적색과 구분되는 청색으로 혈관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프로젝터(140)에서 청색의 빛으로 조사하여, 혈관이 청색으로 투영된 혈관 스캔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혈관 스캔 시 상이한 색으로 프로젝터(140)의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이한 색상으로 빛이 출력되도록 프로젝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로세서(200)는 혈관 스캔 동작에서, 혈관이 스캔될 부위가 제1 부위로 선택되면, 혈류량 이미지에서 제1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위는 혈류량 이미지 분석을 통해 확인된 부위로 자동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 요청을 통해 선택된 부위로 수동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부위의 주된 색상을 확인할 수 있고, 주된 색상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제1 부위의 주된 색상이 적색으로 확인되면, 구분되는 색상을 청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00)는 구분되는 색상으로 혈관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구분되는 색상의 빛이 출력되도록 프로젝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젝터(140)가 구분되는 색상의 빛을 출력하기 때문에, 카메라(110)는 구분되는 색상으로 혈관이 투영된 피부의 이미지인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부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도,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S501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에서 임의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혈류량 이미지 내에서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에서 임의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혈류량 이미지는 산란 정도에 따라 혈류량이 적은 부분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고 많은 부분이 제2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에 따른 산란 정도를 확인하고, 산란 정도에 따라 혈류량이 예측되면, 예측된 혈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되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0)는 혈류량이 기준치 보다 적은 부분을 제1 색상으로 표시하고, 혈류량이 기준치 보다 많은 부분을 제2 색상으로 표시하여,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에서 제1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제1 넓이로 산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에서 제1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을 구분하고, 구분된 부분이 제1 영역에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산출하여, 산출된 면적을 제1 넓이로 설정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에서 제2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제2 넓이로 산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에서 제2 색상으로 표시된 부분을 구분하고, 구분된 부분이 제1 영역에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산출하여, 산출된 면적을 제2 넓이로 설정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 넓이를 제1 넓이로 나눈 값으로, 제1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을 제1 부위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넓이는 제1 영역에서 혈류량이 적은 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고, 제2 넓이는 제1 영역에서 혈류량이 많은 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므로, 제1 비율은 혈류량이 적은 부분에 대한 혈류량이 많은 부분의 비율이고,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경우, 제1 영역이 제1 부위로 확인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제1 비율이 제1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 기준 비율에서 제1 비율을 차감하여 차이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차이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비율은 제1 기준 비율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차이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9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에서 일측의 영역을 제1-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00)는 제1 영역에서 일측의 영역을 제1-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1-1 영역이 설정되면, 혈류량 이미지에서 제1-1 영역이 포함된 임의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에서 임의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2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S508 단계에서 차이 비율이 제2 기준 비율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511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에서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혈류량 이미지에서 임의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여 임의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S510 단계 또는 S511 단계 이후, S501 단계로 되돌아가, 프로세서(200)는 제2 영역이 설정되면, 제2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제1 영역을 통해 제1 비율을 재산출하여, 제1 영역이 제1 부위로 확인되거나 혈류량 이미지 내에 있는 모든 영역이 제1 영역으로 설정될 때까지, 제1 영역이 재설정되는 과정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카메라(110)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카메라(110)로부터 측정 대상자의 피부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0)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로 구성되어, 측정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측정 대상자의 피부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영상 정보에서 제1 시점의 영상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영상 정보에서 제1 시점의 영상을 캡처하여, 캡처한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점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 이미지에서 제1 부위가 차지하고 있는 구역을 제1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0)는 제2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2 이미지 상에 있는 제1 부위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 상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부위의 위치를 제1 위치로 확인하고, 제2 이미지 상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부위의 위치를 제2 위치로 확인하고, 제2 이미지 상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부위의 위치를 제3 위치로 확인하고, 제2 이미지 상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부위의 위치를 제4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00)는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확장한 제1 직선을 생성하고, 제2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확장한 제2 직선을 생성하고, 제3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확장한 제3 직선을 생성하고, 제4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확장한 제4 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00)는 제1 직선, 제2 직선, 제3 직선 및 제4 직선을 연결한 구역을 제1 구역으로 설정한 후, 제2 이미지에서 제1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 이미지에서 제1 구역이 있는 부분을 분할하여, 분할된 이미지를 제2-1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1 이미지에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제2-1 이미지 상에서 사람의 피부 이외에 다른 형태의 이물질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1 이미지에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2-1 이미지에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1 이미지에서 이물질이 차지하고 있는 구역을 제2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0)는 제2 이미지에서 제1 구역을 구분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제2-1 이미지에서 제2 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영상 정보를 제1 시점으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하여 분석할 수 있다.
