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26B1 -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26B1
KR102481826B1 KR1020220056095A KR20220056095A KR102481826B1 KR 102481826 B1 KR102481826 B1 KR 102481826B1 KR 1020220056095 A KR1020220056095 A KR 1020220056095A KR 20220056095 A KR20220056095 A KR 20220056095A KR 102481826 B1 KR102481826 B1 KR 10248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auxiliary
stirring tank
rotating shaf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동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다올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올식품 filed Critical (주)다올식품
Priority to KR102022005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8Stirrers in the form of brushes, sieves, grids, chains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2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dis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 드럼 형상의 교반조; 상기 교반조 상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교반조 상부에 설치되는 걸림대; 상기 걸림대 중앙부로부터 상기 교반조 내부를 하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걸림대 상부에 구비되는 모터부; 및 상기 교반조 내부로 상기 회전축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윙부;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반장치{m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음식물 소스 등 교반대상물의 교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인스턴트 식품, 간편 조리가 가능한 식품 등이 개발 및 보급될 뿐만 아니라 특히 고기 등의 음식에 바로 적용하도록 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요리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양념 소스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념 소스 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스를 이루는 양념 재료들의 재료 개량, 배합, 혼합, 가공 및 포장 등의 다양한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양념 소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양념 소스 제조에 필요한 공정 관련 준비를 개별적으로 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제반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는 다양한 양념 소스를 대량 생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고기 등의 요리를 위한 양념재료들을 교반기를 통해 교반 및 혼합하여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교반기는 양념재료들이 균일하게 교반 및 혼합되지 않아 일정한 맛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반기 내부 특히 교반기 하부에서 덩어리 형태로 양념재료의 일부가 뭉쳐지면서 배출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즉, 교반기 내 일정 위치에서는 소스가 모여 있거나 교반 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신뢰성 있는 제품화를 생산하는데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교반기 내부 전체적으로 교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반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85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반기 내 투입되는 원재료들의 교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교반조 내부 전체적으로 균일한 교반 성능을 가져오도록 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조 하측에서 교반하고자 하는 재료들이 뭉쳐져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 드럼 형상의 교반조; 상기 교반조 상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교반조 상부에 설치되는 걸림대; 상기 걸림대 중앙부로부터 상기 교반조 내부를 하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걸림대 상부에 구비되는 모터부; 및 상기 교반조 내부로 상기 회전축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윙부;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윙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하방향으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걸림대; 상기 보조걸림대를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회전축; 상기 보조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보조걸림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모터부; 상기 보조모터부와 상기 보조걸림대 사이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진동흡수보드부; 및 상기 보조회전축에 구비되는 보조교반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의하면, 원재료의 교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교반조 전체적으로 균일한 교반 성능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의하면, 교반조 하측에서 교반하고자 하는 재료들이 뭉쳐져 있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의하면, 교반조 전체적으로 구성이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효율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교반윙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반윙부가 적용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반윙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교반윙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8은 교반윙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는 교반조(110), 걸림대(120), 회전축(138), 모터부(135) 및 교반윙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조(110)는 상부가 개구되며 소정 공간을 이루는 내부 수용부(101)가 형성된 전체적으로 원형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교반조(110)의 하부 일측에는 교반조(110) 내부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05)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배출부(105)에 개폐밸브(미도시)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부(105)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대(120)는 상기 교반조(110) 상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대(12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교반조(110)의 상부 둘레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볼트 등을 이용 상기 걸림대(120)와 교반조(110)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대(12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보드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로 상기 모터부(135) 및 후술하는 기어부나 컨트롤러부 등 전기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내설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대(120)는 상기 교반조(110) 내부에서 교반되는 양념이나 소스 등이 튀는 경우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열적, 