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67B1 -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67B1
KR102481867B1 KR1020217004375A KR20217004375A KR102481867B1 KR 102481867 B1 KR102481867 B1 KR 102481867B1 KR 1020217004375 A KR1020217004375 A KR 1020217004375A KR 20217004375 A KR20217004375 A KR 20217004375A KR 102481867 B1 KR102481867 B1 KR 10248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magnetic
inspection device
information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265A (ko
Inventor
히로아키 고다마
미츠오 야마시타
사토시 아카세가와
다케토시 노지
요시오 다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2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이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은, 자성체(MM)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자성체(MM)가 사용 장소에 설치된 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동일 방식의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와, 서버(3)와, 제1 송신부(4)와, 제2 송신부(5)를 구비하며, 서버(3)는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자성체(MM)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체를 경시적으로 검사함으로써,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취득하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성체를 경시적으로 검사함으로써,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취득하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04454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제504454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은, 자성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제1 감시 장치와, 제2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감시 장치는, 통신 수단에 의해 측정 수단과 접속되어 있고, 측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측정 데이터를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감시 장치는, 취득한 측정 데이터와, 이미 축적되어 있었던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상태를 판정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제2 감시 장치에 판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감시 장치는, 제1 감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판정 데이터를 다시 체크하여, 최종 판정을 행함과 함께, 최종 판정의 결과를 제1 감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제504454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은, 자성체로서, 와이어 로프의 열화 상태를 취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본 특허 제504454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은, 크레인 등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의 열화 상태를 취득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04454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제504454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은, 와이어 로프가 크레인 등에 설치된 후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축적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의 수송 시 등, 와이어 로프의 설치 전에 발생한 와이어 로프의 상태 변화를 측정한 데이터가,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의 질이 저하되고, 자성체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자성체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의 자성체 관리 시스템은,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자성체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상기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된 후에, 자성체의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동일 방식의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와, 자성체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와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와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서버는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계의 변화란, 자성체와 자성체 검사 장치를 상대 이동시킴에 따른 자성체 검사 장치에서 검지되는 자계의 강도의 시간적인 변화, 및 자성체에 인가하는 자계를 시간 변화시킴에 따른 자성체 검사 장치에서 검지되는 자계의 강도의 시간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와, 서버와, 제1 송신부와,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서버는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하 장소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 동일 방식의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뿐만 아니라,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그 결과,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자성체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출하 장소로부터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일관된 시계열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 관리, 수송, 설치 등의 각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지견을 가져오는 유용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있어서의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서버는,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의 차분 파형을 취득함으로써,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의 차분 파형을 취득하기 때문에, 출하 장소로부터 사용 장소로의 반송 중에 발생한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출하 장소, 수송 중 및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성체의 트레이서빌리티(추적 가능성)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체의 「손상」이란, 자성체에 발생하는 검지 방향에 대한(자성체 내부에서 손상 등이 발생한 경우의 공극에 기인하는 것을 포함함) 단면적의 변화, 자성체의 녹, 용접 버닝, 불순물의 혼입, 조성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투자율의 변화, 기타 자성체가 불균일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상기 제1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서버는,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할 때, 자성체에 손상이 발생하였다고 추정된 경우의 제2 자성체 정보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의 파형 정보를 이상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상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축적된 이상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할 때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차분 파형을 취득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서버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차분 파형을 포함하는 자성체의 열화 정보를 송신하는 열화 정보 송신부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로부터 서버에 요구함으로써,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가 차분 파형을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출하 장소 및 사용 장소의 각각에 있어서, 차분 파형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변화가 어느 타이밍에 발생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송신부 및 제2 송신부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이외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대하여,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송신부 및 제2 송신부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로부터 직접 서버로 제1 자성체 정보 및 제2 자성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신부 및 제2 송신부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이외의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에 정보 송신 기능(제1 송신부 및 제2 송신부)을 마련할 필요가 없음과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는 장소라도,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스템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는, 검지 신호의 검지를 행하는 것보다 전에, 자성체의 자화의 방향을 조정하는 자계 인가부와, 자계 인가부에 의해 자화의 방향이 조정된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부와,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는 열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가 자계 인가부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검지 신호의 노이즈가 저감되므로, 검지 신호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 장치간에 있어서 검지된 검지 신호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취득된 검지 신호의 재현성이 높기 때문에, 각각 다른 개체인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를 이격된 장소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검지 신호에 있어서의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의 개체차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검지 신호를 통합하여 취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자계 인가부는,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검사 시에 있어서, 자성체의 자화의 방향이 서로 정렬되도록, 자성체에 대하여 자계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검사 시에 있어서, 자성체의 자화의 방향을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자성체의 자화의 방향이 다름으로써 검지 신호에 열화 상태의 변화 이외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측정 데이터의 재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측정 데이터의 재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는, 사용 장소에 설치된 직후에, 검지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서버는, 제1 자성체 정보와, 사용 장소에 설치된 직후에 취득된 검지 신호와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의 검지 신호와, 자성체가 실제로 사용 장소에 배치된 후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검지 신호의 위치 정렬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 개시 후의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검지 신호를 취득할 때의 자성체의 이동 속도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 검지 신호를 취득할 때의 자성체의 이동 속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자성체의 이동 속도가 다르면, 자성체의 검지 신호의 측정점의 간격(샘플링 피치)이 변화한다. 또한, 예를 들어 자성체가 엘리베이터 등에 사용되는 경우, 자성체에 부하가 걸려, 자성체에 부분적인 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자성체에 부분적인 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자성체의 검지 신호의 측정점의 간격(샘플링 피치)이 변화한다. 따라서,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고정밀도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검지 신호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위한 보정이나, 이동 속도의 차이나 자성체의 부분적인 신장에 의한 샘플링 피치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실제로 자성체가 사용되는 장소에 있어서 사용 개시 직후에 검지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제조 시(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있어서의 자성체 정보와 사용 개시 직후에 있어서의 자성체 정보에 있어서, 실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검지 신호의 위치 정렬이나 샘플링 피치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버에 있어서의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 개시 직후에 검지 신호를 취득하기 때문에, 사용 개시 직후에는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고,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 및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된 후에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정기 검사를 행할 때까지의 검지 신호의 취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자성체의 열화 상태가 변화한 시기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개시 직후에 검지 신호를 취득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에 사용될 때, 사용 개시 전의 자성체의 열화 상태와 비교함으로써, 특정 층 사이에서의 이동이 많은 경우 등에 발생하는 자성체의 부분적인 신장에 의한 자성체의 절단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자성체는 와이어 로프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와이어 로프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성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자성체의 식별자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 시에 소정의 길이로 잘려 나간 개소를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 로프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기 전의 와이어 로프의 어느 위치였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 후에 와이어 로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절단된 와이어 로프에 있어서의 자성체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 로프의 사용 개시 후의 검지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있어서의 자성체 관리 방법은, 자성체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자성체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제1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스텝과, 자성체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제1 검지 신호의 취득과 동일 방식의 방법에 의해 자성체의 제2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스텝과, 제1 검지 신호와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기억시키는 스텝과, 제2 검지 신호와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기억시키는 스텝과,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른 자성체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체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제1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스텝과, 자성체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제1 검지 신호의 취득과 동일 방식의 방법에 의해 자성체의 제2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스텝과, 제1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기억시키는 스텝과, 제2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기억시키는 스텝과,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와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국면에 있어서의 자성체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자성체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성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자성체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모식도(A), 및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모식도(B)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의 검지부 및 자계 인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의 제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검지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검지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차분 파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자성체의 열화 상태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제1 검지 신호의 모식도(A), 제2 검지 신호의 모식도(B) 및 차분 파형의 모식도(C)이다.