S808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영상 정보를 제1 시점으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재생하여 분석한 결과, 제2 시점에 제2 구역 내에 이물질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809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영상 정보에서 제2 시점의 영상 이미지를 제3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영상 정보에서 제2 시점의 영상을 캡처하여, 캡처한 이미지를 제3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3 이미지에서 제2 구역이 있는 부분을 분할하여 제3-1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S811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1 이미지에서 제2 구역이 있는 부분을 제3-1 이미지로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0)는 제2-1 이미지에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1 이미지에서 이물질이 차지하고 있는 구역을 제2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제2-1 이미지에서 제2 구역이 있는 부분을 삭제하고, 삭제된 위치에 제3-1 이미지를 삽입하여, 제2-1 이미지와 제3-1 이미지가 결합된 제2-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1 이미지에서 제2 구역이 있는 부분이 제3-1 이미지로 교체되어, 제2-1 이미지에 있었던 이물질이 삭제되고, 삭제된 자리에 이물질이 없는 부분이 추가되어, 제2-1 이미지에서는 더 이상 이물질이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2-1 이미지에 이물질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거나, S811 단계를 통해 제2-1 이미지에서 제2 구역이 있는 부분이 제3-1 이미지로 교체되면, S812 단계에서, 프로세서(200)는 제2-1 이미지를 제1 시점의 제1 부위에 대한 이미지로 기록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측정 대상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피부에 제1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피부에 제2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제2 광원;
    상기 제2 광원이 조사한 피부에 혈관이 투영되도록 빛을 방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서 방사된 빛을 상기 피부로 유도하는 미러부재;
    상기 카메라,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혈류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 및 혈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혈관 스캔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카메라, 상기 제1 광원,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상기 혈류량 이미지 생성 동작에서,
    상기 제1 광원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에 따른 산란 정도를 확인하고,
    상기 피부의 부위별 혈류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산란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표시되는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혈관 스캔 동작에서,
    상기 제2 광원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혈관이 투영된 피부의 이미지인 혈관 스캔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혈류량 이미지를 생성한 뒤, 상기 혈류량 이미지에 상기 혈관 스캔 이미지를 중첩(overlap)하여 혈류량 및 혈관 정보 분석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상기 혈관 스캔 동작에서,
    혈관이 스캔될 부위가 제1 부위로 선택되면, 상기 혈류량 이미지에서 상기 제1 부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부위의 주된 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주된 색상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색상으로 상기 혈관 스캔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상기 구분되는 색상의 빛이 출력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혈류량 이미지를 분석하여, 혈류량이 적은 부분에 대한 혈류량이 많은 부분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부위를 확인하고,
    상기 부위에 대해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혈관 스캔 동작이 수행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3. 삭제
KR1020220100599A 2022-08-11 2022-08-11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KR10248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599A KR102482425B1 (ko) 2022-08-11 2022-08-11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599A KR102482425B1 (ko) 2022-08-11 2022-08-11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25B1 true KR102482425B1 (ko) 2022-12-28

Family

ID=8453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599A KR102482425B1 (ko) 2022-08-11 2022-08-11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29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엔씨테크론 적외선을 이용한 혈관 투영 장치
KR101716667B1 (ko) 2016-12-01 2017-03-15 (주)아이에스엠아이엔씨 피하 혈관의 혈류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64779A (ko) * 2017-12-01 2019-06-1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적외선 광학계를 이용한 혈관 탐지 장치
KR102146953B1 (ko) 2019-01-04 2020-08-21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혈류 및 혈관상태 측정장치
KR102267509B1 (ko) 2018-08-29 2021-06-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달팽이관에서의 미세 혈류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389961B1 (ko) 2017-10-27 2022-04-25 (주)아이에스엠 적외선 이미징 기반 혈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413034B1 (ko) * 2021-12-17 2022-06-24 (주)헬스케어다온 혈류 변화 측정 결과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29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엔씨테크론 적외선을 이용한 혈관 투영 장치
KR101716667B1 (ko) 2016-12-01 2017-03-15 (주)아이에스엠아이엔씨 피하 혈관의 혈류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9961B1 (ko) 2017-10-27 2022-04-25 (주)아이에스엠 적외선 이미징 기반 혈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90064779A (ko) * 2017-12-01 2019-06-1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적외선 광학계를 이용한 혈관 탐지 장치
KR102267509B1 (ko) 2018-08-29 2021-06-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달팽이관에서의 미세 혈류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146953B1 (ko) 2019-01-04 2020-08-21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혈류 및 혈관상태 측정장치
KR102413034B1 (ko) * 2021-12-17 2022-06-24 (주)헬스케어다온 혈류 변화 측정 결과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763B2 (en)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JP6192297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74585A1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9042156A (ja) 医療画像処理装置、内視鏡装置、診断支援装置、及び、医療業務支援装置
WO2018066563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18019771A5 (ko)
JP6873975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2413034B1 (ko) 혈류 변화 측정 결과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8043193A1 (ja) 情報取得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10987073B2 (en) Medical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edical imaging assistance
US202201176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sensing of depth in vision systems for automated surgical robots
US2019002952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482425B1 (ko)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US20200214602A1 (en) Measurement apparatus
JP2019165836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702657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497398B1 (ko)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혈관 및 혈류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
KR20230164104A (ko) 합성 다중 노출 스페클 영상화(syMESI) 방법 및 시스템
JP6645693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7554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000609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210093049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17479B1 (ko) 수술 현미경과 혼합 빔 스캐닝을 이용하여 oct 이미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
JP2019010346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超音波探触子
US10258237B2 (en) Photobiomedical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