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548B1 -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 Google Patents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548B1
KR102481548B1 KR1020210008542A KR20210008542A KR102481548B1 KR 102481548 B1 KR102481548 B1 KR 102481548B1 KR 1020210008542 A KR1020210008542 A KR 1020210008542A KR 20210008542 A KR20210008542 A KR 20210008542A KR 102481548 B1 KR102481548 B1 KR 102481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ed frame
auxiliary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74A (ko
Inventor
윤순호
Original Assignee
윤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호 filed Critical 윤순호
Priority to KR102021000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5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0Travelling or camp beds adapted to be used in or connected to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Abstract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카라반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베드부, 메인베드부에 대하여 중첩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보조베드부 및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를 상호 지지하면서 연결하며, 보조베드부가 메인베드부에 대한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Structure changeable rolling bed for caravan}
본 발명은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라반에 비치하기 쉬운 구조와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변형 가능한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여가활동으로 캠핑을 점차 많이 즐기고 있다. 캠핑을 위하여 캠핑차나 카라반을 이용할 수 있는데 협소한 실내공간에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실내공간에 설 치되는 각종 편의시설은 공간활용도가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3967호(등록일자 2020. 12. 16.)(기존 기술이라 함.)에서는 구조 변형이 가능한 의자 겸용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서는 접히거나 펼쳐져서 의자의 형상을 갖거나 베드의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구조 변형을 통하여 의자와 베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물탱크를 이용하여 의자나 베드의 하방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여전히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의 활용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의자와 베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카라반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베드부; 상기 메인베드부에 대하여 중첩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보조베드부; 및 상기 메인베드부와 상기 보조베드부를 상호 지지하면서 연결하며, 상기 보조베드부가 상기 메인베드부에 대한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이 카라반의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가 수직위치에 있으므로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되며,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가 회전하여 의자형상과 베드형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의자와 베드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베드부는,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메인베드; 및 상기 메인베드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메인베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베드부는, 중앙영역의 보조베드; 및 상기 보조베드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보조베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슬라이딩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에 상기 보조베드프레임가 접근하여 락킹되도록 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면 메인베드프레임와 보조베드프레임이 베드형상을 갖춘 상태에서 보조베드프레임이 이탈하지 않으므로 베드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후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면 메인베드프레임와 보조베드프레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위치에서 해제위치가 되도록 걸림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를 걸림위치와 해제위치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걸림구동부를 더 포함하면 메인베드프레임와 보조베드프레임의 결합력과 함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은, 하단영역에서 상기 메인베드의 판면방향 상기 보조베드프레임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의 일부 하단영역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연장지지부를 더 포함하면 보조베드프레임이 메인베드프레임에 접근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베드부에 앉거나 누울 경우 하방으로 쳐지면서 베드형상이 뒤틀어져 사용자가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부를 더 포함하면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드부에 대하여 상기 보조베드부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면 구조를 변형하는 경우에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에 카라반의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가 수직위치에 있으므로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되며,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가 회전하여 의자형상과 베드형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의자와 베드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카라반의 공간활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베드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롤링베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메인베드부와 보조베드부의 락킹 동작도.
도 4는 락킹부의 상세 동작도.
도 5와 도 6는 롤링베드의 전체 동작도.
도 7은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롤링베드(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베드(1)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롤링베드(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의 락킹 동작도이고, 도 4는 락킹부(50)의 상세 동작도이며, 도 5와 도 6는 롤링베드(1)의 전체 동작도이고, 도 7은 제어블록도이다.
카라반(2)은 캠핑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식 주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1)는 카라반(2)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된 구조물 시설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1)는 지지프레임(10), 메인베드부(20), 보조베드부(30), 링크부재(40), 락킹부(50), 지지다리부(60), 회전구동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카라반(2)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지지프레임(10)은 긴 막대형상을 갖고 메인베드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축공(11)이 복수 개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은 카라반(2)의 벽에 상하로 배치되어 동일한 높이로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회전축공(11) 또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베드부(2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베드부(20)는 메인베드(21)와 메인베드프레임(22)을 포함한다.
메인베드(21)는 메인베드프레임(22)이 둘러싸는 중앙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베드프레임(22)은 메인베드(21)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베드프레임(22)은 메인링크연결공(221)와 연장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링크연결공(221)은 후술할 링크부재(40)의 링크축(41)이 연결되는 연결공이다.