도 9는 자성체의 열화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의 제1 검지 신호의 모식도(A), 제2 검지 신호의 모식도(B) 및 차분 파형의 모식도(C)이다.
도 10은 제1 자성체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A), 제2 자성체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B), 및 자성체 열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C)이다.
도 11은 서버와 자성체 검사 장치의 정보의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이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이 열화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자계 인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A) 내지 모식도(C)이다.
도 16은 제2 변형예에 따른 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A) 내지 모식도(F)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성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와, 서버(3)와, 제1 송신부(4)와, 제2 송신부(5)를 구비한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자성체(MM)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자성체(MM)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검지 신호(DS)(제1 검지 신호(DS1))(도 5 참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가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출하 장소란, 자성체(MM)가 제조되는 제조 공장이나, 자성체(MM)가 제조 후에 보관되는 보관 창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가 검사하는 자성체(MM)는 와이어 로프(W)이다. 또한, 와이어 로프(W)는 청구범위의 「자성체」의 일례이다.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동일 방식으로, 검지 신호(DS)(제2 검지 신호(DS2)(도 6 참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 장소란, 와이어 로프(W)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기계, 장치나 인프라 등의 설비)를 말한다.
제1 송신부(4)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ID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10)(도 10의 (A) 참조)를 서버(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송신부(4)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포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에 대하여 제1 자성체 정보(10)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송신부(4)는, 예를 들어 송신기 등을 포함하며, 네트워크(N)와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ID는, 와이어 로프(W)마다 부여되는 유니크한 숫자, 기호, 또는 그것들을 조합한 것이다. 또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ID를 한데 묶는다는 것은, 1개의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1개의 ID를 부여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와 ID를 일대일의 관계로 대응짓는 것이다. 또한, ID는 청구범위의 「식별자」의 일례이다.
또한, 와이어 로프(W)의 ID는, 와이어 로프(W)의 제조 시에 소정의 길이로 잘려 나간 개소를 판별하기 위한 가지 번호 ID를 포함한다. 또한, 가지 번호 ID는 청구범위의 「잘려 나간 개소를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의 일례이다.
제2 송신부(5)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ID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11)(도 10의 (B) 참조)를 서버(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송신부(5)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포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에 대하여 제2 자성체 정보(11)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송신부(5)는, 예를 들어 송신기 등을 포함하며, 네트워크(N)와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버(3)는, 제어부(30)와, 기억부(31)와, 열화 정보 송신부(32)와, 자성체 정보 취득부(33)를 포함한다. 서버(3)는 네트워크(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도 네트워크(N)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3)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서버(3)에 송신된 자성체 정보(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를 기억부(31)에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30)가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억부(31)는, 제어부(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31)는, 고유 정보 기억부(31a)와, 열화 정보 기억부(31b)와, 이상 정보 기억부(31c)를 포함하고 있다. 고유 정보 기억부(31a)는, 와이어 로프(W)의 고유 정보로서, 제1 자성체 정보(10)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화 정보 기억부(31b)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정보로서, 제2 자성체 정보(11)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화 정보 기억부(31b)는, 후술하는 자성체 열화 정보(12)(도 10 참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 정보 기억부(31c)는, 후술하는 이상 정보(13)(도 9 참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31)는,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고유 정보 기억부(31a)와, 열화 정보 기억부(31b)와, 이상 정보 기억부(31c)는, 각각 기억부(31)에 구축된 고유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와, 열화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와, 이상 정보(13)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열화 정보 송신부(32)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차분 파형(DW)(도 9 참조)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정보(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화 정보 송신부(32)는,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자성체 정보 취득부(33)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성체 정보 취득부(33)는,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출하 장소 및 사용 장소)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가 배치되는 출하 장소의 일례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배치되는 사용 장소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출하 장소 및 사용 장소는 각각 다른 장소이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출하 장소로서, 와이어 로프(W)의 제조 공장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복수의 소선 부재(WS)를 합쳐서 꼬아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W)의 제조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 제조 공장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소선 부재(WS)란, 와이어 로프(W)를 구성하는, 심재, 소선, 및 소선을 합쳐서 꼰 것(스트랜드)을 말한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복수의 소선 부재(WS)를 합쳐서 꼬는 꼬임 기구(M1)과, 와이어 로프(W)를 권취하는 권취 드럼(M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권취 드럼(M2)에 의해 권취되기 전의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한다. 즉,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사용 전(미사용)의 상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한다. 또한, 와이어 로프(W)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절단된 후에 권취 드럼(M2)과는 다른 권취 드럼에 권취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 장소로 수송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의 사용 장소로서, 엘리베이터(E)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엘리베이터(E)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W)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 엘리베이터(E)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E)는, 케이지부(E1)와, 와이어 로프(W)를 감아올려서 케이지부(E1)를 승강시키는 권상기(E2)와, 케이지부(E1)(와이어 로프(W))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E3)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E)에서는, 와이어 로프(W)가 권상기(E2)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W)의 이동에 수반하여 검사가 행해진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와이어 로프(W)의 표면을 따라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X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프(W)를 검사한다. 즉,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엘리베이터(E)에 설치된 후(사용 시)의 상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한다. 또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사용 장소(엘리베이터(E))에 설치된 직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은, 출하 장소로부터 사용 장소로 수송되며, 엘리베이터(E)에 있어서 설치되는 1개의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경시적으로 취득해 간다.