화학적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와 같은 재질로 코팅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138)은 상기 걸림대(120) 중앙부로부터 상기 교반조(110)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걸림대(120) 하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135)는 상기 회전축(138)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걸림대(120) 상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대(120) 상부로 상기 회전축(138)에 연결되는 기어부(133)가 구비되되, 상기 기어부(133)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138)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부(135)가 기어부(133)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부(135)의 전기적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131)가 상기 걸림대(120) 상부에 상기 모터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소정 버튼 등이 구비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윙부(142)는 상기 회전축(138)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138) 양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교반윙부(142)는 상기 회전축(138)의 상하방향으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는 원재료의 교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교반조(110) 전체적으로 균일한 교반 성능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반장치(100)가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이루어 효율적인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대(120)에 설치되는 보조걸림대(125)와, 보조회전축(188)과, 보조모터부(182)와, 진동흡수보드부(170) 및 보조교반윙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걸림대(125)는 상기 보조걸림대(125)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걸림대(120)와 보조걸림대(125)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모터부(182)는 상기 보조걸림대(125)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회전축(188)은 상기 보조모터부(182)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보조걸림대(125)를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조걸림대(125)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모터부(182)와 상기 보조걸림대(125) 사이에 링형상의 진동흡수보드부(170)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흡수보드부(170)는 상기 보조모터부(182)의 진동이 보조걸림대(125)로 과도하게 전달되는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회전축(188)에 상기 보조교반윙부(1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교반윙부(190)는 전술한 실시예에 서술된 상기 교반윙부(14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배치되며, 상기 보조회전축(188) 또한 상기 교반윙부(142)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설정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교반윙부(190)가 교반조(110) 내부 상부 양측에 배치되어 교반조의 상하부 전체적으로 교반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보조교반윙부(190)의 설치를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상황에 따라 효율적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교반윙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반윙부가 적용된 교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반윙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축(138) 양측에 복수의 교반윙부(142)가 구비되되, 상기 교반윙부(142) 중 최하단에 위치된 교반윙부(142)를 덮어 감싸며 교반조(110) 바닥에 마찰을 일으키며 회동하는 바닥마찰유닛(250)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마찰유닛(250)은 상기 교반윙부(142)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부(251)가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된 바닥마찰몸체부(253)와, 상기 바닥마찰몸체부(253) 하측에 구비되는 브러쉬부(2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255)는 복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브러쉬부(255) 하부 내측에는 자석부(263)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마찰몸체부(253)와 브러쉬부(255)는 전체적으로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255)는 상기 교반조(110) 바닥면에 맞닿아 휘어진 상태로 상기 회전축(138)이 회전 시 교반조(110) 바닥면에 하부 일정 영역이 마찰된 상태로 회동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교반조(110) 바닥면에 닿아 회동하는 상기 브러쉬부(255)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보조자석부(275)가 상기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 렬로 복수 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마찰유닛(250)의 브러쉬부(255)가 상기 교반조(110)의 바닥에 마찰된 상태로 회동되어 교반조(110) 하부에 가라앉아 있는 교반하고자 하는 음식물까지 교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브러쉬부(255)에 구비된 자석부(263)와 상기 교반조(110) 바닥면에 설치된 보조자석부(275)가 서로 동일 위치에서 동일한 극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38)이 회전 시 상기 브러쉬부(255)가 상기 보조자석부(275) 위치에서 상하로 자석의 척력에 의하여 급격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교반조(110) 하부에서 교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바닥마찰몸체부(253) 표면에는 돌기부가 구비도어 교반윙부(142)의 회전 시 난류가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교반윙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교반윙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윙부(142)의 일측에 관통홀(146)이 구비되고, 상기 교반윙부(142)의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끼움부(14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윙부(14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146)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드럼 형태의 교차끼움관(221)이 구비되고, 상기 교반윙부(142)의 타측에는 교반윙부(142)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끼움부(147)에 끼워지며 양측이 개구된 드럼 형태의 평행끼움관(2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교차끼움관(221)의 측부와 상기 평행끼움관(222)의 일측 개구부가 연결되는 형태로 호스부(228)가 설치된다. 즉, 상기 호스부(228)는 상기 교차끼움관(221)의 내부와 상기 평행끼움관(222)의 내부가 연통된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은 관통홀(146)과 끼움부(147)가 적용된 교반윙부(142)를 전술한 교반조(110)의 회전축(138)에 설치한 후, 모터부의 작동에 따라서 교반윙부(142)가 교차끼움관(221)의 개구된 측이 이동방향측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교차끼움관(221)의 개구된 측으로 유입된 교반조(110) 내 교반대상물이 상기 호스부(228)를 통하여 교반윙부(142) 타측 평행끼움관(222)의 개구된 측으로 배출된다.