연장지지부(222)는 메인베드프레임(22) 하단영역에서 메인베드(20)의 판면방향 보조베드프레임(32) 측으로 연장되어 보조베드프레임(32)이 접근하는 경우 보조베드프레임(32)의 일부 하단영역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연장지지부(222)는 메인베드프레임(22) 하단영역 중 복수의 일부 영역에서 메인베드(20)의 판면방향 보조베드프레임(32)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베드프레임(22) 하단영역 전체에서 메인베드(20)의 판면방향 보조베드프레임(32)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연장지지부(222)는 말단 영역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져 보조베드프레임(32)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보조베드프레임(32)이 메인베드프레임(2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베드부(30)는 메인베드부(20)에 대하여 중첩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베드부(30)는 보조베드(31)와 보조베드프레임(32)를 포함한다.
보조베드(31)는 보조베드프레임(32)이 둘러싸는 중앙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베드프레임(32)은 보조베드(31)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베드프레임(32)은 슬라이딩장공(32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장공(321)은 후술할 링크부재(40)의 링크축(41)이 연결되는 연결공이다. 복수의 링크부재(40)의 링크축(41)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공이 길게 형성된다.
링크부재(40)는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를 상호 지지하면서 연결하며, 보조베드부(30)가 메인베드부(20)에 대한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부재(40)는 복수로 마련되어 메인베드프레임(22)과 보조베드프레임(32)의 측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부재(40) 각각은 복수의 링크축(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링크축(41)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50)는 메인베드프레임(22)에 보조베드프레임(32)가 접근하여 상호 락킹되도록 한다. 락킹부(50)는 걸림후크(51)와 걸림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후크(51)는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51)는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후크본체(511)와 후크본체(511)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확장후크(51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후크(512)는 후술할 걸림구동부(74)에 의해 후크본체(511) 내부에 수용된 상태와 후크본체(511)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다. 걸림후크(51)는 걸림부(52)에 걸리는 걸림위치에서 해제위치가 되도록 걸림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는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걸림후크(51)가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는 걸림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걸림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다리부(60)는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에 결합되어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다리부(60)는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과 평행하게 접힐 수도 있고 펼쳐져서 메인베드프레임(22) 및 보조베드프레임(32)의 하방을 지지할 수도 있다.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가 카라반(2)과 평행한 상태인 경우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를 카라반(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고정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70)는 메인베드부(20)에 대하여 보조베드부(30)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가 평행한 베드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의자형상이 되도록 회전구동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구동부(70)는 메인베드프레임(22)에 형성된 하나의 메인링크연결공(221)에 연결된 링크축(41)에 연결되어 있고, 메인베드프레임(22)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메인링크연결공(221)에 연결된 링크축(41)에 연결되는 경사조절구동부(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보조베드부(30)가 회전되어 의자형상이 된 상태에서 메인베드부(20)에 대한 보조베드부(30)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보조베드부(30)를 추가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경사조절구동부(72)를 제어할 수 있다.
걸림후크(51)의 확장후크(512)가 걸림부(52)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걸림구동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후크본체(511)가 걸림부(52)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장후크(512)가 확장되도록 걸림구동부(74)를 제어할 수 있다.
지지다리부(60)가 메인베드프레임(22)과 보조베드프레임(32)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는 펼침위치와 접혀서 메인베드프레임(22)과 보조베드프레임(32)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접힘위치 간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다리회전구동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지지다리부(60)가 접힘위치에서 펼침위치가 되도록 또는 펼침위치에서 접힘위치가 되도록 다리회전구동부(76)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베드프레임(22)가 베드형상을 만들기 위해 회전되어 지지프레임(10)에 대하여 수직이 되고 바닥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는 것을 파악하면 다리회전구동부(76)가 구동되어 지지다리부(60)가 접힘위치에서 펼침위치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베드형상으로 메인베드프레임(22)과 보조베드프레임(32)이 평행하며 이격된 상태에서 보조베드프레임(32)이 메인베드프레임(22)에 접근하도록 구동하는 슬라이딩구동부(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메인베드프레임(22)가 베드형상을 만들기 위해 회전되어 지지프레임(10)에 대하여 수직이 되고 바닥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는 것을 파악하면 보조베드프레임(32)이 메인베드프레임(22)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딩구동부(78)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롤링베드(1)로 인하여, 지지프레임(10)이 카라반(2)의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가 수직위치에 있으므로 공간활용 효율이 향상되며, 메인베드부(20)와 보조베드부(30)가 회전하여 의자형상과 베드형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의자와 베드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베드프레임(22)와 보조베드프레임(32)이 베드형상을 갖춘 상태에서 보조베드프레임(32)이 이탈하지 않으므로 베드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장지지부(222)로 인하여 보조베드프레임(32)이 메인베드프레임(22)에 접근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베드부(30)에 앉거나 누울 경우 하방으로 쳐지면서 베드형상이 뒤틀어져 사용자가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롤링베드 2: 카라반
10: 지지프레임 11: 회전축공
20: 메인베드부 21: 메인베드
22: 메인베드프레임
30: 보조베드부 31: 보조베드
32: 보조베드프레임
40: 링크부재 41: 링크축
50: 락킹부 51: 걸림후크
52: 걸림부
60: 지지다리부 62: 고정부
70: 회전구동부 72: 경사조절구동부
74: 걸림구동부 76: 다리회전구동부
78: 슬라이딩구동부