(와이어 로프의 구성)
와이어 로프(W)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재로 이루어지는 자성체(MM)이다. 와이어 로프(W)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을 갖는 소선 부재(WS)가 합쳐서 꼬아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W)는, 열화에 의한 절단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화 상태(손상 등의 유무)가 감시되고 있다. 그리고, 열화 상태가 소정의 상태로부터 진행되어, 절단 등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진 와이어 로프(W)는, 절단 등이 발생하기 전에 교환된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자계 인가부(6)와, 검지부(7)와, 출력부(86)(도 4 참조)와, 열화 정보 취득부(87)(도 4 참조)를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검지 코일(70)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자계(전체 자속)의 변화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계 인가부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 인가부(6)는, 검지부(7)에 의한 검지 신호(DS)의 검지를 행하는 것보다 전에,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계 인가부(6)는, 자석(61 및 62)을 포함하는 제1 자계 인가부와, 자석(63 및 64)을 포함하는 제2 자계 인가부를 포함하고 있다. 자석(61, 62, 63 및 64)은, 예를 들어 각각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자계 인가부(자석(61 및 62))는, 검지부(7)에 대하여,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방측(X1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자계 인가부(자석(63 및 64))는, 검지부(7)에 대하여,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의 타방측(X2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자석(61 및 62)은, S극 및 N극 중 서로 이극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석(63 및 64)에 대해서도, S극 및 N극 중 서로 이극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편의상, 자석(61)(62, 63 및 64)에 있어서, 한쪽의 극에 해칭을 넣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자계 인가부(6)는,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이 서로 정렬되도록,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자계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마련되어 있는 자계 인가부(6)는, 각각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자계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마련되어 있는 자계 인가부(6)는,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을 서로 정렬시킬 수 있다.
(검지부의 구성)
검지부(7)는, 와이어 로프(W)의 전체 자속의 변화를 검지하는 검지 코일(70)을 포함하며, 자계 인가부(6)에 의해 자화의 방향이 조정된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지 코일(70)은, 수신 코일(71 및 72)을 갖고, 수신 코일(71 및 72)이 수신한 검지 신호(DS)의 차분값을 취득하는 한 쌍의 차동 코일(74)을 포함한다. 검지 코일(70)(차동 코일(74))과 여진 코일(7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X 방향)을 따르도록 각각 복수회 권회되어 있다. 따라서, 검지 코일(70) 및 여진 코일(73)이 권회되는 도선 부분이 형성되는 면은,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X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와이어 로프(W)는, 검지 코일(70) 및 여진 코일(73)의 내부를 통과한다. 또한, 검지 코일(70)은, Y 방향에 있어서, 여진 코일(73)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수신 코일(71 및 72)은 검지부(7)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수신 코일(71 및 72) 중 수신 코일(71)은 X1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 코일(71 및 72) 중 수신 코일(72)은 X2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검지 코일(70)은,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비접촉의 상태로, 검지 신호(DS)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지 코일(70)은, 한 쌍의 수신 코일(71 및 72)에 의해, 검사 대상물인 와이어 로프(W)의 X 방향의 자계 변화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검지 코일(70)은, 여진 코일(73)에 의해 자계가 인가된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X 방향의 전체 자속의 변화를 검지한다. 또한, 검지 코일(70)은, 검지한 와이어 로프(W)의 X 방향의 자계의 변화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지 코일(70)은, 와이어 로프(W)의 자계의 변화를 전압값으로서 취득하고,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진 코일(73)은,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상태를 여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여진 코일(73)은, 여진 코일(73)에 여진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교류 자계를 발생시킨다. 여진 코일(73)은, 여진 코일(73)의 내부에 있어서, 여진 교류 전류에 기초하여 발생시킨 교류 자계를 와이어 로프(W)에 인가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상태를 여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W)에 손상(단선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손상(단선 등)이 있는 부분에서 와이어 로프(W)의 전체 자속(자계에 투자율과 면적을 곱한 값)이, 손상(단선 등)이 없는 부분과 비교하여 작아진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수신 코일(71)이 손상(단선 등)이 있는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 코일(71)을 통과하는 자속량이 수신 코일(72)과 비교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검지 코일(70)에 의한 검지 전압의 차의 절댓값(검지 신호(DS)의 차분값)이 커진다. 한편, 손상(단선 등)이 없는 부분에서의 검지 신호(DS)는 대략 제로로 된다. 이와 같이, 검지 코일(70)에 있어서, 손상(단선 등)의 존재를 나타내는 명확한 신호(S/N비가 좋은 신호)가 검지된다. 이에 의해, 전자 회로부(8)는, 검지 신호(DS)의 값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손상(단선 등)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출하 장소 및 사용 장소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대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이동시키지 않고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W)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할 수 있다.
(자성체 검사부의 구성)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검지부(7)와, 전자 회로부(8)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부(7)는, 검지 코일(70)와, 여진 코일(73)을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부(8)는, 검사 제어부(80)와, 수신 I/F(81)와, 기억부(82)와, 여진 I/F(83)와, 전원 회로(84)와, 위치 정보 취득부(85)와, 출력부(86)와, 열화 정보 취득부(87)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전자 회로부(8)의 검사 제어부(80)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의 각 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사 제어부(80)는 CPU 등의 프로세서, 메모리, AD 변환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검사 제어부(80)는, 검지 코일(70)이 검지한 전체 자속에 기초하여,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사 제어부(80)는, 한 쌍의 차동 코일(74)(수신 코일(71 및 72))의 각각이 검지한 검지 신호(DS)를 수신하여, 출력부(86)를 통하여 서버(3)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사 제어부(80)는, 여진 코일(73)을 여진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사 제어부(80)는, 위치 정보 취득부(85)를 통하여, 와이어 로프(W)에 있어서의 검지부(7)(검지 코일(7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사 제어부(80)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E)의 위치 센서(E3)로부터 검지부(7)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82)는, 검사 제어부(80)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검지하였을 때의 위치 정보와, 검지 코일(70)(차동 코일(74))이 검지한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관련지은 검지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82)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HDD 또는 SSD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사 제어부(80)는, 출력부(86)를 통하여, 검지 정보를 서버(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 I/F(81)는, 검사 제어부(80)의 제어 하, 검지 코일(70)로부터의 전체 자속에 기초하는 신호(전압값)를 수신하여, 검사 제어부(8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I/F(81)는 증폭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수신 I/F(81)는, 검지 코일(70)의 전체 자속에 기초하는 신호를 증폭하여, 검사 제어부(8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진 I/F(83)는, 검사 제어부(80)의 제어 하, 여진 코일(7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진 I/F(83)는, 검사 제어부(8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회로(84)로부터 여진 코일(73)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위치 정보 취득부(85)는, 검사 제어부(80)의 제어 하, 검지부(7)의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검지하였을 때의 검지부(7)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정보 취득부(85)는, 엘리베이터(E)의 위치 센서(E3)가 취득한 검지부(7)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정보 취득부(85)는, 예를 들어 시리얼 통신 포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 로프(W)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의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가 실제로 사용 장소에 배치된 후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DS)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검지 신호(DS)의 위치 정렬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 개시 후의 와이어 로프(W)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할 때의 와이어 로프(W)의 이동 속도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 검지 신호(DS)를 취득할 때의 와이어 로프(W)의 이동 속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와이어 로프(W)의 이동 속도가 다르면,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의 측정점의 간격(샘플링 피치)이 변화한다. 또한,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W)가 엘리베이터(E) 등에 사용되는 경우, 와이어 로프(W)에 부하가 걸려, 와이어 로프(W)에 부분적인 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와이어 로프(W)에 부분적인 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의 측정점의 간격(샘플링 피치)이 변화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고정밀도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검지 신호(DS)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위한 보정이나, 이동 속도의 차이나 와이어 로프(W)의 부분적인 신장에 의한 샘플링 피치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환경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이동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나, 와이어 로프(W)에 부하가 걸려, 부분적인 신장이 발생한 경우라도, 위치 정보 취득부(85)를 구비함으로써, 검사 데이터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출력부(86)는, 검지부(7)가 검지한 검지 신호(DS)를,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부(86)는,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열화 정보 취득부(87)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로부터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화 정보 취득부(87)는,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검지 신호 및 차분 파형)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검지 신호(DS1), 제2 검지 신호(DS2) 및 차분 파형(DW)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해 취득된 제1 검지 신호(DS1)의 그래프(G1)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그래프(G1)에 있어서, 횡축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검지 코일(70))의 위치 정보이다. 또한, 그래프(G1)에 있어서, 종축은 검지 신호(DS)(제1 검지 신호(DS1))의 신호 강도이다.