즉, 교반윙부(142)의 회전 시 교반윙부(14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교반대상물이 이동하게 되어 교반조(110) 내 교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교반장치
110: 교반조
120: 걸림대
135: 모터부
138: 회전축
142: 교반윙부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 드럼 형상의 교반조;
    상기 교반조 상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교반조 상부에 설치되는 걸림대;
    상기 걸림대 중앙부로부터 상기 교반조 내부를 하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걸림대 상부에 구비되는 모터부; 및
    상기 교반조 내부로 상기 회전축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윙부를 덮어 감싸며 상기 교반조 바닥에 마찰을 일으키며 회동하는 바닥마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마찰유닛은 상기 교반윙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바닥마찰몸체부와, 상기 바닥마찰몸체부 하측에 구비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브러쉬부 하부 내측에는 자석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마찰몸체부와 브러쉬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교반조 바닥면에 맞닿아 휘어진 상태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 시 교반조 바닥면에 하부 일정 영역이 마찰된 상태로 회동이 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교반조 바닥면에 닿아 회동하는 상기 브러쉬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수 개의 보조자석부가 상기 교반조 바닥면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렬로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브러쉬부에 구비된 자석부와 상기 교반조 바닥면에 설치된 보조자석부는 서로 동일 위치에서 동일한 극이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마찰몸체부 표면에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윙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하방향으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마찰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최하단에 위치된 교반윙부에 설치되는,
    는 교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걸림대;
    상기 보조걸림대를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회전축;
    상기 보조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보조걸림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모터부;
    상기 보조모터부와 상기 보조걸림대 사이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진동흡수보드부; 및
    상기 보조회전축에 구비되는 보조교반윙부;
    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KR1020220056095A 2022-05-06 2022-05-06 교반장치 KR10248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095A KR102481826B1 (ko) 2022-05-06 2022-05-06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095A KR102481826B1 (ko) 2022-05-06 2022-05-06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826B1 true KR102481826B1 (ko) 2022-12-28

Family

ID=8453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095A KR102481826B1 (ko) 2022-05-06 2022-05-06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8692A (ko) * 2009-10-15 2012-09-05 일렉트로룩스 두 브라질 에스/에이 믹서 블레이드용 지지체
KR20150022354A (ko) * 2013-08-23 2015-03-04 윤해상 보조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KR20160072531A (ko) * 2014-12-15 2016-06-2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염장 해파리 가공 장치
KR102048500B1 (ko) 2019-08-10 2019-11-25 이경진 소스 원재료 교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8692A (ko) * 2009-10-15 2012-09-05 일렉트로룩스 두 브라질 에스/에이 믹서 블레이드용 지지체
KR20150022354A (ko) * 2013-08-23 2015-03-04 윤해상 보조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KR20160072531A (ko) * 2014-12-15 2016-06-2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염장 해파리 가공 장치
KR102048500B1 (ko) 2019-08-10 2019-11-25 이경진 소스 원재료 교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2571C1 (ru) Маслоизготовитель
JP2008534215A (ja) 交換可能な撹拌装置を有する自己撹拌・加熱・調理組立体
JP2012135605A (ja) 炊飯器
CN207357098U (zh) 一种双头旋转式化工涂料深度搅拌加工设备
RU2750451C2 (ru)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KR20130112491A (ko) 교반기
EP1296127B1 (en) Tissue processor with integrated valve
KR102481826B1 (ko) 교반장치
BR102018012132A2 (pt) dispensador de volume para um eletrodoméstico de tratamento de roupas a serem lavadas
EP1500737A2 (en) Washing machine
KR101252664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무중력 유동층 건조장치
WO2017107227A1 (zh) 具有抖动搅拌装置的反应釜
US3746314A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ances
JP2013515549A (ja) 攪拌器組立体および攪拌器組立体を持つ台所用品
WO1997014271A1 (en) Cooking utensil with stirr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KR102405459B1 (ko) 상하이동축이 구비된 교반장치
JPH11155730A (ja) 自転公転斜軸撹はん付釜
US2736535A (en) Mixing device
KR2009012474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기 구조
KR102141939B1 (ko) 원료 교반 장치
US20130255330A1 (en) Moto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KR100736693B1 (ko) 믹서
WO1998006485A1 (en) Agitation apparatus
KR19980067868U (ko) 묵 끓임솥
CN113679254A (zh) 包括带有蒸汽喷射的搅拌叶片的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