80: 제어부

Claims (8)

  1.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에 있어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카라반의 벽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메인베드 및 상기 메인베드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메인베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베드부;
    상기 메인베드부에 대하여 중첩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중앙영역의 보조베드 및 상기 보조베드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보조베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보조베드부;
    상기 메인베드부와 상기 보조베드부를 상호 지지하면서 연결하며, 상기 보조베드부가 상기 메인베드부에 대한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링크부재; 및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슬라이딩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부가 상기 메인베드프레임과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는 펼침위치와 접혀서 상기 메인베드프레임과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접힘위치 간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다리회전구동부, 베드형상으로 상기 메인베드프레임과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이 평행하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이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에 접근하도록 구동하는 슬라이딩구동부 및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이 베드형상을 만들기 위해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이 되고 바닥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는 것을 파악되면 상기 지지다리부가 접힘위치에서 펼침위치가 되도록 상기 다리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메인베드프레임가 베드형상을 만들기 위해 회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이 되고 바닥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는 것을 파악하면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이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에 접근하도록 상기 슬라이딩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롤링베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에 상기 보조베드프레임가 접근하여 락킹되도록 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메인베드프레임 및 상기 보조베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후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롤링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위치에서 해제위치가 되도록 걸림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를 걸림위치와 해제위치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걸림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드프레임은,
    하단영역에서 상기 메인베드의 판면방향 상기 보조베드프레임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보조베드프레임의 일부 하단영역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연장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베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드부에 대하여 상기 보조베드부가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간을 회전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베드.
KR1020210008542A 2021-01-21 2021-01-21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KR102481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42A KR102481548B1 (ko) 2021-01-21 2021-01-21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42A KR102481548B1 (ko) 2021-01-21 2021-01-21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74A KR20220105774A (ko) 2022-07-28
KR102481548B1 true KR102481548B1 (ko) 2022-12-23

Family

ID=8260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542A KR102481548B1 (ko) 2021-01-21 2021-01-21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551B1 (ko) * 2022-12-02 2023-07-04 주식회사 비비 차량용 풀 플랫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366B1 (ko) * 2010-04-05 2012-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 소파 겸용 다기능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1053B2 (ja) * 1994-04-12 2004-07-07 桑原 信幸 ベッド兼用ソファー
AU4441196A (en) * 1995-02-09 1996-08-15 Ecosat (Proprietary) Limited Convertible seating arrangement
KR100666964B1 (ko) * 2005-04-20 2007-01-17 비아이피 주식회사 소파 겸용 침대
KR101317438B1 (ko) * 2011-03-25 2013-10-18 조기환 소파매트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등받이가 매트로 전환되는 소파
KR101459661B1 (ko) * 2013-04-22 2014-11-12 김은숙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KR101885432B1 (ko) * 2016-10-17 2018-08-03 노태진 기능성 침대
KR102143833B1 (ko) * 2018-10-26 2020-08-12 김희재 침대 겸용 전동소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366B1 (ko) * 2010-04-05 2012-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 소파 겸용 다기능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74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4946A (en) Adjustable bed
TWI522098B (zh) 按摩椅
US20140250599A1 (en) Deck Assembly For Adjustable Bed
US9918556B2 (en) Adjustable bed foundation
CN210581799U (zh) 具有补强单元的简易折叠床
US20060117479A1 (en) Mattress for movable bed
KR102481548B1 (ko) 카라반용 구조 변환 가능 롤링베드
AU2017302552B2 (en) Adjustable bed systems with rotating articulating bed frame
KR20180131847A (ko) 보강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JP2019535349A (ja) 可動浴槽組立体
US20050251915A1 (en)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platform of a bed
CN104586135A (zh) 双层翻转沙发床
KR101176603B1 (ko) 환자용 침대
US4253205A (en) Sofa-sleeper
CN111671264A (zh) 一种多功能休闲椅框架结构及控制方法
KR20190136750A (ko) 평상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6870952B2 (ja) 昇降式座椅子
US20150184410A1 (en) "Integrated Spa Cover Lifter System"
KR102081700B1 (ko) 조립식 전동침대
CN213487953U (zh) 一种翻转结构的沙发床
CN113907900A (zh) 一种医师座椅
JP6668179B2 (ja)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KR102483589B1 (ko) 보강형 구조를 갖는 모션 침대
JP2019058354A (ja) ベッド
JP6869311B2 (ja) 寝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