도 6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취득된 제2 검지 신호(DS2)의 그래프(G2)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그래프(G2)에 있어서, 횡축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검지 코일(70))의 위치 정보이다. 또한, 그래프(G2)에 있어서, 종축은 검지 신호(DS)(제2 검지 신호(DS2))의 신호 강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지 신호(DS)(제1 검지 신호(DS1) 및 제2 검지 신호(DS2))는, 검지 신호(DS)를 검지하였을 때의 검지부(7)의 위치 정보와, 검지 신호(DS)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는, 제1 검지 신호(DS1) 및 제2 검지 신호(DS2)에 기초하여, 도 7에 도시하는 그래프(G3)와 같은 차분 파형(DW)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3)는, 제1 검지 신호(DS1)와 제2 검지 신호(DS2)의 차분을 취득함으로써, 차분 파형(DW)을 취득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그래프(G3)의 값이 거의 0(제로)으로 되기 때문에, 그래프(G3)의 횡축과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그래프(G3)의 선의 굵기를 그래프(G3)의 횡축의 굵기로 바꾸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각각 감도 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래프(G1)의 종축과 그래프(G2)의 종축이 맞도록 보정하게 구성되어 있다.
(열화 상태의 추정)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30)가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하는 예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 시부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한 검사 시 동안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의 예이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각각 자계 인가부(6)를 갖고 있기 때문에, 검지 신호(DS)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DS)는 재현성이 높아진다. 또한, 검지 신호(DS)의 재현성이 높다는 것은, 동일한 와이어 로프(W)를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검사한 경우에, 얻어지는 검지 신호(DS)의 형상의 일치도가 높은 것을 말한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계 인가부(6)와, 여진 코일(73)과, 차동 코일(74)을 구비하며, 전체 자속법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취득되는 검지 신호(DS)의 재현성이, 종래 구성의 장치보다 높기 때문에,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 시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한 검사 시 동안에,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면, 제1 검지 신호(DS1)와 제2 검지 신호(DS2)는, 파형이 대략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3)가 제1 검지 신호(DS1)와 제2 검지 신호(DS2)의 차분을 취득함으로써 얻어지는 차분 파형(DW)은, 도 8의 (C)에 도시하는 그래프(G3)와 같이, 대략 일정한 값으로 되는 직선상의 그래프로 된다.
도 9의 (A)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 시의 검지 신호(DS)(제1 검지 신호(DS1))의 모식도이다. 또한, 도 9의 (B)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한 검사 시의 검지 신호(DS)(제2 검지 신호(DS2))의 모식도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예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 시부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한 검사 시 동안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가 변화한 경우의 예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 시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한 검사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가 변화하였기 때문에, 제1 검지 신호(DS1)와 제2 검지 신호(DS2)의 형상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검지 신호(DS1)와 제2 검지 신호(DS2)의 차분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차분 파형(DW)은,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W)의 열화에 기인하는 피크(P)를 갖는 형상으로 된다.
서버(3)는, 차분 파형(DW)에 발생한 피크(P)의 크기(강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차분 파형(DW)에 발생한 피크(P)의 크기(강도)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는, 차분 파형(DW)에 발생한 피크(P)의 크기(강도)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에,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제1 자성체 정보(10)와, 사용 장소(엘리베이터(E))에 설치된 직후에 취득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ID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버(3)는, 제2 검지 신호(DS2)의 파형의 형상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로프(W)에 발생한 손상에 따라, 검지 신호(DS)의 파형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서버(3)는, 검지 신호(DS)의 파형의 형상에 따라, 와이어 로프(W)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 서버(3)는,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W)의 단선, 킹크 및 꼬임의 흐트러짐 등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W)의 킹크란, 와이어 로프(W)를 권취 드럼(M2) 등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잡아늘이거나 할 때의 취급 불량에 의해, 비틀림이나 혹 모양의 구부러짐 등 회복 불능의 소성 변형이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와이어 로프(W)의 꼬임의 흐트러짐이란, 소선 부재(WS)를 합쳐서 꼬을 때, 의도하지 않게, 소선 부재(WS)의 일부가 교차하여 합쳐져 꼬아지는 것 등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꼬임 상태가 정상적인 부분과 다른 상태를 말한다.
서버(3)가 제2 검지 신호(DS2)의 파형의 형상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손상의 종류를 판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계 학습이나, 와이어 로프(W)의 손상된 모델 파형과의 형상의 피팅 등이 있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동일한 방식으로 검지 신호(DS)를 취득하고 있기 때문에, 검지 신호(DS)의 재현성이 높아지고, 와이어 로프(W)의 단선 등의 피크(P)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손상이나 상함의 종류 등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자성체 검사 장치와 서버에 있어서의 정보의 교환)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와, 서버(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로부터 서버(3)로 송신되는 제1 자성체 정보(10)의 예이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ID와, 와이어 로프(W)의 제품 정보와,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한 일시와, 제1 검지 신호(DS1)를 포함하는 제1 자성체 정보(10)를 서버(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W)의 제품 정보는,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W)의 길이나 와이어 로프(W)의 직경을 포함한다.
도 10의 (B)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 서버(3)로 송신되는 제2 자성체 정보(11)의 예이다.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의 ID와, 제2 검지 신호(DS2)를 취득한 일시와, 제2 검지 신호(DS2)를 포함하는 제2 자성체 정보(11)를 서버(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는, 포함되는 정보가 다르다.
도 10의 (C)는, 서버(3)로부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송신되는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예이다.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ID와, 차분 파형(DW)을 취득할 때의 검지 신호(DS)의 취득 일시와, 차분 파형(DW)을 포함하는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는,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할 때, 와이어 로프(W)에 손상(단선 등)이 발생하였다고 추정된 경우의 제2 자성체 정보(11)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DS)(제2 검지 신호(DS2))의 파형 정보를 이상 정보(13)로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와, 서버(3)에 있어서의 정보의 송수신에 대하여, 시계열을 따라 도시한 예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제조 시(t1)에 취득한 제1 자성체 정보(10)를 서버(3)에 송신한다. 서버(3)는, 송신된 제1 자성체 정보(10)를 고유 정보 기억부(31a)에 기억한다. 또한, 고유 정보 기억부(31a)에 기억하는 정보는, 서버(3)에 송신된 첫회의 제1 자성체 정보(10)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3)는, 제1 자성체 정보(10)에 포함되는, 제1 검지 신호(DS1) 및 와이어 로프(W)의 제품 정보를 고유 정보로서 기억한다. 또한, 와이어 로프(W)의 고유 정보란, 와이어 로프(W)를 동일 방식의 검사 장치로 측정한 경우에, 다른 와이어 로프(W)와는 형상이 일치하지 않는, 개개의 와이어 로프(W)에 특유한 검지 신호(DS)의 파형의 형상을 말한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해 취득되는 검지 신호(DS)(제1 검지 신호(DS1))는 재현성이 높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제1 검지 신호(DS1))의 파형의 형상을, 와이어 로프(W)의 고유 정보를, 지문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출하 시(t2)에 취득한 제1 자성체 정보(10)를 서버(3)에 송신한다. 또한, 2회째 이후에 제1 자성체 정보(10)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고유 정보 기억부(31a)에는, 이미 와이어 로프(W)의 고유 정보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자성체 정보(10)로서는, 제2 자성체 정보(11)와 마찬가지로, 와이어 로프(W)의 ID와, 데이터 취득 일시와, 제1 검지 신호(DS1)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서버(3)는, 송신된 제1 자성체 정보(10)를 열화 정보 기억부(31b)에 기억한다. 이때,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로부터의 요구가 있으면, 서버(3)는 제조 시(t1)와 출하 시(t2)에 있어서의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송신한다. 그 후, 와이어 로프(W)는 사용 장소로 수송된다.
다음으로, 와이어 로프(W)의 사용 개시 시(t3)에 있어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취득한 제2 자성체 정보(11)를 서버(3)에 송신한다. 서버(3)는, 송신된 제2 자성체 정보(11)를 열화 정보 기억부(31b)에 기억한다. 이때,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의 요구가 있으면, 서버(3)는 출하 시(t2)와 사용 개시 시(t3)에 있어서의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송신한다.
그 후,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정보를 얻기 위한 정기 검사 1시(t4), 정기 검사 2시(t5), 정기 검사 n시(tn)에 있어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취득한 제2 자성체 정보(11)를 서버(3)에 송신한다. 서버(3)는, 송신된 제2 자성체 정보(11)를 열화 정보 기억부(31b)에 기억한다. 또한, 서버(3)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대하여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3)는, 하나 전의 검사 시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DS)와의 차분 파형(DW)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제조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고유 정보로서, 제1 자성체 정보(10)를 고유 정보 기억부(31a)에 기억한다. 그 이후에 대해서는, 각 검사 시에 취득한 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를 열화 정보 기억부(31b)에 기억해 간다. 즉,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축적해 가기 때문에,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은, 와이어 로프(W)의 트레이서빌리티(추적 가능성)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계측간에 발생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어느 단계에서 와이어 로프(W)에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의 제2 자성체 정보(11)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DS)(제2 검지 신호(DS2))의 파형 정보를 이상 정보(13)로서 기억하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W)에 있어서의 열화의 추이와,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파형(제2 검지 신호(DS2))을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W)에 있어서, 이력 정보 및 이상 정보(13)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와이어 로프(W)에 있어서의 이력 정보 및 이상 정보(13)에 기초하여, 어떤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는 전조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 로프(W)에 가해지는 하중의 정보나 그 밖의 정보와 통합 해석함으로써, 보다확실도가 높은 전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상 정보(13)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가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경우, 기계 학습용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므로 학습 모델의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버(3)가 모델 파형과 검지 신호(DS)의 형상 피팅에 의해 손상을 추정하는 경우에는, 이상 정보(13)로서 손상이 발생한 경우의 파형 형상을 축적할 수 있으므로, 모델 파형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모델 파형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함으로써, 서버(3)에 있어서, 특히 와이어 로프(W)의 손상의 종류의 분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열화 상태 추정 처리)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이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한다. 그 후, 스텝 S2에 있어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제1 검지 신호(DS1)의 취득과 동일 방식의 방법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제2 검지 신호(DS2)를 취득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제1 검지 신호(DS1)와 와이어 로프(W)의 ID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10)를 서버(3)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스텝 S4에 있어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제2 검지 신호(DS2)와 와이어 로프(W)의 ID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11)를 서버(3)에 기억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3)는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한다.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처리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였다고 추정한 경우, 제2 자성체 정보(11)에 있어서의 제2 검지 신호(DS2)의 파형 정보를 이상 정보(13)로서 기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의 처리 후에, 스텝 S3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스텝 S2의 처리 후에, 스텝 S4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서버(3)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하기 전이라면, 스텝 S3의 처리 및 스텝 S4의 처리는 어느 타이밍에 행해져도 된다.
(자성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열화 정보 송신 처리)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서버(3)가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서버(3)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 처리는 스텝 S8로 진행한다.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스텝 S7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서버(3)는,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를 송신한 자성체 검사 장치에 대하여,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은, 와이어 로프(W)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와이어 로프(W)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동일 방식의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와, 와이어 로프(W)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3)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10)를 서버(3)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4)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취득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11)를 서버(3)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5)를 구비하며, 서버(3)는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하 장소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 동일 방식의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사용하여 측정 데이터(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제2 자성체 정보(11))뿐만 아니라,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제1 자성체 정보(10))를 축적할 수 있다. 그 결과,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와이어 로프(W)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출하 장소로부터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일관된 시계열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 관리, 수송, 설치 등의 각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지견을 가져오는 유용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서버(3)는,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의 차분 파형(DW)을 취득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의 차분 파형(DW)을 취득하기 때문에, 출하 장소로부터 사용 장소로의 반송 중에 발생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출하 장소, 수송 중 및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와이어 로프(W)의 트레이서빌리티(추적 가능성)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3)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할 때,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였다고 추정된 경우의 제2 자성체 정보(11)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DS)의 파형 정보를 이상 정보(13)로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상 정보(13)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축적된 이상 정보(13)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할 때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차분 파형(DW)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정보를 송신하는 자성체 정보 취득부(33)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 서버(3)에 요구함으로써,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차분 파형(DW)을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출하 장소 및 사용 장소의 각각에 있어서, 차분 파형(DW)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가 어느 타이밍에 발생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송신부(4) 및 제2 송신부(5)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포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에 대하여,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 직접 서버(3)로 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검지 신호(DS)의 검지를 행하는 것보다 전에,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을 조정하는 자계 인가부(6)와, 자계 인가부(6)에 의해 자화의 방향이 조정된 검지 신호(DS)를 출력하는 검지부(7)와, 검지 신호(DS)를 출력하는 출력부(86)와,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는 열화 정보 취득부(87)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자계 인가부(6)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검지 신호(DS)의 노이즈가 저감되므로, 검지 신호(DS)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 장치간에 있어서 검지된 검지 신호(DS)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취득된 검지 신호(DS)의 재현성이 높기 때문에, 각각 다른 개체인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이격된 장소에 있어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검지 신호(DS)에 있어서의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의 개체차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검지 신호(DS)를 통합하여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계 인가부(6)는,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이 서로 정렬되도록, 와이어 로프(W)에 대하여 자계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 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을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와이어 로프(W)의 자화의 방향이 다름으로써 검지 신호(DS)에 열화 상태의 변화 이외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측정 데이터의 재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측정 데이터의 재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사용 장소에 설치된 직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서버(3)는, 제1 자성체 정보(10)와, 사용 장소에 설치된 직후에 취득된 검지 신호(DS)와, 와이어 로프(W)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제로 와이어 로프(W)가 사용되는 장소에 있어서 사용 개시 직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함으로써, 제조 시(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있어서의 자성체 정보(제1 자성체 정보(10))와 사용 개시 직후에 있어서의 자성체 정보(제2 자성체 정보(11))에 있어서, 실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검지 신호(DS)의 위치 정렬이나 샘플링 피치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버(3)에 있어서의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 개시 직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기 때문에, 사용 개시 직후에는 검지 신호(DS)를 취득하지 않고, 와이어 로프(W)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 및 와이어 로프(W)가 사용 장소에 설치된 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정기 검사를 행할 때까지의 검지 신호(DS)의 취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가 변화한 시기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개시 직후에 검지 신호(DS)를 취득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E)에 사용될 때, 사용 개시 전의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와 비교함으로써, 특정 층 사이에서의 이동이 많은 경우 등에 발생하는 와이어 로프(W)의 부분적인 신장에 의한 와이어 로프(W)의 절단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체(MM)는 와이어 로프(W)이다. 이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체(MM)의 식별자는, 와이어 로프(W)의 제조 시에 소정의 길이로 잘려 나간 개소를 판별하기 위한 가지 번호 ID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 로프(W)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기 전의 와이어 로프(W)의 어느 위치였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 후에 와이어 로프(W)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절단된 와이어 로프(W)에 있어서의 자성체 정보(제1 자성체 정보(10))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 로프(W)의 사용 개시 후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체 관리 방법은, 와이어 로프(W)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하는 스텝 S1과, 와이어 로프(W)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제1 검지 신호(DS1)의 취득과 동일 방식의 방법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제2 검지 신호(DS2)를 취득하는 스텝 S2와, 제1 검지 신호(DS1)와 와이어 로프(W)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10)를 서버(3)에 기억하는 스텝 S3과, 제2 검지 신호(DS2)와 와이어 로프(W)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11)를 서버(3)에 기억하는 스텝 S4와,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스텝 S5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자성체 관리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축적되는 측정 데이터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와이어 로프(W)의 상태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자성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송신부(4) 및 제2 송신부(5)가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포함되는 구성의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송신부(4) 및 제2 송신부(5)는,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에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는, 각각 청구범위의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이외의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성체 관리 시스템(200)에 있어서, 제1 송신부(4)는 제1 송신 장치(40)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2 송신부(5)는 제2 송신 장치(41)에 포함되어 있다.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는, 각각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제1 송신 장치(40)를 통하여 서버(3)에 대하여, 제1 자성체 정보(10)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1 송신 장치(40)는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가반형 기억 매체에 의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로부터 제1 송신 장치(40)로 제1 자성체 정보(10)를 이동시키고, 제1 송신 장치(40)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로 제1 자성체 정보(10)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제2 송신 장치(41)를 통하여 서버(3)에 대하여, 제2 자성체 정보(11)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와 제2 송신 장치(41)는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가반형 기억 매체에 의해,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로부터 제2 송신 장치(41)로 제2 자성체 정보(11)를 이동시키고, 제2 송신 장치(41)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로 제2 자성체 정보(11)를 송신해도 된다. 따라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선박 등에 마련된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W)의 검사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송신부(4) 및 제2 송신부(5)는,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에 포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버(3)에 대하여, 적어도 제1 자성체 정보(10)와 제2 자성체 정보(11)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정보 송신 기능(제1 송신부(4) 및 제2 송신부(5))을 마련할 필요가 없음과 함께, 네트워크(N)에 접속할 수 없는 장소라도,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성체 관리 시스템(200)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그 밖의 효과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변형예)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또한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변형예)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출하 장소로서, 와이어 로프(W)의 제조 장소에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를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제조 후에 와이어 로프(W)를 보관하는 창고 등에 배치되어 있고, 제조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출하 시에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와이어 로프(W)의 수납 부문, 와이어 로프(W)의 단말기 가공 등을 행하는 가공 부문 등에 배치되어 있고, 수입 검사 시, 가공 후의 출하 시에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출하 장소에 와이어 로프(W)가 있는 경우에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어느 타이밍에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엘리베이터(E)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W)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를 설치한 기계, 장치나 인프라, 예를 들어 크레인 등의 하역 기계, 반송 기계, 건설 기계, 로프웨이 등의 이동용 장치, 곤도라, 유희 시설, 수문, 적교 등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W)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를 설치한 기계ㆍ장치나 인프라의 사용 전(인도 전)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와이어 로프(W)를 설치한 기계ㆍ장치의 정비 시에, 사용 중 또는 사용 후의 와이어 로프(W)의 품질 검사ㆍ정비ㆍ교환 등을 행하는 정비 부문에서 와이어 로프(W)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 장소에 와이어 로프(W)가 있는 경우에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어느 타이밍에 제2 검지 신호(DS2)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체(MM)가 와이어 로프(W)인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성체(MM)는 와이어 로프(W)의 소선 부재(WS), 박판, 각재, 원통상의 파이프, 철사, 체인 등이어도 된다. 또한, 수지나 도금 등으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W)여도 된다. 또한, 와이어 로프(W)를 구성 부재로 하는 케이블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가 연장되는 방향(X 방향)으로 미리 자계를 인가하는 경우에, 자계 인가부(6)의 구성을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자석(61)과 자석(62)은 동극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자석(63)과 자석(64)은 동극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61 및 62)과 자석(63 및 64)의 자계의 배치 방향은 평행이 아니어도 된다(각각, Y 방향과, Y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 기운 방향으로 되어 있음). 또한, 도 1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지부(7)의 편측에만 자석(61 및 62)(또는 자석(63) 및 자석(64d))을 마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계 인가부(6)를 통형 영구 자석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자계 인가부(6)를 영구 자석으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자계 인가부(6)를 전자석(코일)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여진 코일(73)의 내측에 차동 코일(74)로 되는 수신 코일(71 및 72)을 배치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코일(71 및 72)을 여진 코일(73)의 외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코일(71 및 72)을, 여진 코일(73)을 사이에 두도록 여진 코일(73)의 X 방향(긴 쪽 방향)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의 수신 코일(71)을 여진 코일(73)의 내측(또는 외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여진 코일(73a 및 73b)을, 단일의 수신 코일(71)을 사이에 두도록 수신 코일(71)의 X 방향(긴 쪽 방향)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해도 된다. 도 1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의 여진 코일(73)과 단일의 수신 코일(71)을 X 방향(긴 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코일(71 및 72)(또는 단일의 수신 코일(71))을 배치하고, 여진 코일(73)을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각각, 제1 송신부(4) 및 제2 송신부(5)를 포함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어느 한쪽은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송신 장치(40) 또는 제2 송신 장치(41)를 통하여 서버(3)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각각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를 통하여 서버(3)에 접속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어느 한쪽은,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송신 장치(40) 및 제2 송신 장치(41)를 통하지 않고, 서버(3)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 장소로서 선박 등의 이동체에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제2 송신 장치(41)를 통하여 서버(3)에 접속하는 구성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측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있어서, 검지 신호(DS)를 취득하였을 때, 와이어 로프(W)에 손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손상 유무의 판정만을 행하고, 서버(3)에 의해, 상세 분석으로서, 와이어 로프(W)의 손상의 수 및 개개의 손상 종류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서버(3)가 와이어 로프(W)의 손상의 종류를 판정하는 경우, 서버(3)는, 제1 검지 신호(DS1)와 제2 검지 신호(DS2)의 차분 파형(DW)의 파형의 형상에 기초하여, 와이어 로프(W)에 발생한 손상의 종류를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가 제조 시(t1)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한 후, 출하 시(t2)에 있어서도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는, 제조 시(t1) 또는 출하 시(t2) 중 어느 한쪽에서 와이어 로프(W)의 검지 신호(DS)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가, 출하 시(t2) 내지 정기 검사 n시(tn)에 있어서, 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의 송신 시에,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의 송신 시에,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자성체 열화 정보(12)의 송신 요구는,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취득하고 싶을 때라면, 언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조 시(t1)와 출하 시(t2) 사이의 자성체 열화 정보(12)나, 사용 개시 시(t3)와 출하 시(t2) 사이의 자성체 열화 정보(12) 등, 하나 전의 검사 시에 있어서의 검지 신호(DS)와의 차분 파형(DW)을 취득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분 파형(DW)을 취득하기 위한 검지 신호(DS)는, 어느 타이밍에 취득된 검지 신호(DS)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정보(10)로서, 와이어 로프(W)의 ID와, 와이어 로프(W)의 길이와, 와이어 로프(W)의 직경과, 제1 검지 신호(DS1)를 취득한 일시와, 제1 검지 신호(DS1)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정보(10)는, 와이어 로프(W)의 길이나 와이어 로프(W)의 직경 이외에, 와이어 로프(W)의 구성(소선 부재(WS)가 어떻게 합쳐져 꼬여 있는가를 나타냄)이나, 출하처 정보 등을 포함시켜도 된다. 와이어 로프(W)에 관한 정보라면, 제1 자성체 정보(10)에는 어떠한 정보를 포함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의해, 와이어 로프(W)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는, 와이어 로프(W)를 때마다 검사하거나, 상시 감시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가 차분 파형(DW)을 취득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3)는, 차분 파형(DW)을 취득하지 않고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버(3)는, 제2 검지 신호(DS2)를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분 파형(DW)이 아니라 상관 계수의 차이로부터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가 이상 정보(13)를 기억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3)는 이상 정보(13)를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가 열화 정보 송신부(32)를 구비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3)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대하여,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열화 정보 송신부(32)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가 네트워크(N)를 통하여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에 접속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 정보(10) 및 제2 자성체 정보(11)를 가반형 기억 매체에 기억하고, 서버(3)의 기억부(31)에 직접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가 차분 파형(DW)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3)는, 제2 검지 신호(DS2)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나, 차분 파형(DW)에 의한 판정은, 제2 검지 신호(DS2)에 의한 판정과 비교하여,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손상)에 의한 피크(P)만이 검지되므로,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의 변화(손상)를 일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차분 파형(DW)에 의해 와이어 로프(W)의 열화 상태(손상)를 추정하는 구성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와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의해, 서버(3)가 자성체 열화 정보(12)를 송신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하 장소나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작업원이나, 와이어 로프(W)를 설치한 기계, 장치나 인프라의 유지 관리자, 소유자, 이용자가 업무상 사용하는 단말기(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메인터넌스 툴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의해, 제1 자성체 검사 장치(1), 제2 자성체 검사 장치(2) 및 서버(3)로부터 업무상 필요한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2: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3: 서버
4: 제1 송신부
5: 제2 송신부
6: 자계 인가부
7: 검지부
10: 제1 자성체 정보
11: 제2 자성체 정보
12: 자성체 열화 정보
13: 이상 정보
32: 열화 정보 송신부
33: 자성체 정보 취득부
40: 제1 송신 장치(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이외의 장치)
41: 제2 송신 장치(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이외의 장치)
86: 출력부
87: 열화 정보 취득부
100, 200: 자성체 관리 시스템
DS: 검지 신호
DS1: 제1 검지 신호
DS2: 제2 검지 신호
MM: 자성체
W: 와이어 로프(자성체)

Claims (11)

  1.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되기 전에, 상기 자성체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상기 자성체가 사용 장소에 설치된 후에, 상기 자성체의 상기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상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동일 방식의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와,
    상기 자성체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와,
    상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검지 신호와 상기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상기 검지 신호와 상기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1 자성체 정보와 상기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자성체 정보와 상기 제2 자성체 정보의 차분 파형을 취득함으로써, 상기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추정을 행할 때, 상기 자성체에 손상이 발생하였다고 추정된 경우의 상기 제2 자성체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검지 신호의 파형 정보를 이상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와 상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적어도 상기 차분 파형을 포함하는 상기 자성체의 열화 정보를 송신하는 열화 정보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부 및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상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상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 이외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제1 자성체 정보와 상기 제2 자성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 검사 장치 및 상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는, 상기 검지 신호의 검지를 행하는 것보다 전에, 상기 자성체의 자화의 방향을 조정하는 자계 인가부와,
    상기 자계 인가부에 의해 자화의 방향이 조정된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자성체의 열화 상태의 정보를 취득하는 열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인가부는, 출하 장소에 있어서의 상기 자성체의 검사 시와, 사용 장소에 있어서의 상기 자성체의 검사 시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자화의 방향이 서로 정렬되도록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자계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 검사 장치는, 사용 장소에 설치된 직후에, 상기 검지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자성체 정보와, 사용 장소에 설치된 직후에 취득된 상기 검지 신호와, 상기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상기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와이어 로프인, 자성체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식별자는, 상기 와이어 로프의 제조 시에 소정의 길이로 잘려 나간 개소를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자성체 관리 시스템.
  11. 자성체의 출하 장소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자계 또는 자계의 변화에 기초하는 제1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자성체의 사용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신호의 취득과 동일 방식의 방법에 의해 상기 자성체의 제2 검지 신호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제1 검지 신호와 상기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1 자성체 정보를 서버에 기억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2 검지 신호와 상기 자성체의 식별자를 결부시킨 제2 자성체 정보를 상기 서버에 기억시키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제1 자성체 정보와 상기 제2 자성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의 열화 상태를 추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자성체 관리 방법.
KR1020217004375A 2018-10-16 2018-10-16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 KR10248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8457 WO2020079747A1 (ja) 2018-10-16 2018-10-16 磁性体管理システムおよび磁性体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265A KR20210029265A (ko) 2021-03-15
KR102481867B1 true KR102481867B1 (ko) 2022-12-28

Family

ID=7028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75A KR102481867B1 (ko) 2018-10-16 2018-10-16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5316B2 (ko)
EP (1) EP3869189A4 (ko)
JP (1) JP7024883B2 (ko)
KR (1) KR102481867B1 (ko)
CN (1) CN112888939B (ko)
SG (1) SG11202103383UA (ko)
WO (1) WO2020079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6182A1 (en) * 2019-08-28 2022-10-13 Konica Minolta, In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JP7443960B2 (ja) 2020-07-03 2024-03-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方法
US11493574B2 (en) * 2020-08-17 2022-11-08 Shimadzu Corporation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device
KR102403601B1 (ko) * 2020-08-19 2022-05-31 (주)엔키아 저전력 와이어로프 안전 진단 방법 및 시스템
CN113686948A (zh) * 2021-09-08 2021-11-23 江西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磁记忆桥梁缆索探测装置的探测方法
CN113933379A (zh) * 2021-09-30 2022-01-14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水闸钢丝绳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654A1 (ja) 2009-12-17 2011-06-23 日本精工株式会社 軸受の残存寿命予測方法及び残存寿命診断装置並びに軸受診断システム
JP5044545B2 (ja) 2006-04-04 2012-10-10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20130119256A1 (en) 2010-07-23 2013-05-16 Inventio Ag Nondestructive testing of a carrier el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17003574A (ja) 2015-06-12 2017-01-05 横河電機株式会社 腐食管理システムおよび腐食管理方法
JP2018004555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ハンドレールの検査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レール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9154A (ja) * 1985-04-17 1986-10-24 Hitachi Ltd き裂形状検出方法及び装置
JPH0713625B2 (ja) * 1987-12-04 1995-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劣化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3239379B2 (ja) 1991-08-12 2001-12-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内燃機関の回転数制御方法
US6492808B1 (en) * 2000-06-29 2002-12-10 Intron Plus, Ltd. Magnetic non-destru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cross sectional area and detection of local flaws in elongated ferrous objects in response to longitudinally spaced sensors in an inter-pole area
ES2277751B1 (es) * 2005-07-19 2008-06-16 Fundacion Barredo Equipo para el control permanente y continuo de los cables de acero en instalaciones de transporte o de elevacion de personal y de materiales.
WO2012169008A1 (ja) * 2011-06-07 2012-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CN103175889A (zh) * 2012-10-24 2013-06-26 中华人民共和国上海出入境检验检疫局 利用磁性能检测预估再制造坯件剩余寿命的方法
WO2016199872A1 (ja) * 2015-06-12 2016-12-15 横河電機株式会社 腐食管理システムおよび腐食管理方法
EP3314247A4 (en) * 2015-06-29 2019-01-2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FERROMAGNETIC MATERIAL
CN107764893A (zh) * 2017-09-16 2018-03-06 太原理工大学 三维磁记忆钢丝绳检测系统
CN113753839B (zh) * 2017-10-09 2023-12-05 纳普科有限责任公司 用于液体产品递送车辆的控制系统
US11598896B2 (en) * 2017-10-31 2023-03-07 Vie Technologies Inc. Remote vibration detection of submerged equipment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CN108562639B (zh) * 2018-01-12 2022-02-25 西南石油大学 一种埋地钢质管道全生命周期缺陷外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4545B2 (ja) 2006-04-04 2012-10-10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遠隔監視システム
WO2011074654A1 (ja) 2009-12-17 2011-06-23 日本精工株式会社 軸受の残存寿命予測方法及び残存寿命診断装置並びに軸受診断システム
US20130119256A1 (en) 2010-07-23 2013-05-16 Inventio Ag Nondestructive testing of a carrier el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17003574A (ja) 2015-06-12 2017-01-05 横河電機株式会社 腐食管理システムおよび腐食管理方法
JP2018004555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ハンドレールの検査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レール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9189A1 (en) 2021-08-25
US11435316B2 (en) 2022-09-06
CN112888939A (zh) 2021-06-01
JPWO2020079747A1 (ja) 2021-09-02
US20210382008A1 (en) 2021-12-09
SG11202103383UA (en) 2021-05-28
JP7024883B2 (ja) 2022-02-24
CN112888939B (zh) 2023-08-25
KR20210029265A (ko) 2021-03-15
EP3869189A4 (en) 2022-06-01
WO2020079747A1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867B1 (ko) 자성체 관리 시스템 및 자성체 관리 방법
US11358836B2 (en) Wire rope inspection device, wire rope inspection system, and wire rope inspection method
US66331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detection of degradation of jacketed elevator rope
JP2008214037A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及びロープ外径測定方法
US20150239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ad Bearing Member
CN111684276A (zh) 磁性体检查装置
EP3879263A1 (en) Magnetic-body inspection device and magnetic-body inspection system
JP2020008500A (ja) 磁性体検査システム、磁性体検査装置および磁性体検査方法
JP7172135B2 (ja) 磁性体検査装置
US10370007B2 (en) Insp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 cable railwa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7027927B2 (ja) 磁性体検査装置
US11493574B2 (en)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device
US11772935B2 (en) Wire rope inspection system and wire rope inspection method
JP2020076591A (ja) 磁性体検査装置および磁性体検査システム
JP5210532B2 (ja) 簡易ロープ異常検知装置
US11480546B2 (en)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system,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device, and magnetic material inspection method
JP2011126710A (ja) ワイヤロープの伸び検査装置及びワイヤロープの伸び検査方法
JP2021169354A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検査方法
US20210094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belts in elevator systems
US202100948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belts in elevator systems
CN115753967A (zh) 钢丝绳检查方法、钢丝绳检查系统以及钢丝绳检查装置
JPWO2020250617A1 (ja) 磁性体の劣化予測装置および磁性体の劣化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